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352B1 -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352B1
KR0153352B1 KR1019950020951A KR19950020951A KR0153352B1 KR 0153352 B1 KR0153352 B1 KR 0153352B1 KR 1019950020951 A KR1019950020951 A KR 1019950020951A KR 19950020951 A KR19950020951 A KR 19950020951A KR 0153352 B1 KR0153352 B1 KR 0153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line communication
node
data transmission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333A (ko
Inventor
히로히사 후루까와
가쯔히로 와다
요시따까 이노우에
히로시 시마모또
히데끼 사또
Original Assignee
다떼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6150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30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8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86526A/ja
Application filed by 다떼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다떼이시 요시오
Publication of KR96000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8Repeat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직접 링크할 수 없는 노드 ⑤에 대해서 송신국 노드 ①에서 목적국 노드 ⑤에 데이타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한다. 송신국 노드①는 자국 리스트를 검색하고 먼저 최초로 노드 ⑤에 직접 링크 요구를 한다. 노드 ①는 목적국인 노드 ⑤간을 통신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하고 리스트내에 노드 ⑤가 직접 링크 불가능 노드인 뜻을 기록한다. 다음에 노드 ①는 통신이 가능한 노드 ②, ③ 및 ④중에서 노드 ⑤와 직접 링크되는 예를들자면 노드 ③를 탐색한다. 그후 노드 ①는 중계국 노드 ③에 대해서 목적국 노드 ⑤앞으로의 데이타를 송신한다. 중계국 노드 ③는 노드 ①로 부터의 데이타를 그대로 노드 ⑤로 송신한다.

Description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의 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중의 전력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통신 노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송신국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5a, 5b, 5c, 5d 및 5e도는 송신국과 중계국 사이에서 송신되는 메시지의 형식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중계국을 탐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7a, 7b도는 모두 같은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중계국을 탐색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8도는 중계국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9도는 개시시의 중계국 탐색 및 통신 노드 리스트를 작성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10도는 개시시의 중계국 탐색 및 통신 노드 리스트를 작성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11a, 11b, 11c, 11d 및 11e도는 중계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제12a, 12b 및 12c도는 구체적인 통신 노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을 사용한 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을 사용한 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을 사용한 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의 1실시예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
제17도는 제16도에 나타난 냉동 콘테이너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18도는 제17도에 나타난 전력선 통신 유닛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19도는 제16도에 나타난 통신 관리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20도는 제16도에 나타난 통신 관리 장치에 의한 통신 루트의 선택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21도는 제20도에 나타난 흐름도의 단계 203의 상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22도는 제21도에 나타난 처리에 의해 특정된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 유닛의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23도는 제20도에 나타난 흐름도의 단계 204의 상세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24도는 제23도에 나타난 흐름도의 단계 204-2의 처리에 의해 보고된 결과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25도는 제23도에 나타난 흐름도의 단계 204-3의 처리에 의해 보고된 결과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26도는 제23도에 나타난 흐름도의 처리에 의해 지정된 통신 루트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27도는 제23도에 나타난 흐름도의 처리에 의해 지정된 통신 루트의 다른예를 나타낸 도면.
제28도는 종래의 콘테이너선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29도는 제28도에 나타난 냉동 콘테이너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0도는 제28도에 나타난 신호 박스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1도는 제28도에 나타난 신호 표시판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력선 2 : 전력선 통신 장치
3 : 데이타 단말 22 : 제어부
23 : 리스트 기억부 24 : 송수신부
25 : 커플러 26 : 전원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 복수의 노드 사이를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각 노드 사이에서 전력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타 전송을 수행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이들 전송 시스템 또는 전송 방법을 사용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냉동 콘테이너를 적재하는 콘테이너선 등의 콘테이너 반송 장치 및 그 관리 정보 수집 방법에 관하여, 특히, 각 콘테이너의 관리 정보를 전력선을 통하여 전력선 통신으로 수집 표시하도록 한 콘테이너 반송 장치 및 그 관리 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데이타 전송 시스템은, 전송로로서 그 시스템 전용의 통신 회선(이하, 전용선이라 한다)을 설치한 것이나, LAN(Local Area Network)등이, 이것들에 데이타 수집 수단, 데이타 처리 수단, 표시 수단 등의 데이타 단말이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데이타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 않은 기존 시설에 있어서, 이와 같은 데이타 전송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새롭게 전송로로서의 전용선 또는 LAN을 배치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방대한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공사비가 방대하기 때문에 데이타 전송 시스템의 구축을 단념할 수 밖에 없는 것도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한 수단으로서, 기존 시설내의 기존의 전력선을 데이타의 전송로로서 사용함으로써, 저렴하고 간단한 데이타 전송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다.
즉, 데이타 수집 수단, 데이타 처리 수단, 표시 수단 등의 모든 데이타 단말을, 전력선 통신 장치를 통하여 전력선에 접속하고, 이 전력선을 사용하여 각 데이타 단말 사이의 데이타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력선을 사용한 데이타 전송 시스템에서는, 전용선 또는 LAN에 의한 데이타 전송 시스템과 달리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1) 전력선에 접속되는 전기기기가 발생하는 노이즈, 전기 기구가 접속되는 것에 의한 전력선의 임피던스의 저하 등으로 전송 환경이 악화하고, 양호한 데이타 전송이 저해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통신불가능한 상황도 발생한다.
2) 일반적으로 전력선은, 분전반으로부터 각 콘센트로 분지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전망 거리가 가까워도 전력선의 실배선 길이는 꽤 길게 되는 것이 있다. 이 때문에, 송수신 신호의 감쇠가 크게 되고, 통신 거리가 가까워도 통신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한다.
이들 문제점은, 최근의 전력선 통신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SS(Spread Spectrum) 변조 방식, 송신 AGC, 적응성(adaptive) 수신 필터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도 완전하게는 해결되지 않으며, 그 때문에 안정하게 동작하는 데이타 전송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냉동 콘테이너 등을 적재하는 콘테이너선에 있어서는, 각 콘테이너의 상태를 집중 관리할 필요가 있다.
즉, 냉동 콘테이너는, 각 콘테이너에 대응하여 각 냉동기를 가지고 있고, 이 냉동 콘테이너는 항상 정상으로 동작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각 콘테이너마다,
1) 냉동기가 동작중에 있는가
2) 냉동기에 의한 콘테이너내의 온도가 소정의 설정 온도를 넘고 있지 않은가
3) 냉동기가 이상 동작하고 있지 않은가 등을 항상 감시할 필요가 있다.
제28도는, 종래의 콘테이너선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 콘테이너선(10)에는 복수의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이 적재되어 있고, 이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의 상태는, 집중관리부(12)에서 항상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은 각각 도시하지 않은 냉동기를 가지며, 이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의 냉동기에는, 전력선(13)으로부터 각각 신호 박스(14-1 내지 14-n), 전력선(15-1 내지 15-n)을 통하여 각각 전력이 공급되고,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내의 온도는 이 냉동기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제어되고 있다.
또한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의 냉동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및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 내의 온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각각 신호선(16-1 내지 16-n), 신호박스(14-1 내지 14-n)를 통하여 신호선(17)에 송출되고, 이 신호선(17)의 정보는, 집중관리부(12)에 설치된 신호 표시판(18)에 표시된다.
제29도는, 제28도에 나타난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 냉동 콘테이너(11)는, 항온조(110), 냉동기(111), 전원 유닛(112), 신호 유닛(113), 온도 센서(114)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냉동기(111)는, 항온조(110)를 냉각하는 것, 온도 센서(114)는, 항온조(110)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것, 전원 유닛(112)은, 냉동기(111) 및 신호 유닛(113)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신호 유닛(113)은, 냉동기(111)의 상태 및 온도 센서(114)의 출력을 감시하고,
1) 냉동기(111)가 동작중인 것을 나타내는 냉동기 동작중 신호 RUN
2) 항온조(110)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넘은 것을 나타내는 설정 온도 오버 신호 TEMP
3) 냉동기(111)의 동작이 이상인 것을 나타내는 냉동기 동작 이상 신호 TROUBLE를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냉동 콘테이너(11)의 전원 유닛(112)은 3상(phase) 440V의 전력선(121)을 통하여 전원 플러그(123)에 접속되고, 신호 유닛(113)은, 신호 RUN, TEMP, TROUBLE을 전송하는 신호선(122)을 통하여 신호 플러그(124)에 접속된다.
제30도는, 제28도에 나타난 신호 박스(14-1 내지 14-n)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이 신호 박스(14)는, 3상 440V의 전력선(13)에 접속되는 전원 콘센트(141), 신호선(17)에 접속되는 신호 콘센트(142)를 가지고 있고, 이 전원 콘센트(141)에는, 제29도에 나타난 전원 플러그(123)가 접속되고, 이 신호 콘센트(142)에는, 제29도에 나타난 신호 플러그(124)가 꽂혀진다.
제31도는 제28도에 나타난 신호 표시판(18)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신호 표시판(18)은, 전원 유닛(181), 표시 회로(182), 복수의 표시등(18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원 유닛(181)은, 제28도에 나타난 전력선(13)에 접속되고, 이 전력선(13)으로부터의 전력에 의거하여, 표시 회로(182)에 공급하는 전력을 발생한다.
또한, 복수의 표시등(183)은, 각 콘테이너에 대응하여 냉동기 동작중 신호 RUN, 설정 온도 오버 신호 TEMP, 냉동기 동작 이상 신호 TROUBLE를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등으로부터 구성되어 있고, 표시 회로(182)는, 신호선(17)의 신호에 의거하여 이 복수의 표시등(183)의 점등, 소등을 제어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콘테이너선에 있어서,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은, 그 전원 플러그(123) 및 신호 플러그(124)를 신호 박스(14)의 전원 콘센트(141) 및 신호 콘센트(142)에 꽂음에 의해,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13) 및 신호 RUN, TEMP, TROUBLE를 전송하는 신호선(17)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냉동 콘테이너를 콘테이너선에 싣거나, 내리거나 하는 경우는, 그 때에 신호 박스(14)의 전원 콘센트(141) 및 신호 콘센트(142)에 그 전원 플러그(123) 및 신호 플러그(124)를 꽂거나, 뽑거나 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전력선(13) 및 신호선(17)의 길이는 30m 정도로 꽤 길기 때문에, 이 작업은 대단히 시간과 노력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접속된 전기 기구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이나, 전기 기구가 접속됨에 의해 전력선의 임피던스 저하 등으로 야기된 전송 환경의 악화, 또한, 전력선의 실배선 길이가 길게 되었다고 하여도, 안정한 데이타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이들 전송 시스템 또는 전송 방법을 사용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콘테이너를 적재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의 각 콘테이너의 관리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고, 게다가, 콘테이너의 싣고내림에 처해서도 많은 노력이 요구되지 않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 및 그 관리 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별도의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각이 전력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 복수의 노드 사이를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각 노드 사이에서의 전력선 통신에 따라서 데이타 전송을 수행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국 노드로부터 목적국 노드로 데이타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가능한 노드를 탐색하여 이것을 중계국 노드로 하고, 이 통신가능한 중계국 노드를 통하여 목적국 노드에 데이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 노드에는, 다른 노드사이에 데이타 전송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되고 있고, 이 정보에 의거하여, 목적국 노드와 데이타 전송이 가능한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그리고, 목적국의 노드와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목적국과 직접으로 링크가 확립되고, 한편 목적국 노드와 데이타 전송이 불가능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술한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타 전송 가능하고 동시에, 목적국의 노드와 링크가능한 중계국이 탐색된다.
발명이 또다른 관점에 따라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통하여 상호 접속된 복수의 콘덴서를 적재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테이너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전력선을 통한 전력선 통신을 수행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콘테이너의 각각에 관한 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블록도이다.
본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은, 동일계통, 동일상의 전력선(1)에, 전력선 통신 장치(2)를 통하여 접속된 복수의 데이타 단말에 의해 구성되고, 각 전력선 통신 장치(2)는, 신호선(4)으로 각 데이타 단말(3)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같이 데이타 단말(3)의 전원은, 전력선 통신 장치(2)의 서비스 콘센트에서 공급되고 있다.
이 실시예의 데이타 단말(3)은, 송신하고 싶은 데이타를 가지고 있지만, 송신선(송신처)의 데이타 단말(3)(이하, 목적국이라 한다)과 직접 통신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가능한 데이타 단말(3)을 중계국으로 하고, 그 중계국에 대하여 데이타를 송신하고, 송신된 중계국이 송신국으로부터의 데이타를 목적국에 송신하고, 송신된 중계국이 송신국으로부터의 데이타를 목적국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신국과 목적국의 사이에는, 복수의 중계국이 존재할 수 있고, 이중, 삼중의 중계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데이타 단말(3)은, 어느 노드와도 자유롭게 서로 통신할 수 있고, 동시에, 각각 중계 기능을 가지며, 후술하는 중계 알고리즘에 따라서, 통신 가능하지 않은 노드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중계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중의 전력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전력선 통신 장치(2)는, 데이타 단말(3)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말 인터페이스(21)와,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2)와, 리스트 기억부(23)와, 전력선 통신 신호로의 변복조를 수행하고, 전력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4)와, 송수신 신호를 전력선(1)에 싣기 위한 커플링부(25)와, 전원부(26)와, 전원 코드가 접속되는 인레트(inlet)(27)와, 전송 특성 개선 수단(28)과, 데이타 말단(3)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서비스 콘센트(29)로 구성되어 있다.
리스트 기억부(23)는, 제3도에 나타난 것같이, 각 데이타 단말(3)이 통신가능한 노드와 통신 불가능한 노드를 나타내는 통신 가능/불가능 노드 리스트(이하, 간단히 리스트라 한다)를 기억하고 있다.
본 리스트는, 목적국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목적국 어드레스 영역(231), 그 목적국에 대하여 직접 링크할 수 있는가 아닌가 나타내는 직접 링크 가부 영역(232), 목적국에 대하여 직접 링크할 수 없지만, 중계국을 통하여 목적국에 링크할 수 있는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중계 링크 가부 영역(233), 중계국을 통하여 목적국에 링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중계국으로 될 수 있는 수를 나타내는 중계국 수 영역(234), 자국이 다음에 송신해야 할 중계국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중계국 어드레스 영역(235), 및 중계국으로 될 수 있는 시간, 요일, 시간대 등을 나타내는 비고 영역(23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목적국 어드레스 영역(231)에 격납되어 있는 목적국의 어드레스가 2인 경우에서는, 직접 링크 가부 영역(232)의 내용이 적접 링크 가능(0)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데이타 단말(3)로부터 어드레스 2의 목적국에 대하여 데이타를 직접 송신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목적국 어드레스 영역(231)에 격납되어 있는 목적국의 어드레스가 7의 경우에서는, 직접 링크 가부 영역(232)의 내용이 직접 링크 불가(X)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데이타 단말(3)로부터 어드레스 7의 목적국에 대하여 데이타를 직접 송신할 수 없지만, 중계 링크 가부 영역(233)의 내용이 중계 링크가(0)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계국을 통하여 데이타를 목적국에 송신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그 중계국 수는, 중계국 수 영역(234)에 나타난 것 같이, 1 또는 3의 중계국만이고, 또한, 중계국의 어드레스는, 중계국 어드레스 영역(234)에 나타난 것같이, 어드레스 5 또는 어드레스 2,4,9의 중계국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어드레스(5)의 중계국은, 비고 영역(236)에 나타낸 것같이, 시기가 여름이고, 요일이 일요일이고, 동시에, 시간대가 오후인 경우에 중계국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 2,4,9의 중계국은, 시기가 겨울이고, 평일의 야간만 중계국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목적국 어드레스 영역(231)에 격납되어 있는 목적국의 어드레스가 9인 경우에서는, 직접 링크 가부영역(232) 및 중단 링크 가부영역(233)에 나타난 것 같이, 당해 데이타 단말(3)로부터 어드레스 9의 목적국에 대하여 데이타를 직접 송신할 수 없게 하고, 또한, 중계국을 통하여도 데이타를 송신할 수 없다.
전송 특성 개선 수단(28)은, 인레트(27)와 서비스 콘센트(29)사이에 삽입되고, 2개의 임의의 값의 인덕터를 병렬하여 설치하고, 직렬 공진 회로의 인덕턴스 성분을 크게 하고, 공진점을 낮은 주파수 대 영역으로 옮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력선 통신 장치(2)에 서비스 콘센트(29)를 설치한 이유는, 전력선 통신 장치(2) 자신이 전력선(1)에 대한 콘센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타 단말(3)이 사용하는 콘센트가 부족하게 되고, 그 콘센트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전력선 통신 장치(2) 자신에 서비스 콘센트(29)를 설치하고, 이 서비스 콘센트(29)로부터 데이타 단말(3)의 전원을 취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전송 특성 개선 수단(28)을 설치한 이유는, 전력선 통신 장치(2)를 전력선(1)에 접속하면, 전력선 통신 장치(2)의 전원부(26)의 콘덴서 성분과 전력선의 인덕턴스 성분이 직렬 공진 회로를 구성하여 버리고, 마치 데이타의 송수신 신호대 영역에서 저 임피던스 부분을 만들기 때문에, 이를 이유로, 송수신 신호가 크게 감쇠되고, 안정된 전력선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4도에 나타난 것같이, 송신국의 전력선 통신 장치(2)는 우선, 제3도에 나타난 리스트를 참조하고, 목적국의 어드레스의 유무를 조사하고(단계 401), 리스트에 목적국의 어드레스가 없는 경우에는(단계 401; N), 후술하는 방법으로 리스트의 목적국 어드레스 영역(231)에 이 목적국의 어드레스를 추가하는 한편, 리스트에 목적국 어드레스가 있는 경우에는(단계 401; Y), 이 목적국이 직접 링크가 가능한가 아닌가를, 리스트의 링크 가부영역(232)의 내용을 조사한다(단계 402).
직접 링크가 가능하면(단계 402; Y), 송신국은, 목적국에 대하여, 제5도(a)에 나타나는 형식으로 직접 링크를 요구하고, 데이타 송수신을 수행하는(단계 414) 한편, 직접 링크 불가능이면(단계 402; N), 리스트상의 중계국 어드레스 영역(235)에 중계국 어드레스의 유무를 조사하고(단계 403), 중계국 어드레스가 있으면(단계 403; Y), 그중에서 중계국 어드레스를 선택하고(단계 404), 제5도(c)에 나타나는 형식으로 중계국 경유로 목적국과의 중계 링크를 요구한다(단계 405).
송신국으로부터의 중계 링크 요구에 대하여, 중계국은,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목적국과의 중계 링크의 가부를 판단하고(단계 406), 중계 링크가 가능이면(단계 406; Y), 제5도(d)에 나타나는 형식으로 중계 링크가 가능인 취지를 송신국에 통지하는 한편, 중계 링크가 불가이면(단계 406; N), 또한 다른 중계국 후보가 있는가 없는가를 조사하고(단계 407), 다른 중계국 후보가 있으면(단계 407, Y), 단계 404로 되돌리고, 전에 선정한 중계 어드레스 이외의 중계 어드레스를 선정하고(단계 404), 상술한 것과 동일한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목적국과의 중계 링크가 가능하게 되기까지, 리스트 상의 후보 중에서 중계국을 선택하고, 중계링크 요구를 수행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중계 링크가 가능하게 되면, 필요에 의해 리스트의 내용을 갱신하고(단계 408), 그 다음 데이타의 송수신을 수행한다(단계 409).
단계(407)에 있어서, 리스트상에 중계국 어드레스의 후보가 없게된 경우에는(단계 407; N), 후술하는 제6도에 나타난 것같은 중계국 탐색 방법으로, 목적국과 중계 링크가 가능한 중계를 찾는다(단계 416). 그 결과, 중계국이 발견되고, 목적국과 중계 링크를 확립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단계 407; Y), 리스트에 그 중계국의 어드레스를 추가하고(단계 418), 데이타 송수신을 수행한다(단계 409). 만약 중계국이 발견되지 않았던 경우에는(단계 417; N), 목적국을 통신 불가능한 노드로서, 리스트에 기억한다(단계 419).
단계 401에 있어서, 리스트에 목적국의 어드레스가 없는 경우에는(단계 401; N), 송신국은, 목적국에 대하여 직접 링크를 요구한다(단계 419). 이것으로 링크가능하면(단계 412: Y), 송신국은, 이 목적국을 직접 링크가능한 노드로서 리스트에 추가하고(단계 413), 데이타의 송수신을 수행한다(단계 414). 직접 링크 불가능한 경우에는(단계 402; N), 송신국은, 리스트에 직접 링크 불가능 노드로서 기억하고(단계 415), 그 다음은 상술한 중계국의 어드레스가 리스트에 없는 경우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타 송수신의 방법은, 송신국은, 직접 링크의 경우는 목적국에, 중계 링크의 경우는 중계국에 대하여, 제5도(e)의 형식으로 데이타 송신한다. 중계 링크의 경우에는, 중계국이 자동적으로 목적국까지 데이타를 중계한다.
데이타 송수신이 종료하면, 송신국은 중계국으로 링크 개방을 요구한다(단계 410). 중계국은 후술하는 것같이, 송신국으로부터의 링크 개방 요구에 대하여, 우선 목적국과의 링크를 개방하고 나서, 송신국으로 응답을 반송한다. 송신국은 그 응답을 수신하고 중계국과의 링크를 개방한다.
이상의 동작을, 송신국의 타국에 송신할 때마다 수행하지만, 특히 장치 개시시에 전력선상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모든 노드에 대하여 통신을 시행함에 의하여, 전체 노드분의 통신 가능/불가능에 대하여 리스트가 작성된다. 이것에 의해, 그 다음의 통신에서는, 새롭게 중계국을 탐색하는 빈도를 적게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를 EEPROM이나 백업된 RAM 등 불휘발성의 기록가능한 디바이스에 격납함에 의해, 장치의 전원을 일단 떨어지게 하여도, 재개시할 때 다시 리스트를 작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음에, 상술한 송신국의 중계국 탐색 방법에 대하여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6도에 나타난 것같이, 중계국이 하나에서는 목적국과 중계 링크를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 목적국까지의 중계국의 수를 늘려서, 2중, 3중의 중계 동작으로 중계 링크를 확립하는 방법이고, 이하의 같은 동작을 취한다.
우선 처음에, 송신국은, 중계국 수 M을 1로 세트하고 (단계 601), 노드중으로부터 임의로 하나의 노드를 선택하고 (단계 602), 이 선택된 노드의 중계국에 대하여, 제5도(c)에 나타난 것 같은 형식으로, 목적국으로의 중계 링크를 요구한다(단계 603).
이 선택된 노드의 중계국은, 송신국으로부터의 중계 링크의 요구를 받으면, 우선, 자신이 송신국과 통신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5도(b)에 나타난 것은 형식으로 송신국과 통신가능이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국에 응답한다.
송신국은, 선정된 중계국으로부터 통신가능이라는 취지의 메시지의 응답이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고(단계 604), 통신가능이라는 취지의 메시지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 604; N), 선정한 중계국과는 통신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별도의 노도의 중계국을 선정하여 고치고(단계 605), 재차 단계(603)의 처리로 되돌리고, 상술한 것과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는 한편, 통신가능이라는 취지의 메시지의 응답이 있는 경우에는(단계 604; Y), 중계국으로부터의 메시지를 기다린다(단계 606).
그리고, 중계국은, 후술하는 것 같이하여 목적국과의 중계 링크가 확립되는가 아닌가를 시험하고(단계 607), 목적국과 링크가 확립되면(단계 607; Y), 제5도(d)의 형식의 중계 링크 가능이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국에 송신한다.
중계 링크가능이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수신한 송신국은, 상술한 것 같이 리스트에 목적국 어드레스, 목적국까지의 중계국 수, 1차 중계국(송신국이 중계 리스트 요구한 노드)의 어드레스를 기억한다(단계 608).
단계(607)에 있어서, 중계국은, 목적국과 링크가 확립할 수 없으면(단계 607; N), 중계 링크가 불가능이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국에 송신한다.
송신국은, 남아 있는 통신가능한 별도의 노드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고(단계 609), 남아 있는 통신가능한 별도의 노드로부터 임의로 노드를 선택하고(단계 605), 재차 단계(603)의 처리로 되돌리고, 상술한 것과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는 한편, 남아 있는 통신가능한 별도의 노드가 없는 경우에는(단계 609; N), 중계국 수 M에 1을 가산하여 중계국 수 M을 2로 하고(단계 610), 제어를 (단계 602)로 되돌려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후, 중계 링크를 확립하기 까지, 중계국 수 M을 하나씩 늘리고, 중계 링크 요구를 반복한다. 2중, 3중의 중계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중계국의 동작」에서 서술한다.
또한, 상술한 중계국에서의 중계국 탐색 방법에서는, 중계국 수 M은, 송신국 또는 하나전의 중계국으로부터 지시된 중계국 수로 고정하고, 중계국 수를 늘리는 일은 하지 않았다. 중계국 수를 늘리는 지시는 모두 송신국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모두 같은 어드레스를 사용한 중계국 탐색 방법에 대하여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중계국 탐색 방법에서는, 송신국은, 중계국을 1노드씩 찾아가는 방법이지만, 그렇지 않은 모두 같은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한 번에 수행할 수도 있다.
우선, 송신국은 중계국 수 M에 1을 세트하고, 목적국 어드레스를 모두 같은 어드레스로 하고, 제5도(c)에 나타나는 형식으로, 자신 노드 이외의 모든 노드(도면에서는 노드 1 내지 4)에 대하여 목적국과 송신가능한 중계국을 알리기 위하여 중계 링크를 요구한다(제7도 1).
모두 같은 어드레스로 중계 링크 요구를 받는 노드는, 우선, 송신국과 직접 통신가능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5(b)도의 형식으로 직접 링크가능이라는 취지의 메시지 응답을 반송한다(제7도 2). 단, 각 노드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의(random) 시간 대기하고, 다른 노드가 송신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나서, 이 응답을 반송한다.
송신국은, 이 응답이 얻어진 노드는 직접 통신가능이라 판단하고, 리스트의 직접 링크 가부 영역(232)에 직접 링크가(가능)이라고 기억하고(도면중에서는 0), 그 다음의 메시지의 수신을 기다린다.
직접 링크 가능이라는 취지의 메시지의 응답을 반송한 중계국은, 목적국과의 중계 링크를 확립하려고 시도한다(제7도 3). 시도한 결과, 목적국으로부터 링크가능이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받으면(제7도 4), 이 중계국은, 제4도(d)의 형식으로 목적국과 중계 링크가 가능이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국에 송신하는(제7도 5) 한편, 링크 불가능인 경우에는 링크 불가능이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국에 보낸다(제7도 6).
송신국은, 어느 직접 통신가능한 노드에서도 중단 링크 불가능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중계국 수 M에 1을 가산하여 2로 하고, 동일한 수순으로 목적국으로 중계 링크를 요구한다. 이후, 중계 링크가 확립하기까지, 중계국 수 M을 하나식 늘리고, 중계 링크 요구를 반복한다. 2중, 3중의 중계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다음의 중계국의 동작에서 서술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수행하여 가서, 어느쪽인가의 노드로부터 중계 링크 가능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송신국은, 상술한 것 같이 리스트의 목적국 어드레스 영역(231), 중계국 수 영역(234) 및 중계국 어드레스 영역(235)에, 각각 목적국 어드레스, 목적국까지의 중계국 수, 중계국의 노드의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이어서, 중계국의 동작에 대하여 제8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송신국 또는 하나 앞의 중계국은 중계국에 대하여, 제5(c)도에 표시하는 포맷의 중계 링크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801).
중계 링크 요구를 받은 중계국은 먼저 자국 자신이 송신국등과 통화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5(b)도의 포맷으로서, 직접 링크가 가능하다는 뜻의 메시지의 응답을 송신국 등에 반송하며(단계 802), 그후, 아래와 같이하여 목적국에의 중계 링크를 시험에 본다.
상기 중계국은 「중계 링크 요구」에 포함되는 중계국 수 M가 1보다 큰가 아닌가를 판단하여(단계 803), 중계국 수 M가 1보다 큰 경우(M>1)에는 (단계 803: Y), 목적국까지 자국 이후에 1이상의 중계국이 존재하기 때문에, 자국은 다음의 중계국에 대하여, 목적국으로 중계 링크를 지시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첫째, 상기 중계국은, 다음의 중계국에서 지시하는 중계국 수 M부터 1를 빼고(M=M-1)(스텝 804), 자국의 리스트상에 목적국의 어드레스와 중계국의 어드레스가 존재하는가 아닌가를 조사한다(단계 805). 리스트상에 목적국의 어드레스와 중계국의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스텝 805:Y), 상기 중계국은 중계국 수가 지정된 수 M와 일치되고 있음을 확인하여(단계 806), 리스트의 후보중에서 다음의 중계국을 선정하며(단계 807), 그 중계국을 경유하여 목적국에의 중계 링크를 요구한다(단계 808).
한편, 단계 805에 있어서, 리스트상에 목적국의 어드레스와 중계국의 어드레스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805:N), 중계국부터 「중계 링크 가능」, 「중계 링크 불가능」인 취지의 메시지의 응답이 반송되어, 상기 중계국은, 리스트를 조사하여, 상기 「중계국 탐색 방법」으로, 목적국과의 중계 링크 가능한 다음의 중계국을 찾는다(단계 809). 단, 중계국에서는, 자국 이후의 중계국 수를 시정해서 탐색한다.
다음에, 상기 중계국은, 탐색해서 확정된 자국 이후의 중계국 링크의 확립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 811), 자국 이후의 중계국과 링크의 확립이 가능하면(단계 811:Y), 송신국 또는 앞의 중계국에 대하여 「중계 링크 불가」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하는(단계 813) 한편, 자국 이후의 중계국과 링크의 확립이 불가능하면(단계 811:N), 상기 중계국은, 송신국 또는 앞의 중계국에 대해서 중계 링크 불가인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814). 후자의 경우에는 그것에 의해서, 송신국등과의 링크가 개방된다.
한편, 단계 803에 있어서, 중계국 수 M가 1보다 크지 않은 경우(M1)에는 (단계 83:N), 자국이 최후의 중계국이며, 목적국에 대해서 직접 링크 요구를 행하며(단계 815), 이 직접 링크 요구를 행한 목적국에서 응답의 유무를 조사한다(단계 816).
목적국에서 응답이 없으면(단계 816:N), 상기 중계국은 「중계 링크 불가」인 취지의 메시지를, 제5(d)도에 나타내는 포맷으로서, 송신국 또는 1앞의 중계국으로 반송하며(단계 818), 그후 송신국등과의 링크는 개방된다.
한편, 목적국에서의 응답이 있으면(단계 816:Y), 상기 중계국은, 「중계 링크 가능」인 취지의 메시지를, 제5(d)도에 표시된 포맷으로 송신국 또는 1앞의 중계국에 반송한다(단계 817).
송신국등은, 중계국에 대하여 목적국에 제5(e)도에 나타내는 포맷으로서 송신 데이타를 송신하며, 송신을 받은 중계국은, 그것을 그대로, 목적국 또는 다음의 중계국에 송신한다(단계 819).
데이타 송수신이 끝나면, 송신국은 중계국에 대하여 「링크 개방 요구」를 행한다(단계 820).
「링크 개방 요구」를 받은 중계국은, 먼저 목적국 또는 다음의 중계국에 대하여 「링크 개방 요구」를 행하며, 목적국 또는 다음의 중계국부터의 응답을 기다린다(단계 821).
「링크 개방 요구」에 대한 목적국 또는 다음의 중계국으로부터 「링크 개방 응답」을 수신한 중계국은, 목적국 또는 다음의 중계국과의 링크를 개방(단계 822), 그후, 송신국 또는 1앞의 중계국에 대해서 「링크 개방 응답」을 반송한다.
또, 송신국은 응답을 받아서 중계국과의 링크를 개방한다(단계 823).
이상과 같이 동작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중계국 경우에의 목적국과의 2중, 3중의 중계 링크가 가능하게 된다. 또 송신국 및 각각의 중계국은 그 다음에 자국이 송신해야 할 중계국의 어드레스와, 그후 필요한 중계국의 수만을 알고 있으면 족하고, 목적국에의 모든 중계국의 어드레스를 알 필요가 없다.
계속해서, 일어서게 하는 때의 중계국 조작, 리스트 작성 방법의 처리 동작을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그후, 중계국을 탐색해서 리스트 작성을 행한다. 그 방법을 아래 표시한다. 또, 각 노드는, 전력선상에 접속되어 있는 각 노드의 어드레스를 미리 알고 있는 것으로 한다.
첫째 최초에, 노드의 전원 투입후, 모드 노드가 일어서는 것을 기다린다(단계 901). 송신국은 임의의 목적국을 선택하며(단계 902), 이 목적국에 대해서 직접 링크 요구를 송신하며(단계 903), 링크 확립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조사(단계 904)하며, 직접 링크 가능할 경우에는(단계 904:Y), 목적국을 직접 링크 가능 노드로 하여 리스트에 기억하고(단계 905), 제어를 후술하는 단계 911에 옮기는 반면, 직접 링크 불가능한 경우에는(단계 904:N), 리스트에 직접 링크 불가능 노드로서 기억시키며(단계 906), 그후, 상술한 「중계국 탐색 방법」에 기하여, 목적국과 중계국 링크가 가능한 중계국을 찾는다(단계 907).
목적국과 중계국 링크가 가능한 중계국을 찾았던 결과, 중계국이 찾게 되고, 목적국과 중계 링크가 확립된 경우에는(단계 908:Y), 송신국은 리스트에 중계국의 어드레스, 목적국에의 중계국 수, 시간대 등의 정보를 기억시키게(단계 909), 필요에 따라 데이타 전송을 하며, 링크를 개방한다(단계 911). 한편, 중계국을 찾지 못했을 경우에는(단계 908:N), 목적국을 통신 불가능한 노드로 하여, 리스트에 기억된(단계 910), 후술하는 단계 912에 제어를 옮긴다.
단계 911에 있어서, 송신국은 필요에 따라 전송을 행하며, 링크를 개방하면, 다음에 모든 노드가 리스트에 기억된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912), 모든 노드가 리스트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912:N), 단계 902에 제어를 원래 상태로 되돌리며, 상술과 같은 처리를 행하는 한편, 모든 노드가 리스트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912:Y), 리스트 작성이 완료된다(단계 913).
또, 올리는 경우의 리스트 작성은, 모두 같은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직접 통신 가능한 노드의 리스트 작성을 간단하게 할 수도 있다. 그 방법에 대해서는 제10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처음에, 송신국은 노드의 전원 투입후, 모든 노드의 올라감을 기다린다(단계 1001). 송신국은 모든 노드가 올라간 후, 목적국 어드레스를 모두 같은 어드레스로 해서, 모든 노드에 대해서 직접 링크를 요구한다(단계 1002).
요구를 받은 송신국과 직접 통신 가능한 각 노드는, 해당 노드가 송신국과 직접 통신 가능한 것임을 표시하기 위해서, 제4(b)도의 포맷으로 「직접 링크 가능」 응답을 반송한다.
송신국은, 이 응답이 얻어진 노드를 직접 통신 가능으로 판단하여, 리스트에 기억시킨다(단계 1003). 이것에 의해, 직접 링크 가능한 노드의 리스트의 작성을 완성한다.
다음에 송신국은, 리스트에 없는 노드를 목적국에 선택하여(단계 1004), 그 선택된 노드를 직접 링크 불가능한 노드로서 리스트에 기억시킨다(단계 1005). 다음에, 송신국은, 상술한 「중계국 수 탐색 방법」에 기하여(단계 1006), 목적국과 중계국 링크가 가능한 중계국을 찾는다(단계 1007).
목적국과 중계국 링크가 가능한 중계국을 찾았던 결과, 중계국이 찾아지어, 목적국과 중계국 링크가 확립되었던 경우에는(단계 1007:Y), 송신국은 리스트에 그 중계국의 어드레스, 목적국까지의 중계국 수, 시간대 등의 정보를 기억하며(단계 1008), 필요에 따라서 데이타 전송을 행하며 링크를 개방한다(단계 1009). 한편, 중계국을 찾지 못했을 경우에는(단계 1007:N), 목적국을 통신 불가능한 노드로서 리스트에 기억시켜(단계 1010), 후술한 단계 1011에 제어를 옮긴다.
단계 1009에 있어서, 송신국은 필요에 따라 데이타 전송을 행하며, 링크를 개방하면 다음 모든 노드가 리스트에 기억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며(단계 1011), 모든 노드가 리스트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1011:N), 단계 1004에 제어를 제자리로 돌려서, 상술과 같은 처리를 행하는 한편, 모든 노드가 리스트에 기억된 경우에는(단계 1011:Y), 리스트 작성을 완료한다(단계 1012). 이상으로 모든 노드의 리스트 작성이 끝난다.
더욱이, 이 방법에 의한 올려지는 때의 리스트 작성은, 직접 링크 가능한 노드의 리스트 작성만을 행하며, 직접 링크 불가능한 노드에 대해서는, 통신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중계국 탐색, 리스트에의 기입을 행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어서, 이 실시예의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각 데이타 단말의 3개 5개의 전력 통신 장치(이하 노드라 함) ①∼⑤가 전력선(1)에 접속되어 있으며, 노드 ①에 노드 ②, ③ 및 ④와, 노드 ⑤가 노드 ③ 및 ④와 통신 가능한 것으로 하여 노드 ①부터 송신하고자 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리스트에는 아무것도 기억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한다.
1)노드 ①부터 노드 ⑤에 송신하는 경우 송신국으로서의 노드 (1)는, 리스트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는 리스트를 검색하며, 목적국 어드레스 에어리아(231)에 목적국으로서의 노드 ⑤가 없기 때문에, 먼저 최초에 노드 ⑤에 직접 링크 요구(제5(a)도 참조)한다. 그러나, 노드 ①과 노드 ⑤ 간은 통신 불가능하기 때문에, 노드 ⑤부터의 응답을 믿지 못한다(제11(a)도).
따라서, 노드 ①은, 목적국인 노드 ⑤ 간을 통신 불가능으로 인식하여 리스트 내의 노드 ⑤에 해당하는 직접 링크 가부 영역(233)에, 노드 ⑤가 직접 링크 불가능 노드임의 취지를 기억한다(제3도 중에 X로 표시).
이것 때문에, 송신국으로서의 노드 ①은 목적국으로서의 노드 ⑤에 대한 중계국을 탐색한다. 먼저, 리스트내의 노드 ⑤에 해당하는 중계국 수 영역(234)에 중계국으로서 1을 셋트하여, 통신 가능한 노드 ②, ③ 및 ④ 중에서 노드 ②를 임의로 중계국으로서 선택하며, 중계국으로서의 노드 ②에 대한 노드 ⑤에의 중계 링크 요구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한다(제11(b)도 (1)참조).
메시지를 받은 중계국으로서의 노드 ②는, 송신국으로서의 노드 ①에 의해서, 먼저 「직접 링크 응답」의 메시지를 반송한 후, 노드 ⑤에 대해서 직접 링크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제 11(b)도 (2), (3) 참조). 그러나 노드 ②와 노드 ⑤ 사이에는, 통신 불가능하기 때문에, 노드 ⑤부터의 응답은 얻지 못한다. 따라서, 중계국으로서의 노드 ②는, 중계 링크가 불가인 취지에 메시지를 송신국으로서의 노드 ①에 송신한다(제11(b)도 (4) (5) 참조).
노드 ①은, 노드 ② 사이의 링크를 개방하여,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노드 ③ 및 ④부터 다음 중계국으로서 노드 ③을 선정, 이 중계국으로서의 노드 ③에 대한 노드 ⑤에 중계 링크를 요구한다(제11(c)도 (1) 참조).
중계국으로서의 노드 ③은 먼저 노드 ①에 대해서 노드 ①과 노드 ③ 사이가 링크 가능하다는 취지의 메시지의 응답을 반송한 후, 목적국으로서의 노드 ⑤에 대해서 직접 링크를 요구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한다(제11(c)도 (2) (3) 참조). 모드 ③에는 노드 ③과 노드 ⑤ 사이에는, 통신 가능하기 때문에 노드 ⑤부터 직접 링크 가능하다는 취지의 응답이 얻어지며, 그후, 송신국으로서의 노드 ①에 대해서, 중계 링크가 가능하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한다(제11(c)도 (4) (5) 참조).
메시지를 받은 송신국으로서의 노드 ①은 리스트 기억부(2 3)에 기억되어 있는 리스트의 중계국 수 영역(2 3 4)에 1, 중계국 어드레스 영역(2 3 5)에 노드 ③의 어드레스 및 비교 영역(2 3 6)에 그때의 시간대, 요일, 시기를 기억시키며, 그 위에 중계국 링크 가부 영역(2 3 2) 노드 ⑤와의 사이가 중계 링크 가능하다는 취지를 기억한다.
그후, 송신국으로서의 노드 ①은, 중계국으로서의 노드 ③에 대해서, 목적국으로서의 노드 ⑤ 앞으로의 데이타를 송신한다. 중계국에서의 노드 ③은, 노드 ①부터의 데이타를 그대로 노드 ⑤에 송신한다. 데이타를 받은 노드 ⑤은, 그 받은 데이타에 대해서, 노드 ①에 무엇인가 데이타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드 ③에 대해서, 노드 ①에 송신한다(제11(d)도 참조).
그후, 송신국으로서의 노드 ①은 목적국으로서의 노드 ⑤와의 링크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중계국으로서의 노드 ③에 대해서 링크의 개방을 요구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링크의 개방을 요구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받은 노드 ③은, 마찬가지로 목적국으로서의 노드 ⑤에 대해서 링크의 개방을 요구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송신한다(제11(e)도 (1), (2) 참조). 메시지를 받은 노드 ⑤는, 노드 ③부터의 링크의 개방을 요구하는 취지의 메시지를 받았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노드 ③에 송신한다. 그것을 받은 노드 ③은, 노드 ⑤와의 링크를 개방한 후, 노드 ①부터 링크 개방 요구의 메시지를 받았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노드 ①에 송신한다(제11(e)도 (3), (4)참조). 그후, 노드 ①은 노드 ③과의 링크를 개방한다.
노드 ①부터 노드 ②, ③ 및 ④에 송신하는 경우 송신국으로서의 노드 ①과 노드 ②, ③ 및 ④가 모두 통신 가능하기 때문에, 노드 ①부터의 직접 링크 요구 메시지를 받은 노드 ②, ③ 및 ④는 거기에 응답하여, 노드 ①와의 직접 링크한다는 취지의 직접 링크 응답 메시지를 반송한다.
메시지를 받은 송신국으로서의 노드 ①은 ②, ③ 및 ④를 직접 링크 가능한 노드로서 리스트의 직접 링크 가부 영역(232)에 직접 링크 가능한 노드임의 취지를 기입한다.
3) 노드 ①이 노드 ⑤에 다시 송신하는 경우
송신국으로서의 노드 ①은, 리스트의 목적국 어드레스 영역(231)부터 노드 ⑤을 찾아, 리스트 기재에 기초하여, 중계국을 노드 ③에 취하여, 이 노드 ③를 중간으로 하여 노드 ⑤에 중계 링크를 요구한다(제11(c)도 (1)참조). 그래서 노드 ①은 중계국으로서의 노드 ③을 중간으로 하여 노드 ⑤부터 링크 가능하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받으면, 그후, 노드 ⑤에 대해서 데이타를 송신한다.
제12도는 상기 바와 같이 기재된 노드 ①의 리스트 기억부(23)의 내용이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 관한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의 내용이지만,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을 사용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을 사용한 LED 표시 시스템에 관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도면이다.
이 LED 표시 시스템은 전력선(1)과 서포트부(10)과 복수 디스플레이(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포트부(10)은, 서포트 센터(101), PC 102, 전력선 통신 유닛(103) 및 전회 회선(107)에 접속된 2개의 모뎀(104a, 104b)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포트 센터(101)가 모뎀(104a), 전화 회선(107), 모뎀(104b)을 중간에 하여 PC 102에 접속되어, 이 PC 102가 통신선(108)을 중간에 하여 전력선 통신 유닛(103)에 접속되며, 전력선 통신 유닛(103)이 콘센트(106)를 사용해서 전력선(1)에 접속되어 있다.
또, 각 디스플레이(11)는, 전력선 통신 유닛(103) 및 전자 디스플레이(105)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력선 통신 유닛(103)을 콘센트(106)으로 전력선(1)과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예를들면, 전자 디스플레이(105)는 PC 102부터 보내져왔던 표시 데이타를 기억하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이 표시 데이타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포트 센터(10)은 전자 디스플레이(105)에 표시하는 표시 데이타를, 전화 회선(107)을 중간에 두고 PC 102에 보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LED 표시 시스템을 실시함으로서 예를들면 이와 같은 LED 표시 시스템을 상품의 입구 등에 설치하는 경우, 전자 디스플레이(105)에 표시하는 표시 데이타를 보내기 위한 신호선을 새로이 배선할 필요가 없게 되어, 배선 코스트가 삭감된다. 또, 전력선(1)만 있으면 전자 디스플레이(105)를 이동시킬 때마다, 신호선을 배선할 필요가 없게 되고, 비용과 시간과 노력이 삭감된다. 더욱이, 전력선(1)만 있으면, 새로운 배선 공사 없이 간단하게 전자 디스플레이(105)를 증가하거나 감소시킬 수가 있다.
제14도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자동판매기에 넣게 한 LED 표시 시스템 1 실시예의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전력선(1)과 접속된 서포트부(10)과 전력선 (1)에 접속된 복수의 자동 판매기(1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자동판매기(12)는 전력선 모뎀(109) 및 전자 디스플레이(105)로 구성되어 있고 전력선 모뎀(109)은 콘센트(106)에서 전력선(7)과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전자 디스플레이(105)는 서포트센터(101)에서 보내져온 표시 데이타를 기억하고 결정된 순서에 따라 이 표시 데이타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전자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자동판매기(12)를 설치하는 경우 전자 디스플레이(105)에 표시하는 표시 데이타를 보내기 위한 신호선을 새롭게 배선할 필요가 없어지고 배선 코스트가 삭감된다. 또 전력선(1)만 있으면 전자 디스플레이(105)를 이동할 때마다 신호선을 배선을 고쳐야할 필요가 없어지고 비용과 시간과 노력이 삭감된다. 다시 전력선(1)만 있으면 새로운 배선공사 없이 간단히 자동판매기(12)를 증설하거나 감소할 수가 있다.
제15도는 다시 전자 디스플레이를 자동판매기에 내장시킨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는 예를 들자면 오피스빌딩 내의 각 플로어 간에서 신호를 주고 받는 것으로 앞의 실시예와 다른 것은 자동 판매기(12)가 1F에서 4F에 설치되고 이 자동 판매기에 전송 데이타를 보내기 위한 전력선(1)이 1F의 전기실(114)에서 각 층의 분전판(111)을 경유해서 공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 실시예에서는 각 플로어에 설치된 전력선(1B)과 각 플로어의 전력선(1B) 사이를 접속하는 전력선(1A)은 이상(different phase)으로 되어 있으므로 전력선(1A)과 전력선(1B) 간에서는 통신되지 아니한다. 거기에서 이 실시예에서는 전력선 모뎀(109) 대신에 100KHz 이상의 고주파(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네크워크 커플러(1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꼭같이 분전판(111)에서 전송 데이타를 송신할 수가 없는 경우에는 분전판(111)을 끼고 100KHz 이상의 고주파(신호)만을 통과하는 브릿지(112)를 설치하면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력선(1)을 사용한 데이타 전송 시스템이므로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갖는 것은 말할나위도 없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콘테이너 반송 장치 및 그것의 관리 정보 수집 방법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콘테이너 반송 장치의 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로서 복수의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를 적재하는 콘테이너선(10)이 도시되어 있고, 이 실시예의 콘테이너선(10)에 있어서는 복수의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13)을 거쳐서 수집한다. 또한 다음의 도면에 있어서 제28도 내지 제31도에 도시한 종래의 콘테이너선과 같은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설명의 편의상 제28도 내지 제31도에서 사용한 부호와 같은 부호를 사용한다.
제16도에 있어서 복수의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는 전력선(15-1 내지 15-n)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 전력선(13)을 거쳐서 통신 관리 장치 M에 접속되어 있고 통신 관리 장치 M에 의해 전력선(13)을 전력선 통신에 의해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에 관한 관리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에서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에 관한 관리 정보에는,
1)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의 냉동기가 동작중인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냉동기 동작중 정보
2)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의 항온조 내의 온도가 넘었는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설정 온도 오버 정보
3)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의 냉동기의 동작이 이상인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냉동기 동작 이상 정보가 있다.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한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제17도에 도시하는 냉동 콘테이너(11)는 항온조(110), 냉동기(111), 전원 유닛(112), 신호 유닛(113), 온도 센서(114), 전력선 통신 유닛(19)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서 전력선 통신 유닛(19)을 제외한 외의 구성은 제29도에 도시한 냉동 콘테이너(11)와 같다. 단 제17도의 구성에 있어서는 제29도에 도시한 신호 RUN, TEMP, TROUBLE을 전송하는 신호선(122) 및 신호 플러그(124)는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고 전원 유닛(112)이 3상 440V의 전력선(121)을 거쳐서 전원 플러그(123)에 접속이 되어 있을 뿐이다.
다시 제17도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제29도에 도시한 구성에 더해서 전원 유닛(112)에 서로 접속이 됨과 함께 신호 유닛(113)에서 출력된다.
1) 냉동기(111)가 동작중임을 표시하는 냉동기 동작중 신호 RUN
2) 항온조(110)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넘는 것을 표시하는 설정 온도 오버 신호 TEMP
3) 냉동기(111)의 동작이 이상임을 표시하는 냉동기 동작이상 신호 TROUBLE 를 입력하는 전력선 통신 유닛(1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력선 통신 유닛(19)은 제16도에 도시한 통신 관리 장치 M와의 사이에서 전력선(13)을 거쳐서 전력선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춤과 함께 다른 냉동 콘텐서의 전력선 통신 유닛(19)과의 사이에서 전력선(13)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춘 것이다.
또한 제16도에 있어서는 제17도에 도시한 전력선 통신 유닛(10)이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한 전력선 통신 유닛(19)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전력선 통신 유닛(19)은 변압기(191), 전력선 통신 기능부(192), 인터페이스 회로(193), 전원 유닛(194)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서 변압기(191)는 제16도에 도시한 전력선(13)에 접속되어 100KHz 이상의 주파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이다.
또 전력선 통신 기능부(192)는 제16도에 도시한 통신 관리 정보 M와의 사이에서 전력선(13)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감춤과 동시에 다른 냉동 콘테이너의 전력선 통신 유닛(19)과의 사이에서 전력선(13)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하는 기능을 갖춘 것으로 인터페이스 회로(193)를 거쳐서 내장된 신호 유닛(113)으로부터의 냉동기 동작중 신호 RUN, 설정 온도 오버 신호 TEMP, 냉동기 동작 신호 TROUBLE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전력선(13)에 중첩할 수가 있는 100KHz 이상의 주파수의 신호로 변조하여 변압기(191)를 거쳐서 전력선(13)으로 송출한다.
또 인터페이스 회로(193)는 신호 유닛(113)으로부터의 냉동기 동작중 신호 RUN, 설정 온도 오버 신호 TEMP, 냉동기 동작 이상 신호 TROUBLE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회로이다.
또 전원 유닛(194)은 전력선(13)에 접속되고 이 전력선(13)으로부터의 전력에 의거해서 전력선 통신 기능부(192)에 공급하는 전력을 발생한다.
제19도는 제16도에 도시한 통신 관리 장치 M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 통신 관리 장치 M는 제31도에 도시한 신호 표시판(19)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 통신 관리 장치 M는 전원 유닛(181), 전력선 통신 유닛(184)을 구비하며 구성된다.
여기에서 이 통신 관리 장치 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제31도에 도시한 신호 표시관(18)과 같다. 단 제19도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표시 회로(182)에 접속되는 신호선(17)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하고 그 대신에 전력선 통신 유닛(184)에 의해 전력선(13)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사용해서 각 냉동 컨테이너(11-1 내지 11-n)에서 냉동기 동작중 정보, 설정 온도 오버 정보 냉동기 동작 이상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전력선 통신 유닛(184)에서 수집한 냉동기 동작중 정보, 설정 온도, 오버 정보, 냉동기 동작 이상 정보를 표시 회로(182)에 부여함으로써 복수의 표시등(183)의 점등, 소등을 제어한다.
즉 제19도에 있어서 전원 유닛(181)은 제16도에 도시하는 전력선(13)에 접속이 되고, 이 전력선(13)으로부터의 전력에 의거해서 표시 회로(182) 및 전력선 통신 유닛(184)에 공급하는 전력을 발생한다.
또 복수의 표시등(183)은 각 콘테이너에 대응해서 냉동기 동작중 신호 RUN, 설정 온도 오버 신호 TEMP, 냉동기 동작 이상 신호 TRONBLE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 표시 회로(182)는 전력선 통신 유닛(184)에서 부여되는 냉동기 동작중 정보, 설정 온도 오버 정보, 냉동기 동작 이상 정보에 의거해서 복수의 표시등(183)의 점등, 소등을 제어한다.
그런데 상기 콘테이너선(10)의 전력선(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의 냉동기(111)에 접속이 되어 있기 때문에 노이즈가 많고 이 때문에 상기 전력선 통신의 장해로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전력선(13)의 길이는 콘테이너선(10)의 크기에 의해 각각 다르고 통신 관리 장치 M와의 거리가 긴 냉동 콘테이너(11)와의 사이에서는 양호한 전력선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이 전력선 통신의 장해가 되는 원인으로서는,
1) 각 냉동 콘테이너(11)의 기기로부터의 노이즈
2) 각 냉동 콘테이너(11)의 기기에 부속해서 접속되는 콘덴서의 작용에 의한 임피던스의 저하 등이 고려된다.
거기에서 이 실시예의 통신 관리 장치(M)에서는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에 대응해서 설치된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으로부터의 응답에 의거해서 전력선 통신을 양호하게 행할 수가 있는 통신 루트를 자동적으로 선택하여 이 선택한 통신 루트에 의거해서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로부터의 냉동기 동작중 정보, 설정 온도 오버 정보, 냉동기 동작이상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관리 장치(M)에 의한 통신 루트 선택의 수법에 대해서 제20도 내지 제3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을 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에 대응하여 설치된 각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자국)에는 각각 각 자국을 특정하는 어드레스가 부각되어 있고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이 어드레서를 기초로 특정한 자국과의 사이에서 전력선 통신을 함으로써 통신 루트를 선택한다.
제20도는 통신 관리 장치(M)에 있어서 통신 루트의 선택 동작을 프로우챠트로 도시한 것이다.
제20도에 있어서 통신 관리 장치(M)는 먼저 전력선 통신 유닛(184)을 구동해서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에서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에 대응해서 설치된 각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자국)과 직접 통신이 되는가 아니되는가를 조사한다(단계 201).
단계 (201)에서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에 대응해서 설치된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과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는 정형의 통신에 의한 작업을 한다(단계 202).
여기에서 정형의 통신에 의한 작업이란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에 의한 상기 어드레스에 의거한 포우링 동작에 의해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에 대응해서 설치된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을 차례로 호출하여 이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을 거쳐서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로부터의 냉동기 동작중 정보, 설정 온도 오버 정보, 냉동기 동작이상 정보를 차례로 수집하는 작업을 말한다.
단계(201)에서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에 대응해서 설치된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과 직접 통신이 아니된다고 판단된 경우는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으로부터의 전력선 통신에 의해 각 냉동 콘테이너(11-1 내지 11-n)에 대응해서 설치된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자국) 중에서 직접 통신이 아니되는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을 특정한다(단계 203).
이 단계(203)의 구체적인 동작은 제2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 (모국)M은 상기 어드레스에 의거해서 각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자국)에 대해서 차례로 응답을 요구하는 지령을 하고(단계(203-1)),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은 각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자국)에서 응답이 있었는가 아닌가에 의해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자국)을 특정한다(단계(203-2)).
제22도는 상기 처리에 의해 특정된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자국)의 상태의 한 예를 도시한다. 즉, 제22도에 있어서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이 1 내지 4의 4대라고 하면 이 경우는 전력선 통신 유닛 1 및 4로부터 응답이 있고 전력선 통신 유닛 2 및 3으로부터는 응답이 없다.
이 경우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과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 유닛으로서 전력선 통신 유닛 1 및 4가 특정된다.
다음으로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M은 상기 특정하는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 통신 유닛(184)(모국)과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 및 4에 대해서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간에서 통신을 시도하는 지령을 주고 이 결과로부터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과 직접 통신이 아니되는 전력선 통신 유닛 2 및 3에 대해서 통신 우회로를 지정한다(단계(204)).
이 단계(204)의 구체적인 동작은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M으로부터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 및 4에 대해서 다른 전력선 통신 유닛(타국)에 의해서 응답을 요구하는 사령을 발호하는(단계(204-1)), 그래서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은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 및 4에 대해서 그것의 응답 상황을 보고시킨다(단계(204-2).
제24도는 단계(204-2)의 처리에 의해 보고된 결과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4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은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고 또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은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2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또 전력선 유닛(184)(모국) M은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4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고 또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4는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3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다음에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 (모국)M은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 및 4에 대해서 단계(204-2)의 모국과 같은 작업을 행하도록 하고 그것의 응답 결과를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에 보고시킨다(단계 204-3).
제25도는 단계(204-3)의 처리에 의해 보고된 결과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5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은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 및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2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또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4는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 및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3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다시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3은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2 및 4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은 상기 보고 결과에 따라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과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전력선 통신 유닛 2 및 3에 대해서 통신 우회로 지정한다(단계 294-4).
전26도 및 제27도는 상기 처리에 의해 지정된 통신 루트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25도에 도시한 보고에 의하면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은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 및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2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고 또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4는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 및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3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므로 제2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 및 4에 대해서는 직접 전력 통신 유닛(184)(모국) M 과의 사이에서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냉동기 동작중 정보, 설정온도 오버정보, 냉동기 동작이상 정보를 수집하고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2 및 3에 대해서 각각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 및 4를 중계국으로 하는 우회로로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냉동기 동작중 정보, 설정온도 오버 정보, 냉동기 동작이상 정보를 수집한다.
또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3은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2 및 4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므로 제2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에 대해서는 직접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과의 사이에서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냉동기 동작중 정보, 설정온도 오버 정보, 냉동기 동작이상 정보를 수집하고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2에 대해서는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을 중계국으로 하는 우회로에서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냉동기 동작중 정보, 설정 온도 오버 정보, 냉동기 동작이상 정보를 수집하여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3에 대해서는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 및 2를 중계국으로 하는 우회로에서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냉동기 동작중 정보, 설정온도 오버 정보, 냉동기 동작이상 정보를 수집하고 다시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4에 대해서는 전력선 통신 유닛(자국) 1 및 2 및 3을 중계국으로 하는 우회로에서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냉동기 동작중 정보, 설정 온도 오버 정보, 냉동기 동작이상 정보를 수집한다.
더욱이 여기에서 자국으로부터의 응답에 동보용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모든 자국의 수신 이력을 남길 수가 있다.
제20도로 되돌아가 다음에 각 냉동 콘덴서(11-1 내지 11-n)에 대응해서 설치된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자국)에 대해서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통신이 되도록 되었는가를 조사하고(단계(205)), 여기에서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었다고 판단이된 경우는 단계(202)로 되돌아가 상술한 정형의 통신에 의한 작업을 한다.
또한 단계(205)에서 통신 관리 장치(M)의 전력선 통신 유닛(184)(모국) M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지 아니하다고 판단이 된 경우는 통신이 불가능한 전력선 통신 유닛(19-1 내지 19-n)(자국)을 시스템에서 분리해서 통신 루트를 다시 결정하고(단계(206)), 그후 단계(202)로 되돌아가 상술한 정형의 통신에 의한 작업을 한다.
또한 단계(206)에 있어서 통신 루트를 고쳐하는 결정 작업은 통신이 가능한 조합중에서 각 통신 거리가 최단 되는 것을 선택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테이너를 1열로 설치한 경우를 표시하였으나 전력선의 배선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콘테이너를 평면 위에 n x m로 배열하거나 세로로 2단으로 겹친 경우에도 꼭같이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설명을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노드에는 다른 노드 사이에 데이타 전송이 가능한가 아니한가를 도시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고 이 정보에 의거해 목적국 노드와 데이타 전송이 가능한가 아닌가가 판단된다. 그래서 목적국의 노드와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다고 판단이 된 경우에는 목적국과 직집적으로 링크가 확립되고 한편 목적국 노드와 데이타 전송이 불가능하다고 판단이 된 경우에는 상술한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여 또한 목적국의 노드와 링크가 가능한 중계국이 탐색되기 때문에 접속된 전기기기에 의한 노이즈 발생이나 전기기기가 접속됨으로써 전력선의 임피던스 저하등으로 초래된 전송 환경의 악화 또 전력선의 실시 배선 길이가 길어졌다 하더라도 안정한 데이타 전송을 행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콘테이너의 각각에 전력선 통신 수단을 설치하고 전력선을 거쳐서 전력선 통신 수단과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 사이에서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콘테이너의 각각에 관한 관리 정보를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으로 수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음에 표시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띠운다.
1) 콘테이너의 적재나 하선에 있어서 전력선만을 콘테이너에 대해서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콘테이너에 싣고 내리는 때에 있어서 요구되는 작업을 경감할 수 있다.
2) 콘테이너 반송 장치에는 신호선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전력선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코스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3) 통신 루트의 지정에 의해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 사이의 거리가 분리되어 있는 콘테이너 및 노이즈가 많은 환경에 있는 콘테이너에 대해서도 양호한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2)

  1. 각각이 전력선 통신 장비를 구비한 복수의 노드간을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각 노드간에서 전력선 통신에 의해 데이타 전송을 행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국 노드에서 목적국 노드에 데이타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이 가능한 노드를 탐색해서 이것을 중계국 노드로 하고 상기 중계국 노드를 거쳐서 목적국 노드에 데이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2. 각각이 전력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 복수의 노드간을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각 노드간에서 전력선 통신에 의해 데이타 전송을 행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각 노드는 다른 노드간에 데이타 전송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타 전송 가부 정보 기억 수단과, 이 데이타 전송 가부 정보 기억 수단 따라 목적국 노드와 데이타 전송이 가능한가 아니한가를 판단하는 데이타 전송 가부 판단 수단과, 상기 데이타 전송 가부 판단 수단이 상기 목적국의 노드와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목적국과 직접적인 링크를 확립하는 링크 확립 수단과, 상기 데이타 전송 가부 판단 수단이 목적국노드와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전송 가부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목적국의 노드와 링크가 가능한 중계국을 탐색하는 중계국 탐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탐색 수단은 중계할 수 있는 중계 노드를 탐색한 결과 새로운 통신이 가능한 노드를 찾아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전송 가부 정보 기억 수단에 이 노드를 중계가능한 노드로서 새로 기억하고 새로 중계할 수 없는 노드를 찾아낸 경우에는 상기 데이타 전송의 가부 정보 기록 수단에 이 노드를 통신불능 노드로서 기억시키는 노드 정보 고쳐쓰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 탐색 수단은 전체 노드를 일제히 탐색하고 중계가 가능한 중계국 노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 탐색 수단은 상기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을 가동시킨때에 중계가 가능한가 아닌가를 각 노드마다 탐색하고 구별해서 상기 데이타 전송의 가부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전송 가부 기억 수단은 통신하는 시기, 요일, 시간대 등의 정보에 따라 중계가 가능한 노드 및 중계 불능한 노드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 장치는 데이타 단말용의 서비스 콘센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 장치는 상기 서비스 콘센트와 인레트 간에 데이타 신호의 감쇠를 개선하는 전송 특성 개선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9. 각각이 전력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 복수의 노드간을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각 노드간에서 전력선 통신에 의해 데이타 전송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국 노드에서 목적국 노드에 데이타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이 가능한 노드를 탐색해서 이것을 중계국 노드로 하고 이 통신이 가능한 중계국 노드를 거쳐서 목적국 노드에 데이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10. 전력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 복수의 노드간을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각 노드간에서 전력선 통신에 의해 데이타 전송을 행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에 있어서, 각 노드는 다른 노드간에 데이타 전송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이 정보에 따라 목적국 노드와 데이타 전송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상기 목적국 노드와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상기 목적국과 직접적으로 링크를 확립하고 한편 상기 목적국 노드와 데이타 전송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 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목적국의 노드와 링크가 가능한 중계국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중계할 수 있는 중계 노드를 탐색한 결과 새로운 통신이 가능한 노드를 찾아낸 경우에는 이 노드를 중계가 가능한 노드로서 새롭게 기억하고 새롭게 중계할 수 없는 노드를 찾아낸 경우에는 이 노드를 통신불능 노드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전체 노드를 일제히 탐색하고 중계가 가능한 중계국 노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을 입상시키는 때에는 중계가 가능한가 아닌가를 각 노드마다 탐색하고 이 탐색 결과에 따라 중계가 가능한 노드와 중계가 불가능한 노드로 구별하여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통신하는 시기, 요일, 시간대 등의 정보에 따라 중계가 가능한 노드 및 중계가 불가능한 노드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15. 제1항에서 있어서, 중앙 제어 장치와 복수의 전자 디스플레이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전자 디스플레이 단자사이에 또는 중앙 제어 장치와 전자 디스플레이 단자중 하나사이에 데이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중앙 제어 장치와 복수의 전자 디스플레이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전자 디스플레이 단자사이에 또는 중앙 제어 장치와 전자 디스플레이 하나사이에 데이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중앙 제어 장치와 복수의 자동 판매기를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각각의 자동 판매기사이에 또는 중앙 제어 장치와 각각의 자동 판매기사이에 데이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18. 제9항에 있어서, 중앙 제어 장치와 복수의 자동 판매기를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각각의 자동 판매기사이에 또는 중앙 제어 장치와 각각의 자동 판매기사이에 데이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전력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 복수의 단말 및 중앙 제어 장치를 이상간에서 접속하고, 각 단말사이에 또는 각 단말과 중앙 제어 장치 사이에 데이타 전송을 행하며, 또한 이상간에는 전력선 통신의 네트워크 커플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20.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거쳐서 서로 접속된 복수의 콘테이너를 적재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테이너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을 써서 상기 전력선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콘테이너의 각각에 관한 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 수단은, 상기 콘테이너에 관한 상기 관리 정보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유닛과 상기 전력선을 전송받는 소정의 주파수의 신호만을 통과시켜서 상기 전력선에 송출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를 거쳐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함과 함께 상기 신호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의 신호로 변조해서 상기 변압기에 출력하는 전력선 통신 기능부와, 상기 전력 통신 기능부와 신호 유닛과의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과의 사이에서 상기 전력선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중에서 상기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과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 수단을 추출하는 제1의 추출 수단과, 상기 제1의 추출 수단으로 추출된 전력선 통신 수단과 다른 전력선 통신 수단과의 사이에서 전력선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이 전력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중계가 가능한 전력선 통신 수단을 추출하는 제2의 추출 수단과, 상기 제1의 추출 수단으로 추출된 전력선 통신 수단 및 상기 제2의 수단으로 추출된 중계가능한 전력선 통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전력선을 거치는 상기 각 콘테이너의 관리 정보의 수집 루트를 결정하는 루트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은, 각각 고유의 어드레스 정보를 갖추고, 상기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은, 상기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과의 사이에서 고유의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전력선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중에서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과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 수단을 추출하는 제1의 추출 수단과, 상기 제1의 추출 수단으로 추출된 전력선 통신 수단과 다른 전력선 통신 수단 사이에서 고유한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전력선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이 전력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중계가 가능한 전력선 통신 수단을 추출하는 제2의 추출 수단과, 상기 제1의 추출 수단으로 추출된 전력선 통신 수단 및 상기 추출 수단으로 추출된 중계가 가능한 전력선 통신 수단에서 상기 전력선을 거치는 각 콘테이너의 관리 정보의 수집 루트를 결정하는 루트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
  24.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거쳐서 서로 접속한 복수의 콘테이너를 적재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의 각 콘테이너에 관한 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의 관리 정보 수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테이너의 각각에 전력선 통신 수단을 설치함과 함께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전력선을 거쳐서 전력선 통신 수단과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 사이에서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콘테이너의 각각에 관한 관리 정보를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으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의 관리 정보 수집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과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 사이에서 전력선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중에서 상기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과 통신이 가능한 전력선 통신 수단을 추출하는 제1의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전력선 통신 수단과 다른 전력선 통신 수단 사이에서 전력선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이 전력선 수단을 거쳐서 중계가 가능한 전력선 통신 수단을 추출하는 제2의 단계와, 상기 제1의 단계로 추출된 전력선 통신 수단 및 상기 제2의 단계로 추출된 중계가 가능한 전력선 통신 수단에 따라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으로부터의 전력을 거치는 각 콘테이너의 관리 정보의 수집 루트를 결정하는 제3의 단계와, 상기 제3의 단계에서 결정된 수집 루트를 사용해서 상기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에 의해 각 콘테이너의 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제4의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의 관리 정보 수집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은, 각각 고유의 어드레스 정보를 갖추고, 상기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 사이에서 고유의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전력선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복수의 전력선 통신 수단중에서 상기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과 통신가능한 전력선 통신 수단을 추출하는 제1의 단계와, 상기 제2의 단계에서 추출된 전력선 통신 수단과 다른 전력선 통신 수단 사이에서 고유의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전력선을 거치는 전력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이 전력선 통신 수단을 거쳐서 중계가 가능한 전력선 통신 수단을 추출하는 제2의 단계와, 상기 제1의 단계에서 추출된 전력선 통신 수단 및 제2의 단계에서 추출된 중계가 가능한 전력선 통신 수단에 따라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으로부터의 전력선을 거치는 각 콘테이너의 관리 정보의 수집 루트를 결정하는 제3의 단계와, 상기 제3의 단계에서 결정된 수집 루트를 사용해서 전력선 통신 관리 수단에 의해 각 콘테이너의 관리 정보를 수집하는 제4의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테이너 반송 장치의 관리 정보 수집 방법.
  2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통신 장치는 데이타 단말용의 서비스 콘센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28. 제2항에 있어서, 중앙 제어 장치와 복수의 전자 디스플레이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전자 디스플레이 단자사이에 또는 중앙 제어 장치와 전자 디스플레이 단자중 하나사이에 데이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29. 제10항에 있어서, 중앙 제어 장치와 복수의 전자 디스플레이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전자 디스플레이 단자사이에 또는 중앙 제어 장치와 전자 디스플레이 단자중 하나사이에 데이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30. 제2항에 있어서, 중앙 제어 장치와 복수의 자동 판매기를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각각의 자동 판매기사이에 또는 중앙 제어 장치와 각각의 자동 판매기사이에 데이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31. 제10항에 있어서, 중앙 제어 장치와 복수의 자동 판매기를 전력선으로 접속하고 각각의 자동 판매기사이에 또는 중앙 제어 장치와 각각의 자동 판매기사이에 데이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32. 제2항에 있어서, 전력선 통신 장치를 구비한 복수의 단말 및 중앙 제어 장치를 이상간에서 접속하고, 간 단말사이에 또는 각 단말과 중앙 제어 장치 사이에 데이타 전송을 행하며, 또한 이상간에는 전력선 통신의 네트워크 커플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데이타 전송 시스템.
KR1019950020951A 1994-07-13 1995-07-13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0153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61507 1994-07-13
JP6161507A JPH0833068A (ja) 1994-07-13 1994-07-13 コンテナ搬送装置およびその管理情報収集方法
JP94-328426 1994-12-28
JP6328426A JPH08186526A (ja) 1994-12-28 1994-12-28 電力線データ伝送システム,電力線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これら伝送システムまたは伝送方法を使用した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333A KR960006333A (ko) 1996-02-23
KR0153352B1 true KR0153352B1 (ko) 1998-11-16

Family

ID=2648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951A KR0153352B1 (ko) 1994-07-13 1995-07-13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35005A (ko)
KR (1) KR0153352B1 (ko)
CN (2) CN1100406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67B1 (ko) * 2001-11-30 2004-03-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전력선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원격관리시스템
KR100470946B1 (ko) * 2001-11-07 2005-02-21 주식회사 젤라인 리피터 기능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과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0780A (ja) * 1996-08-27 1998-03-10 Uniden Corp データ収集システム
WO1998042096A2 (en) * 1997-03-17 1998-09-24 Ge-Harris Railways Electronics, L.L.C. A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ed networks h aving a linear topology, especially railways
US6130896A (en) * 1997-10-20 2000-10-10 Intel Corporation Wireless LAN segments with point coordination
US6107912A (en) 1997-12-08 2000-08-22 Phonex Corporation Wireless modem jack
WO1999053627A1 (en) 1998-04-10 1999-10-21 Chrimar Systems, Inc. Doing Business As Cms Technologies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electronic equipment on a network
US6480510B1 (en) 1998-07-28 2002-11-12 Serconet Ltd. Local area network of serial intelligent cells
US7046983B2 (en) * 1999-08-02 2006-05-16 Powerdsine, Ltd. Integral board and module for power over LAN
US6473608B1 (en) * 1999-01-12 2002-10-29 Powerdsine Ltd. Structure cabling system
US6643566B1 (en) * 1999-01-12 2003-11-04 Powerdsine Ltd. System for power delivery over data communication cabling infrastructure
US7346785B2 (en) 1999-01-12 2008-03-18 Microsemi Corp. - Analog Mixed Signal Group Ltd. Structure cabling system
US6668328B1 (en) * 1999-05-19 2003-12-23 Globespanvirata, Inc. Computer system having a power supply for coupling signals to a power line network and transmitting infrared signal to at least one peripheral card
US6956826B1 (en) 1999-07-07 2005-10-18 Serconet Ltd. Local area network for distributing data communication, sensing and control signals
US6690677B1 (en) 1999-07-20 2004-02-10 Serconet Ltd. Network for telephony and data communication
US6665720B1 (en) * 1999-09-21 2003-12-16 Intel Corporation Adapter for a home power line network
US6549616B1 (en) 2000-03-20 2003-04-15 Serconet Ltd. Telephone outlet for implementing a local area network over telephone lines and a local area network using such outlets
US7248158B2 (en) 2000-04-14 2007-07-24 Current Technologies, Llc Automated meter reading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998962B2 (en) 2000-04-14 2006-02-14 Current Technologies, Llc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842459B1 (en) 2000-04-19 2005-01-11 Serconet Ltd. Network combining wired and non-wired segments
WO2003001783A1 (en) * 2001-06-22 2003-01-03 Power-Linx, Inc. Hotel computer networking system
US6838978B2 (en) * 2002-01-09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liance data collecting system
US6693531B2 (en) * 2002-04-18 2004-02-17 Uponor Canada Inc. Integrated control of a system
JP4129153B2 (ja) * 2002-08-08 2008-08-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
US7396337B2 (en) * 2002-11-21 2008-07-0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owered orthotic device
IL154234A (en) 2003-01-30 2010-12-30 Mosai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c power on local telephone lines
IL154921A (en) 2003-03-13 2011-02-28 Mosaid Technologies Inc A telephone system that includes many separate sources and accessories for it
US20040260612A1 (en) * 2003-06-20 2004-12-23 Bar Comp Hi-Tech Ltd. Mini bar system
US20040260611A1 (en) * 2003-06-20 2004-12-23 Bar Comp Hi-Tech Ltd. Mini bar system
US7852837B1 (en) 2003-12-24 2010-12-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Wi-Fi/BPL dual mode repeaters for power line networks
IL159838A0 (en) 2004-01-13 2004-06-20 Yehuda Binder Information device
US7091849B1 (en) * 2004-05-06 2006-08-15 At&T Corp. Inbound interference reduction in a broadband powerline system
US7129821B2 (en) * 2004-08-20 2006-10-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microelectronics power distribution network
US7401239B2 (en) * 2004-09-03 2008-07-15 Asoka Usa Corporation Internal powerline power supply method and system
US7148799B2 (en) * 2004-12-14 2006-12-12 Ambient Corporation Arrangement of daisy chained inductive couplers for data communication
US7320078B2 (en) * 2005-06-03 2008-01-15 Cisco Technology, Inc. Controlling delivery of power and network communications to a set of devices
JP2009517898A (ja) 2005-11-25 2009-04-30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デンマーク アンパーツゼルスカブ 冷凍コンテナに伴う電力線通信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141173B (zh) * 2006-09-08 2012-02-22 华为技术有限公司 启动与停止中继站中继功能的方法
US7895456B2 (en) * 2006-11-12 2011-02-22 Microsemi Corp. - Analog Mixed Signal Group Ltd Reduced guard band for power over Ethernet
US8160753B2 (en) * 2008-07-31 2012-04-17 Microsemi Corp.—Analog Mixed Signal Group Ltd. Time integrated guard band
US8195965B2 (en) * 2008-11-04 2012-06-05 Microsemi Corp. - Analog Mixed Signal Group Ltd. Compensation for high powered midspan power sourcing equipment
US10138901B2 (en) 2011-03-21 2018-11-27 Nortek Air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fan array with quick connect and modular control
US20150045977A1 (en) * 2011-06-17 2015-02-12 Mingyao XIA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plc-based sensor units for communication and streaming media delivery, and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 usage of connected appliances
US9481348B2 (en) * 2012-09-20 2016-11-01 Wabtec Holding Corp. System and method for addressing a pneumatic emergency in a helper locomotive
US10518898B2 (en) * 2016-05-13 2019-12-31 Goodrich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aircraft cargo/freight handling system
CN107995610A (zh) * 2017-11-09 2018-05-04 安徽帆扬通信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应急通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7264A (en) * 1975-01-31 1976-06-29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Distribution network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ddressable interrogation and response repeater
US4427968A (en) * 1981-04-09 1984-01-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Distributio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with flexible message routes
GB8511758D0 (en) * 1985-05-09 1985-06-19 Emi Ltd Data communications systems
US4742511A (en) * 1985-06-13 1988-05-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packets in a multinode computer interconnect network
US4692761A (en) * 1985-06-21 1987-09-08 Robinton Products, Inc. Adaptive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JPH0810844B2 (ja) * 1988-04-22 1996-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電系統の状態監視方法
US4885563A (en) * 1988-05-03 1989-12-05 Thermo King Corporatio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4885564A (en) * 1988-05-03 1989-12-05 Thermo King Corporation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for monitoring refrigerated containers
US4896277A (en) * 1988-05-03 1990-01-23 Thermo King Corporation Method of mapping refrigerated containers in a power line carrier based monitoring system
US4903006A (en) * 1989-02-16 1990-02-20 Thermo King Corporatio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US5032833A (en) * 1989-04-27 1991-07-16 Schlumberger Industries, Inc. Adaptive network routing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US5115433A (en) * 1989-07-18 1992-05-19 Metri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packets in a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US4939726A (en) * 1989-07-18 1990-07-03 Metricom, Inc. Method for routing packets in a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US5066939A (en) * 1989-10-04 1991-11-19 Mansfield Jr Amos R Method and means of operating a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5351272A (en) * 1992-05-18 1994-09-27 Abraham Karoly C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ple modulated signals over electrical lines
US5192231A (en) * 1990-06-19 1993-03-09 Echelon Corporation Power line communications coupler
JP2875598B2 (ja) * 1990-06-27 1999-03-31 富士通株式会社 ノード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経路設定方式
US5416777A (en) * 1991-04-10 1995-05-1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High speed polling protocol for multiple node network
US5457689A (en) * 1991-04-10 1995-10-1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High speed polling protocol for multiple node network with sequential flooding of a polling message and a poll-answering message
JP3071007B2 (ja) * 1991-10-22 2000-07-3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制御方式
US5452344A (en) * 1992-05-29 1995-09-19 Datran Systems Corporation Communication over power lines
US5577030A (en) * 1995-08-31 1996-11-1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routing method and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946B1 (ko) * 2001-11-07 2005-02-21 주식회사 젤라인 리피터 기능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421967B1 (ko) * 2001-11-30 2004-03-1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전력선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원격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27552A (zh) 2003-07-02
KR960006333A (ko) 1996-02-23
CN1120765A (zh) 1996-04-17
US5835005A (en) 1998-11-10
CN1100406C (zh) 200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352B1 (ko) 전력선 데이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JP4476830B2 (ja) 配管伝送装置、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9517898A (ja) 冷凍コンテナに伴う電力線通信のシステム及び方法
AU5410600A (en) Network for remote administration of street lighting inter alia and methods to carry out said administration
EP1321722B1 (en)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JP4372324B2 (ja) 電気機器制御管理システム、電気機器、制御ユニット及び電気機器制御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060080379A1 (en) Network system and method allocating addresses
US5270578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 loads with high reliability
JP2001230708A (ja) 電力線データ伝送システム
CN1937529B (zh) 工作机的动态数据的远程管理系统
JPH0654369A (ja) 設備、特に、家庭用設備における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H08186526A (ja) 電力線データ伝送システム,電力線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これら伝送システムまたは伝送方法を使用した通信装置
WO2001093398A2 (en) Automatic module configur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power system and battery configuration with a click
JP322676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11726143B2 (en) Terminal apparatus for battery module assembly
US20210320387A1 (en) Terminal apparatus for battery module assembly
JP2003008600A (ja) データ収集方式および方法
CN101473700B (zh) 在复杂网络上传输信息的方法及装置
JPH0833068A (ja) コンテナ搬送装置およびその管理情報収集方法
KR100321664B1 (ko) 냉동컨테이너용통신유닛을자동선택하는시스템
JP2000350271A (ja) 電力線搬送通信システム
WO2016189737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214752277U (zh) 停车场车位管理系统
EP35474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demand management of electrically powered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etru
JP3946943B2 (ja) ブリッジ装置及び制御コマンド中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