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552B1 -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샴푸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552B1
KR0152552B1 KR1019950030191A KR19950030191A KR0152552B1 KR 0152552 B1 KR0152552 B1 KR 0152552B1 KR 1019950030191 A KR1019950030191 A KR 1019950030191A KR 19950030191 A KR19950030191 A KR 19950030191A KR 0152552 B1 KR0152552 B1 KR 015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xyethylene
siloxane
shampoo composition
hair
e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751A (ko
Inventor
강계홍
이철구
정한일
Original Assignee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이능희
Priority to KR1019950030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552B1/ko
Publication of KR97001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며, 이 조성물은 합성 계면활성제 10% 내지 70%, 실리콘 에멀젼 0.1% 내지 10% 및 잔여량의 물을 함유하고, 상기 실리콘 에멀젼은 7-20미크론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종래의 샴푸 조성물에 비하여 컨디셔닝 효과, 빗질용이성, 모발유연성의 제 특성에 있어서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샴푸 조성물
본 발명은 불용성이고 비휘발성인 실리콘을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크기의 실리콘 에멀젼 입자를 함유하여 모발 상태를 더욱 부드럽게 하여 손질을 용이하게 하는 개량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두피는 신진대사에 의해 분비되는 땀과 피지에 의해 더럽혀진다. 또한, 현대 산업화 사회에서는 각종 공해로 인한 먼지와 외부 자극에 의해서 더욱 두발이 불결하게 느껴지고 외양도 좋지 못하다. 따라서 두발이 더렵혀지면 부득이 정기적으로 자주 샴푸해야 하며, 특히 예전과는 달리 생활수준이 향상된 현대사회에서는 거의 매일 같이 샴푸를 하는 습관이 생기게 되었다. 통상의 샴푸조성물로 두발을 샴푸하면 오물 및 피지가 제거되어 청결해지기는 하지만, 그 정도가 과다하여 샴푸과정 중에 두발이 젖고 엉기며, 손질하기 힘든 상태가 된다. 또한, 세정력 위주로 개발되어 매일 같이 두발에 샴푸를 할 경우 두발에 손상을 가져오는 등의 부작용도 생기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에는 샴푸후에 헤어린스나 헤어트리트먼트를 사용하는 방법 내지는 샴푸에 두발 컨디셔닝제를 함유시키는 방법등이 있다. 그러나, 샴푸 후에 헤어린스나 헤어트리트먼트를 사용하는 것 샴푸와는 별도의 단계로 사용해야 하고, 또 헤어린스나 헤어트리트먼트를 장시간 두발에 남겨 둔 후 신선한 물로 세정해야 하는 등 사용이 불편하여, 상술한 문제점의 해결안으로서는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샴푸 조성물에 두발 컨디셔닝제를 함유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여러 종류의 두발 컨디셔닝제가 알려져 있으나, 여러가지 이유로 해서 완전히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즉, 우수한 컨디셔닝제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두발 컨디셔닝제로 함유시킨 컨디셔닝 샴푸들이 HEWITT의 미합중국 특허 제 3,849,348호 ; GERSTEIN의 미합중국 특허 제3,990,991호;SATO의 미합중국 특허 제3,822,312호;및 유럽특허 제 18,717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우수한 세정제인 음이온 계면활성제와의 혼화성이 나쁘고 종종 모발에 찌꺼기를 남기므로 건조된 모발이 산뜻하지 않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두발 컨디셔닝제가 수용성이기 때문에 모발 세정시 내수성이 약하여 물에 의해 쉽게 제거되고 두발에서의 컨디셔닝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있다.
한편, 당해 분야에는 샴푸 매트릭스에 포함된 불용성이고 비휘발성인 실리콘이 다공성의 손상된 모발에 흡착되어 모발 표면의 난반사를 없애 모발의 광택을 올려주고 정전기 발생을 억제시켜 모발을 차분히 정돈시켜 부드럽고 매끄럽게 해주는 우수한 컨디셔닝제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최근들어 이러한 실리콘을 컨디셔닝제로 함유한 샴푸제품들이 많이 출하되고 있으며 여러가지 다른 출판물에 기술되어 있다.(미합중국 특허 제 2826551호 ; 미합중국 특허 제 3964500호 ; 미합중국 특허 제 4864837호 ; 미합중국 특허 제 4341799호 ; 미합중국특허 제 4465619호 ; 미합중국 특허 제 4741855호 ; 미합중국 특허 제 4788006호 ; 미합중국 특허 제 4842850호 ; 영국특허 제 2177108호 ; 영국 특허 제 2178443호 ; 유럽 특허 제 208533호 ; 유럽 특허 제 285388호 ; 유럽 특허 제 285389호 ; 일본국 특허 62077311호 ; 일본국 특허 62210022호 ; 일본국 특허 1013013호)
그러나, 당해 분야에 널리 주지된 실리콘상이 분산되어 있는 샴푸 조성물도 역시 샴푸 후의 문제를 경감시키는 문제에 대하여 완전히 만족스러운 해결방안은 아니다. 한가지 미해결된 문제점은 만족할만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는 실리콘을 모발에 대하여 고르게 많은 양을 흡착시켜야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비휘발성 실리콘을 7-20미크론의 특정 크기로 에멀젼시킨 것을 샴푸베이스에 첨가시킴으로써, 실리콘이 모발에 대해 고르게 흡착됨과 동시에 그 흡착량이 증대되어 우수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에 대한 실리콘의 흡착이 고르게 이루어지고, 많은 양이 흡착되도록 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발의 빗질용이성, 매끄러움, 부드러움 등과 같은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한 샴푸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 계면활성제 10% 내지 70%, 실리콘 에멀젼 0.1% 내지 10%, 및 잔여량의 물을 함유하고, 상기 실리콘 에멀젼은 7-20미크론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하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의 퍼센트 및 비는 모두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합성 계면활성제 약 10% 내지 약 70%, 7-20미크론의 실리콘 에멀젼 약 0.1% 내지 약 10%, 잔여량의 물을 함유하는 샴푸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a) 합성 계면활성제 약 10% 내지 약 70% ;
(b) 비휘발성 실리콘 약 40% 내지 약 60%,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 약 10% 내지 약 20%, 비이온 계면활성제 약 1% 내지 약 10%, 물 약 49% 내지 약 10%로 이루어지고, 크기가 7-20미크론인 실리콘 에멀젼 약 0.1% 내지 약 10% ; 및
(c) 잔여량의 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분 및 임의 성분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필수 성분 및 임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계면활성제]
본 조성물의 필수 성분은 합성 계면활성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합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떤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중량의 약 10%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0% 농도로 함유시킨다.
합성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로써, 각각 일반식 (Ⅰ) 및 (Ⅱ)로 표시된다.
상기 식중, R은 탄소수 약 10 내지 약 22의 알킬기이며, n은 1 내지 4이고, M은 암모늄, 나트륨, 칼륨,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수용성 양이온 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이들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약 10개 내지 약 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암모늄 알킬 설페이트, 소디움 알킬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알킬 설페이트 및 3몰의 에톡시기를 암모늄 알킬에테르 설페이트, 소디움 알킬에테르 설페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설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에서 R의 탄소수는 약 12 내지 약 16이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알콜을 에틸렌 옥사이드와 반응시킨 후 황산화 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알콜은 지방, 예를 들어 야자유 또는 우지로부터 유도할 수 있거나 합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야자유로부터 유도된 라우릴 알콜 및 직쇄 알콜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콜을 에틸렌 옥사이드 약 1 내지 약 4, 특히 3몰과 반응시키고, 예를 들어 알콜 몰당 에틸렌 옥사이드 평균 3몰을 갖는 분자종의 생성 혼합물을 황산화시키고 중화시킨다. 이들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인 및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으로써, 각각 하기 일반식(Ⅲ) 및 (Ⅳ)로 표시된다.
상기 식중, R1은 탄소수 약 8 내지 약 18의 알킬기이며, R2CO는 탄소수 약 8 내지 약 18의 알콕시기이다. 이들의 대표적인 예로는 코코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 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 디메틸 알파-카복시에틸 베타인, 세틸 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합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알카놀 아미드 및 알킬 옥사이드로써, 각각 하기 일반식 (Ⅴ) 및 (Ⅵ)으로 표시된다.
식중, R1은 탄소수 약 8 내지 약 18의 알킬기이고, R2및 R3는 탄소수 약 1 내지 약 3의 알킬기이며, R4CO는 탄소수 약 8 내지 약 16의 알콕시기이고, n은 0 또는 1이다. 이들의 대표적인 예로는 라우릴 디에틸 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계면활성제들은 본 발명의 샴푸조성물에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에멀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콘 에멀젼은 비휘발성 실리콘 약 40% 내지 약 60%를 소수성 부분이 유사한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 약 10% 내지 약 20%와 비이온 계면활성제 약 1% 내지 약 10%를 이용하여 가열 용해시키고, 물 약 49% 내지 약 10%도 가열하여 첨가하면서 고성능 전단 혼합기를 이용하여 7-20미크론의 크기로 에멀젼시킨 것으로 샴푸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휘발성 실리콘은 폴리알킬 실록산, 폴리알킬아릴 실록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샴푸 베이스내에서 용해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알킬 실록산은 25℃에서 점도가 약 5 내지 약 100,000센티스톡(centistock)인 폴리디메틸 실록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록산은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너럴 일렉트릭 컴퍼니(General Electric Company)로부터 비스카실(Viscail) 시리즈로서, 다우 코닝(Dow Corning)으로부터 다우 코닝 200(Dow Corning 200) 시리즈로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유용한 폴리디메틸 실록산은 분자량이 약 200,000 내지 약 700,000인 고분자 실리콘 검(GUM)으로 Spitzer의 미합중국 특히 제 4,152,416호, 케미스트리 앤드 테크날러지 오브 실리콘(Chemistry and Technology of Silicones, NEW YORK ; Academic Press 1968) 등에 기술되어 있으며 두 문헌 모두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알킬아릴 실록산은 25℃에서 점도가 약 15 내지 약 65센티스톡(Centistock)인 폴리디메틸페닐 실록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록산은 제네랄 일렉트릭 컴파니(General Electric Company)로부터 SF 1075 메틸 페닐 유체로서, 또는 다우 코닝(Dow corning)으로부터 553, 556 화장품급 유체로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는 일반식(Ⅶ)로 표시한다.
상기 식중, X는 약 1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0의 정수이고, Y는 약 1 내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0의 정수이며,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부가 몰수 비율인 a : b가 100-20 : 0-80인 디메티콘 코폴리올이다.
본 발명에서 실리콘 에멀젼의 제조에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등이 있다.
[물]
물은 본 발명의 마지막 필수 성분이며, 샴푸조성물의 마지막 부분을 형성한다. 이는 통상 약 20% 내지 약 80%,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60%의 양으로 존재한다.
[임의 성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임의 성분으로서는 샴푸로서의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임의 성분에는 진주박 보조제, 방부제, 점증제 및 점도 조절제, pH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 컨디셔닝제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진주박 보제제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 이소치아졸리논과 메틸 이소치아졸리논이 혼합물과 같은 방부제 ;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레 글리콜과 같은 점증제 및 점도 조절제 ; 구연산, 인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과 같은 pH 조절제 ;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7, 가수분해 동물단백질과 같은 모발 컨디셔닝제 ; 수용성 타르와 같은 염료가 사용되며, 또한 향료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5]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예시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표 1의 A성분을 평량하여 75℃까지 가열 용해시키고 동시에 표 1의 B성분을 칭량한 후 75℃까지 가열하여 A성분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B성분 혼합물을 투입하여 실리콘 에멀젼 입자가 7-20미크론이 될때까지 고성능 전단 혼합기를 사용하여 전단 혼합한다.
이어서 표 2의 성분을 차례로 혼합하여 75℃까지 가열 용해시켜 샴푸베이스를 제조한 후, 상기에서 제조한 7-20미크론의 실리콘 에멀젼을 약 0.1% 내지 약 10%로 서서히 첨가하면서 혼합하여 제조한다. 여기서 제조한 샴푸를 각각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 4, 실시예 5라 칭한다.
1. 다우 코닝 포코레이션(Dow Corning Corporation)의 폴리디메틸 실록산
2.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oration)의 폴리디메틸 실록산
3. 제네랄 일렉트릭 컴파니(General Elecric Company)의 폴리알킬아릴 실록산
4. 폴리옥시에틸렌(Polyoxyethylene)
[비교예 1-2]
비교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처방을 이용하되 단 실리콘 에멀젼의 입자크기가 7미크론이하이고, 비교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처방을 사용하되 단 실리콘 에멀젼의 입자크기가 20-55미크론의 범위에 들도록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컨디셔닝효과 비교실험]
남녀 각 30명씩 60명을 선정하여 2일에 1회씩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2이 제품을 각 2주간씩 총 8주간 사용한 후 각 제품에 대한 컨디셔닝 효과를 하기의 평가 기준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예 2 : 빗질용이성 및 모발유연성 비교실험]
똑같은 모발 표본 3개를 물로 세정한 후 완전히 말린 후 항온항습실에서 인스트론 테스터(Instron Tester)로 각 모발표본의 앤드피이크(end peak)를 측정하고, 이어서 측정한 모발 표본을 다시 실시예 1 및 비교예 1-2의 제품으로 세정한 후 완전히 말린 후 항온항습실에서 인스트론 테스터(Instron Tester)로 각 모발표본의 앤드피이크(end peak)를 측정하여 빗질용이성 및 모발유연성의 개선정도를 비교한다.
이 실험에서는 음의 값이 클수록 개선된 정도가 크게 되어 빗질용이성 및 모발유연성이 더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표 3 및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컨디셔닝 효과, 빗질용이성, 모발유연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매우 우수함이 입증된다.

Claims (7)

  1. 합성 계면활성제 10% 내지 70%, 실리콘 에멀젼 0.1% 내지 10% 및 잔여량의 물을 함유하고, 상기 실리콘 에멀젼은 7-20미크론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에멀젼은 비휘발성 실리콘 40% 내지 60%,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 10% 내지 20%, 비이온 계면활성제 1% 내지 10%, 물 10% 내지 4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비휘발성 실리콘은 폴리알킬 실록산 또는 폴리알킬아릴 실록산의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폴리알킬 실록산은 25℃에서 점도가 약 5 내지 약 100,000 센티스톡인 폴리디메틸 실록산, 또는 분자량이 약 200,000 내지 약 700,000인 고분자 실리콘 검(GUM),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폴리알킬아릴 실록산은 25℃에서 점도가 약 15 내지 약 65 센티스톡인 폴리디메틸페닐 실록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는 일반식
    으로 표시되며, X는 약 1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30의 정수이고, Y는 약 1 내지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0의 정수이며,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부가 몰수 비율인 a : b가 100-20 : 0-80인 디메티콘 코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KR1019950030191A 1995-09-15 1995-09-15 샴푸 조성물 KR015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191A KR0152552B1 (ko) 1995-09-15 1995-09-15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191A KR0152552B1 (ko) 1995-09-15 1995-09-15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751A KR970014751A (ko) 1997-04-28
KR0152552B1 true KR0152552B1 (ko) 1998-10-15

Family

ID=1942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191A KR0152552B1 (ko) 1995-09-15 1995-09-15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811B1 (ko) * 2006-06-28 2008-01-28 (주)펠코리아티엘씨 발모촉진 및 탈모 방지용 샴푸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746A (ko) * 1999-10-27 2001-05-15 민선호 흡착능력이 우수한 실리콘 에멀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811B1 (ko) * 2006-06-28 2008-01-28 (주)펠코리아티엘씨 발모촉진 및 탈모 방지용 샴푸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751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89712B1 (en) Hair care compositions
US4479893A (en) Shampoo composition containing phosphoric acid ester and organic silicon derivative
EP0486135B1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
CA1265748A (en) Shampoo compositions
CA2107077C (en) Hair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s with silicone conditioning agent
US4933176A (en) Clear shampoo compositions
KR920001458B1 (ko) 헤어 컨디셔너
KR100264305B1 (ko) 거품 발생량이 많은 스타일링 샴푸
CS124591A3 (en) Hair conditioning preparation
JPH04364111A (ja) 水性シャンプー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る美髪処理方法
GB2155788A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JPS6056916A (ja) 頭髪処理組成物
JPH11507079A (ja) コンディショニングシャンプー組成物
EP0285389B1 (en) Shampoo compositions
JP2857822B2 (ja) 洗浄剤組成物
US5554313A (en)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insoluble, nonvolatile silicone
JPH021804B2 (ko)
JP2975644B2 (ja) 真珠光沢の繊維コンディショニング
CA1258636A (en) Low ph hair conditioner compositions containing amine oxides
KR0152552B1 (ko) 샴푸 조성물
JP2004131423A (ja) 化粧料
JPH0687721A (ja) 毛髪化粧料
GB2178443A (en) Hair shampoo compositions
AU623588B2 (en) Shampoo compositions
KR101042734B1 (ko)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