KR0154039B1 -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039B1
KR0154039B1 KR1019930024450A KR930024450A KR0154039B1 KR 0154039 B1 KR0154039 B1 KR 0154039B1 KR 1019930024450 A KR1019930024450 A KR 1019930024450A KR 930024450 A KR930024450 A KR 930024450A KR 0154039 B1 KR0154039 B1 KR 0154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ar seat
vehicle
magnetic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818A (ko
Inventor
권영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2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039B1/ko
Publication of KR950013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4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memory of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2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sea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져 차체와 연결되어 있는 자기 발생장치의 위치가 가변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설정위치로 이동시켜 자동차 시트의 설정위치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수단과; 상기 위치 감지수단과 연결되어,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설정위치에서 벗어나 설정된 무게중심의 위치가 이동될 경우, 이동된 정도를 파악하고 설정위치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수단과; 상기 동작 제어수단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고정위치와 자계의 발생정도가 가변되는 자기 발생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 발명은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기 부상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시트가 고정되어 있을 경우 주행도로의 사정이나 충돌사고 등으로 자기 부상장치의 위치가 가변되어 자동차 시트의 설정위치가 가변될 경우 이를 신속하게 보상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전도 자기장치의 동작원리를 이용하여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차체에서 부상시켜 사용할 경우, 차체에 발생하는 진동이 자동차 시트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탑승자의 승차감을 현저히 높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차체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심한 진동으로 인해 자동차 시트를 부상시키는 자기 부상장치가 설정위치에서 벗어날 경우엔, 자동차 시트의 부상위치도 가변된다.
그러므로 자동차 시트의 이동으로 탑승자의 탑승위치가 가변되고, 특히, 운전자의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가변될 경우엔, 정상적인 운전동작을 실행할 수 없는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으므로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되어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에 충격이 가해져 차체와 연결되어 있는 자기 발생장치의 위치가 가변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설정위치로 이동시켜 자동차시트의 설정위치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보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수단과;
상기 위치 감지수단과 연결되어,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설정위치에서 벗어나 설정된 무게중심의 위치가 이동될 경우, 이동된 정도를 파악하고 설정위치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수단과;
상기 동작 제어수단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고정위치와 자계의 발생정도가 가변되는 자기 발생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구성은,
위치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설정된 자동차 시트의 위치와 현재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설정위치에서 벗어난 방향과 이탈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자동차 시트의 이탈 정도에 따라 자계의 세기와 발생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타를 산출하는 단계와;
자동차 시트가 설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산출된 데이타에 따른 제어신호를 자기 발생수단으로 출력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부(11)와, 상기 위치 감지부(11)와 연결되어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설정위치에서 벗어날 경우 설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부(2)와, 상기 동작 제어부(2)와 연결되어 동작 제어부(2)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상태와 동작위치가 가변되는 자기 발생장치(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을 시작하면(10), 동작 제어부(2)는 위치 감지부(1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20) 현재의 자동차 시트의 고정위치를 판단한다(30).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위치 감지부(11)는 초기 설정된 자동차 시트의 위치에서의 무게중심을 산출하여 기준점으로 이용하고, 자동차 시트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무게중심의 위치를 산출한다.
따라서 기준점과 이동된 무게중심의 위치관계를 이용하여 현재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동작 제어부(2)는 탑승자의 체형에 가장 적합한 자동차 시트의 무게중심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무게중심으로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2)는 설정된 무게중심의 위치와 현재 자동차 시트의 무게중심점의 위치를 비교 판단하여 서로 일치할 경우엔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정확한 설정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계속해서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판단한다.
그러나 설정된 무게중심점과 현재의 자동차 시트의 무게중심점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엔,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설정위치에서 벗어났다고 판단한다.
그러므로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설정위치에서 벗어날 경우에, 동작 제어부(2)는 설정된 무게중심의 위치에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이탈 정도를 판단한다(40).
상기와 같이 설정위치에서 이탈된 이탈방향과 이탈 정도 등이 산출되면, 동작 제어부(2)는 설정위치에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자기 발생장치(3)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보정 데이타를 산출한다(50).
결과적으로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설정위치에서 이탈된 상태는 자기 발생장치(3)의 위치가 설정위치에서 벗어나 상태나 자동차 시트를 설정위치로 부상시키기 위해 자기 발생장치(3)에서 발생하는 자계의 상태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이다.
특히, 가벼운 접촉사고 등으로 발생하는 충격이 차체로 전달될 경우 차체와 연결되어 있는 자기 발생장치(3)의 위치가 강한 충격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자기 발생장치(3)의 동작에 의해 설정위치에 부상된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이동하여 보정 데이타가 산출되면, 동작 제어부(3)는 보정된 데이타에 따른 해당 제어신호를 초전도 물체인 자기 발생장치(3)로 출력한 후(60), 위치 감지신호를 판독하는 처음 단계(20)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자기 부상장치(3)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자기 발생정도와 자기 발생장치(3)의 고정위치가 설정상태로 가변되어 해당 위치로 자동차 시트가 이동된다.
그러므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이미 설정되어 있는 위치로 자동차 시트의 무게중심이 이동하면 동작 제어부(2)는 제어동작을 중지하고, 자기 발생장치(3)의 동작상태를 현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접촉사고나 자동차 주행도로의 사정으로 발생하는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어 자기 발생장치의 위치가 가변될 경우 자동차 시트의 무게 중심점의 이동정도에 감지하여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보정하므로 항상 탑승자의 체형에 적합한 위치에 자동차 시트가 유지될 수 있다.

Claims (3)

  1.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수단과; 상기 위치 감지수단과 연결되어,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설정위치에서 벗어나 설정된 무게중심의 위치가 이동될 경우, 이동된 정도를 파악하고 설정위치에서 벗어난 정도에 따라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수단과; 상기 동작 제어수단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고정위치와 자계의 발생정도가 가변되는 자기 발생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수단은 자동차 시트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산출하여 무게 중심점의 위치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3. 위치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현재 자동차 시트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와; 설정된 자동차 시트의 위치와 현재 자동차 시트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설정위치에서 벗어나 방향과 이탈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자동차 시트의 이탈 정도에 따라 자계의 세기와 발생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타를 산출하는 단계와; 자동차 시트가 설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산출된 데이타에 따른 제어신호를 자기 발생수단으로 출력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방법.
KR1019930024450A 1993-11-17 1993-11-17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및 그 방법 KR0154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450A KR0154039B1 (ko) 1993-11-17 1993-11-17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450A KR0154039B1 (ko) 1993-11-17 1993-11-17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818A KR950013818A (ko) 1995-06-15
KR0154039B1 true KR0154039B1 (ko) 1998-10-15

Family

ID=1936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450A KR0154039B1 (ko) 1993-11-17 1993-11-17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42803A (zh) * 2021-06-25 2021-09-28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减振座椅及其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818A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4228A (en) Air bag apparatus
US7327234B2 (en)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system with haptic notification seat
JP3384236B2 (ja) 車両用前照灯光軸方向自動調整装置
US6363306B1 (en) Safety device for vehicles
US6625564B2 (en) Device for recognizing an overturn process of a vehicle
DE68919491T2 (de) Lenk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20090198405A1 (en) Height control device for vehicle
CN111619587B (zh) 用于车辆的防车道偏离辅助系统
EP0492875A1 (en) Unitary sensor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s
JPH09156528A (ja) 車両用操舵支援装置
KR960000247B1 (ko) 서스펜션 제어장치
JPH05262251A (ja) 車両運動制御装置
KR0154039B1 (ko) 자동차용 자기 부상시트의 위치 보정장치 및 그 방법
EP0469511B1 (en) Air gap controlling system for linear motor
FI954603A0 (fi) Rautatieajoneuvo, jossa on vaihteleva-asentoinen kRautatieajoneuvo, jossa on vaihteleva-asentoinen kori ori
JP2006007834A (ja) 車両用シート制御装置
JP4197794B2 (ja) 車両用減衰特性可変式ダンパーの制御装置
WO2000076832A8 (de) Lenksäule und verstellverfahren für eine lenksäule
KR19990057517A (ko) 차량용 전자제어 현가장치
KR200159121Y1 (ko) 운전석 지지장치
JPH10315973A (ja) 自動列車運転装置
KR0154040B1 (ko) 자동차 시트의 자기 부상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541828Y2 (ja) 衝突安全装置の制御装置
KR970036445A (ko) 자동차의 시트 자세 제어시스템
JPH0585136A (ja) サスペンシヨン制御装置と四輪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