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681B1 -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 - Google Patents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681B1
KR0153681B1 KR1019950027113A KR19950027113A KR0153681B1 KR 0153681 B1 KR0153681 B1 KR 0153681B1 KR 1019950027113 A KR1019950027113 A KR 1019950027113A KR 19950027113 A KR19950027113 A KR 19950027113A KR 0153681 B1 KR0153681 B1 KR 0153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ching circuit
relay
signal
match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861A (ko
Inventor
이준성
최종오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2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681B1/ko
Publication of KR970013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28Impedance match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백기능이 구비된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에 관한 것으로, 루프제어신호 발생부(34); 접속 수신 릴레이부(31); 수신정합트랜스부(32); 수신 정합회로(33); 송신 정합회로부(35); 송신 정합트랜스부(36); 및 접속 송신 릴레이부(37)로 구성되는 중계선 접속장치에서 상기 송수신 정합회로가 점퍼 스트립의 접속 및 비접속에 의해 입출력의 합성 임피던스가 가변되도록 상기 점퍼 스트립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저항으로 이루어져 루프백제어신호에 의해 리모트 및 인터날 루프백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중계선과의 접속부에서 시험경로를 제공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접속 특성에 따라 임피던스를 점퍼 스트립에 의해 간단히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중계선 접속계통을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되시된 종래의 중계선 접속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접속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접속장치의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PSTN접속부 12 : PSTN접속 수신부
13 : PSTN접속 송신부 14 : 클럭복구 및 정합데이타 동기부
15 : 프레이밍/디프레이밍부 16 : 디프레이밍부
17 : 프레이밍부 21 : 송신/수신 릴레이접속부
22 : 송신/수신 정합트랜스부 23 : 송신/수신 정합회로
31 : PSTN접속릴레이 수신부 32 : 수신 정합트랜스부
33 : 수신 정합회로부 34 : 루프제어신호 발생부
35 : 송신 정합회로부 36 : 송신 정합트랜스부
37 : PSTN접속릴리에 송신부
본 발명은 위성통신 지상시스템(DAMA-SCPC)과 같은 통신장치에서 바이폴라 데이타를 전송하는 중계선측과 유니폴라 데이타를 처리하는 시스템측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중계선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퍼 스트립에 의해 선택된 임피던스로 정합시킬 수 있도록 된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에 관한 것이다.
위성통신 지상시스템은 위성체를 이용하여 음성전화 및 저속 데이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장치로, 중심국과 다수의 중계국이 분산되어 통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위성통신 지상시스템에 있어서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공중전화망(PSTN)으로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중계선이 위성통신 지상시스템과 공중전화망(PSTN)측 사이에 필요하게 되고, 상기 중계선은 통상의 선로보다 길어 손실이 크므로, 상기 중계선상에서는 정보전송의 에러를 줄이기 위하여 바이폴라방식으로 데이타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중계선에 의해 공중전화망(PSTN)과 위성통신 지상시스템간을 인터페이스하는 접속계통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선측으로부터 바이폴라 데이타를 수신하여 유니폴라로 변환하는 PSTN접속 수신부(12)와, 상기 PSTN접속 수신부(12)의 출력을 입력받아 클럭을 복구하고 데이타를 동기시키는 클럭복구 및 정합데이타 동기부(14); 상기 클럭복구 및 정합데이타 동기부(14)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디프레이밍(deframing)하여 시스템측으로 출력하는 디프레이밍부(16); 시스템측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프레이밍(framing)하는 프레이밍부(17); 프레이밍된 유니폴라 데이타를 바이폴라로 변환하여 중계선측으로 출력하는 PSTN접속 송신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계통에서 종래의 PSTN접속 송신/수신부(11)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수신 릴레이접속부(21), 송신/수신 정합트랜스부(22), 송신/수신 정합회로(23)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PSTN접속 송수신부(11)는 중계선측으로부터 바이폴라(HDB3) 트렁크 데이타를 수신하여 디코딩한 후 유니폴라 데이타로 변환시켜서 시스템 내부의 디프레이밍부로 전송하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는 HDB3로 엔코딩된 후 중계선측으로 바이폴라 데이타를 전송시키는 동작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접속장치에는 루프백기능이 미비하여 시험경로나 오더와이어(O/W) 루프를 구성시, 별도의 회로를 두거나 회로중 루프백이 가능한 다른 부분을 사용하여 시험경로를 구성해야 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PSTN접속 특성에 따라 75오옴 비평형이나 120 오옴 평형 임피던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로는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루프제어신호를 발행하는 루프제어신호 발생부; 중계선측으로부터 바이폴라 라인신호를 입력받아 루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라인신호를 접속시키는 접속 수신 릴레이부; 상기 수신 릴레이부로부터 입력된 바이폴라 신호를 유니폴라신호로 변환하는 수신 정합 트랜수부; 상기 수신 정합 트랜스부의 출력을 시스템측으로 임피던스 정합시키는 수신 정합회로; 시스템측으로부터 유니폴라신호를 입력받아 임피던스 정합시키는 송신정합회로부; 상기 송신 정합회로부의 유니폴라 출력신호를 바이폴라신호로 변환하는 송신 정합 트랜스부; 및 상기 송신 정합 트랜스부의 바이폴라 출력을 루프제어신호에 따라 라인측또는 수신측으로 접속하여 궤환경로를 형성하는 접속 송신 릴레이부로 구성되어 중계선에 의해 공중전화망(PSTN)으로부터 바이폴라신호를 입력받아 유니폴라로 변환하여 위성통신 지상시스템과 접속하도록 된 중계선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정합회로와 송신 정합회로가
점퍼 스트립의 접촉 및 비접촉에 의해 입출력의 합성 임피던스가 가변되도록 상기 점퍼 스트립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루프백 기능이 구비된 중계선 접속장치에서 PSTN접속 특성이 요구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점퍼 스트립과 저항들을 연결시킨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중계선 접속계통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선측으로부터 바이폴라 데이타를 수신하여 유니폴라로 변환하는 PSTN접속 수신부(12)와, 상기 PSTN접속 수신부(12)의 출력을 입력받아 클럭을 복구하고 데이타를 동기시키는 클럭복구 및 정합 데이타 동기부(14); 상기 클럭복구 및 정합데이타 동기부(14)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디프레이밍(deframing)하여 시스템측으로 출력하는 디프레이밍부(16); 시스템측으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프레이밍(framing)하는 프레이밍부(17); 프레이밍된 유니폴라 데이타를 바이폴라로 변환하여 중계선측으로 출력하는 PSTN접속 송신부(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중계선 접속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루프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루프제어신호발생부(34); 중계선측으로부터 바이폴라 라인신호를 입력받아 루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라인신호를 접속시키는 접속 수신 릴레이부(31); 상기 수신 릴레이부(31)로부터 입력된 바이폴라 신호를 유니폴라신호로 변환하는 수신 정합트랜스부(32); 상기 수신 정합트랜스부(32)의 출력을 시스템측으로 임피던스 정합시키는 수신정합회로(33); 시스템측으로부터 유니폴라신호를 입력받아 임피던스 정합시키는 송신 정합회로부(35); 상기 송신 정합회로부(35)의 유니폴라 출력신호를 바이폴라신호로 변환하는 송신 정합트랜스부(36); 및 상기 송신 정합트랜스부(36)의 바이폴라 출력을 루프제어신호에 따라 라인측 또는 수신측으로 접속하여 궤환경로를 형성하는 접속 송신 릴레이부(3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 릴레이부, 정합트랜스부, 및 정합회로를 구현하는 일실시예의 회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릴레이부(31)가 2개의 릴레이(K1, K3)로 구현되고, 송신 정합 트랜스부(36)는 하나의 정합트랜스(T1)로 구현되며, 수신 릴레이부(37)도 2개의 릴레이(K2, K4)로 구현되고, 수신 정합트랜스부(32)도 하나의 트랜스로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4 릴레이는 TQ2-5V 릴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정합 트랜스는 PE5764로 구현되어 바이폴라신호를 2스플릿 유니폴라(2 Split
Phase Unipolar)신호로 변환시킨다.
또한, 수신 정합회로부(33)는 정합트랜스(T2)의 출력을 시스템측으로 임피던스 매칭시키기 위한 저항들(R1~R6)로 이루어지며, 점퍼 스트립(JMP1, JMP2)에 의해 75오옴과 120오옴 임피던스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송신정합회로부(35)는 다수의 저항들(R7~R12),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Q1, Q2)로 이루어지며 점퍼 스트립(JMP3, JMP4)에 의해 75오옴과 120오옴 임피던스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미설명된 C1~C4는 커패시터이고, L은 인덕터이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루프백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와 루프백이 이루어지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본다.
1. 루프백이 이루어 지지 않은 경우
루프백이 이루어지지 않은 정상적인 경우에는 중계선으로부터 HDB3 바이폴라 라인신호를 입력받아 유니폴라로 변환한 후 정합회로에서 임피던스를 매칭시켜 시스템측으로 출력하고, 시스템측으로 정합회로를 통해 입력받은 유니폴라신호를 HDB3 바이폴라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선측으로 출력한다.
즉, 송신부는 루프백제어신호(USER/REM_LOOP)가 로우가 되는 정상시에, 제1 반전기(U1) 및 제2 반전기(U2)의 출력단이 하이가 되므로 제1 내지 제4 릴레이(K1~K4)가 오프되어 제4 릴레이(K4)의 출력이 제2 릴레이(K2)로 연결된다. 따라서 중계선측으로부터 단자(SET1-TIP-IN+, SET1-TIP-IN-)를 통해 입력된 바이폴라신호를 제4 릴레이(K4)와 제2 릴레이(K2)를 통해 정합트랜스(T2)에 인가되고, 이 정합트랜스(T2)는 인가된 바이폴라신호를 유니폴라신호로 변환하여 정합회로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되어 시스템측으로 단자(RTIP, RRING)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정합회로(33)는 점퍼 스트립에 의해 임피던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제1 점퍼 스트립(JMP1)과 제2 점퍼 스트립(JMP2)을 연결할 경우에 비평형 75오옴의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고, 제1 점퍼 스트립(JMP1)과 제2 점퍼 스트립(JMP2)이 오픈된 경우에 평형 120 오옴 임피던스 정합을 이룬다.
또한 수신부는 루프백제어신호(USER/REM_LOOP)가 로우가 되는 정상시에, 제1 반전기(U1) 및 제2 반전기(U2)의 출력단이 하이가 되므로 제1 내지 제4 릴레이(K1~K4)가 오프되어 제1 릴레이(K1)의 출력이 제3 릴레이(K3)로 연결된다. 따라서 시스템측으로부터 단자(TXA, TXB)를 통해 입력받은 유니폴라신호는 정합회로에서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진 후 정합트랜스(T1)에서 바이폴라신호로 변환되어 제1 릴레이(K1)와 제3릴레이(K3)를 거쳐 단자(SET1-TIP-OUT+, SET1-TIP-OUT-)를 통해 중계선측으로 송신된다.
이때 정합회로(35)는 점퍼 스트립에 의해 임피던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제3 점퍼 스트립(JMP3)과 제4 점퍼 스트립(JMP4)을 연결할 경우에 비평형 75오옴의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고, 제3 점퍼 스트립(JMP3)과 제4 점퍼 스트립(JMP4)이 오픈된 경우에 평형 120 오옴 임피던스 정합을 이룬다.
2. 루프백이 이루어지는 경우
루프백이 필요할 경우 미도시된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루프백 명령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루프백신호 발생부(34)가 하이를 출력하게 되면 릴레이들(K1~K4)이 작동되어 중계선측으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다시 중계선측으로 궤환되고(이를 유저/리모트 루프백이라 한다), 시스템측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다시 시스템측으로 궤환(이를 내부 루프백이라 한다)된다.
즉, 단자(USER/REM_LOOP)를 통해 입력된 루프백신호가 하이가 되면 제1 및 제2 반전기(U1, U2)의 출력이 로우가 되고,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릴레이(K1~K4)가 온되어 루프백 경로가 형성된다. 예컨데, 제4릴레이(K4)의 출력은 제3 릴레이(K3)로 연결되어 중계선측으로부터 입력된 바이폴라신호가 그래도 중계선측으로 송신되고, 제1릴레이(K1)의 출력은 제2 릴레이(K2)로 연결되어 시스템측으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정합트랜스(T1)에서 바이폴라로 변환된 후 다시 정합트랜스(T2)에서 유니폴라로 변환되어 시스템측으로 출력된다. 이때, 내부 루프백의 경우에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유니폴라 신호는 송수신 정합회로에서 임피던스가 정합되고, 점퍼 스트립에 의해 비평형 75오옴과 평형 120오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루프백제어신호에 의해 리모트 및 인터날 루프백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중계선과의 접속부에서 시험경로를 제공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접속 특성에 따라 임피던스를 점퍼 스트립에 의해 간단히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루프제어신호를 발행하는 루프제어신호 발생부(34); 중계선측으로부터 바이폴라 라인신호를 입력받아 루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라인신호를 접속시키는 접속 릴레이 수신부(31); 상기 접속 릴레이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바이폴라 신호를 유니폴라신호로 변환하는 수신 정합 트랜스부(32); 상기 수신 정합 트랜스부의 출력을 시스템측으로 임피던스 정합시키는 수신 정합회로(33); 시스템측으로부터 유니폴라신호를 입력받아 임피던스 정합시키는 송신정합회로부(35); 상기 송신 정합회로부(35)의 유니폴라 출력신호를 바이폴라신호로 변환하는 송신 정합 트랜스부(36); 및 상기 송신 정합 트랜스부의 바이폴라 출력을 루프제어신호에 따라 라인측또는 수신측으로 접속하여 궤환경로를 형성하는 접속 송신 릴레이부(37)로 구성되어 중계선에 의해 공중전화망(PSTN)으로부터 바이폴라신호를 입력받아 유니폴라로 변환하여 위성통신 지상시스템과 접속하도록 된 중계선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정합회로와 송신 정합회로가 점퍼 스트립의 접촉 및 비접촉에 의해 입출력의 합성 임피던스가 가변되도록 상기 점퍼 스트립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회로는 상기 점퍼 스트립이 접촉된 경우에 75오옴 비평형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하고, 점퍼 스트립이 비접촉된 경우에 120 오옴 평형 임피던스 정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
KR1019950027113A 1995-08-29 1995-08-29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 KR0153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7113A KR0153681B1 (ko) 1995-08-29 1995-08-29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7113A KR0153681B1 (ko) 1995-08-29 1995-08-29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61A KR970013861A (ko) 1997-03-29
KR0153681B1 true KR0153681B1 (ko) 1998-11-16

Family

ID=1942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7113A KR0153681B1 (ko) 1995-08-29 1995-08-29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6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086B1 (ko) * 2002-07-24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임피던스정합장치를 구비한 유선단말시스템 및 그의가변임피던스정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61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53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oping around a digital transmission line at a channel unit
KR890001476B1 (ko) 디지탈 무선 중계장치
US5659487A (en) Method for recovering from sun transit in communication of very small aperture terminal
KR0153681B1 (ko) 중계선 접속장치의 정합회로
KR0153678B1 (ko) 루프백기능이 구비된 중계선 접속장치
JPH08139713A (ja) データ送受信方式
CN108449154A (zh) 一种用于同步网络环网的时钟系统和时钟自愈方法
KR100217347B1 (ko) 구내 nisdn 서비스에서 s인터페이스의 전송거리 확장장치
KR94000674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동기 클럭 분배 장치
JP2871936B2 (ja) 宅内データ回線終端装置
KR960020568A (ko) 모국교환기와 원격교환 장치간의 e1(유럽)방식 pcm링크 정합장치
JPH05199250A (ja) クロック切替方式
US4190740A (en) Circuit arrangement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switching data in telecommunication exchanges
US2585058A (en) Telephone radio link termination
JP3068125B2 (ja) バス型光伝送路用通信局
US1324130A (en) Telegraph system.
SU1626424A1 (ru) Система дл дуплексной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NO20002086L (no) Kalibrering av abonnentterminal for trÕdløst telekommunikasjonssystem
US1523127A (en) Multiplex-signaling system
JPH04351047A (ja) 光端局装置
JPH03187534A (ja) 光端局装置
KR20020056340A (ko) 광역통신망에서의 연동을 위한 라우터 접속장치
JPH05252180A (ja) クロック切替方式
JPH0475695B2 (ko)
JP2003134229A (ja) ディジタル加入者回線試験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