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591B1 -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591B1
KR0152591B1 KR1019950014294A KR19950014294A KR0152591B1 KR 0152591 B1 KR0152591 B1 KR 0152591B1 KR 1019950014294 A KR1019950014294 A KR 1019950014294A KR 19950014294 A KR19950014294 A KR 19950014294A KR 0152591 B1 KR0152591 B1 KR 0152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head
carrier
printing
slid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661A (ko
Inventor
하수영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1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591B1/ko
Publication of KR96004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05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제트 프린터(Ink Jet Prin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대기상태나 인쇄가 완료되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인쇄헤드에 잔존하는 잉크가 응고되어 노즐이 막히지 않도록 인쇄헤드를 밀폐시키기 위한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Capping divic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가이드 샤프트(16)를 따라 이송되는 인쇄헤드 캐리어(14)가, 인쇄작업을 끝내고 인쇄대기구간으로 수평이동할 때, 슬라이더의 브라켓트(66)를 그 운동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단차형 슬롯트(36)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더(60)가 상승운동하여, 그 상부에 장착된 러버 캡(71)이 인쇄헤드를 감싸는 동시에, 공기 유통로(73)가 스프링 밸브(50)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러버 캡(71)의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반대로 인쇄명령에 의해 인쇄헤드 캐리어(14)가 인쇄대기구간에서 인쇄구간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필요시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진공펌프(90)가 순간적으로 작동하여, 러버 캡(71)내의 공기를 빨아내어 인쇄헤드 표면에 미량의 잉크가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인쇄헤드 캐리어(14)가 제거되어 캐리어(14)에 의해 압압되었던 슬라이더(60)가 인장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단차형 슬롯트(36)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더(60)가 하강운동하여 인쇄헤드가 노출되게 되어 그 목적이 달성된다.

Description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를 채용한 잉크제트 프린터의 요부발췌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제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특히 인쇄헤드의 노즐표면이 밀폐된 상태를 보여준다.
제3b도는 제3a도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요부단면도로서, 헤드가 밀폐된 상태의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의 단면도이다.
제4a도는 제3a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특히 인쇄헤드의 노즐표면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준다.
제4b도는 제4a도의 B-B선을 따라 절취한 요부 단면도로서, 헤드가 개방된 상태의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린터 프레임 12a : 인쇄헤드
12 : 잉크 카트리지 14 : 인쇄헤드 캐리어
16 : 가이드 샤프트 18 : 타이밍 벨트
20 : 구동모터 22 : 테이블
34 : 측벽 36 : 단차형 슬롯트
50 : 스프링 밸브 40 : 본체
60 : 슬라이더 62 : 캡 홀더
64 : 가이드 핀 66 : 브라켓트
70 : 캡 71 : 러버 캡
72 : 진공 유통로 74 : 공기 유통로
80 : 인장스프링 90 : 진공펌프
100 : 캡 캐리어
본 발명은 잉크제트 프린터(Ink Jet Prin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대기상태나 인쇄가 완료되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인쇄에드에 잔존하는 잉크가 응고되어 노즐이 막히지 않도록 인쇄헤드를 밀폐시키기 위한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Capping divic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제트 프린터는 출력신호에 따라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인쇄헤드 캐리어가 용지표면을 수평으로 움직이면서 용지표면에 화상 또는 문자를 인쇄하는 출력장치로서, 인쇄헤드 캐리어를 왕복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샤프트와, 이 샤프트를 따라 인쇄헤드 캐리어를 이송시키기 위한 타이밍 벨트, 이 타이밍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및 구동풀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의 저면에는 노즐이 구비되어, 용지표면에 잉크를 미세하게 분사시켜 소정의 화상 또는 문자를 인쇄하게 되는데, 이 노즐은 인쇄하지 않는 상태로 일정시간이상 대기중에 노출되면 노즐표면에 잔존하는 잉크가 응고되어 노즐이 막히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노즐 막힘은 인쇄를 불가능하거나 인쇄되는 문자가 불명료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노즐 막힘 현상은 프린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주로 많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주된 원인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표면에 남아있던 잉크가 응고되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양질의 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인쇄헤드의 노즐이 항시 인쇄를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며, 특히, 인쇄헤드의 노즐표면이 적절한 습기가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야 잉크가 응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인쇄하지 않는 경우, 즉, 전원을 넣지 않은 경우나 인쇄대기상태에서 노즐부위의 잉크가 마르지 않도록 인쇄헤드를 밀폐하는 캡핑장치에 관한 것인데, 이러한 캡핑장치는 종래에도 여러 가지가 있었으나, 인쇄헤드를 밀폐시키는 캡을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제품가격이 상승되거나, 별도의 구동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기구적인 연결관계가 복잡하여 제품의 부피가 커지고 고장의 원인이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즐을 밀폐하는 캡을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으며, 구조적으로도 간단하여 제작과 수리보수가 용이하면서도 밀폐성이 더욱 향상되어, 양질의 인쇄를 보장하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양질의 인쇄를 얻기 위하여 인쇄헤드의 노즐이 막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항시 양질의 인쇄능력을 갖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의 캡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구동원이 없이 인쇄대기시에는 인쇄헤드의 표면을 밀폐시키고 인쇄시에는 인쇄헤드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캡핑시에는 캡의 밀착성을 좋게 하고 동시에 캡핑 해제시에는 캡의 분리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캡의 일측에 공기 유통로를 형성하여,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제어하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카트리지 교환시 또는 일정기간이상 프린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혹은 사용자가 인쇄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했을 때, 인쇄헤드의 노즐에 소정의 흡입력을 가하여 미량의 잉크가 흡출되도록 하는 흡입장치를 구비하여 항상 양호한 인쇄를 얻을 수 있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12a)를 둘러싸서 밀폐하는 러버 캡(71)과, 캡 홀더(62)와 결합하는 결합부(73)와, 공기 유통로(74) 및 진공 유통로(72)가 일체로 형성된 캡(70)과; 상기 결합부(73)와 결합하는 캡 홀더(62)와 인쇄헤드 캐리어(14)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수직방향의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브라켓트(66)와, 본체의 가이드 슬롯트(36)에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 핀(64)들과, 상기 진공 유통로(74)를 연결하는 연결관(68) 및 상기 공기 유통로(73)를 지지하는 반원형 홈(68)과, 인장스프링(80)을 탄설하기 위해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편(69)이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60)와; 상기 슬라이더(60)가 슬라이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두 개의 측벽(34)과, 상기 측벽(34)에 형성된 단차형 슬롯트(36)들과, 스프링 밸브(50)를 고정설치하기 위한 보스(38b) 및 체결홈(38) 그리고 와이퍼(48)를 고정하기 위한 훅크(48a)와, 인장스프링(80)을 탄설하기 위해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편(49)과, 프린터 프레임(10)과 결합되는 플랜지(32) 및 체결홈(32a)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40)와, 러버캡(71)이 인쇄헤드의 노즐면을 밀폐하기전에 인쇄헤드의 표면을 닦아내도록 본체의 훅크(48a)에 결합되는 와이퍼(48)와; 러버 캡(71)이 인쇄헤드의 노즐면을 밀폐할 때 동시에 상기 공기 유통로(73)를 밀봉하도록 본체의 보스(38b) 및 체결홈(38)에 나사(38a)로 체결되는 스프링 밸브(50) 및; 러버 캡(71)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연결호스(92)를 통해 진공 유통로(72)에 연통되는 진공펌프(9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는, 구동모터(20)에 의해 구동되고 가이드 샤프트(16)을 따라 이송되는 인쇄헤드 캐리어(14)가 인쇄작업을 끝내고 인쇄대기구간으로 수평이동할 때, 상기 인쇄헤드 캐리어(14)가 슬라이더의 브라켓트(66)를 그 운동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단자형 슬롯트(36)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더(60)가 상승운동하여 그 상부에 장착된 러버 캡(71)이 인쇄헤드를 감싸는 동시에, 공기 유통로(73)가 스프링 밸브(50)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러버 캡(71)의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반대로 인쇄명령에 의해 인쇄헤드 캐리어(14)가 인쇄대기구간에서 인쇄구간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필요시 별도의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진공펌프(90)가 순간적으로 작동하여 러버 캡(71)내의 공기를 빨아내어 인쇄헤드표면에 미량의 잉크가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인쇄헤드캐리어(14)가 제거되어 인쇄헤드 캐리어(14)에 의해 압압되었던 슬라이더(60)가 인장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단차형 슬롯트(36)에 의해 안내되는 슬라이더(60)가 하강운동하여 인쇄헤드가 노출되게 되어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제트 인쇄헤드 캡핑장치를 채용한 잉크제트 프린터의 요부발췌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인쇄헤드 캡핑장치는 인쇄용지가 안착되며 인쇄작업이 이루어지는 테이블(22)의 측방향에 설치되는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린트 프레임(10)의 절곡 프레이트(24)에 캡핑장치의 본체 플랜지(32)를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설치된다.
본 발명의 인쇄헤드 캡핑장치가 채용되는 잉크제트 프린터는 통상의 잉크제트 프린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잉크 카트리지(12)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고 이송하는 인쇄헤드 캐리어(14)와 인쇄헤드 캐리어(14)를 수평왕복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샤프트(16)와 인쇄헤드 캐리어(14)를 구동시키기 위한 타이밍 벨트(18)와 구동모터(20) 및 구동풀리(18a)와 인쇄될 종이가 안착되는 테이블(22)과 도시되지 않은 종이이송수단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들을지지하는 프레임(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잘 나타나 있다. 도면의 위쪽부터 본 발명의 구성요들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참조번호 70은 캡(cap)을 나타낸 것이다. 캡(70)의 상부에는 잉크제트 헤드가 밀폐되는 러버 캡(7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러버캡(71)은 밀착성을 좋게 하도록 입구가 확장된 형태를 취하며 헤드의 손상을 막기 위해 고무와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되어 있다. 러버 캡(71)의 하부로는 하기에 설명하는 캡 홀더(62)와 결합되는 결합부(7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형태는 캡 홀더(62)의 형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여기서는 사각형의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결합부(73)의 내부에는 제3b도 및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 유통로(74)와 진공 유통로(72)가 통설되어 있는데, 공기 유통로(74)는 그 입구가 캡 홀더(62)의 후방측벽 외부로 돌출되도록 격자모양으로 굽어져 있고 진공 유통로(72)는 하방으로 곧게 통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60은 슬라이더를 나타낸 것이다. 슬라이더(60)는 그 평면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하고 있는 판상체이며, 그 상면의 전방으로는 캡의 결합부(73)가 고정되는 캡 홀더(62)가 형성되어 있다. 캡 홀더(62)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직사각형의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캡 홀더(62)의 가운데에는 제3b도 및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73)에 형성된 진공 유통로(72)에 삽입되는 연결관(68)이 상면에서부터 저면까지 신장되어 일체로 형서되어 있으며, 상기 캡 홀더(62)의 후방으로는 인쇄헤드 캐리어(14)의 측벽과 접촉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수직 브라켓트(6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브라켓트(66)의 하부와 캡 홀더(62)의 후방사이에는 하기에 상술되는 스프링 밸브(50)가 자유로이 관통할 수 있도록 소정의 통공(6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0)의 양쪽 측면에는 본체의 가이드 슬롯트(36)에 각기 삽입되는 가이드 핀(64)들이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밖에 참조번호 68은 공기 유통로(74)가 삽입되는 반원형 홈이다. 그리고 상시 슬라이드의 저면에는 제3b도 및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80)을 탄설하기 위한 걸림편(6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70)과 슬라이더(60)는 결합부(73)와 캡 홀더(62)가 결합되어 일체화된 하나의 캡 캐리어(100)를 이루며, 캡 캐리어(100)의 가이드 핀(64)은 본체의 가이드 슬롯트(36)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캡 캐리어(100)는 본체의 상부측에서 수평운동과 수직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참조번호 40은 본체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는 그 평면이 인쇄헤드 캐리어(14)의 수평왕복운동방향으로 신장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판상체이며, 그 측면에는 측벽(34)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플랜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측벽(34)에는 캡 캐리어(100)의 가이드 핀(64)들이 슬라이드 되는 단차형 슬롯트(36)들이 서로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32)에는 본체(40)를 프린터의 프레임(1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홈(32a)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형 슬롯트(36)는 수평운동하는 가이드 핀(64)이 삽입되는 개방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캡 캐리어(100)의 수평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환하는 경사부(35)와 인쇄헤드(12a)가 밀폐된 후에도 스프링 밸브(50)를 수평방향으로 압압할 수 있도록 캡 캐리어(100)를 수평운동시키는 수평부(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40)의 전방부에는 와이퍼(48)가 체결되는 훅크(48a)가 돌출되어 있고, 그 후방에는 캡 캐리어(100)의 진공 유통로(72)의 연결관(68) 및 걸림편(69)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통공(46)이 통설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스프링 밸브(5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홈(38)과 고정을 보조하기 위한 보스(38b)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에 제3b도 및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훅크(48b)와 통공사이에는 인장스프링(80)이 탄설되는 지지편(49)이 하방으로 신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48은 와이퍼를 나타낸 것이며 그 하부에는 체결홈(48b)이 형성되어 본체에 돌출되어 있는 훅크(48a)에 체결된다. 와이퍼(48)는 잉크제트 인쇄헤드(12a)가 밀폐되기 전 또는 개방된 후 잉크제트 인쇄헤드(12a)를 닦아내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다. 또한 와이퍼(48)는 헤드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진다.
참조번호 50은 스프링 밸브를 나타낸 것으로, 이것은 탄성을 갖는 금속편으로 되어 있으며 하단은 수평으로 절곡되어 본체에 형성된 고정보스(38b)와 체결나사(38a)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상단은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3b 및 제4b도에 도시된 캡 캐리어(100)의 공기 유통로(74)의 입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스프링 밸브(50)의 상단과 하단사이는 탄성을 높이기 위해 S자형태로 절곡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쇄헤드 캡핑장치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70)와 슬라이더(60)는 일체로 결합되어 캡 캐리어(100)를 이루고, 캡 캐리어(100)의 양 측면에 돌출된 가이드 핀(64)들은 본체 측벽(34)에 형성된 단차형 슬롯트(3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캡 케리어(100)가 본체의 상측부에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캡 캐리어(100)의 하방에 형성된 걸림편(69)과 본체의 하방에 형성된 지지편(49)사이에는 소정의 인장스프링(80)을 탄설함으로써,캡 캐리어(100)와 본체(40)의 앞쪽에는 와이퍼(48)를 그리고 뒤쪽에는 스프링 밸브(50)를 고정 설치하며, 캡 캐리어(100)의 저면으로 돌출된 진공 유통로(72)의 연결관(68)에는 연결호스(92)로 진공펌프(90)을 연결한다. 끝으로 체결나사로 본체의 전방부에 형성된 플랜지(32)와 프린터 프레임(10)의 절곡 플레이트(24)를 결합시키면 본 발명의 안쇄헤드 캡핑장치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에 대한 작용예와 작용효과를 첨부된 제1도 및 제3a도 내지 제4b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인쇄신호가 인가되면 잉크 카트리지(12)를 장착한 인쇄헤드 캐리지(14)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샤프트(16)를 따라 이송되어 인쇄헤드(12a)가 기록표면을 향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샤프트(16)는 수평방향으로 곧게 뻗어 있으므로 인쇄헤드 캐리어(14)는 왕복수평이동만이 가능하며 이 왕복수평이동으로 잉크제트 인쇄헤드는 소정의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인쇄헤드는 도시돼지 않은 인쇄헤드 케이블을 통하여 프린트판에 구비된 제어기로부터 공급되는 인쇄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인쇄헤드의 가동범위는 크게 나누어 인쇄구간과 인쇄대기구간으로 구분되는데 일반적으로 최대의 기록용지가 테이블상에 놓여졌을 때 문자나 화상이 인쇄되는 구간을 대략 인쇄구간이라고 할 수 있으며 그 바깥을 인쇄대기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인쇄헤드 캡핑장치는 이러한 인쇄대기구간내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잉크제트 프린터의 헤드 캡핑장치는 인쇄헤드 캐리어(14)가 인쇄구간에서 인쇄작업을 수행하다가 인쇄대기구간으로 진입할 때와 인쇄대기구간에서 인쇄구간으로 진입할 때 작동하게 된다.
이하, 제3a도 내지 제4b도를 참조하면, 먼저 제4a도 및 제4b도는 인쇄헤드 캐리어(14)가 인쇄구간에서 인쇄작업을 수행하고 있을 때 본 발명의 인쇄헤드 캡핑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캐리어(100)는 브라켓트(66)를 가압하던 인쇄헤드 캐리어(14)가 제거되면 인장스프링(80)에 의하여 인쇄구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되며, 캡 캐리어(100)의 가이드 핀(64)은 단차형 슬롯트(36)를 따라 아래로 슬라이드하여 러버 캡(71)을 하강시켜 인쇄헤드(12a)를 노출시킨다.
이와 같은 인쇄상태에서 인쇄헤드 캐리어가 인쇄대기구간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바로 본 발명의 인쇄헤드 캡핑장치가 캡핑되는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를 제3a도 및 제3b도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작업이 완료되거나 전원이 OFF되면, 내장된 마이콤의 프로그램에 따라 인쇄헤드 캐리어(14)는 인쇄대기구간(화살표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본체(40)의 전방부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퍼(48)가 인쇄헤드(12a)에 잔존하는 잉크, 물방울 또는 노즐면에 붙어있는 먼지 등을 닦아내게 된다. 계속하여 인쇄헤드 캐리어(14)가 인쇄대기구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인쇄헤드 캐리어(14)의 측면부(15)가 캡 캐리어(100)의 브라켓트(66)를 가압하여 캡 캐리어(100)에 수평방향의 운동력이 가해지고, 가이드 핀(64)이 단차형 슬롯트의 경사부(35(를 따라 위로 슬라이드하게 되며, 이에 따라 캡 캐리지(100)가 상승하게 되어, 그 상부에 고정된 러버 캡(71)내로 잉크 카트리지(12)의 저면에 설치된 인쇄헤드(12a)가 안착되게 된다.
인쇄헤드(12a)가 러버 캡(71)에 안착된 상태로 인쇄헤드 캐리어(100)가 인쇄대기구간쪽으로 계속하여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 핀(64)이 단차형 슬롯트의 수평부(37)를 슬라이드하게 되어, 캡 홀더(73)의 후측벽의 외부로 돌출된 공기 유통로(74)의 입구가 스프링 밸브(50)의 상단 수직벽과 밀착되어 러버 캡(71)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완전히 밀폐된 상태가 된다. 이때 본체(40)와 캡 캐리지(100)사이에 탄설된 인장스프링(80)은 최대로 신장되어 강한 복원력을 갖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본 발명의 인쇄헤드 캡핑동작이 완료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캡핑상태에서는, 인쇄헤드의 노즐표면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므로 쉽게 건조해지지 않아 프린트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잉크가 응고되지 않고, 노즐이 막히는일이 없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캡핑상태에서 인쇄헤드 캐리어가 인쇄구간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인쇄헤드 캡핑 장치가 해제되는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를 제4a도 및 제4b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캐리어(100)의 브라켓트(66)를 가압하던 인쇄헤드 캐리어(14)가 인쇄구간쪽(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캡 캐리어(100)는 인장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으 받게 되므로 인쇄구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캡 캐리어(100)의 가이드 핀(64)은 단차형 슬롯트의 수평부(37)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되어, 공기 유통로(74)의 입구에 밀착되어 있던 스프링 밸브(50)를 분리시켜, 러버 캡(71)내로 공기가 유통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공기 유통로(74)가 개방됨으로써, 이후에 인쇄헤드(12a)와 러버 캡(71)이 분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진공형상을 배제시킴으로써, 러버 캡(71)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한다.
한편 카트리지 교환시 또는 일정기간이상 프린터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혹은 사용자가 인쇄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했을 때는 상기 공기 유통로(74)가 개방되기 직전에 러버 캡(71)내부와 연통되고 진공 유통로(74)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펌프(90)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제어수단을 통해 순간적으로 작동시켜, 잉크 카트리지(12)에 수용되어 있는 미량의 잉크를 인쇄헤드의 노즐표면(12a)으로 흡출하게 할 수 있다.
계속하여 캡 캐리지(100)가 인장스프링(80)에 의해 인쇄구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캡 캐리지(100)의 가이드 핀(64)은 단차형 슬롯트의 경사면(35)을 따라 아래로 슬라이드하게 되어, 상기 캡 캐리지의 상부에 일체로 고정된 러버 캡(71)을 하강시킴으로써 인쇄헤드(12a)에서 분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쇄헤드(12a)는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어 원활한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는 인쇄하지 않는 경우 즉, 전원을 넣지 않은 경우나 인쇄대기상태에서 노즐부위의 잉크가 마르지 않도록 인쇄헤드를 밀폐하는 캡핑장치로서, 노즐을 밀폐하는 러버 캡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 인쇄헤드 캐리어의 수평운동력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구동원이 요구되지 않으며, 구조적으로도 지극히 간단하여 제작과 수리보수가 용이하며, 공기 유통로를 설치하여 공기의 유통을 제어하여 밀폐성과 분리성을 더욱 좋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카트리지 교환시 또는 일정기간 이상 프린터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혹은 사용자가 인쇄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했을 때 인쇄헤드의 노즐면에 소량의 잉크를 흡출시킴으로써, 헤드표면이 잉크에 의해 막혔다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뚫어 줌으로써 인쇄불량을 방지하여 항상 양호한 인쇄를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상술된 본 발명은 오직 예시적인 목적으로 대표적인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변형예와 응용예를 실시할 수도 있으나, 그것은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규정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을 밝혀둔다.

Claims (3)

  1. 잉크 카트리지(12)를 탈착가능하게 지지하고 이송하는 인쇄헤드 캐리어(14)와 인쇄헤드 캐리어(14)를 수평왕복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샤프트(16)와 인쇄헤드 캐리어(14)를 구동시키기 위한 타이밍 벨트(18)와 구동모터(20) 및 구동기어(18a)와 인쇄될 종이가 안착되는 테이블(22)과 종이 이송수단 그리고 이들을 지지하는 프레임(10)으로 구성된 잉크제트 프린터에 있어서,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12a)를 둘러싸서 밀폐하는 밀폐수단(71)과, 사기 밀폐수단의 하부로 슬라이더(60)와 결합되는 결합수단(73)과, 상기 밀폐수단 내부와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결합수단에 형성된 공기 유통로(74) 및 진공 유통로(72)를 구비한 캡(70)과; 상기 캡(70)과 결합되는 결합수단(62)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인쇄헤드 캐리어(14)의 운동력을 슬라이드에 전달하는 전달수단(66)과, 상기 운동력에 의해 가이드 슬롯트(36)내를 슬라이드하는 가이드 핀(64)과, 상기 인쇄헤드 캐리어의 운동력에 대항하는 스프링수단(80) 및 그것을 탄설하기 위한 걸림편(69)이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60)와; 상기 슬라이더(60)가 슬라이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측벽(34)과, 상기 측벽(34)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핀(64)이 슬라이드되는 단차형 슬롯트(36)와, 상기 슬라이더(60)가 상승된 후 상기 공기 유통로(72)를 밀폐하기 위한 밸브수단(50)과, 인장스프링(80)을 탄설하기 위해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편(49)과, 프린터 프레임(1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32)이 일체로 형성된 본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트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60)가 하강되기전에 밀폐수단(71)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량의 잉크를 유출하도록 상기 진공 유통로(72)와 연통되는 진공펌프(9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헤드 캡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캡(71)이 인쇄헤드의 노즐면을 밀폐하기전에 인쇄헤드의 표면을 닦아내도록 본체의 훅크(48a)에 결합되는 와이퍼(48)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헤드 캡핑장치.
KR1019950014294A 1995-05-31 1995-05-31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 KR0152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294A KR0152591B1 (ko) 1995-05-31 1995-05-31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294A KR0152591B1 (ko) 1995-05-31 1995-05-31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661A KR960040661A (ko) 1996-12-17
KR0152591B1 true KR0152591B1 (ko) 1998-12-01

Family

ID=1941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294A KR0152591B1 (ko) 1995-05-31 1995-05-31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5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770B1 (ko) * 2009-03-24 2011-06-20 주식회사 디지아이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헤드의 캡핑장치
CN103042833A (zh) * 2013-01-09 2013-04-17 郑州新世纪数码打印科技有限公司 宽幅喷墨打印机上的双头墨栈升降装置
KR101939551B1 (ko) * 2018-09-03 2019-04-11 편장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KR20200104568A (ko) * 2019-02-27 2020-09-04 코스테크 주식회사 인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593B1 (ko) * 2005-09-07 2007-07-06 (주)에스티아이 잉크젯 프린터용 다기능 헤드 클리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770B1 (ko) * 2009-03-24 2011-06-20 주식회사 디지아이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헤드의 캡핑장치
CN103042833A (zh) * 2013-01-09 2013-04-17 郑州新世纪数码打印科技有限公司 宽幅喷墨打印机上的双头墨栈升降装置
CN103042833B (zh) * 2013-01-09 2015-10-14 郑州新世纪数码打印科技有限公司 宽幅喷墨打印机上的双头墨栈升降装置
KR101939551B1 (ko) * 2018-09-03 2019-04-11 편장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
KR20200104568A (ko) * 2019-02-27 2020-09-04 코스테크 주식회사 인쇄장치
US11780228B2 (en) 2019-02-27 2023-10-10 Kostech, Inc.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661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2439B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discharge recovery apparatus used in said apparatus
US5548310A (en) Automatic positioning of wiper blades in an ink jet printer maintenance station
EP0788884B1 (en) Ink-jet recording device
KR100526492B1 (ko) 정비 장치, 정비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
EP0630754B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20020060711A1 (en) Ink jet printer provided with maintenance system
KR960005182B1 (ko) 잉크제트기록헤드의 토출회복방법 및 그 실시장치
KR970064937A (ko) 잉크제트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US20020080206A1 (en) Ink jet cap with vent
KR0152591B1 (ko)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장치
US4682184A (en) Suction recovering device for an ink jet printer and ink jet printer having the same device
US20010052914A1 (en) Service station device for ink-jet printer
US5381168A (en) Suction-purging unit and suction purging method for an ink jet printer
JP3191490B2 (ja) 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2000141691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KR0170528B1 (ko)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 장치
KR100280726B1 (ko) 화상형성장치의 잉크분사노즐 메인티넌스장치
JPH071704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0141675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1018417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GB2315710A (en) Controlled suction of ink jet recording head
JP3675214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3565111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569483Y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03234638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