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332B1 -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332B1
KR0153332B1 KR1019950015943A KR19950015943A KR0153332B1 KR 0153332 B1 KR0153332 B1 KR 0153332B1 KR 1019950015943 A KR1019950015943 A KR 1019950015943A KR 19950015943 A KR19950015943 A KR 19950015943A KR 0153332 B1 KR0153332 B1 KR 0153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motor
door glass
gea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826A (ko
Inventor
이상대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1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332B1/ko
Publication of KR97000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4Scissor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도어글라스를 오르내기게 하는 기어식으로 된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터와 도어글라스가 오르내리는 구조로 된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100)를 도어글라스(a)에 일체로 고정시키고 글라스찬넬(4)에 기어로 맞물리게 하여 모터(100)의 구동에 따라 모터(100)와 함께 도어글라스(a)가 오르내릴 수 있게 하며, 도어글라스(a) 양쪽을 잡아 주는 가이드롤러(200)를 구비한 것으로, 모터(100)가 인너패널(2)에 고정되지 않고 도어글라스(a)에 고정되어 도어글라스(a)의 작동시 인너패널(2)의 뒤틀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도어글라스(a)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롤러(200)에 의하여 도어글라스(a)가 오르내릴 때 폭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주므로 글라스찬넬(4)과의 간섭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글라스런(5)이 씹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도어글라스(a)가 원활하게 오르내리게 된다.
그리고 도어글라스(a)와 중복되게 설치하며 복잡한 구조로 된 레귤레이터부가 제거되므로 인너패널(2)과 아우터패널(3)의 공간에 여유가 많아지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제1도는 승용차의 프론트 도어 내부에 설치된0 종래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구성도.
제2도는 승용차의 프론트 도어의 내부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2단기어의 구조 및 장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인너패널
3 : 아우터패널 4 : 글라스찬넬
4a : 톱니부 5 : 글라스런
a : 도어글라스 100 : 모터
110 : 2단기어 110a : 스틸브라켓
110b : 리버실러 110c : 하우징
200 : 가이드롤러 200a : 리버실러
210 : 톱니바퀴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도어글라스를 오르내기게 하는 기어식으로 된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터와 도어글라스가 오르내리는 구조로 된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는 주로 승용차에 적용하고 있으며, 승객 및 운전자가 이용하는 도어 내부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도어글라스를 오르내리게 하는 장치로서, 모터의 힘을 레귤레이터부로 전달하는 방법에 따라 기어식과 와이어식으로 나눌수 있다. 한편, 와이어식은 외이어가 늘어날 우려가 있으므로, 오르내림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제1도는 승용차의 프론트 도어 내부에 설치된 종래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구성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모터(10)와 레귤레이터부(20)가 도어(a)의 인너패널(2)에 장착되어 있으며 기어로 모터(10)의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모터(10)가 구동함에 따라 레귤레이터부(20)에 힘이 전달되어 도어글라스(a)가 오르내리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로 종래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는 모터(10)의 레귤레이터부(20)가 인너패널(2)에 장착되어 있어 작동시 인너패널(2)의 뒤틀림이 생겨서 소음이 발생하고, 도어글라스(a)가 글라스찬넬(5)을 따라 오르내릴 때 폭방향으로 유동되어 글라스찬넬(4)과의 간섭으로 소음이 발생하고 심하게는 글라스런(5)이 씹혀 도어글라스(a)의 오르내림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모터(10)와 복잡한 구조로된 레귤레이터부(20)가 도어글라스(a)와 중복되게 설치하여야 하므로 인너패널(2)과 아우터패널(3)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데 비해 설치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조립작업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시 인너패널의 뒤틀림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도어글라스의 오르내림 궤적을 정밀하게 확보하여 글라스런과의 간섭으로 인한 소음 및 글라스런의 씹힘을 방지하며, 종래와 같은 복잡한 구조로된 레귤레이터를 제거하여 제한된 설치공간에서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를 도어글라스(a)에 일체로 고정시키고 글라스찬넬에 기어식으로 맞물리게 하여 모터의 구동에 따라 모터와 함께 도어글라스(a)가 오르내릴 수 있게 하며, 도어글라스 양쪽을 잡아 주는 가이드롤러로 구비한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승용차의 프론트 도어(a) 내부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구성도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2단기어의 구조 및 장착상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모터(100)의 구동으로 글라스찬넬(4)을 따라 도어글라스(a)가 오르내리게 할 수 있도록 도어(a)에 설치하는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100)를 도어글라스(a) 하단 양측에 고정시키되, 상기 글라스찬넬(4)에 길이방향으로 톱니부(4a)를 형성하고, 상기 모터(100)에 2단기어(110)를 연설하여 상기 톱니부(4a)에 맞물리게 하는 한편, 톱니바퀴(210)가 있는 가이드롤러(200)를 더 구비하여 상기 도어글라스(a) 양쪽에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글라스찬넬(4)의 톱니부(4a)에 맞물리게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100)를 2개를 마련하여 스크류나 클립 등으로 도어글라스(a)의 하단 양측에 고정시키고 글라스차넨ㄹ(4)에 형성된 톱니부(4a)에 맞물리도록 한다. 이때, 모터(100)에 연설되는 2단기어(110)는 상부기어(111)와 하부기어(112)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서, 상부기어(111)는 모터(100)의 회전 기어축(100a)에 맞물리고 하부기어(112)는 톱니부(4a)에 맞물리게 된다. 그리하여 모터(100)의 회전력이 상부기어(111)를 통하여 하부기어(112)로 전달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2단기어(11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2단기어(110)를 모터(100)와 분리하여 별도의 스틸브라켓(110a) 및 러버실러(110b)로 도어글라스(a)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3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2단기어(110)를 하우징(110c)에 내설하여 모터(1000)와 일체형으로 도어글라스(a)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톱니부(4a)는 도어(a)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단면이 ㄷ 자형상으로 글라스찬넬(4)의 내면에 형성하여 2단기어(110)과 함께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식 구조로 맞물리게 한다.
한편, 가이드롤러(200)는 2개를 마련하여 도어글라스(a)의 양측 가장자리에 고정시키고 톱니바퀴(210)가 글라스찬넬(4)의 톱니부(4a)에 맞물리도록 한다. 가이드롤러(200)의 고정시 견고성 유지 및 완충작용을 위하여 도어글라스(a)와 가이드롤러(200)의 고정부위 사이에 러버실러(200a)를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설치된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시하지 않은 작동스위치(마스터스위치 나 서브스위치)를 조작하면 조작하는 동안 모터(100)가 구동하며, 이와 동시에 모터(100)의 회전 기어축(100a)에 맞물려 있는 2단기어(110)가 연동된다. 그런데, 2단기어(110)는 도어(a) 내부에 고정된 글라스찬넬(4)의 톱니부(4a)에 맞물려 있고 모터(100)는 도어글라스(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모터(1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즉 조작자의 의도에 따라 모터(100)와 함께 도어글라스(a)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도어(1)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도어글라스(a)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롤러(200)는 글라스찬넬(4)의 톱니부(4a)에 맞물려 공회전 하면서 도어글라스(a)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모터(100)를 도어글라스(a)에 일체로 고정시키고 글라스찬넬(4)에 기어로 맞물리게 하여 모터(100)의 구동에 따라 모터(100)와 함께 도어글라스(a)가 오르내릴 수 있게 하며, 도어글라스(a) 양쪽을 잡아 주는 가이드롤러(200)를 구비한 것으로, 모터(100)가 인너패널(2)에 고정되지 않고 도어글라스(a)에 고정되어 도어글라스(a)의 작동시 인너패널(2)의 뒤틀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도어글라스(a)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롤러(200)에 의하여 도어글라스(a)가 오르내릴 때 폭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주므로 글라스찬넬(4)과의 간섭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글라스런(5)이 씹히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도어글라스(a)가 원활하게 오르내리게 된다.
그리고 도어글라스(a)와 중복되게 설치되며 복잡한 구조로 된 레귤레이터부가제거되므로 인너패널(2)과 아우터패널(3)의 공간에 여유가 많아지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부언하여, 본 발명은 승용차의 프론트 도어(a)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승용차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승용차에 있어서는 프론트 도어(a) 뿐만아니라 리어도어(a)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모터(100)의 구동으로 글라스찬넬(4)을 따라 도어글라스(a)가 오르내리게 할 수 있도록 도어(a)에 설치하는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100)를 도어글라스(a) 하단 양측에 고정시키되, 상기 글라스찬넬(4)에 길이방향으로 톱니부(4a)를 형성하고, 상기 모터(100)에 2단기어(110)를 연설하여 상기 톱니부(4a)에 맞물리게 하는 한편, 톱니바퀴(210)가 있는 가이드롤러(200)를 더 구비하여 상기 도어글라스(a) 양쪽에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글라스찬넬(4)의 톱니부(4a)에 맞물리게 하는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19950015943A 1995-06-16 1995-06-16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KR0153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943A KR0153332B1 (ko) 1995-06-16 1995-06-16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943A KR0153332B1 (ko) 1995-06-16 1995-06-16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826A KR970001826A (ko) 1997-01-24
KR0153332B1 true KR0153332B1 (ko) 1998-11-16

Family

ID=1941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943A KR0153332B1 (ko) 1995-06-16 1995-06-16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3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826A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9402A (en) Power sliding rear window
CA1322210C (en) Powered sliding truck cab window
US5537782A (en) Electrically-operated displacement device for windows or sliding roofs of motor vehicles
JPS58214414A (ja) 車体におけるサンル−フの安全装置
US4964238A (en) Automotive window regulator
US5782038A (en) Window regulator
KR0153332B1 (ko) 자동차의 기어식 파워윈도우 레귤레이터
US5537781A (en) Hard-top vehicle window regulator system
US4716681A (en) Window regulator for an automotive vehicle
KR100534300B1 (ko) 자동차용 선루프레일의 장착구조
JP3164488B2 (ja) 車両用窓装置
JPH02208120A (ja) 電動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JP3330029B2 (ja) 車両用窓装置
DE102004031630B3 (de) Fenst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tür
KR100890147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듈
JP2539894Y2 (ja) スライド式パワーウィンドゥ装置
KR200142063Y1 (ko) 자동차의 이중 리프트암 작동형 윈도우 리프터
JPH0613354Y2 (ja) 自動車用ウインドレギユレ−タ
KR970004443Y1 (ko) 자동차의 리어도어글래스 개폐장치
KR200147928Y1 (ko) 자동차용 리어도어의 가니쉬에 구비되는 디플렉터
JPH08337141A (ja) 自動車の後部窓ガラス用の広角レンズ
JP2001130261A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KR960005398Y1 (ko) 화물트럭의 백밀러 회동장치
KR19980043431U (ko) 차량용 사이드밀러구조
JPS59118973A (ja) 自動車の窓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