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556B1 -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556B1
KR0153556B1 KR1019940037237A KR19940037237A KR0153556B1 KR 0153556 B1 KR0153556 B1 KR 0153556B1 KR 1019940037237 A KR1019940037237 A KR 1019940037237A KR 19940037237 A KR19940037237 A KR 19940037237A KR 0153556 B1 KR0153556 B1 KR 0153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ircuit
control circuit
battery power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696A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4003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556B1/ko
Publication of KR96002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46Arrangements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 시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주유를 하게 되는데, 이때,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불필요한 연료소모가 발생하고, 또한 연료주입기에 의해서 연료주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수로 차를 출발시키게 되면 연료주입기가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밧데리전원과 결선되며 연료주입구 커버의 오픈/클로즈에 의해 온/오프되는 연료주입구 스위치(10)로 된 입력회로와, 상기 오픈/클로즈에 의해 로우(low)/하이(high)로 되는 입력전압을 하이(high)/로우(low)의 출력전압으로 내보내는 인버터(inverter)(20)로 된 논리회로와, 상기 인버터(20)의 출력전압 H/L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2,3트랜지스터(TR2)(TR3)에 다이오드(D2)(D3)를 통해서 밧데리전원과 점화장치 및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릴레이(RY1)의 연결선로에 병렬로 결선되어 상기 연결선로를 오픈/클로즈시키는 제2,3릴레이(RY2)(RY3)로 된 출력회로로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를 구성하므로써 안전성향상, 연료절감 및 연료주입기의 파손방지의 효과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주입시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점화스위치 2 : 스타트모터
10 : 연료주입구 스위치 20 : 인버터
RY1: 제1릴레이 RY2: 제2릴레이
RY3: 제3릴레이
본 발명은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주입시 시동이 자동오프되도록 한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점화스위치는 밧데리의 플러스단자와 점화코일의 1차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운전석에서 1차회로의 전류를 개폐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스타트모터의 스위치도 겸하고 있는 것으로, 운전자가 시동키로 점화스위치의 오프(off), 온(on), 스타트(start)를 선택할 수가 있다.
상기한 스타트모터란 엔진의 시동용모터로서 밧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데, 이 스타트모터의 회전에 의해 엔진은 최초의 흡입과 압축행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받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시동키로 점화스위치를 제어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도록 되어있는데, 이에대한 회로도인 제1도를 통하여 엔진과 점화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엔진구동 제어회로는 시동키에 의해 제어되는 점화스위치(1)를 통해 점화장치 및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릴레이(RY1)가 구동제어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시동키를 꽂아 점화스위치(1)의 스타트모터 구동스위치(ST)로 돌려 유지시키면 밧데리 전원에 의해 상기 제1릴레이(RY1)가 작동되어 오픈되어 있던 릴레이스위치가 밧데리와 접속되어 스타트모터(2)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스타트모터(2)가 구동되어 엔진이 회전되는데, 이때 엔진에서 점화신호가 출력되어 점화장치로 송신되며, 또한 엔진의 시동상태가 계속해서 유지가 된다. 이어서 시동키를 놓으면 시동키가 점화스위치(1)의 점화 온(ON)상태로 복귀되어 전장품과 점화장치로 밧데리 전원이 인가되면 점화장치에 의해 엔진이 점화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시동키를 점화스위치(1)의 오프(OFF)위치로 돌리면 점화장치에 밧데리 전원이 차단되어 점화가 중단되어 엔진의 구동이 멈춰서 시동이 꺼지게 되는데, 시동키를 오프상태에 점화 온상태로 유지시킨다 하더라도 엔진이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일반 운전자 대부분의 경우 주유소에서 주유를 하게 되는데, 이때,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불필요한 연료소모가 발생하고, 또한 연료주입기에 의해서 연료주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수로 차를 출발시키게 되면 연료주입기가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연료주입시 시동이 걸려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있을 경우에는 실수로 차를 출발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연료주입시에는 시동이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하므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연료를 절감하며, 또한 운전자가 실수로 악셀레이터를 밟더라도 차가 스타트되지 않기 때문에 연료주입기의 파손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연료주입구 커버에 의해 온/오프되는 연료주입구 스위치로 된 입력회로와, 상기 연료주입구 스위치에 의해 제어되어 출력전압을 하이(high)/로우(low)로 내보내는 인버터(inverter)로 된 논리회로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제2,3트랜지스터(TR2)(TR3)에 밧데리전원과 점화장치 및 엔진의 연결선로에 병렬로 결선되어 상기 연결선로를 오픈/클로즈시키는 제2,3릴레이(RY2)(RY3)로 된 출력회로를 구성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기술구성과 그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연료주입시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도의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동키에 의해 제어되는 점화스위치(1)를 통해 점화장치 및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릴레이(RY1)가 구동제어되도록 이루어진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에 있어서, 밧데리전원과 결선되며 연료주입구 커버의 오픈/클로즈에 의해 온/오프되는 연료주입구 스위치(10)로 된 입력회로와, 상기 오픈/클로즈에 의해 로우(low)/하이(high)로 된 입력전압을 하이(high)/로우(low)의 출력전압으로 내보내는 인버터(20)로 된 논리회로와, 상기 인버터(20)의 출력전압 H/L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2,3트랜지스터(TR2)(TR3)에 다이오드(D2)(D3)를 통해서 밧데리전원과 점화장치 및 상기 제1릴레이(RY1)의 연결선로에 병렬로 결선되어 상기 연결선로를 오픈/클로즈시키는 점화장치 제어 및 엔진구동 제어용 제2,3릴레이(RY2)(RY3)로 된 출력회로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밧데리전원에는 연료주입구측에 위험하지 않은 미세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전류제한용 저항(R1)(R2)을 연결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시동상태에서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서 연료주입구 커버를 열면, 연료주입구 스위치(10)가 GND쪽에 연결되어 입력전압이 로우가 되고, 인버터(20)에 의해서 출력전압이 하이가 되어 제2,3트랜지스터(TR2)(TR3)가 온되어 다이오드(D2)(D3)를 통해서 제2,3릴레이(RY2)(RY3)로 전원이 인가되면, 제2,3릴레이(RY2)(RY3)의 스위치가 오픈되어 점화장치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고, 엔진을 구동시키는 스타트모터(2)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릴레이(RY1)가 오픈되어 전원이 차단되므로써 시동이 꺼지게 된다.
상기 제2릴레이(RY2)의 스위치가 오픈된 상태에서는 시동키로 시동을 시도한다 하더라도 제1릴레이(RY1)가 오픈되어 있기 때문에 시동이 걸리지 않게되는 것이다.
한편, 연료주입을 완료한후, 연료주입구 커버를 닫으면, 연료주입구 스위치(10)가 클로즈되어 입력전압이 하이가 되고, 인버터(20)에 의해서 출력전압이 로우가 되므로써 제2,3릴레이(RY2)(RY3)의 스위치가 클로즈되어 점화장치 및 제1릴레이(RY1)로 전원이 인가되어 시동키로 시동을 걸수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연료주입구에 걸리는 전압을 다운시켜 위험하지 않은 미세전류를 연료주입구에 흐르게 하기 위해서 밧데리전원에는 저항(R1)(R2)을 연결한 것이고, 상기 다이오드(D2)(D3)는 역방향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서 연결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의 엔진구동 제어회로에 연료주입시 엔진구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연료주입구 스위치로 된 입력회로와, 상기 입력회로에서 인가된 입력전압에 따라 출력전압을 반전하는 인버터로 된 논리회로와, 상기 인버터의 출력전압에 의해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릴레이로 된 출력회로로 본 발명을 구성하므로써 화재의 위험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시동이 걸려있지 않기 때문에 연료가 절감되며, 또한 운전자가 실수로 악셀레이터를 밟더라도 차가 스타트되지 않기 때문에 연료주입기의 파손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밧데리전원(B+)과 결선되며 연료주입구 커버의 오픈/클로즈에 의해 온/오프되는 연료주입구 스위치(10)로 된 입력회로와; 이 입력회로와 연결되면서 밧데리전원(B+)과 전류제한용저항(R1,R2)를 사이에 두고 접속되면서 상기 연료주입구 커버의 오픈/클로즈에 의해 로우/하이로 되는 입력전압을 하이/로우의 출력전압으로 내보내는 인버터(20)로 된 논리회로와; 상기 논리회로의 인버터(20)의 출력포트와 연결되며 출력전압 하이/로우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2·3트랜지스터(TR2)(TR3)에 다이오드(D2)(D3)를 통해서 밧데리전원과 점화장치 및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릴레이(RY1)의 연결선로에 병렬로 결선되어 이 연결선로를 오픈/클로즈시키는 제2·3릴레이(RY2)(RY3)로된 출력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주입시의 자동차엔진 구동제어회로.
KR1019940037237A 1994-12-27 1994-12-27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 KR0153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237A KR0153556B1 (ko) 1994-12-27 1994-12-27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237A KR0153556B1 (ko) 1994-12-27 1994-12-27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696A KR960023696A (ko) 1996-07-20
KR0153556B1 true KR0153556B1 (ko) 1998-11-16

Family

ID=1940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237A KR0153556B1 (ko) 1994-12-27 1994-12-27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5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696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0916A (en) Engine stop-start electrical circuit
KR100620416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노이즈 저감장치
KR0153556B1 (ko) 연료주입시의 자동차 엔진구동 제어회로
KR100619704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노이즈 저감장치
JP6188905B1 (ja) エンジン制御装置、およびそのエンジン制御装置を搭載した船舶
KR19990021346U (ko) 차량의 시동 제어장치
KR100252236B1 (ko) 디젤엔진의 시동대기 시간을 단축하는 장치
KR20020055617A (ko) Lpg차량의 엔진 시동장치
KR19980032050U (ko) 자동차의 연료 주입시 엔진 정지장치
KR100465933B1 (ko) 냉동 차량용 냉동장치 제어장치
JPH0730936Y2 (ja) デイ−ゼル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KR920008806Y1 (ko) 자동차 연료주입구 개폐조절회로
KR100280147B1 (ko) 자동차의 시동(점화)단속장치_
KR100501581B1 (ko) 자동차의 안전주유 유도시스템
KR200246563Y1 (ko) 차량용예열플러그작동시엔진시동방지장치
KR100224208B1 (ko) 차량 도난 방지용 연료차단장치
KR20000033150A (ko) 엘피지 차량의 엘피지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 장치
KR0128346Y1 (ko) 자동차의 점화회로
KR20020040053A (ko) 엘피지 자동차의 연료공급 제어방법
JPH0281947A (ja) 燃料ポンプ制御方法
JP3307080B2 (ja) 内燃機関用燃料ポンプ制御装置
KR0139124Y1 (ko) 자동차의 개문안전장치
KR200215025Y1 (ko) 자동차 연료전환장치의 가솔린 인젝터 보호장치
KR200298040Y1 (ko) 냉동 차량용 냉동장치 제어장치
KR100558864B1 (ko) 엘피아이 펌프의 소음저감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