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659B1 - 전송 신호 전송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송 장치 및 수신기 - Google Patents

전송 신호 전송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송 장치 및 수신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659B1
KR0152659B1 KR1019900004093A KR900004093A KR0152659B1 KR 0152659 B1 KR0152659 B1 KR 0152659B1 KR 1019900004093 A KR1019900004093 A KR 1019900004093A KR 900004093 A KR900004093 A KR 900004093A KR 0152659 B1 KR0152659 B1 KR 0152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nu
signal
mai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793A (ko
Inventor
브뤼트겐 브외른
Original Assignee
제이. 에이. 드 보스
필립스 앤드 듀퐁 옵티칼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에이. 드 보스, 필립스 앤드 듀퐁 옵티칼 캄파니 filed Critical 제이. 에이. 드 보스
Publication of KR91001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13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for discrete information, i.e. where each information unit is stored in a distinct discrete location, e.g. digital information formats within a data block or s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3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affect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82Allocation of channels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demands of the users, e.g. concentrated multiplexers, statistical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H04N5/9208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involving the use of 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11B2220/255CD-I, i.e. CD-interact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 G11B2220/913Digital audio tape [DA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7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in that receivers can be add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신호는 이 신호와 데이터 패킷들이 함께 기록되어 있는 기록 캐리어로부터 그것에 관한 텍스트 정보를 나타내는 제1데이타 패킷들의 열들과 함께 판독된다. 제1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과 동일한 포캣을 갖는 제2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의 열들은 서브 정보 신호를 형성하도록 함께 인터리브되며, 서브 정보 신호는 메인 정보 신호와 조합하여 수신기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신호를 형성하고, 제2서브 정보 패킷들은 메인 정보 신호에 관련되지 않은 텍스트 서브 정보를 나타낸다. 전송된 신호의 수신기는 데이터 패킷들로 표현된 텍스트 정보의 선택된 부분과 함께 메인 정보 신호에서 정조를 재생하며, 상기 선택은 데이터 패킷들로 표현되어 수신기의 비디오 표시 장치상에 표시되는 메뉴들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서 행해진다

Description

전송 신호 전송 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송 장치 및 수신기
제1도 및 2도는 표준화 CD-신호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표준화 CD-신호으 한 블럭의 R-W서브 코드 신호 비트로 현성된 서브 정보 패킷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상이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수의 인터리브된 패킷의 시퀸스를 도시한 도면.
제5a도 내지 5d 및 6a 내지 6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패킷의 데이터 포맷의 일시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메인 정보 신호가 서브 정보 패킷과 함께 기록되어 있는 기록캐리어(매체)를 플레이(재생)시키기 위한 플레이어의 일시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정보 캐리어의 정보 트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9도는 플레이어로 사용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리모콘)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자치의 일시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1도, 13도, 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수신 장치의 메모리에서 사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어드레스 범위를 개략 도시한 도면.
제14a도 내지 14d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패스워드 패킷의 데이터 포캣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패킷 70 : 정보 캐리어
71 : 구동 모터 72 : 판독 헤드
75 : 비디오 처리 회로 76,78a : 제어 회로
77 : 마이크로컴퓨터 78,203 : 변환 회로
79 : 표시수단 81 : CD-신호 프로세서
82,82a : 메뉴 메모리 83 : 메뉴 선택수단
100 : 원격 제어기 110 : 수신 장치
111 : 안테나 112 : 수신 회로
130,201 : 판독 장치 200 : 전송 장치
본 발명은 메인 정보 신호 및 서브 정보 신호를 나타내는 전송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에서 메인 정보 신호는 기록 캐리어(매체)로부터 판독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송장치 및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서 언급한 시스템은 방송 시스템용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메인 정보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서브 정보는 예를 들어, 뉴스, 날씨, 교통 정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전송 신호가 수신된 후 서브 정보 신호가 별도, 표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송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며, 이용되는 기록 캐리어가 소정의 데이터 포맷을 가지며, 메인 정보 신호와 관련한 서브 정보를 나타내는 제1서브 정보 패킷과 함께 메인 정보신호가 기록되어 있으며, 서브 정보 신호의 구성을 위해 상기 제1정보 패킷과 동일한 포맷을 가지며, 메인 정보 신호와는 무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2서브 정보 패킷이 발생되어 제1서브 정보 패킷과 함께 인터리브되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에서 메인 정보에 관한 서브 정보는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전달이 가능하다. 사기 시스템은 예를 들면, 콤펙트 디스크로부터 판독되는 디지털 오디오가 전송되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용으로 특히 유익한 데 그 이유는 오디오 프로그램과 함께 기록 캐리어상에 기록된 서브 정보가 오디오 프로그램과 직접 관련되지 않는 다른 서브 정보와 간단히 혼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두가지 상이한 타입의 서브 정보 패킷에 대해 동일한 포맷을 사용하면, 수신 장치가 기록 캐리어의 플레이어를 구비하는 경우,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된 서브 정보 패킷 및 플레잉어로부터 수신도니 서브 정보 패킷의 처리를 위해 동일한 디코더가 사용될 수 있다는 부수적인 이점을 갖는다.
본 방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서브 정보 패킷은 각각 제1 및 제2메뉴의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제1 및 제2메뉴는 명령을 표시하는 메뉴 항목(아이템)들과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한 대응 명령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뉴의 사용은 분리될 서브 정보의 선택을 용이하게 해준다. 본 방법의 또다른 간단한 실시예에서, 메뉴 정보에는, 메뉴 정보를 수신한 후에 이를 기억하는 메모리의 메모리 위치를 가리키는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메뉴의 메인 메뉴의 어드레스 정보는 소정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가리키며, 제2메뉴의 메인 메뉴는 제1 메인 메뉴에 관한 메뉴 항목 및 명령 코드와, 그의 소정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의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에는 제2메뉴의 그룹에서 제1메뉴의 그룹으로 점프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 다른 방법의 실시예는 제2서브 정보 패킷이 패스워드 코드를 포함한 코드화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의해 방송 시스템을 통한 페이징이 가능케 되는데, 여기서 메시지는 패스워드 코드로 지시되는 개개의 사용자에게 메시지가 전송 가능하다. 또 다른 간단한 방법의 실시예에서, 코드화된 메시지에는 코드화된 메시지가 수신된 후 이를 기억할 메모리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송장치로서, 전송 장치는 기록 캐리어로부터 메인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장치와, 메인 정보 신호 및 서브 정보 신호를 전송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수단을 구비하며, 소정의 데이터 포맷을 가진 제1서브 정보 패킷과 함께 메인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캐리어를 판독하도록 판독 장치가 이용되며, 서브 정보 신호를 얻도록 제1서브 정보 패킷과, 제1서브 정보 패킷과 동일한 데이터 포맷을 가진 제2서브 정보 패킷을 인터리브하기 위한 변환수단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송 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변환기 수단에는 메뉴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드레스 범위 밖의 소정 메모리의 어드레스 범위에서의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어드레스 코드를 부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가 공통 메모리에 메뉴 정보 및 코드화된 메시지를 기억하기 위한 동일한 기억 수단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신 장치로서, 서브 정보 신호와 메인 정보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과, 메인 정보 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수단과, 서브 정보 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정보중 선택된 부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구비하며, 수신 장치는 서브 정보 패킷으로 구성된 메뉴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시키기 위해 표시 수단은 메모리의 선택된 부분에 기억된 메뉴의 항목들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며, 수신 장치는 표시된 메뉴의 메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과,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 코드에 의해 지시되며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수신 장치의 간단한 사용자 프렌드리(사용하기 쉬운) 설정, 예를 들어 서브 정보 패킷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의 설정을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게 행할 수가 있다.
상기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신장치로서, 수신 장치는 전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메인 정보 신호와 서브 정보 신호중의 선택된 부분을 분리하기 위한 수단과, 메인 정보 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수신된 패스워드 코드와 사용자 정의 패스워드 코드와 비교하여 결정된 패스워드 코드가 지시하는 코드화된 메시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사용자 정의 패스워드 코드를 선택 수단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신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는 응답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응답 장치와 소정의 패스워드 코드의 검출에 응답하여 응답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수신된 소정의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바로 응답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본 발명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전에, 우선, 기록캐리어상에 서브 정보 및 메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의 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콤펙트 디스크 또는 CDV 디스크의 오디오 채널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도시한다. 한 프레임은 588 비트의 기록 데이터로 구성되며, 각각의 프레임의 헤드에는 특정 비트 패턴의 프레임 동기 펄스 FS가 있다. 프레임 동기 펄스 FS다음에는 3비트 DC-제한 비트(DC-restriction bits) RB가 이어진다. 그 다음, 각각 14비트를 갖는 제 0 내지 제 32 데이터 비트 DB와 3비트 DC-제한 비트 RB가 교대로 기록된다. 상기 데이터 비트들 DB 중 제0 비트는 서브코드 신호라 불리워지며, 디스크의 재생을 제어하면 관련 정보 등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1내지 제12 및 제17내지 제28데이타 비트 DB는 메인 채널에서 오디오 데이터용으로 지정된다. 나머지 제13내지 제16 및 제29내지 제32데이타 비트 DB는 메인 정보 채널에서 에러 정정 코드의 패리티 데이터용으로 지정된다. 각각의 데이터 비트 DB는 기록시 8-14 변환에 의해 8비트 데이터가 변환된 14비트로 구성된다.
제2도는 98 프레임이 병렬로 순차 배열된 한 블록(98 프레임)의 상태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각각의 데이터 비트 DB는 8비트로 표현되었으며, DC-제한 비트는 배제되었다. 제 0 및 제 1 프레임에서 서브 코드 신호 P-W는 소정 비트 패턴인 동기 패턴을 형성한다. Q-채널에 대해, 에러 검출용 CRC코드는 98 프레임중 나중의 16 프레임에 삽입된다.
P-채널 신호는 음악 프로그램 및 일시 정지를 가리키는 플래그이며, 음악 프로그램의 지속 기간에 걸쳐서 저 레벨을 갖고, 일시 정지 지속기간에 걸쳐서 고 레벨을 가지며, 리드-아웃(lead-out)섹션에서 2Hz주기의 펄스를 갖는다. P채널에서 상기 신호를 검출하고 카운팅함으로서 특정 음악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Q-채널은 이러한 타입의 좀더 복잡한 제어를 가능케 한다. 예를 들면, Q-채널 정보가 디스크 재생 장치에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터에 기억되어 있을 때, 음악 프로그램의 재생 도중에 한 음악 프로그램에서 다른 프로그램으로 재빨리 점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기록된 음악 프로그램 각각은 랜덤하게 선택 가능하다.
다른 R 내지 W 채널은 예를 들면 텍스트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용된다. 이들 데이터가 전송되는 포맷에 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Q-채널에서 98비트중 처음 2 비트는 동기 패턴용으로 사용되고, 다음 4 비트는 제어 비트용으로, 다음의 72 비트는 데이터 비트용으로 사용되며, 마지막으로 에러 검출용 CRC 코드가 부가된다. 트랙 번호 코드 TNR 및 인덱스 코드 X가 데이터 비틀 나타내는 72비트에 포함된다. 트랙 번호 코드 TNR는 00에서 99까지 변화할 수 있으며, 인덱스 코드 X도 00에서 99까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Q-채널에서 데이터는 음악 프로그램 및 일시 정지의 시간 경과를 나타내는 시간 지시코드 및, 콤팩트 디스크의 프로그램 영역의 시작부분에서 최외곽림 측상의 끝부분까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절대 지속기간을 나타내는 시간 지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시간 지시 코드는 분, 초를 가리키는 코드 및 각각 2 진수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1초는 75프레임으로 나누어진다. 디지털 테이타와 같은 콤팩트는 디스크에 음악 보다 짧은 단위로, 디스크에 엑세스하기 위하여, 상술한 절대 지속기간에 관한 시간 지시 코드가 사용된다.
각 블록의 R내지 W채널 비트는 각각 6비트의 96 심벌의 서브 정보 패킷으로 구성된다(서브 정보 패킷은 짧은 길이의 패킷이라고 언급된다). 제3도에서 이러한 패킷은 참조번호(30)로 표시되었다. 패킷(30)은 각각 24 심벌의 4개 팻(31)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패킷(30)에는 패킷 정보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가리키는 메인 카테고리 코드 및 서브 카테고리 코드가 지정된다. 상이한 카테고리의 패킷들은 인터리브된다. 패킷에 기록된 정보는 표시 장치상에 표시될 텍스트 또는 영상 정보이거나 정보의 판독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코드일 수 있다.
제4도는 상이한 카테고리의 인터리브된 패킷의 시퀸스를 도시한다. 상이한 카테고리의 패킷은 각각 참조 번호 (30a, 30b, 30c)로 표시되어 있다. 동일한 메인 카테고리의 패킷이 메인 채널을 형성한다. 메인 채널내의 동일한 서브 카테고리의 패킷이 서브 채널을 형성한다.
메인 채널을 사용하여 표시될 텍스트 정보의 언어를 선택할 수 있고, 서브 정보 채널을 사용하여, 앨범, 트랙 명, 트랙 리스트, 아티스트 등등과 같은 서브 정보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상이한 카테고리의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디스크의 재생간 표시장치상에 표시될 언어 및 서브 정보 카테고리의 선택이 가능하다.
제 5a 내지 5d 도는 코드화된 텍스트의 한 라인을 전송하는데 적합한 팩 0, 1, 2, 3 각각의 포맷을 도시한다. 각 팩의 심벌 0은 포캣의 타입을 가리키는데 사용된다. 모드 2 항목 0으로 표시된 도시된 포캣은 40 텍스트 항목의 코드화된 텍스트 라인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팩 0의 심벌 1의 비트와, 심벌 5의 비트 5와 팩 3의 심벌 4의 비트 4는 서브 정보 카테고리를 가리키는 8 비트(SIC7-SICO)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팩 1의 심벌 1의 비트(MIC5-MICO)는 메인 카테고리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64개의 상이한 메인 카테고리 및 256개의 상이한 서브 정보가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팩의 심벌 4의 비트 5는 패킷 동기화용으로 사용된다. 각각의 팩의 심벌 2,3 및 22내지 33은 에러검사 및 에러 정정용으로 사용된다. 팩 0의 심벌 6-19, 심벌 6-18, 심벌 19의 비트 5와 4, 팩 2의 심벌 6-18, 팩 3의 심벌 6-18은 코드화된 텍스트 항목, 예를 들면, 영수자 문자를 각각 가리키는 40 바이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팩 0인 심벌 4의 비트 4-0(L4-L0)는 전송된 텍스트 라인이 제1표시 능력으로 표시장치상에, 예를 들어 21 텍스트 라인의 표시 능력을 가진 CRT 표시장치 상에 표시되는 수직 위치를 가리키는 제1텍스트 위치 코드를 형성한다. 팩1의 심벌4에서 비트 LCD1 및 LCO는 코드화된 텍스트 라인이 제2표시 능력의 표시 장치상에, 예를 들면 2라인 LCD 또는 LED 표시 장치상에 표시될 수직 위치를 가리키는 제2텍스트 위치 코드를 형성한다. 동일한 텍스트 라인에 지정된 두 상이한 텍스트 위치 코드를 사용하는 것은 두가지 상이한 표시 타입, 예를 들면 21-라인 표시 장치 및 2-라인 표시 장치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 텔레비젼 화면 형태의 21-라인 표시장치는 비디오 정보가 전송될 때 통상 이용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21-라인 표시 장치가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 또는 그 일부가 2-라인 표시 장치상에 표시될 수 있다. 두가지 상이한 표시 장치상에 상이한 정보를 표시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2-라인 표시 장치는 소위 소프트-키의 기능을 가리키는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 21-라인 표시장치는 다른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두 상이한 표시 장치가 상기 방식으로 사용될 때, 텍스트 위치 라인 코드 L4 - L0=00000 및 LCD1, LCD0=00은 패킷의 코드화된 텍스트 라인이 21-라인 표시 장치 또는 2-라인 표시 장치 각각에 표시되지 않음을 가리킨다.
팩1의 심벌 19, 팩2의 심벌 19, 팩3의 심벌 19의 비트 3-0는 메뉴 메모리에서 기억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2개의 바이트 인덱스 코드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인덱스 코드의 기능에 대해서 좀더 설명하기로 한다. 팩2의 심벌5의 비트4는 표시 수단이 온(ON)으로 또는 오프(OFF)로 스위치되는지를 가리킨다. 팩 0 내지 3의 다른 비트는 코드화된 텍스트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예를 들면, 컬러를 규정하고, 스크롤 영역을 규정하고, 텍스트 만을 위한 표시모드 또는 배경 비디오와 조합된 텍스트를 위한 표시 모드를 규정하기 위한 추가 데이터용으로 사용된다.
제 6a 도 내지 6d 도는 명령 코드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포캣의 일례를 도시한다. 메인 채널 및 서브 채널의 지시, 에러 검사 및 정정, 동기화 및 표시의 스위칭 온, 오프를 위해 사용되는 비트는 제6도에 도시된 포맷과 동일한 것이다. 팩 0-3의 항목 코드용으로 사용되는 심벌 O 비트 0-2는 사용되는 포맷의 타입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팩 0 의 심벌 4 의 비트 4-0에서 4비트 코드 DAT4-DATO에 의해, 패킷이 명령 코드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표시할 수가 있다. 명령 코드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비트는 제6도에 도시된 포캣에서 코드화된 텍스트 항목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각각의 명령 코드에 대해, 7 바이트의 그룹이 전송되는데, 2바이트는 메뉴 메모리에서 기억 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2바이트 인덱스 코드용으로 사용되며, 나머지 5바이트는 명령을 규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코드화된 텍스트 및 명령 코드를 전송하는 패킷을 사용하여 R-W서브 코드 채널에 기록된 패킷을 거쳐 재생 장치로 전달되는 메뉴 정보를 이용하는 재생장치의 인터엑티브(대화식)제어가 가능하다.
제7도는 정보 캐리어상에 기록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데, 상기 구성에는 패킷에 기록된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패킷에 기록된 메뉴 정보를 사용하여 판독을 인터엑티브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제7도에서, 정보 캐리어는 참조번호(70)로 표시되었다. 정보캐리어(70)상에는 R내지 W서브 코드 비트가 전술한 바와 같은 포맷으로 기록되어 있는 CD-신호를 포함한 신호가 기록된다. 상기 정보 캐리어는 FM-변조된 비디오 신호 및 CD-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CDV-디스크일 수 있다. 디스크 형태의 정보 캐리어(70)는 구동 모터(71)에 의해 회전된다. 기록된 정보는 판독 헤드(72)를 이용하여 디스크로부터 판독된다. 판독 헤드(72)는 반경 방향의 위치 자정 시스템, 말하자면, 모터(73) 및 스핀들(84)에 의해, 정보 캐리어상에 어드레스된 정보를 탐색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제어 회로(76)의 제어하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판독된 신호는 CD-신호와 FM-변조된 비디오 신호를 분리시키는 회로(74)에 공급된다.
FM-변조된 비디오 신호 Vm는 FM-변조된 신호를 예를 들어, PAL 또는 NTSC신호와 같은 비디오 신호 V 로 복조하기 위한 FM-복조기가 설치된 비디오 처리 회로(75)에 공급된다. 비디오 처리 회로(75)는 또한 비디오 정보와 함께 전송되는 화상 번호 코드 PNC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화상 번호 코드 PNC는 제어 회로(76)에 공급된다. CD-신호를 오디오 신호 AD로 변환하여 P내지 W서브코드 신호를 분리하도록 CD-신호는 CD-신호 프로세서(81)에 공급된다. 서브 코드 신호 R내지 W는 공지된 타입의 마이크로컴퓨터(77)로 구성된 서브 코드 신호 처리 회로에 공급된다. 마이크로컴퓨터(77)에는, 팩의 심벌 0을 이용하여 수신도니 패킷이 제6도 및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캣을 갖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적재된다. 또한 패킷내의 메인 및 서브 카테고리 코드가 판독되고, 선택된 메인 및 서브 카테고리 코드를 나타내는 코드들과 비교된다. 검출된 카테고리 코드가 선택된 카테고리와 대응하는 패킷은 분리되어 유효화한다. 분리된 패킷의 코드화된 텍스트 항목 및 표시 제어 신호는 제어 신호에 의해 구성되는 텍스트 위치 코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표시 스크린상의 라인 위치에 텍스트 라인을 표시하기 위하여 코드화된 텍스트 항목을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통상적인 타입의 변환회로(78)에 공급된다. 비디오 처리 회로(75)에 의해 발생된 비디오 신호 또한 변환회로(78)에 공급된다.
마이크로 컴퓨터(77)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변환 회로(78)는, 비디오 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비디오 정보와 수신된 코드화된 텍스트 항목들에 의해 표현되는 텍스트가 조합된 표시와, 비디오 정보만의 표시와, 텍스트 정보만의표시를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메인 정보 카테고리들의 패킷들은 상이한 언어의 텍스트 정보를 전달하는데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서브 정보 카테고리의 패킷은, 서브 메뉴, 앨범, 트랙 및 인덱스 명, 트랙 명 리스트, 노래 가사의 텍스트 등과 같은 상이한 타입의 정보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표시될 텍스트 정보의 타입 및 텍스트 정보가 표시될 언어를 선택할 수 있다.
오버라이드(override)메인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한 메인 카테고리 코드를 남겨두고, 오버라이드 서브 카테고리를 지시하는 한 서브 카테고리 코드를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라이드 메인 카테고리 코드 및 오버라이드 서브 카테고리 코드를 가진 패킷내의 정보는 메인 및 서브 카테고리의 현행 선택을 바이패스함으로서 마이크로컴퓨터(77)에 의해 항상 변환회로(78)에 공급된다. 오버라이드 메인 카테고리 코드와, 오버라이드 서브 카테고리 코드가 아닌 서브 카테고리 코드를 가진 패킷내의 정보는 서브 카테고리 코드가 선택된 서브 정보 카테고리에 대응하여야만 변환회로(78)에 공급된다.
오버라이드 메인 카테고리와, 오버라이드 서브 카테고리가 아닌 메인 카테고리 코드를 가진 패킷내의 정보는 메인 카테고리 코드가 선택된 메인 정보 카테고리에 대응하여야만 변환회로(78)에 공급된다. 오버라이드 정보 카테고리의 이용은 언어 독립 텍스트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오버라이드 메인 채널에서만 언어 독립적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충분한 경우에 있어 이점이 있다. 오버라이드 카테고리를 사용하는 것은 또한 중요한 메시지가 표시되는 경우에도 유익하다.
다수의 텍스트 라인이 핵심 정보의 그룹으로서 표시되는 경우에, 그룹의 첫 번째 패킷을 나타내는 패킷내의 소정 비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익하다. 제6도 및 7도에 도시된 포맷에서 이것은 비트 CDS(패킷2의 심벌2내의 비트 4)이다. 카테고리의 변경 후, 새로이 선택된 카테고리의 패킷의 정보 공급 시작은 패킷의 그룹의 시작을 가리키는 CDS비트가 검출될 때까지 연기된다. 이렇게 하면 텍스트 라인의 그룹이 규정된 스크린 위치 쌍방으로부터 스타트와 함께 차례로, 예를 들면 위에서 아래쪽으로 항상 존재하게 된다.
마이크로 컴퓨터(77)는 인터엑티브 제어를 위한 메뉴 항목을 형성하는 텍스트 라인용 코드가 기억되는 메뉴 메모리(82)와 결합된다. 각각의 메뉴 텍스트 라인에 대해, 메뉴 메모리에도 또한 기억된 명령 코드가 지정된다. 마이크로컴퓨터(77)에는 표시수단(79)상에 메뉴를 표시하게 하도록 변환회로(78)로 코드화된 메뉴 텍스트 라인을 공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적재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77)는 표시된 메뉴 텍스트 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선택수단(83)과 결합된다. 상기 메뉴 선택 수단은 표시 수단의 스크린상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 제어키와, 커서에 의해 지적된 메뉴 텍스트 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지적된 메뉴 텍스트 라인을 선택할 때, 대응 명령 코드가 실행된다.
표1은 메뉴 메모리(82)에서 메뉴 정보가 어떻게 기억되는지의 한 예를 보여준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왼쪽에서 첫 번째 커럼은 메뉴 텍스트 라인과 명령 코드의 조합이 기억되는 메모리 위치의 인덱스 어드레스를 가리킨다. 대응 명령 코드(도시되지 않음)가 실행될때 수행될 기능은 세 번째 칼럼에 지시된다. 어드레스 01로 표시된 메모리 위치에 제1(메인)메뉴로 점프하게 하는 점프 명령을 포함하고 있다. 인덱스 어드레스 01를 사용하는 목적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표1에는 세가지 상이한 메뉴, 즉 인덱스 어드레스 001-006상의 메뉴, 인덱스 어드레스 080-83에서의 메뉴, 인덱스 어드레스 0123-0125에서 의 메뉴에 대한 메뉴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표1에는 세가지 상이한 타입의 명령으로 대별된다. 즉,
-명령 코드로 이루어진 인덱스 어드레스에 의해 지적되는 다른 메뉴의 표시를 야기하는 제1타입, 이 타입의 명령 코드는 예를 들면, 인덱스 어드레스 0006 및 0083에 의해 지적되는 메모리 위치에 기억된다.
-마이크로 컴퓨터(77)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되는 패킷의 메인 및/또는 서브 카테고리를 선택하기 위한 제2타입, 이 타입의 명령은 예를 들어 인덱스 어드레스 001 및 0082에 의해 지시되는 메모리 위치에 기억된다.
-마이크로 컴퓨터(77)에 의해 변환회로(78)에 공급된 코드화된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해 표시 장치를 온, 오프로 세팅하는 제3타입, 이 타입의 명령은 예를 들어, 인덱스 어드레스 004 및 0125에 의해 지시되는 메모리 위치에 기억된다. 마이크로컴퓨터(77)에는 또한 소정 키의 누름에 응답하여 표시를 세트온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적재된다. 이렇게 함에 있어, 상기 키의 누름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검출되며, 표시 세트 온(display SET ON)명령을 변환 회로(78)에 보냄으로서 표시가 세트 온된다.
표1에 보인 예에서는 단지 세가지 상이한 타입의 명령 코드만이 시사되고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정보의 상호 판독에 의해 임의의 타입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른 타입의 명령, 예를 들어, 소정 트랙을 탐색하기 위한 탐색 명령, 재생을 일시 정치시키기 위한 일시 정지 명령 코드, 비디오 또는 오디오 출력의 소리가 나지 않게 하는 무음(mute)명령, 정보의 판독을 시작케하는 플레이(재생)명령도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메뉴 정보는 제6도 및 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포맷으로 R내지 W서브코드 채널에 기억되며, 정보는 또한 정보 캐리어(70)상의 프로그램의 재생을 시작하기 전에 볼 수 있게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캐리어가 CD 또는 CDV디스크이면, 메뉴 정보는 제1정보 트랙이 시작하기 전에, 선두 트랙의 끝과 제1정보 트랙의 시작 사이에서 트랙 사전 일시 정지(prepause) R내지 W채널에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정보 트랙 이전에 기억되는 메뉴는 검색될 수 있으며, CD 서브 코드 선두부로부터 TOC를 판독한 후 곧바로 실행되는 상기 점프 명령을 사용하여 재생을 시작하기 전에 메모리에 적재 가능하다. 메뉴 정보를 메뉴 메모리에 적재하기 위해, 마이크로컴퓨터(77)는 선택된 메인 카테고리의 패킷에서 인덱스 코드를 검출하고 코드화된 메뉴 텍스트 라인 및 대응 명령 코드를 인덱스 코드에 의해 지시된 어드레스에 기억시키도록 프로그램 된다.
코드화된 텍스트 라인 및 소정의 인덱스 코드, 예를 들어, 00을 가진 명령코드는 메모리에 기억되지 않는다. 이러한 인덱스 코드를 가진 명령 코드는 곧바로 실행된다. 이렇게 하면 메뉴 정보가 메모리에 적재되기 전에 다수의 명령, 예를 들면, 메인 및 서브 카테고리를 세팅하기 위한 명령, 메뉴 정보가 예를 들어, 메뉴 또는 화상의 후속 표시와 함께 기억되는 장소의 탐색 및 판독을 시작하는 명령, 메뉴 정보를 읽어들인 후 메인 메뉴를 표시하는 명령 등의 실행이 가능케 된다.
제8도는 시작 정보가 CD또는 CDV디스크의 R-W서브 코드 채널에서 적절하게 기억되는 장소를 도시한다. 참조번호(90)는 CD신호가 기록되는 트랙을 가리킨다. 트랙의 시작부에는 내용의 테이블(TOC)이 서브 코드 Q-채널에 기록되는 판독 트랙(91)이 보인다.
오디오 정보를 가진 제1정보 트랙(트랙 1/인덱스 1)은 참조번호(92)로 표시되었다. 판독 트랙(91)과 제1정보 트랙(92)사이에는 일시 정지 트랙(트랙 1/인덱스 0)이 위치한다. 판독 트랙 다음에 놓여진 트랙(90)의 부분에서, 정보 위치(어드레스)를 가리키는 절대 시간 코드가 서브 코드 Q-채널에 기록된다.
R-W 서브 코드 채널에서, 점프 명령은 시작 정보, 예를 들어 일시 정지 트랙(93)에서 R-W 서브 코드 채널의 메뉴정보의 시작을 가리키는 어드레스 TA를 포함한다. 참조 부호 SA는 내용 테이블의 끝과 메뉴 정보의 시작 사이의 안전 거리를 가리킨다. 제1정보 트랙(트랙 1/인덱스 1)에서 R내지 W채널은 또 다른 메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90)의 판독을 시작할 때, 먼저 내용의 테이블이 판독되고 어드레스 TA를 포함한 점프 명령 코드가 R-W채널로부터 판독된다. 내용의 테이블이 판독이 완료된 후, 어드레스 TA를 포함한 점프 명령이 실행되며 메뉴 정보가 판독되고 메뉴 메모리에 기억된다. 검색 후 바로 실행되는 명령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메뉴 정보를 코드하고 메뉴 또는 화면을 표시한 후 일시 정지 기능을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로 실행되는 명령 코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표시 메뉴없이도 정보 트랙중 하나의 판독을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전 일시 정지 트랙(93)의 길이는 약 2내지 3초의 플레이(재생)시간에 대응하는데, 이는 약 200메뉴 텍스트 라인이 사전 일시 정지 트랙(93)에 기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더 많은 메뉴 텍스트 라인이 판독되면, 또 다른 메뉴 정보가 메뉴 정보 프로그램 중 임의의 부분과 평행하게 R-W서브 코드 채널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판독 트랙(92)의 판독 동안에 출력 오디오 정보 및 비디오 정보가 뮤트되도록 사전 일시 정지 트랙(93)에 기록된 무음 명령을 거쳐 검색 R-W정보 기간동안 오디오 및 비디오 정보의 출력이 소리나지 않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 CD-플레이어 및 CDV플레이어에 대한 간단하며 강력한 인터엑티브 제어 이외에도, 기술된 R내지 W신호의 포맷은 정보 캐리어 자체에 기록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정보에 관한 부가적인 텍스트 정보의 신속한 표시를 가능케 한다.
상이한 정보 카테고리의 사용은 상이한 메인 카테고리 코드를 가진 패킷에서 상이한 언어의 텍스트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하므로, 사용자는 자기에게 가장 친숙한 언어를 선택할 수 있다. 상이한 서브 카테고리를 사용함으로써 표시될 정보의 타입을 간단히 선택할 수 있다. 상이한 카테고리의 패킷이 인터리브되고, R내지 W신호에 기록된 정보에 대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므로(초당 75패킷), 원하는 언어로 선택된 타입의 정보는 신속하게 이용 가능해진다. 이러한 고속 데이터 속도에 의해서 정보에 억세스하는 저감하지 않고도 패킷의 정보가 수회 반복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1도에 도시된 배열은 2라인 표시 장치의 제1 또는 제2라인을 가리키는 텍스트 위치 코드 LCD 1, LCD0= O1또는 10을 가진 텍스트 라인을 표시하기 위해 통상적 타입의 제어 회로(78a)를 거쳐 마이크로컴퓨터(77)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2라인 LCD표시장치(79a)에 의해 확장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텍스트 위치 코드 LCDO, LCD1 = 00은 텍스트 라인이 2 라인 표시 장치상에 표시되지 않음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텍스트 위치 코드 LCD 1, LCD1 = 11에 의해 새로운 텍스트 라인이 아래 라인에 표시되기 전에 2 라인 표시장치(79a)상에 표시된 정보가 스크롤-업(scroll-up)된다.
제7도에 도시된 구성은 판독 전용 타입(read-only type)의 제2 메뉴 메모리(82a)에 의해 추가 확장될 수 있는데, 여기서 메뉴 텍스트라인 및 대응 명령은,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의 출력 레벨의 세팅, 비디오 표시 시스템의 세팅, 튜너 비디오 레코더 등등과 같은 부가 디바이스들의 제어와 같은 구성의 하드웨어 의존 제어를 가능케하기 위해 영구적으로 기억된다. 메뉴 메모리 각각에서 메뉴 메모리(82)로부터 메뉴 메모리(82a)로의 스위칭, 또는 그 역으로 스위칭을 가능케 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뉴 메모리 또는 제공된 제어키를 변경하기 위한 선택 가능한 명령 코드가 기억된다. 동일한 포맷으로 메뉴 메모리가 기억되어 있는 두 메뉴 메모리를 사용하면 구성의 하드웨어 의존 기능의 제어와, 정보 캐리어상에 기록된 정보의 인터엑티브 검색의 제어를 사용자가 동일한 방법으로 행할 수가 있다. 이는 사용자가 사용하기가 매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friendly user interface)가 얻어짐을 의미하는 것이다.
제9도는 제7도에 도시된 구성에서 사용하기 위한 원격 제어기(10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원격 제어기는 2라인 표시장치(79a)와 선택수단(83a)으로 이루어져 있다. 선택 수단의 키는 참조번호(101a,..., 101j 및 102 내지 107)로 표시되어 있다. 키(105)는 표에 장치가 표시 스위치 오프 모드로 세트되었을 때 메뉴를 표시시키기 위한 키이다. 메뉴가 이미 표시되었을 때, 키(105)를 작동시키면 이전 메뉴가 표시된다. 키(103 및 104)는 표시 장치(79a 또는 79)상에 표시된 커서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커서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구성에는, 표시된 상위 또는 하위 텍스트 라인에 커서가 도달되었을 때 표시된 정보를 스크롤-업 또는 스크롤-다운시키기 위한 통상적 타입의 수단이 제공된다. 키(106)는 다른 키를 통해 삽입된 지시를 종결시키기 위한 엔터키(ENTER-Key)로서 사용된다. 키(101)는 예를 들어 표시된 메뉴에서 하나의 번호로 표시되거나 또는 키(101)와 물리적으로 조합되는 텍스트 라인으로부터 메뉴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키(101)가 상기 선택 기능용으로 사용될 때, 21 라인 표시 장치상에는 완전한 메뉴를 표시하고 2 라인 표시 장치상에는 커서 위치에 상관없이 각각의 키 바로 위에 키(10)의 기능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퓨터(77)에는 원격 제어기(100)를 통해 명령 코드의 인덱스 어드레스를 바로 입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적재시키는 것도 유익하다. 어드레스의 입력은 숫자 어드레스가 대응 숫자 메인 및 서브 카테고리 코드와 함께 명령 코드를 직접 어드레싱(번지지정)하도록 삽입됨을 나타내도록 작동키(104)로 실행된다. 숫자 정보는 키(101a 내지 101h)를 사용하여 엔터된다. 숫자 정보를 바로 입력한 후, 그 정보에 의해 표현되는 명령이 실행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통상 명령 코드의 인덱스 어드레스를 알고 있지 않다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마이크로컴퓨터에는 선택된 메뉴 라인 또는 항복의 어드레스 따라서 대응 명령 코드의 어드레스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적어도 소정 시간 간격(예를들어, 2초 이상)동안 키(104)를 누름으로서, 사용자는 선택된 메뉴 텍스트 라인의 어드레스의 표시를 원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싱예에서 서브 정보 패킷은 CD 또는 CDV 디스크 상에서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과 함께 기록된다. 그러나 유사한 방식으로 서브 정보 패킷은 예를 들어 디지털 오디오 또는 비디오 테이프와 같은 다른 타입의 기록캐리어 상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코드화된 텍스트 및 명령 코드에만 서브 정보 패킷으로 구성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패킷에는, 예를 들어 압축된 화면 저보, 오브젝트 코드, 합성 음성 등과 같은 다른 정보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장치(20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송장치(20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형태의 메인 정보 신호가 메인 정보와 관련된 서브 정보를 표현하는 패킷(30)과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되어 있는 정보 캐리어(70)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장치(210)를 구비한다. 판독 헤드(72)를 통해 기록캐리어로부터 판독된 신호는, 메인 정보 신호와 서브 정보를 가진 패킷(30)을 형성하는 R-W 서브 코드 채널 비트를 분리하기 위한 회로(81a)에 공급된다. 기록 캐리어로부터 판독된 패킷은 이후 서로 관련이 있는 패킷으로서 표시된다. 회로(81a)에 의해 분리된 관련 패킷은 믹싱회로(202)에 공급된다. 회로(81a)에 의해 분리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는 변환회로(203)에 공급된다. 전송 장치(200)에는 기록 캐리어로부터 판독된 메인 정보와는 무관한 서브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예를 들어 키보드(204)를 또한 구비하고 있다. 서브 정보는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 뉴스, 날씨, 교통 상황 등에 관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키보드(204)는 서브 정보를 서브 정보 처리회로, 예를 들어 통상적 타입의 컴퓨터(205)에 공급하며, 컴퓨터(205)에는 수신된 서브 정보 관련 패킷(30)과 동일한 포맷을 가진 제2패킷으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적재되어 있다. 컴퓨터(205)에 의해 발생된 패킷은 메인 정보 신호와는 상관되지 않는 서브 정보를 가진 패킷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패킷은 이후에는 비 상관 패킷으로 표시된다. 믹싱회로(202)는 변환회로(203)에 공급되는 서브 정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두 입력상에 수신된 패킷을 인터리브하는 통상적인 타입의 것이다. 변환회로(203)는 회로(81a)로부터 수신된 메인 신호와 믹싱 회로(202)로부터 수신된 서브 저보 신호를 안테나(206)를 통해 전송되는 전송 신호로 변환한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11)를 도시한다. 제7도 및 9도를 참고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제11도의 성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매겨져 있다. 수신 장치(110)는 전송 장치(200)에 의해 전송된 전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11)를 구비한다. 수신된 전송 신호는 전송 신호를 메인 정보 신호와 서브 정보 신호로 다시 변환하기 위해 통상적 타입의 수신회로(112)에 공급된다. 메인 정보 신호는, 메인 정보 신호에 의해 표현되는 오디오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스피커(114)에 대한 입력 신호로 메인 정보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기/증폭기 회로(113)에 공급된다. 서브 정보 신호의 패킷(30)은 마이크로컴퓨터(77)에 공급되며, 마이크로컴퓨터(77)에는 제9도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적재된다.
상관 패킷 및 상관 패킷 모두는 메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관 패킷을 통해 전달되며 수신 장치(110)의 메모리(82)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메뉴 정보가 비 상관 패킷을 통해 전달되는 메뉴 정보에 의해 중복 기재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어드레스 범위 AR 1는 관련 패킷에 의해 전달되는 메뉴 정보의 기억용으로 남겨지며, 다른 소정의 어드레스 범위 AR 2는 비 상관 패킷에 전달된 메뉴 정보의 기억용으로 남겨진다. 제12도는 메모리(82)내의 상이한 어드레스 범위 AR 1 및 AR 2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어드레스 범위 AR 2에서 메인 메뉴의 시작 어드레스는 메모리(82)내의 제1어드레스 1에 기억된 포인터로 표시된다. 상기 포인터는 비 상관 패킷을 통해서도 전송된다. 메인 메뉴의 제1어드레스는 항상 동일하다. 즉, 어드레스 2이다. 이는 어드레스 범위 AR 2또는 AR 2에 기억된 메뉴로부터 다른 어드레스 범위의 메인 메뉴로의 점프를 가능케 한다. 수신 장치가 스위치 온 된 후에, 어드레스 범위 AR 2의 메인 메뉴는 예를 들어 원격 제어기(100)의 키(105)를 작동시킴으로서 선택된다. 컴퓨터(77)는 어드레스 1에서 포인터로 지시되는 실제 메인 메뉴 시작 어드레스를 판독한다. 어드레스 1에서 포인터로 지시되는 메인 메뉴로의 점프는 키(105)를 작동시킨 다음 실행된다. 어드레스 범위 AR 2의 메뉴에서 어드레스 범위 AR 1의 메인 메뉴 어드레스로의 점프는 어드레스 범위 AR 2의 메인 메뉴가 어드레스 범위 AR 1의 메인 메뉴의 시작 어드레스로의 점프 명령을 포함할 때에도 간단히 실현될 수 있다.
전송 장치(200)와 수신 장치(110)를 조합하면,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기록 캐리어상에 이미 기록된 메뉴 정보와 관련된 서브 정보가 기록 캐리어로부터 판독된 관련 패킷을 다시 포맷화하지 않고도 비상관 서브 정보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13도는 정보 캐피어(70)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장치(130)를 구비하는 변형된 수신장치(110a)를 도시한다. 수신회로(112)와 컴퓨터(77)사이의 신호 경로에는 2-입력 선택회로(131)가 배치된다. 수신 회로(112)에 의해 전달된 패킷이 선택회로(131)의 입력중 하나에 공급되는 선택회로(131)의 다른 입력에는 판독장치(130)에 의해 판독된 패킷이 공급된다. 선택회로(131)는 판독장치(130)가 스위치 온 될 때 제어회로(132)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회로(131)는 판독장치(130)에 의해 공급돈 패킷이 컴퓨터(77)에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장치(130)가 스위치 오프될 때는 제어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며, 선택회로(131)는 수신 회로(112)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컴퓨터(77)에 공급한다. 제어 회로(132)에 의해 발생된 제어 신호는 컴퓨터(77)에도 공급되는데, 컴퓨터(77)에는 메인 메뉴가 키(105)를 통하여 원격 제어기(100)를 거쳐 선택돌 때 어드레스 1에서 시작 어드레스를 가진 메뉴가 표시되게 하는 프로그램이 적재된다. 제13도에서 도시된 수신 장치는 동일한 처리회로(컴퓨터(77))가 판독장치(130)로부터 수진된 패킷 처리 및 반대로 수신회로(112)로부터 수신된 패킷 처리 모두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전송 장치(200)를 이용하여, 패스워드 코드가 지정되어 있느 개개의 코드화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메시지 및 패스워드는 예를 들어 키보드(204)를 사용하여 삽입될 수 있다(제10도 참조). 컴퓨터(205)는 패스워드 코드 및 코드화돈 메시지를 패킷으로 포맷화한다. 한 패킷이 패스워드 패킷의 팩 0내지 3의 심벌 0의 비트 2-0에서 항목 3코드로 지시되는 패스워드 코드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적절하다. 제14도에 패스워드 패킷의 한 실시예의 포맷이 도시되어 있다. 제14도에 도시된 패킷의 포맷은 제6도에 도시된 것과 사실상 동일하다. 패스워드 패킷에서 320비트(40바이트)가 패스워드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용 가능하다. 이들 40바이트 중 소정 수의 바이트, 즉 34 바이트는 34-문자 패스워드를 규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6 바이트는 메시지 전달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6바이트중 4바이트는 메모리(82)에서 시작 및 종결 어드레스를 규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작 및 종결 어드레스는 메뉴를 기억하기 위한 어드레스 범위 AR 1 및 AR 2밖의 어드레스 범위 AR 3(제12도 참조)에 있어서 메시지 및 메뉴가 중복 기재되지 않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 나머지 2바이트는 후속하는 메시지의 바이트의 수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두 바이트중 다수의 비트, 예를 들어 두 개의 최상위 비트는 메시지가 메모리(82)에 적재된 후 외부 소스에 의해 중복 기재되는 가를 가리키는 중복 기재 방지 코드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코드화된 메시지의 바이트는 패스워드 패킷 다음의 패킷으로 전달된다. 이들 패킷은 제5도에서 도시된 코드화된 텍스트 라인을 전송하기 위한 패킷과 동일한 방식으로 포맷화 될 수 있다.
메시지 수신을 위해, 수신 장치내의 컴퓨터(77)에는 수신된 패킷에서 항목 3코드의 존재의 거출을 통해 패스워드 패킷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적재된다. 패스워드 패킷의 검출 후에, 패킷에 포함돈 문자 패스워드 코드는 수신기정의 패스워드와 비교된다. 상기 수신기 정의 패스워드 코드는 패킷 1의 심벌 19 중 비트 0 내지 3와 팩 2 및 3의 심벌 19 전체에 의해 표현되는 인덱스 코드에 의해 그 시작이 표시되는 어드레스 범위로 메모리에 기억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정의 패스워드 코드를 메모리(82)의 소정 부분에 기억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수신된 패스워드 코드가 사용자 정의 패스워드 코드와 대응하면 패스워드 패킷 다음의 패킷에 의해 전달된 코드화된 메시지는 패스워드 패킷에 지시된 메모리(82)내 어드레스에 기억된다. 어드레스 범위 AR 2에 기억된 메시지의 전체 내용 또는 선택된 일부분은 원격 제어기(100)를 거쳐 사용자가가 입력한 판독 지시에 응답하여 표시장치 상에 표시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에는 수신기 정의 패스워드 코드에 대응하는 수신된 패스워드 코드에 응답하여 코드화된 응답을 출력시키기 위한 주변장치(150)가 포함되어 있다. 주변장치(150)는 컴퓨터(77)와 결합된다. 주변장치(150)의 제어는 사용자 정의 패스워드 코드와 함께 응답 명령 코드가 메모리(77)에 기억되는 것과 같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 코드는 응답이 출력되는 주변 장치를 가리키는 주변 장치 어드레스 코드를 지적하기 위한 몇 개의 바이트와, 출력될 코드화된 응답이 메모리(82)에 기억되는 시작 어드레스 및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의 번호를 가리키기 위한 바이트를 포함한다. 정확한 패스워드 코드의 존재를 검출한 후 컴퓨터는 규정된 주변 장치로 지적된 메시지를 보낸다. 패스워드 코드, 응답 명령코드, 코드화된 응답등은 입력장치, 예를 들어 영수자 키보드를 사용하여 메모리(82)에서 사용자에 의해 적재될 수 있다. 이들 정보는, 예를 들면 표시장치(79a)상에 영수자 문자를 표시하고 커서를 통해 문자를 선택함으로서 원격 제어기(100)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겨우, 원격 제어기의 키(103 및 107)는 커서 제어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키(106)는 커서에 의해 지적된 문자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된 메시지의 표시를 제어하며, 커서 코드, 코드화된 응답이 사용된 응답 명령 코드를 메모리(82)에 적재하기 위한 몇 가지 프로그램은 메모리(82 또는 82a)에 적재된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되고 시작될 수 있다.

Claims (14)

  1. 메인 정보 신호 및 서브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발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메인 정보 신호와, 이 메인 정보 신호와 관련된 텍스트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패킷들이 함께 기록되는 기록 캐리어로부터 제1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의 열과 상기 메인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정보 신호화는 관련되지 않은 텍스트 서브정보를 나타내는 제2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의 열과 제1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의 열을 인터리브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은 동일한 소정의 데이터 포맷을 가지며, 상기 인터리브된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서브 신호를 구성하는 상기 인터리브 단계와, 상기 메인 정보 신호와 싱기 서브 정보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전송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전송 신호 발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서브 정보 패킷들은 각각 메뉴들의 제1 및 제2의 열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메뉴들은 사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명령들을 나타내는 항목들과 상기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한 대응 명령 코드들로 이루어져 있는 전송 신호 발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항목들은 전송신호의 수신이 위해 채용된 수신기의 메모리에 저장될 어드레스들을 지시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뉴의 메인 메뉴는 상기 제1메인 메뉴가 저장될 상기 수신가 메모리내의 소정의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어드세르 정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메뉴들의 메인 메뉴는 그의 소정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의해, 제1메인 메뉴를 지칭하는 명령 코드와 제2메뉴 항목의 조합을 포함하는 전송 신호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은 상기 제2메인메뉴의 상기 수신기 메모리내의 시작 어드레스를 지시하는 포인터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는 사기 포인터가 저장될 상기 수신기 메모리내의 소정의 어드레스들을 추가로 지시하는 전송 신호 전송 방법.
  6. 선행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은 패스워드 코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워드 코드 메시지는 코드 메시지가 저장될 상기 수신기 메모리내의 어드레스들을 지시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전송 방법.
  8. 메인 정보 신호와 서브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 발생 장치로서, 메인 정보 신호와 상기 메인 정보 신호와 관련한 정보를 나타내는 소정의 포맷의 제1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이 함께 기록되는 기록 캐리어로부터 제1서브정보 데이터 패킷들의 열과 상기 메인 정보 신호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메인 정보 신호와 관련되지 않으며 상기 제1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과 동일한 포캣을 가진 제2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의 열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이 제1 및 제2열을 인터리브하기 위한 변환 수단에서, 상기 인터리브된 데이터 패킷들의 열은 상기 서브 정보 신호를 구성하는 상기 변환 수단과, 상기 메인 정보 신호와 상기 서브 정보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전송 신호를 형성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전송 신호 발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을 패스워드 코드들과 이 패스워드 코드들에 대응하는 코드화된 메시지들을 포함하는 전송 신호 발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은 각각 제1 및 제2메뉴들로 정보를 나타내며, 메뉴 항목들은 이 메뉴 항목들이 전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채용된 수신기의 메모리에 저장돌 어드레스들을 지시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변환 수단을 이용하여, 메뉴 항목들이 저장되는 어드레스 범위 이외의 상기 수신기 메모리의 소정의 어드레스 범위내 어드레스들을 지시하는 전송신호에 어드레스 코드들을 부가하는 전송 신호 발생 장치.
  11. 인터리브된 제1 및 제2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이 열로 이루어진 메인 정보 신호와 서브 정보 신호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의 수신기로, 상기 메인 정보 신호와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1열은 메인 정보 신호와 데이터 패킷들이 함께 기록되어 있는 기록 캐리어로부터 발신되며, 상기 제1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은 메인 정보 신호에 관한 복수의 제1메뉴로 텍스트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은 메인 정보 신호와 관련되지 않은 복수의 제2메뉴로 텍스트 정보를 나타내고, 메뉴 항목들은 명령들과 이러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대응 명령 코드들의 형태이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메인 정보 신호와 서브 정보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메인 정보 신호로 표현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메뉴의 메뉴 항목들을 상기 메모리의 선택된 부분에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의 선택된 부분에 기억된 메뉴로 명령들에 응답하여, 서브 정보신호로 표현된 정보 부분에 대응하는 메뉴들중 선택된 메뉴들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과, 표시된 메뉴의 메뉴 항목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 코드로 지시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수신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뉴의 메인 메뉴는 상기 제1메인 메뉴가 기억되는 상기 메모리내 소정의 어드레스를 식별하며, 상기 제2메뉴의 메인 메뉴는 제1메인메뉴를 그의 소정의 어드레스로 참조하는 명령 코드와 제2메뉴 항목의 조합을 포함하며, 제2서브 정보 데이터 패킷들은 패스워드 코드들을 포함하는 패스워드 코드 메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 수단이 이용되어 수신된 패스워드 코드와 특정의 사용자 패스워드 코드를 비교하여 패스워드 코드가 지시하는 코드화된 메시지들을 선택하며, 상기 수신기는 사용자가 상기 선택 수단으로 특정의 사용자 패스워드 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신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코드화된 메시지들로 식별한 상기 메모리내의 어드레스들에 코드화된 메시지를 기억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신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수신된 패스워드 코드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기 위한 응답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으로 입력된 특정의 사용자 패스워드 코드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코드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응답 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수신기.
KR1019900004093A 1989-03-28 1990-03-27 전송 신호 전송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송 장치 및 수신기 KR0152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89200779A EP0389689B1 (en) 1989-03-28 1989-03-28 Method for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and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for use in the method
EP89200779.0 1989-03-28
DE89200779.0 1990-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793A KR910017793A (ko) 1991-11-05
KR0152659B1 true KR0152659B1 (ko) 1998-11-02

Family

ID=820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093A KR0152659B1 (ko) 1989-03-28 1990-03-27 전송 신호 전송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송 장치 및 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0113A (ko)
EP (1) EP0389689B1 (ko)
JP (1) JP3112081B2 (ko)
KR (1) KR0152659B1 (ko)
DE (1) DE6892810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0572A (en) * 1988-06-24 1994-01-18 Time Warner Interactive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text data in subcode packs
US4992886A (en) * 1988-12-20 1991-02-12 Wnm Ventur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ata within the subcode channel of a compact disc or laser disc
SG50668A1 (en) * 1990-10-01 1998-07-20 Sony Corp Disc reproducing apparatus
JPH04337986A (ja) * 1991-05-15 1992-11-25 Pioneer Electron Corp 記録情報再生装置
SG48107A1 (en) * 1992-02-19 1998-04-17 Philips Electronics Nv Information transfer system a transmitter a receiver and a record carrier for use in the system
JP3424262B2 (ja) * 1993-04-21 2003-07-07 ヤマハ株式会社 オンライン型カラオケシステム
US5729651A (en) * 1994-04-18 1998-03-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with super impose character data reproducing apparatus
US5561670A (en) * 1994-05-13 1996-10-01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ulticast system on an unreliable network
BE1008964A3 (nl) * 1994-11-18 1996-10-01 Philips Electronics Nv Werkwijze voor overdracht van informatie, een informatiedrager, alsmede een inrichting voor ontvangen en een inrichting voor verzenden van informatie.
DE69432792T2 (de) * 1994-12-09 2004-05-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mit einer Vorrichtung für die Extraktion von Daten aus einem Tonkanal mit einem zusätzlichen Datenübertragungskanal und einer Vorrichtung für die Erzeugung von Datenpaketen zur Ergänzung des Tonkanals mit einem zweiten zusätzlichem Datenkanal, sowie ein Endgerät für ein solches System
CA2168327C (en) * 1995-01-30 2000-04-11 Shinichi Kikuchi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data containing navigation data is record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 data according to navigationdata,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data containing navigation data on a recording medium.
ATE182026T1 (de) * 1995-04-11 1999-07-15 Toshiba Kk Aufzeichnungdmedium, -gerät und -methode zur aufzeichnung von daten auf einem aufzeichnungsmedium, und wiedergabegerät und - methode zur wiedergabe von daten von einem aufzeichnungsmedium
US6009234A (en) * 1995-04-14 1999-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reproducing information
CA2173929C (en) * 1995-04-14 2001-04-03 Kazuhiko Taira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eproducing information
US5813010A (en) * 1995-04-14 1998-09-22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storag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dia with parental control
US6009433A (en) * 1995-04-14 1999-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storag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media with parental control
WO1996034343A1 (en) * 1995-04-25 1996-10-31 Timex Corporation Transmission of text and data from crt
JPH0917127A (ja) * 1995-06-30 1997-01-17 Pioneer Electron Corp 媒体記録方法、装置及び媒体再生装置
JP3701051B2 (ja) * 1995-07-04 2005-09-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3960626B2 (ja) * 1995-08-04 2007-08-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イ 画像情報送信方法、情報担体、画像情報受信装置及び画像情報送信装置
TW329515B (en) * 1995-10-24 1998-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tion apparatus
US6757913B2 (en) 1996-07-15 2004-06-29 Gregory D. Knox Wireless music and data transceiver system
JPH1168685A (ja) * 1997-08-21 1999-03-09 Sony Corp 無線情報通信方法及びその装置
JP3438564B2 (ja) * 1998-01-26 2003-08-1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多重化装置及び方法、記録媒体
DK1145541T3 (da) 1998-11-24 2013-03-11 Niksun Inc Apparat og fremgangsmåde til at indsamle og analysere kommunikationsdata
DE60004144T2 (de) * 1999-03-23 2004-05-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zur dekodierung von einem strom von kanalbits
WO2000057416A1 (en) * 1999-03-23 2000-09-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formation carrier, device for encoding, method for encoding, device for decoding and method for decoding
TR200003457T1 (tr) * 1999-03-23 2001-07-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ir bilgi taşıyıcısı üzerinde bir işletim süresinin kaydı için yöntem, bilgi taşıyıcı ve kayıt aygıtı.
US7522911B2 (en) 2000-04-11 2009-04-21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Wireless chat automatic status tracking
US20010055391A1 (en) * 2000-04-27 2001-12-27 Jacobs Paul E.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decoding, and utilizing hidden data embedded in audio signals
US7127264B2 (en) * 2001-02-27 2006-10-24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Mobile originated interactive menus via short messaging services
US7640031B2 (en) 2006-06-22 2009-12-29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Mobile originated interactive menus via short messaging services
US6658260B2 (en) 2001-09-05 2003-12-02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nter-carrier short messaging service providing phone number only experience
BRPI0417408A (pt) * 2003-12-08 2007-04-03 Thomson Licensing método e aparelho para restringir reprodução de sinais digitais gravados
US7430425B2 (en) 2005-05-17 2008-09-30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nter-carrier digital message with user data payload service providing phone number only experience
US8050434B1 (en) 2006-12-21 2011-11-01 Srs Labs, Inc. Multi-channel audio enhancement system
US8712453B2 (en) 2008-12-23 2014-04-29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Login security with short messaging
US8929854B2 (en) 2011-10-27 2015-01-0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mergency text messaging
WO2014087663A1 (ja) 2012-12-07 2014-06-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集積回路、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7896B2 (ko) * 1972-09-04 1977-09-26
JPS5571382A (en) * 1978-11-24 1980-05-29 Hitachi Ltd Buffer memory dispersive arrangement-type picture sound transmission system
DE3146317A1 (de) * 1981-11-23 1983-07-28 Philips Kommunikations Industrie AG, 8500 Nürnberg Verfahren zur bildung eines zeit-multiplexsignals aus breitbandigen kanaelen oder analogsignalen
JPH0634305B2 (ja) * 1983-03-04 1994-05-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ジタルデイスクによるデ−タ伝送システム
US4654860A (en) * 1983-06-16 1987-03-31 The Boeing Company Spacecraft telemetry regenerator
JPH0828054B2 (ja) * 1983-11-30 1996-03-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状記録媒体
JPS60248042A (ja) * 1984-05-24 1985-12-07 Sony Corp デイジタル伝送システム
GB2172476A (en) * 1985-03-12 1986-09-17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Receiving digital sound/data information
JPH087941B2 (ja) * 1986-04-10 1996-01-29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再生機器の同期方法
US4843484A (en) * 1986-09-12 1989-06-27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disc with composite index codes and its playback method
DE3820835A1 (de) * 1988-06-21 1989-01-12 Blum Burkhardt Ursula Konzeption einer netzwerkfaehigen, volldigitalen hifi-video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50113A (en) 1992-09-22
KR910017793A (ko) 1991-11-05
DE68928101D1 (de) 1997-07-10
EP0389689B1 (en) 1997-06-04
JP3112081B2 (ja) 2000-11-27
DE68928101T2 (de) 1997-12-04
EP0389689A1 (en) 1990-10-03
JPH02292933A (ja) 199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2659B1 (ko) 전송 신호 전송방법 및 그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송 장치 및 수신기
EP0325325B1 (en) System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using an information carrier
US5268889A (en) Display device for a compact disc player and a compact disc
US5245600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from a storage mediu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stored musical arrangement and for mixing voice data with music data
KR100228028B1 (ko) 다종 언어 대응형 기록매체 및 재생장치
EP0466398B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therefrom
US4893193A (en) Disc recording medium and apparatus for playback thereof
EP0677848A1 (en) Recording medium and reproducing device for special reproduction
JP2993058B2 (ja) Cd再生装置の文字表示回路
RU2095857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носителя данных,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с такого носителя
CN1100323C (zh) 具有语音服务功能的cd图像-歌曲伴奏再现设备
JPS6343480A (ja) 情報再生装置
KR0120603B1 (ko) 컴팩트 디스크 영상 노래 반주 재생장치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방법
JP3296336B2 (ja) Cdの情報配置方法
KR970002863B1 (ko) 영상노래반주전용 디스크 기록매체와 그 재생방법 및 장치
KR0120605B1 (ko) 컴팩트 디스크 영상 노래 반주 재생장치의 메뉴선택방법
JPH04332918A (ja) Cd再生装置の文字表示回路およびcdの情報配置方法
WO1995012198A9 (ko)
CN1068673A (zh) 利用信息载体传送信息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