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378B1 - 교환망의 망 동기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망의 망 동기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378B1
KR0153378B1 KR1019950034857A KR19950034857A KR0153378B1 KR 0153378 B1 KR0153378 B1 KR 0153378B1 KR 1019950034857 A KR1019950034857 A KR 1019950034857A KR 19950034857 A KR19950034857 A KR 19950034857A KR 0153378 B1 KR0153378 B1 KR 015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node
master node
messag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710A (ko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4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378B1/ko
Publication of KR97002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망 동기 시스템.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다수개의 노드가 연결되는 교환망에서 하나의 클럭소스를 사용하는 마스터-슬레이브 동기 방식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가 절단될 시 제2의 우회 경로가 존재하는 한 마스터 노드의 클럭 소스를 이용하여 종속 동기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개의 노드들로 이루어진 교환망에서 망 동기를 위해 링크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은 상기 노드들 중에 미리 설정된 하나의 마스터 노드에 동기되어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에 연결된 노드에서 임의의 링크가 단절될 시 이를 감지하여 자기 경로 테이블을 변경한 후 또 다른 노드와 접속된 링크가 있는지 검사하며, 접속된 상기 링크를 통해 접속노드로 경로 테이블 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메세지 수신 과정에서 경로 테이블 메세지가 수신될 시 자기 메세지 경로 테이블을 변경하며, 또 다른 노드와 접속된 링크가 있는지 검사하며, 접속된 상기 링크를 통해 접속노드로 변경된 경로 테이블 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경로 테이블 메세지 송출 과정 이후 단절된 상기 링크가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링크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노드 링크 검사 과정에서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링크일 시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또 다른 링크가 있는지를 검사하며,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또 다른 링크가 존재할 시 마스터 노드 경로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링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노드의 망 동기에서 링크가 절단될 경우에도 망 동기를 구현한다.

Description

교환망의 망 동기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망 각 노드의 망동기 장치 구성도.
제2도는 교환망의 노드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 교환망의 망 동기에 있어 각 노드들의 링크가 절단된 경우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일례에 대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교환망의 망 동기에 있어 각 노드들의 링크가 절단된 경우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일례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제어부 116 : 클럭복원부
118 : 데이타 완충부 121 : 국부발진부
123 : 클럭순위 결정부
본 발명은 다수개의 노드들로 구성되는 교환망의 망 동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터(master) 노드를 결정한 후 마스터 노드의 클럭에 나머지 슬레이브(slave) 노드들의 클럭을 동기함에 있어 링크가 절단된 경우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망에 있어 망 동기는 데이타를 교환함에 있어 중요한 기술이다. 망 동기 방식에는 독립 동기 방식과 마스터-슬레이브 노드 동기 방식이 있다. 상기 독립 동기 방식은 교환 시스템마다 독립적인 클럭으로 동작하여 동기시킨다. 또한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노드 동기 방식은 다수개의 노드가 연결되는 교환망에서 하나의 클럭 소스를 사용하여 마스터-슬레이브의 종속동기를 구현하므로서 교환망의 전체 망 동기를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노드 동기 방식은 경로 정보가 변경될 시 마다 노드 번호를 분석하여 마스터 노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마스터 노드의 클럭 소스로 전체 망 동기를 구현한다.
본 발명은 마스터-슬레이브 노드 동기 방식과 관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1994년 특허 25913호(1994.10.10)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출원 94-25913호는 여러개의 노드로 구성된 교환망에서 특정 노드를 하나의 클럭 소스로 해서 나머지 노드는 해당 노드의 클럭 소스를 받아서 종속 동기로 동작하나 마스터 노드로 가는 마스터 경로가 절단될 시 문제가 발생된다. 즉, 마스터 노드로의 링크가 절단되어 상기 마스터 노드 클럭의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슬레이브 노드는 자체 클럭인 국부 발진기용 클럭을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특허 출원 94-25913호에서의 문제점이 그대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노드가 연결되는 교환망에서 하나의 클럭소스를 사용하는 마스터-슬레이브 동기 방식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가 절단될 시 제2의 우회 경로가 존재하는 한 마스터 노드의 클럭 소스를 이용하여 종속동기를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개의 노드들로 이루어진 교환망에서 망동기를 위해 링크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들 중에 미리 설정된 하나의 마스터 노드에 동기되어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에 연결된 노드에서 임의의 링크가 단절될 시 이를 감지하여 자기 경로 테이블을 변경한 후 또 다른 노드와 접속된 링크가 있는지 검사하며, 접속된 상기 링크를 통해 접속노드로 경로 테이블 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메세지 수신 과정에서 경로 테이블 메세지가 수신될 시 자기 메세지 경로 테이블을 변경하며, 또 다른 노드와 접속된 링크가 있는지 검사하며, 접속된 상기 링크를 통해 접속노드로 변경된 경로 테이블 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경로 테이블 메세지 송출 과정 이후 단절된 상기 링크가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링크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노드 링크 검사 과정에서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링크일 시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또 다른 링크가 있는지를 검사하며,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또 다른 링크가 존재할 시 마스터 노드 경로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참조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노드(node)라는 용어는 링크를 통해 교환망에 연결되는 교환기를 나타낸다. 마스터 노드(master node)라는 용어는 자신의 클럭 소스로 모든 노드들의 클럭 소스로 제공하는 노드를 의미하며, 슬레이브 노드(slave node)는 상기 마스터 노드로 부터 제공되는 클럭 소스로 망 동기를 구현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경로 테이블(routing table:RTB)는 자기 노드와 다른 노드들 간의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테이블로서 이를 이용하여 미스터 노드 및 슬레이브 노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마스터-슬레이브 노드간에 의해 망 동기를 구현하는 노드 들의 망동기 장치의 구성도가 제1도와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특허 출원 94-2591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제1도를 참조하면, 교환망의 각 노드들은 링크(link)를 통해 다른 노드들과 경로가 형성된다. 클럭복원부 116은 링크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로 클럭을 복원하여 출력한다. 상기 클럭복원부 116은 노드에 연결된 링크의 수 만큼 구비한다. 신호 검출부 117은 링크로 부터 수신되는 다중화 신호를 검출한다. 데이타 완충부 118은 상기 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다른 노드의 메세지 정보를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레임 동기 검출부 119는 수신되는 메세지의 프레임동기신호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 검출부 117, 데이타 완충부 118 및 프레임동기신호 검출부 119는 노드에 연결된 링크의 수 만큼 구비한다.
제어부 111은 상기 신호 검출부 117, 데이타 완충부 118 및 프레임동기 검출부 119로 부터 메세지 및 프레임동기신호를 수신하여 망동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롬 112는 망동기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램 113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들을 일시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수신 메세지를 분석하여 경로 정보일 시 노드들의 번호 정보를 분석하여 마스터 노드를 결정하며, 이에 대응되는 노드의 클럭을 선택하기 위한 클럭 선택 데이타 및 I/O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디코더 114는 상기 제어부 111로 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디코딩하며, 상기 클럭 선택 데이타 출력에 대응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출력할 시 래치 클럭을 발생한다. 래치 115는 상기 제어부 111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하며, 상기 디코더 114가 래치 클럭을 발생시 트리거되어 상기 수신데이타를 클럭 선택 데이타로 래치한다. 버퍼(tri-state buffer) 120은 상기 클럭 복원부 116로 부터 출력되는 클럭을 수신하고 상기 래치 115로 부터 출력되는 클럭 선택 데이타를 제어신호로 수신한다. 상기 버퍼 120은 각 클럭복원부 116으로 부터 출력되는 클럭 중에서 상기 클럭 선택 데이타에 대응되는 클럭을 선택하여 마스터 클럭으로 출력한다. 국부 발진부 121은 자기 노드의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클럭 소스이다. 분주부 122는 상기 국부 발진부 121의 출력을 수신하며, 소정 분주하여 자기 노드의 클럭을 발생한다. 클럭 순위 결정부 123은 상기 분주부 122 및 버퍼 120의 출력을 수신하며, 가장 우선 순위를 갖는 클럭을 선택하여 망동기 클럭으로 출력한다.
먼저 노드에 다른 노드와 연결되지 않은 독립적인 노드로 운용되는 경우, 제어부 111은 다른 노드의 클럭을 선택하지 않도록 하는 클럭 선택 데이타를 상기 래치 115로 출력한다. 이로 인해 상기 래치 115는 상기 버퍼 120을 모두 오프시키게 된다. 따라서 클럭 순위 결정부 123은 상기 분주부 122를 출력하는 자기 노드의 클럭을 선택 출력한다. 그러므로 독립적으로 노드를 운용하는 경우에는 자기 노드의 클럭을 사용하여 동기시키게 된다. 이때 임의 노드가 경로 정보에 대한 메세지를 발생하면, 신호검출부 117은 이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 111로 알린다. 즉, 임의의 링크로 다중화 신호가 발생되면 해당하는 링크에 연결된 신호 검출부 117은 다중화 신호의 수신을 확인하고 이를 제어부 111로 통보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 111은 데이타 완충부 118을 통해 메세지를 수신하게 되며, 프레임동기 검출부 119는 상기 다중화 신호로 부터 프레임동기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경로 정보에 관련된 메세지를 수신하게 되면, 이전의 경로정보와 수신된 경로 정보를 분석하여 마스터 노드를 확인한다. 여기서 마스터 노드는 노드 번호가 가장 작은 번호를 갖는 노드를 마스터 노드로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확인된 마스터 노드의 클럭을 선택하기 위한 데이타를 클럭 선택 데이타로 출력한다. 그러면 래치 115는 버퍼 120 중 해당하는 노드의 클럭복원부 116과 연결된 버퍼를 온시킨다. 따라서 마스터 노드의 클럭을 복원한 클럭복원부 116의 출력이 클럭 순위 결정부 123으로 인가되며, 클럭 순위 결정부 123은 마스터 노드의 클럭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2도는 교환망에서 4개의 노드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한 예시 도면이다. 여기서 N1-N4는 노드 번호이고, L1-L4는 노드간의 접속 링크 번호이다.
망 내에서 마스터-슬레이브 노드를 지정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장형으로 교환망을 형성하는 각 노드는 일련의 독특한 노드 번호를 갖게 된다. 이런 교환망에서 각 노드는 자기 노드 번호와 비교하여 교환망 내에서 가장 작은 노드 번호를 갖는 노드의 클럭을 클럭 소스로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노드 N2-노드 N4는 노드 N1의 클럭 소스를 이용하여 망동기를 구현하게 된다. 즉, 노드 N1이 마스터 노드가 되고, 노드 N2-노드 N4가 슬레이브 노드가 되어 종속 동기의 망 운용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제3도는 단절된 링크에 접속된 노드에서의 흐름도이다.
단계 311는 임의의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 링크가 단절 검사를 수행한다. 즉, 링크 케이블이 빠진 경우, 접속 노드의 고장 및 전원 오프(power off) 등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구간인 경우 주파수 혼선 등과 같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구간인 경우 주파수 혼선 등과 같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단계 312에서 링크가 단절될 시 자신의 경로 테이블을 변경한다. 그리고 단계 313에서 또 다른 링크에 접속된 노드에게 경로 테이블 메세지를 송신한다. 단계 314에서 단절된 링크가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인지를 확인한다.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일 시 단계 314는 단계 315로 전이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마스터 노드의 클럭에 의한 동기에 있어 무관한 링크이므로 종료한다. 상기 단계 315에서 마스터 노드로 가는 경로에 있어 또 다른 링크가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또 다른 마스터 노드로의 링크가 존재할 시 단계 315는 단계 316으로 전이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자신의 클럭소스인 국부 발진기 121에 의해 동기된다. 상기 단계 316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를 변경된 경로 테이블에 의거하여 변경한다.
제4도는 상기 단계 313에서의 변경된 경로 테이블을 수신한 접속 노드에서의 흐름도이다.
경로 테이블 메세지가 다계 411에서 수신됨을 확인한다. 단계 412는 수신된 경로 테이블 메세지에 의거하여 자신의 경로 테이블을 변경작업을 수행한다. 이후 단계 413에서 경로 테이블을 수신한 링크를 제외한 링크의 존재를 확인하고, 링크가 존재할 시 접속된 노드에 경로 테이블을 송신한다. 그리고 마스터 노드의 클럭 경로가 변화가 발생됨을 단계 414에서 확인한다. 만일 마스터 노드의 경로에 변화가 발생될 시 단계 414는 단계 415로 전이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종료한다. 이후 단계 415에서 경로 테이블을 이용하여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를 변경한다.
그러면 각 노드들의 링크들이 절단된 경우 마스터 노드로 부터의 어느 링크를 통해 마스터 노드로의 클럭 경로가 제공되어지는 제1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제2도와 같은 4개의 노드로 구성된 교환망에서 마스터 노드는 노드 N1이다. 그리고 노드 N4는 노드 N2를 통해 클럭 소스를 수신한다.
또한 각 노드들은 자기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연결하기 위한 경로 배정에 대한 경로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다. 하기 표 1은 교환망에서 각 노드들의 경로 테이블을 나타낸다.
상기 표 1은 제2도와 같이 4개 노드의 구조를 갖는 망에서 경로 테이블을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각 노드들은 (망내의 노드수 * 최대 접속 링크수)만큼의 경로 테이블 기억 장소를 갖게 된다. 상기 표 1에서 DN은 목적지 노드의 번호(Destination Node No)이고, SN은 발신 노드의 번호(Source Node No)이다. 목적 노드까지 도달하는 홉(hop)수(노드와 노드간의 경유할 링크 수)가 작은 것부터 우선으로 하며, 홉수가 동일한 경우 링크 번호가 작은 것을 우선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마스터 노드와 슬레이브 노드가 결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 링크 L1이 단절 되었다는 가정에서 시작하면, 노드 N2와, N2 노드를 통해 클럭 소스를 제공받는 노드 N4는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를 변경하여야 한다. 이에 상기 제3도는 노드 N2의 처리과정을 보여주며, 상기 제4도는 노드 N4의 처리과정을 보여준다.
상기 노드 N2의 경로 테이블은 상기 표 1의 우선 순위에 의해 아래 표 2와 같다.
그러나 상기 링크 L1이 단절된 것을 단계 311에서 검출한 노드 N2는 제어부 111에 의해 경로 테이블을 변경한다. 즉, 단계 312에서 상기 표 2의 경로 테이블은 표 3과 같이 변경한다.
상기 표 3과 같이 경로 테이블이 작성된 경우, 단계 313에서 노드 N2는 접속된 접속노드 N4에 변화된 경로 테이블 메세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노드 N4에 통보하는 경우의 메세지 형태는 하기 표 4와 같다.
상기 표 4에서 메세지 헤드는 메세지의 시작을 알리는 데이타로서, 7E 데이타라고 가정한다. 메세지 길이는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타로서 메세지를 이루는 바이스 데이타의 총 수를 의미한다. 링크 번호는 목적지 노드로 가기 위한 링크로 나타내므로 여기서 링크 L3을 이용한다. 그리고 메세지 식별 정보는 현재의 메세지가 무얼하려고 하는지를 정의하는 데이타로서, 해당 메세지가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정보에 관련된 경우에는 경로 변경 정보임을 나타내는 ID가 실린다. 그리고 목적지 노드는 메세지를 수신할 노드 번호이고, 발신노드는 메세지를 발생한 노드 번호가 실린다. 나머지는 노드간의 경로수를 나타내는 홉수이다.
이후 단절된 링크 L1이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인지 단계 314에서 확인하고, 상기 링크 L1이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일 시 상기 노드 N2는 자신의 경로 테이블인 표 3을 확인하여 마스터 노드인 노드 N1로 가는 경로가 존재하는지 단계 315에서 확인한다. 이에 링크 L4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링크 L4에 연결된 노드 N4를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로 결정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단계 313의 경로 테이블 메세지인 표 4를 단계 411에서 송신한 노드 N4는 표 2의 자신의 경로 테이블을 단계 412에서 표 3의 경로 테이블로 변경한다. 그리고 노드 N3은 경로 테이블 메세지를 접속된 링크 L4의 노드 N3으로 송신한다. 또한 단계 414에서 경로 테이블 메세지를 이용하여 마스터 노드 N1으로의 경로가 변화됨을 확인하여 노드 번호가 제일 작은 노드 N1으로 가는 경로를 검색한다. 이에 단계 415에서 노드 N4는 링크 L4을 확인한 후 해당 접속 노드 N3을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를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 L2가 절단된 경우에도 마스터 노드 N1의 클럭소스를 마스터 클럭으로 한 마스터-슬레이브의 망동기가 이루어진다. 이는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단절시 제2의 우회경로를 검색하여 마스터 클럭에 의해 동기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신뢰성 있는 망 동기 상태가 유지된다.

Claims (3)

  1.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개의 노드들로 이루어진 교환망에서 망동기를 위해 링크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들 중에 미리 설정된 하나의 마스터 노드에 동기되어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에 연결된 노드에서 임의의 링크가 단절될 시 이를 감지하여 자기 경로 테이블을 변경한 후 또 다른 노드와 접속된 링크가 있는지 검사하며, 접속된 상기 링크를 통해 접속노드로 경로 테이블 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메세지 수신 과정에서 변경된 상기 경로 테이블 메세지가 수신될 시 자기 메세지 경로 테이블을 변경하며, 또 다른 노드와 접속된 링크가 있는지 검사하며, 접속된 상기 링크를 통해 접속노드로 경로 테이블 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경로 테이블 메세지 송출 과정 이후 단절된 상기 링크가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링크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노드 링크 검사 과정에서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링크일 시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또 다른 링크가 있는지를 검사하며,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또 다른 링크가 존재할 시 마스터 노드 경로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망의 망 동기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방법.
  2.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개의 노드들로 이루어진 교환망에서 망동기를 위해 링크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들 중에 미리 설정된 하나의 마스터 노드에 동기되어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통해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링크에 연결된 노드에서 임의의 링크가 단절될 시 이를 감지하여 자기 경로 테이블을 변경한 후 접속된 또 다른 링크가 있는지 검사하여 접속된 상기 링크를 통해 접속 노드로 경로 테이블 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경로 테이블 메세지 송출 과정 이후 단절된 상기 링크가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링크인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노드 링크 검사 과정에서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링크일 시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또 다른 링크가 있는지를 검사하며,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또 다른 링크가 존재할 시 마스터 노드 경로를 변경하며, 그렇지 않으면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망의 망 동기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방법.
  3. 링크를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노드들로 이루어진 교환망에서 망 동기를 위해 링크 경로를 변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들 중에 미리 설정된 하나의 마스터 노드에 동기되어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링크들을 통해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세지 수신 과정에서 경로 테이블 메세지가 수신될 시 경로 테이블 메세지에 의거하여 자기 경로 테이블을 변경하는 과정과, 또 다른 노드와 접속된 링크가 있는지 검사하며, 접속된 상기 링크를 통해 접속노드로 경로 테이블 메세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송출과정 이후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에 변화가 발생될 시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또 다른 링크가 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노드로의 또 다른 링크가 존재할 시 마스터 노드 경로를 변경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망의 망 동기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방법.
KR1019950034857A 1995-10-11 1995-10-11 교환망의 망 동기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방법 KR0153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857A KR0153378B1 (ko) 1995-10-11 1995-10-11 교환망의 망 동기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857A KR0153378B1 (ko) 1995-10-11 1995-10-11 교환망의 망 동기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710A KR970024710A (ko) 1997-05-30
KR0153378B1 true KR0153378B1 (ko) 1998-11-16

Family

ID=1942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857A KR0153378B1 (ko) 1995-10-11 1995-10-11 교환망의 망 동기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3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710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8035466A2 (en) Synchronization of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002077208A (ja) 伝送路障害発生時に回線を切り替える機能を有する伝送装置
JP6275323B2 (ja) 中継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EP0667997A1 (en)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method and a telecommunications system employing message-based synchronization
FI95977B (fi) Verkkojärjestely
FI92126B (fi) Verkkojärjestely
FI95975B (fi) Hierarkkinen synkronointimenetelmä
EP0746919A1 (en) Network arrangement
KR0153378B1 (ko) 교환망의 망 동기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방법
WO1995024801A2 (en)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method
FI104593B (fi) Hierarkkinen synkronointimenetelmä
KR100322273B1 (ko) 교환망의마스터-슬레이브노드간의망동기장치및방법
JP3241104B2 (ja) クロック供給切替え方式
JPH0918516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でのノード装置数計数方法及び端末接続テーブル作成方法
JP3664580B2 (ja) クロック切替装置
KR100378401B1 (ko) 교환망에서표준클럭에의해마스터-스레이브간의망동기장치및방법
WO1998037651A1 (en) Synchronization of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H01231450A (ja) 通信システムの同期クロック供給方式
FI91691C (fi) Hierarkkinen synkronointimenetelmä
JPH07107105A (ja) 二重化ループlanの従属同期制御方法
FI91690B (fi) Hierarkkinen synkronointimenetelmä sekä sanomapohjaista synkronointia käyttävä tietoliikennejärjestelmä
JP2010219850A (ja) 伝送通信装置の同期タイミングソース切り替え方法
JP4248647B2 (ja) ノード装置
JP2005260708A (ja) 冗長経路を有するリング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とそ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転送装置
JP3406854B2 (ja) ノ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