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401B1 - 착색 또는 착색되지 않은 평탄 유리, 플레이트 유리 또는 평탄화된 유리의 박판 및, 이로부터 획득된 제품의 내측 각도를 베벨가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착색 또는 착색되지 않은 평탄 유리, 플레이트 유리 또는 평탄화된 유리의 박판 및, 이로부터 획득된 제품의 내측 각도를 베벨가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401B1
KR0151401B1 KR1019900005474A KR900005474A KR0151401B1 KR 0151401 B1 KR0151401 B1 KR 0151401B1 KR 1019900005474 A KR1019900005474 A KR 1019900005474A KR 900005474 A KR900005474 A KR 900005474A KR 0151401 B1 KR0151401 B1 KR 015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angle
glass
bisector
to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850A (ko
Inventor
보본 루이기
Original Assignee
보본 루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본 루이기 filed Critical 보본 루이기
Publication of KR900015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2Grind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plate g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9Sheets or webs edge spliced or joined
    • Y10T428/192Sheets or webs coplanar
    • Y10T428/195Beveled, stepped, or skived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착색 또는 착색되지 않은 평탄 유리, 플레이트 유리 또는 평탄화된 유리와 박판 및, 이로부터 획득된 제품의 내측 각도를 베벨가공하는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내측 각도(AI) 및 베벨(bevel) 가공면(102)를 지닌 박판(L)의 부분적인 사시도.
제2도는 두 개의 내측 각도(AIA) 및 베벨 가공면(102A)을 지닌 형상화 유리 박판(LA)의 평면도.
제3도는 두 개의 내측 각도(AIA) 및 베벨 가공면(102B)을 지닌 형상학 유리 박판(LB)의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적인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6도는 본 장치의 작동 헤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단순한 도시를 위해 일부가 생략되어 제6도의 Ⅶ-Ⅶ선상에서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화살표(Ⅷ)방향에서 취한(일부가 제거된)개략도.
제9도는 베벨공구의 위치 및 박판용 지지 휘일이 취할 수 있는 두 개의 선택적인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제10도는 베벨 공구의 경사각 조절용 수단을 도시하는 제7도에 해당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선상에서 취한 만곡 안내부를 통하는 단면도.
제12도는 작동헤드의 수직 이동 및 회전용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길이방향의 절반 단면도.
제13도는 부분적으로 도시된 박판의 내측 각도를 베벨가공할 때 베벨공구의 궤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명도.
제14도는 베벨공구의 상이한 궤적을 도시하는 제13과 유사한 평면도.
제15도는 박판이 내측 각도의 장점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베벨공구 및 박판의 개략도.
제16도는 베벨 각도 조절용 수단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드 5, 7 : 슬라이드
8 : 헤드 10 : 피봇
11 : 견부 23 : 외측 부재
26 : 공구 29 : 내측부재
30, 31 : 안내부 34 : 플레이트
35 : 조립체 35b : 노브
40 : 공압실린더 42 : 피스톤
49 : 롤러 L : 박판
S : 공구 하부면 S1 : 전동부
AI, AIA, AIB : 내측각
본 발명은 평탄한 유리의 박판 플레이트 유리 또는 평판화된 유리의 각도를 베벨가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로부터 획득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유리 박판을 베벨가공하는데는 다소 복잡한 생산 장비상에 장착된(그라인딩 휘일(Grinding wheel) 및 버퍼(buffer)등과 같은 회전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베벨가공은 박판의 직선 측부 또는 만곡 측부상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소위 내측각, 즉 박판의 근접한 두 모서리 사이의 각도가 박판으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될때의 각도를 베벨가공하는 방법에는 아직도 만족스러운 것이 없다. 상기의 내측 각도의 예는 첨부된 도면의 제1도, 제2도 및 3도에 도시되어 있다.
명세적으로, 제1도가 베벨가공면(102)을 지닌 박판(l)의 부분적인 사시도이며, 이 박판은 이것으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된 내측 각도(AI)를 지니며 (XA)에 의해 지시된 정점을 지닌다.
제2도는 (102A)에서 베벨가공된 형상화 박판(LA)의 평면도이며 외측으로 개방된 두 개의 내측 각도(AIA)를 지닌다.
제3도는 (102B)에서 베벨가공된 형상화 유리 박판의 평면도이며, 두 개의 내측 각도(AIB)를 지닌다.
이러한 형태의 박판에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균열이나 칩(CHIP)을 발생시키지 않고 내측 작도의 정점(XA)을 적절히 마무리 하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이러한 문제는 보통 특수한 장비를 가지고 작업하는 고도로 숙련된 기능자에 의해 수행된 최종 마무리작업으로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구동되는 회전 공구를 사용하여, 착색또는 착색되지 않는 평탄 유리, 평판화 유리 또는 플레이트 유리의 박판의 내측 각도를 베벨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회전공구에 의해 결과된 내측 각도의 정점(vertex)은 상업적인 요건을 충족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 기계 또는 장치에 의한 작업에 적절한, 착색 또는 착색되지 않는 평판유리, 평판화 유리 또는 플레이트 유리의 박판의 내측 각도를 베벨 가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소한 하나의 베벨가공된 내측 각도를 지닌, 착색 또는 착색되지 않은 평탄한 유리, 평판화 유리 또는 플레이트 유리의, 최소한 부분적으로 주위가 베벨가공된 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후에 주어진 상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자명해지는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필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으로 특징지워지는 방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공구를 박판의 내측 각도의 이등분선에 평행하게 움직이고 거의 상기 이등분선상에 위치한 상기 공구의 작용 부분으로, 처음에는 이등분선의 한 측부를, 이후에는 다른 측부를 회전공구의 적절한 경사각 및 베벨 각도로서 평탄한 유리, 평탄화 유리 또는 플레이트 유리 박판의 내측 각도의 내측 각도의 정점이 베벨 가공되는 것이 그 특징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이등분선이라는 용어는 평탄각도의 경우에서와 같은 순수한 의미에서의 직선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자체적으로 이면체(dihedron), 즉 두 개의 평면사이의 각도인 내측 각도를 이분하는 평면을 가르킨다.
제4도 내지 제16도에서 참조번호(1)는 전체적인 장치를 지시한다. 본 장치는, 상부에 함께 연결된 4개의 코너 직립재(3), 직립재 쌍들에 의해 지지된 2개의 평행 안내부(4), Y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부(4)에 의해 지지된 제1의 슬라이드(5), 제1의 슬라이드(5)에 의해 지지된 2개의 평행 안내부(6) 및, 상기 Y방향에 직각인 X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부(6)에 의해 지지된 제2의 슬라이드(7)등을 포함한다.
공지된 구동수단이 상기 언급된 2개의 방향에서의 운동용으로 제공된다. 이들 수단은 제5도에서(R1) 및 (S1)으로 지시되고, 모터수단으로 작동되는 랙(rack), 순환 볼(circulating ball)또는 체인 전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제1의 슬라이드(5)상에 장착된 수단(M)만을 볼 수 있으며 이 수단의 목적은 슬라이드(7)을 X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전동부(S1)를 작동하는 것이다.
슬라이드(7)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작동헤드(8)를 지지한다.
a) 상기의(X) 및 (Y)방향에 직각인 수직의 축(Z)에 대한 회전.
b) 수직의 운동, 즉 Z방향으로의 운동.
이러한 운동들은 공지된 적절한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다.
가능한 하나의 방법이 제12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는 헤드(8)가 중심의 피봇(10) 및 원형의 견부(shoulder, 11)를 지니고, 이것에 의해 프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 14)을 경유하여 슬리이브(13)의 내측 플렌지(12)상에 안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리이브(13)는 외측의 길이방향 홈(15)을 포함하며, 돌출부(16)가 이 홈안으로 들어가서 슬리이브의 축 운동을 제외한 회전을 방지한다. 돌출부는 슬라이드(7)의 구조와 고정되어 있다. 슬리이브(13)는 번호(16A)에서 나사화 되어있다.
이러한 나사화로서, 슬라이드(7)의 지지부(18)내에 축상으로 고정되지만 회전 지지되는 너트 나사와 연결된다. 너트 나사(17)는 워엄 기어(20)와 연계된 헬리컬 기어(19)와 연관되며, 상기 워엄기어는 슬라이드(7)내에 지지된 도시되지 않은 가역 모터로 구동된다. 따라서 너트 나사(13)의 회전은 z방향으로의 헤드(8)운동을 초래한다. 피봇(10)과 함께 고정된 헬리컬 기어(21)는 워엄기어(22)와 연계되며, 상기 워엄기어는 슬리이브(13)의 상부 외측플렌지(23A)에 의해 지지된 도시되지 않은 가역 모터 수단으로 구동된다.
(제6도 및 7도의) 피봇(13)의 하단부에서 헤드(8)는 역전된 U자형 부재(23)를 포함한다. 우너형의 아크 형상인 두 개의 각주 안내부(24, 25)가 상이한 높이에서 상기 동체(23)의 평행한 아암에 고정됨으로써, 아크의 곡률 중심은 축이 수직으로 될 때 베벨공구(bevelling tool, 26)의 같은 전방 직경(A)상에 도달하게 된다. 본 예에서의 공구는 컵 그라운드용 휘일로서 도시된다.
안내부(24, 25)상에는 보완적인 각주형(prismatic)안내부(27, 28)가 안착되며, 이 안내부들을 외측에서 제2의 U자형 부재(29)의 평행한 측부와 고정된다. 제2부재(29)는 제1부재에 의해 내측으로 지지된다. 제11도는 각주형 안내부 및 이들이 공조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상세한 단면도이다.
따라서 내측 부재는 외측 부재(23)에 의해 지지되어 공구의 축이 수직일 때 직경(A)에 대해 회전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안내부(24, 25)의 단부에 고정된 가동 정지부는 공지되는 안내부보다는 큰 각도를 통해 연장되어 내측 부재(28)의 각 운동을 제안한다.
부재(29)의 단부벽(29A)상에는 제11도에 도시된 안내부(24, 25)와 유사한 2개의 원형 아크 형상인 각주 안내부(30, 31)가 제공되며 이것에 대한 설명이 다음에 주어진다. 안내부(30, 31)의 곡률 베벨공구(26)의 직경상 축(B)에 있다.
축(B)은 상기 언급된 축(A)에 대해 직각이다.
각주 안내부(30, 31)와 함께(제11도의 안내부(27, 28)와 유사하며)플레이트(34)와 고정된 원형의 아크 형상인 해당 각주 안내부(32, 33)가 공조하며, 플레이트는 공구(26)를 유지하는 종래의 회전 조립체(35)를 지지한다. 조립체는 공지된 방식으로 전기 모터를 포함하여 스핀들(35a)을 구동하며, 공구(26)는 이 스핀들에 제거 가능하게끔 고정된다. 스핀들(35a)은 노브(knob, 35b)또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 제어에 의해 길이 방향에서 수동 및 마이크로 메터 단위로 운동 할 수 있다. 조립체(35)는 이것의 축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방식으로 플레이트(34)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 유익하다. 이러한 것은 예를 들면 조립체(35)를 슬라이드 상에 위치시킴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라이드는 예를 들면 플레이트(34)에 제공된 끼워맞춤 형상의 안내부에 미끄러질 수 있게 끔 장착된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드는 종래의 수동으로 작동되는 리드 나사 및 너트 조립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외측 부재(23)내에서 내측부재(29)를 각 운동시키려면 제10도에 도시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운동은 공구(26)의 경사각도를 설정한다.
문제의 장치는 이중 작용의 공압 액튜에이터(70)을 포함아여, 이것의 실린더는 부호(71)에서 외측 부재(23)에 피봇되고 반면에 이것의 로드는 부호(72)에서 내측 부재(29)에 대해 피봇된다.
장치는 또한 외측부재(23)상에서 핑거 또는 돌출부(73)를 포함한다.
액튜에이터(70)의 작용하에서 핑거(73)는 조절가능한 정지부(74, 75)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접촉 상태로 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정지부들은 안내부(75a)에서 (방향 R로)미끄럼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끼워맞춤 연결(dovertail engagement)에 의해서 장착된다. 안내부(75)는 부재(23)의 벽면(23a)에 고정된다. 한 방향의 절반 및 다른 방향의 절반에서 나사화된 워엄기어(76)는 정지부의 베이스에 제공된 해당 나사화 구멍에 연계된다. 노브(77)가 워엄기어(76)를 회전시키도록 사용되어 정지부들이 서로로부터 이탈되거나 접근된다.
베벨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내측 부재(29)에 대해 조립체(35)를 움직이려면 제16도의 메카니즘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너트 나사(201)가 부호(200)에서 플레이트(34)에 피봇된다.
노브 또는 핸드휘일(203)과 고정된 나사(202)는 너트 나사와 연계된다. 너트나사(201)로부터 이격된 단부에서 나사(202)는 지지부(204)내에 회전될 수 있게 장착되지만 축상으로는 고정되며 이 지지부는 부호(205)에서 내측 부재(29)에 대해 피봇된다.
나사(202)를 회전시킬 때 조립체(35)는 접촉 안내부(23, 33)를 경유하여 원형의 안내부(30, 31)를 따라 운동한다.
외측 부재(23)의 한 측면 외측에는 2개의 공압실린더(40)가 고정된다.
각각의 실린더는 로드(41)에 의해 횡단된다. 로드는 상대 실린더내에 배치된 피스톤(42)에 연결된다. 로드는 두 개의 플레이트(43a, 44)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두 개의 플레이트는 로드(43)를 회전 지지한다. 로드(43)는 이중 작용의 공압 액튜에이터 실린더(45)에 의해 두 개의 단부 위치로 회전되며, 상기 실린더는 로드의 상단부에 고정된 레버(46)상에 작용한다. 실린더(45)는 부호(47)에서 상부 플레이트(44)에 피봇된다. 로드(43)는 저부에서 브랫킷(48)을 유지하며 이것은 단부에서 아이들 롤러(49)를 수직에 대해 경사지게 지지한다.
로드(41)는 상단부에서 경사진 연장부(50)와 고정된다.
이들 연장부의 상단부는 지지부(51)와 고정되며, 압축된 공기가 화살표(K)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은 피스톤(42)아래의 실린더(40)로 공급될 때 지지부는(슬라이드(7)의 형성 부분인)플레이트(53)의 저면에 반해 베어링 롤러(52)를 유지한다.
전술된 것으로부터 자명한 바와같이, 롤러(49)의 목적은 베벨용 공구(26)가 작용하는 (제6도의)박판(l)아래에서 자체적으로 위치를 잡아 작동중에 박판용의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한 바와 같은 특수한 구성 때문에, 베벨 공구(26) 또는 헤드(8)의 Z축을 따른 이후의 운동 없이도 롤러는 박판의 하부측면에 접촉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공구(26)가 박판에서 대해 하향(또는 상향)으로 운동한다면, 베어링 롤러(49)는 박판과의 접촉위치를 유지한다. 이는 롤러(49)와 헤드(8)사이의 연결이 피스톤(42)의 하부면(42A)과 실린더(40)의 하부벽(40A) 사이의 공기 쿠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이며, 이러한 공기 쿠션은 (헤드(8)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조차도)피스톤(42)에 상향으로 작용하여 롤러(52)를 플레이트(53)와 접촉상태로 유지시킴으로서 롤러(49)를 위치에 유지한다.
베벨공구(26)가 박판에 작용하기 이전에, 실린더(40)내 압력은 롤러(49)를 박판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수준으로 감소된다. 실린더(40)내 압력은 이후에 증가되어 롤러(49)를 박판에 적용시킨다. 가공을 시작하기 이전에 박판(L)은 거의 평탄한 지지부(6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이것은 본 장치의 베드(1)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것이다. 지지부는 관(61)을 경유하여(도시되지 않은)진공원으로 연결되며, 관은 지지부(60)의 상부면내로 개방됨으로서 박판(l)이 상기 표면상에 확고히 유지될 수 있다. 전기한 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러한 표면은 박판(L)보다 작은 면적을 지님으로써,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 가공을 받는 박판(L)의 모서리가 상기 표면을 지나 자유로이 돌출한다.
설명된 장치에 의해 일어나는 다양한 운동은 박판 윤곽의 형상 및 두께등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한 이후에, 미리 결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수치제어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된다.
박판은 (제6도 및 4도에서와 같이) 지지부(60)상에 안착되어 클램프된다.
가동 정지부(74, 75)는 공구의 경사각을 설정하도록 조절됨으로써 외측부재(23)에 대한 내측 부재(29)의 각도 위치가 설정되며 이러한 위치는 액튜에이터(70)를 작동함으로써 고정된다.
필요한 베벨각도에 해당하는 내측 부재에 재한 조립체(35)의 각도 위치는 나사(202)에 의해 설정되며, 이 나사는 조립체(35)를 유지하는 플레이트(34)상에 위치한 너트나사(201)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두 개의 각도 운동의 효과는, 예를들어 수평면(X,Y)에 평행한 위치로부터, 이것의 직경의 하나와 상기 평면상의 돌출부사이의 각도가 획득될 각도와 동일하며, 선행된 직경에 직각인 직경과 상기 평면상의 돌출부 사이의 각도가 경사각도와 같아지는 경사위치(skew position)로 베벨 공구(26)가 통과되게 한다.
(X-Y 평면으로 간주될 수 있는)박판(L)에 대해 공구(26)가 위치된 것이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다.
베벨 가공을 받는(제13도의)박판(L)은 내측 각도(AI)을 지닌다. 이 각도의 이등분선은 KB에 의해 지시된다.
평면도인 제13도에서 베벨 공구(26)는 단순화를 위해 점선으로 표시된 원으로 나타나지만 정확하게는 타원으로서 표시되어야만 한다.
원은(제4도, 7도에서와 같이)공구(26)의 하부면(S)의 윤곽을 나타낸다. 하부면(S)은(컵 그라인드용 휘일과 같은)공구의 작용축을 나타낸다.
내측 각도(SI)를 베벨 가공하려면 회전공구(26)가 (PI)의 위치에 있고 이것의 하부면(S)의 하부 윤곽은 이등분선(KB)에 접선이어야 한다. 이등분선에 접선으로 유지되는 중에 공구는 이등분선(KB)에 평행하게 화살표(C)의 방향으로 운동한다.
작용 롤러(49)는 박판(L)밀을 통과하여, 공구(26)가 예를 들어 (제9도의)부호(FF)에서 작용하는 지점에서 박판을 지지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의 롤러는 실린더(40)의 제어하에 제한된 수직의 운동을 받을 수 있어서, 롤러가 박판의 예리한 하부 모서리와 접촉하여 급속히 마모되지 않으면서 박판의 아래를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박판과 접촉하게 되는 공구(26)는 제15도에 도시된 궤적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궤적(trajectory)은 z축에 따른 수직의 성분(R1) 및 X-Y평면내의 수평 성분(R2)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조밀하게 사선이 그려진 삼각형 부분이 제거된다.
공구(20)가 이것을 제거했을때는 위치(P4)에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공구는 화살표(D)의 방향으로 자체에 대해 평행하게 운동하며, 상기 방향은 내측 각도(AI)의 축부(V)에 평행한 방향이다. 이러한 운동중에 베벨이 상기 측부상에서 형성된다. 이후에 위치(P5)에 도달하면, 즉 외측 각도의 정점에 도달하면 공구는(Z축에 관해 헤드(8)를 회전시킴으로써) 운동하여 근접한 축부(M)를 베벨가공한다.
내측 각도의 측부(V) 및 정점(XA)의 설명된 가공에 있어서, 베벨 각도는 측부(V)에 직각인 직경(W)상에 설정되는 반면에, 경사각도는(W)에 직각인 직경(WW)상에 설정된 것을 주지해야 한다. 박판(L)윤곽의 베벨가공은 공구(26)가 측부(MM)의 단부에 도달할때까지 진행된다. 공구는 이러한 위치로부터 위치(P1/1)으로 되돌아가서 다시 이등분선(KB)에 접선방향이 되지만 이것의 반대편 축선상에 오게 된다.
이러한 이동중에 헤드(8)는 (Z축에 관해)회전함으로서 공구(26)의 직경(W) 및 측부(WW) 는 각기 위치(W1) 및 (WW1)로 이동한다. 지지롤러(49)는 위치(F1F1)으로 이동한다.
공구는 이후에 위치(P2/1, P3/1, P4/1)로 이동하며, 이동안에 이등분선(KB)에 대해 접선을 유지함으로서, 위치(P1)으로부터 시작되는 운동과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과정에 의해 정점(XA)의 다른 측부를 베벨가공한다. 이후에 공구(26)는 자체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여 내측각(AI)의 측부(VV)를 베벨가공하고 위치(P5/1)로 이동한다.
만약 전체적인 내측 각도(AI)가 이러한 각도의 외측에서 베벨가공되기 전에 베벨가공된다면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이 P1 → P2 → P3 → P4 → P5 → P1/1 → P2/1 → P3/1 → P4/1 → P5/1의 순으로 인쇄된다.
제14도의 수정예에서 공구(26)는 P*1으로부터 시작된다.
공구가 p*2에 도달하였을 때 이것은 p*3까지 점진적으로 강하하며, 이동안에는 항상 작용부분(S)이 이등분선(KB1)에 대해 평행하고 이것에 접선으로 유지된다.
이후에 자체에 대해 평행하게 내측각(AI*)의 측부(V)를 따라 이동하여 위치(P*4)에 도달한다. 위치(P*4)로부터 측부(M*)를 따라 진행함으로써 베벨 가공을 계속하여 위치(P*4/1)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후에 위치(P*1/1, P*2/1, P*3/1) 및 다시 위치(P*4/1)로 이동하며, 또는 선택적으로 위치(P*4)로부터 위치(P*1/1)로 이동하여 이후에 위치(P*2/1, P*3/1 및 P*4/1)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만약 제거되어야할 박판의 분량 때문에 베벨가공이 1회이상의 통과를 필요로 한다면 작동은 필요한 회수로 반복되지만 항상 내측 정점에서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베벨 가공은 일반적으로 (처음에는 그라인드용 휘일이고 이후에는 버퍼인)상이한 회전 공구의 연속적인 사용을 필요로 하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내측 각도의 및 마무리 작업에서 모든 상이한 공구용으로 사용된다.

Claims (16)

  1. 내측각도(AI)의 정점(XA)이 자체 축에 관해 회전하는 공구 또는 공구들(26)의 할당된 경사(rake) 및 베벨(bevel)각도로서 베벨가공되고, 이러한 가공은 상기 각도의 이등분선(KB)에 평행한 공구 또는 공구들을 이동시켜써, 상기 이등분선에 거의 접선인 공구 또는 공구들의 작용 부분 또는 대부분의 외측 부분으로써 처음에는 이등분선의 한 측부를, 이후에는 다른 한 측부를 베벨가공하는 것으로 특징지워지는, 회전 공구를 사용한 착색 또는 착색되지 않은 평탄유리, 플레이트 유리 또는 평판화 유리 박판의 내측 각도 베벨 가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공구 또는 공구들(26)이 이등분선(KB)에 평행하게 이동하는데 있어서 상기 내측 각도 또는 이것의 이상적인 연장선내(제13도)에 있는 한 점에서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공구 또는 공구들(26)이 이등분선(KB)에 평행하게 이동하는데 박판(L)의 윤곽내(제14도)에 있는 한 점에서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박판(L)상에서 작동하는 공구 또는 공구들이 이등분선(KB)에 평행하게 이동하는데 있어 박판(L)의 평면에 수직인(상승 또는 하강의)이동 성분(R1, R2)을 지니는 것으로 특정지워지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박판(L)이 정지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박판(L)이 충분히 수평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공구 또는 공구들(26)이 3개의 상호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a)최소한 하나의 회전베벨 공구(26), b)상기 공구 회전용 수단(35), c)베벨 각도를 설정하도록 공구(26) 직경(B)에 대한 제1의 방향으로 각도에 따라 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동수단(35) 및 공구(26)를 지지하는 제1지지수단(29), d)경사각(rake angle)을 설정하도록 제1방향에 직각인 제2방향에서 각도에 따라 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1의 수단(29)을 지지하는 제2지지수단(23) 및, e)36개의 상호 직각인 방향(X, Y, Z)으로 운동할 수 있고 상기 방향(Z)의 하나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제2의 지지수단(23)을 지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워지는, 전기한 항들 중 하나의 항 또는 그 이상의 항에 따른 방법 수행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회전용 수단(35)과 함께 있는 회전 공구(26)는 원의 아크(arc)형상인 안내부(31-33)를 경유하여 제1지지 수단(29)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원의 중심은 공구(26)의 직경(B)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제1지지수단(29)은 원의 아크 형상이 안내부(24-28)를 경유하여 제2지지수단(23)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원의 중심은 공구의 축이 수직일 때 공구(26)의 제2직경(B)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박판(L)용 지지부(60)를 유지하는 베드(2)가 제공된 구조(1)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박판을 충분히 수평으로 지지하며 전공원으로의 연결에 의해 이를 유지하는 것으로 특징지워지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제2지지수단(23)은 슬라이드(7)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슬라이드(7)는 상기 제2지지수단(23)을 수직방향(z)으로 구동하고 또한 상기 수직방향 둘레로 구동하는 수단을 구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슬라이드(7)는 수단(5)상의 방향(X)에서 이동하게끔 장착되며 상기 수단(5)은 구조(1)에 의해 유지되어, 자체적으로 전기한 방향에 직각인 방향(4)에서 구조에 대해 자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박판은 베벨 가공중에 제2지지수단(23)과 관련되어 공압적인 연결부(40, 42)를 경유하여 아이들 휘일(idle wheel;49)에 의해 거의 일정한 위치에 유지되고, 제어 수단(45,46)에 의해 이동 종단위치로 운동할 수 있는 아암(48)상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공압적인 연결부(40,42)는 제2의 지지수단(23)과 고정된 최소한 하나의 실린더(40) 및 휘일(49)을 유지하는 아암(48)을 회전지지하고 마주보는 표면(53)에 반해 프레스되도록 배치된 직립 부재(41, 50)와 고정된 최소한 하나의 피스톤(42)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워지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실린더(40) 및 피스톤(42)은 피스톤(42)아래에 가변 체적의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00005474A 1989-04-19 1990-04-19 착색 또는 착색되지 않은 평탄 유리, 플레이트 유리 또는 평탄화된 유리의 박판 및, 이로부터 획득된 제품의 내측 각도를 베벨가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0151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0196A/89 1989-04-19
IT8920196A IT1229286B (it) 1989-04-19 1989-04-19 Metodo ed apparecchio per bisellare angoli interni di lastre di vetro, a cristallo o semicristallo, colorate o meno, e prodotto ottenut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850A KR900015850A (ko) 1990-11-10
KR0151401B1 true KR0151401B1 (ko) 1998-10-15

Family

ID=1116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474A KR0151401B1 (ko) 1989-04-19 1990-04-19 착색 또는 착색되지 않은 평탄 유리, 플레이트 유리 또는 평탄화된 유리의 박판 및, 이로부터 획득된 제품의 내측 각도를 베벨가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5099617A (ko)
EP (1) EP0393349B1 (ko)
JP (1) JPH0692063B2 (ko)
KR (1) KR0151401B1 (ko)
CN (1) CN1021729C (ko)
AT (1) ATE85547T1 (ko)
CA (1) CA2012599C (ko)
DE (1) DE69000888T2 (ko)
DK (1) DK0393349T3 (ko)
ES (1) ES2038853T3 (ko)
GR (1) GR3007065T3 (ko)
IT (1) IT12292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673B1 (ko) * 1991-04-24 1995-10-07 박경 사면폭유지와 판유리 모양감지를 겸할수 있는 롤러장치가 부착된 판유리 변형면취기
FR2703286B1 (fr) * 1993-04-02 1995-06-30 Rocamat Saone Rhone Procede d'usinage des chants de dalles de pierre et appareil le mettant en oeuvre.
US5807166A (en) * 1994-07-21 1998-09-15 Bando Kiko Co., Ltd. Glass-plate working machine
AU9509098A (en) * 1997-09-24 1999-04-12 Lockheed Martin Idaho Technologies Company Special configuration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IT1306259B1 (it) * 1998-06-04 2001-06-04 Tecnometal S R L Macchina utensile per la lavorazione di lastre di vetro e similari
US6200205B1 (en) * 1999-01-12 2001-03-13 Hing Yiu Lapping tool
IT1313872B1 (it) * 1999-11-12 2002-09-24 Bavelloni Z Spa Utensile di bisellatura per macchine per la lavorazione di lastre divetro.
US20050255296A1 (en) * 2004-05-11 2005-11-17 Robbins Edward S Iii Desk pad
KR100640257B1 (ko) 2005-07-16 2006-11-01 주식회사 티엔텍 글라스 연마장치
JP5020603B2 (ja) * 2006-11-15 2012-09-05 ショーダテクトロン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面取加工装置
JP5006011B2 (ja) * 2006-11-15 2012-08-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円板状基板の製造方法
US7796128B2 (en) * 2007-02-14 2010-09-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ally load balancing game physics using real-time object scaling
IT1393877B1 (it) * 2009-04-29 2012-05-11 Bottero Spa Gruppo rompispigolo per lo smusso di spigoli di lastre di vetro
CN102059613A (zh) * 2010-08-20 2011-05-18 富阳德迈机械有限公司 一种玻璃磨边机的玻璃倒角装置
WO2013187400A1 (ja) * 2012-06-13 2013-12-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加工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CN103111923A (zh) * 2013-03-08 2013-05-22 格拉斯曼机床(北京)有限公司 数控异形玻璃切割磨边加工中心设备
CN104476212B (zh) * 2014-10-27 2017-02-15 嘉兴职业技术学院 一种数控切割机中的切割系统
CN105014800B (zh) * 2015-07-08 2017-10-03 陈桂粦 自动打磨装置
US10180119B2 (en) 2015-07-31 2019-01-15 The Hydrogen Group, Inc. System and method of improving fuel efficiency in vehicles using HHO
CN109352470A (zh) * 2018-11-29 2019-02-19 李配灯 一种弧面抛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8617A (en) * 1977-12-31 1980-10-21 Bando Kiko Co., Ltd Method for grinding glass plates and the like through numerical control and beveling machine therefor
US4333288A (en) * 1979-10-03 1982-06-08 Coombs Donald W Beveled edge trim
DE3021359A1 (de) * 1980-06-06 1982-02-18 Ludolf 8400 Regensburg Stegher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arbeiten, vorzugsweise fraesen oder schleifen von kanten und radien an werkstuecken in einem arbeitsgang
IT1197649B (it) * 1983-05-11 1988-12-06 Siv Soc Italiana Vetro Macchina di molatura dei bordi di una lastra di vetro
US4814213A (en) * 1987-07-20 1989-03-21 Therma-Tru Corp. Bevelled glass assembly
KR910001987Y1 (ko) * 1988-08-12 1991-03-30 박경 판유리 변형 면취기
US4905425A (en) * 1988-09-30 1990-03-06 Shin-Etsu Handotai Company Limited Method for chamfering the notch of a notch-cut semiconductor wa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393349T3 (da) 1993-03-29
JPH02298460A (ja) 1990-12-10
CA2012599A1 (en) 1990-10-19
DE69000888D1 (de) 1993-03-25
CN1021729C (zh) 1993-08-04
JPH0692063B2 (ja) 1994-11-16
ATE85547T1 (de) 1993-02-15
IT1229286B (it) 1991-08-08
DE69000888T2 (de) 1993-07-08
CA2012599C (en) 1999-01-26
US5099617A (en) 1992-03-31
US5336537A (en) 1994-08-09
CN1046486A (zh) 1990-10-31
KR900015850A (ko) 1990-11-10
ES2038853T3 (es) 1993-08-01
IT8920196A0 (it) 1989-04-19
EP0393349A1 (en) 1990-10-24
GR3007065T3 (ko) 1993-07-30
EP0393349B1 (en) 199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401B1 (ko) 착색 또는 착색되지 않은 평탄 유리, 플레이트 유리 또는 평탄화된 유리의 박판 및, 이로부터 획득된 제품의 내측 각도를 베벨가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5217335A (en) Plastic lens generator and method
CN106626084A (zh) 一种钻孔切割两用仿形机
CN111618670A (zh) 可调节的麻花钻修磨装置
US4064657A (en) Machine for machining spiral cutting edges on cutting tools
CN216098172U (zh) 一种简易型打磨切割一体机
GB2141057A (en) Grinder
US3466807A (en) Device for machining irregularly curved surfaces
US3835528A (en) Sphere and angle turning attachment for milling machines
US2821813A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a paraboloidal body
US4163345A (en) Arrangement for the grinding of rotary profile cutters
CN209477319U (zh) 一种用于加工钢表壳的数控车床
JPH03149146A (ja) 自動彫刻盤
JPH08336746A (ja) ガラス板の数値制御研削機械
CN209036212U (zh) 异型小精密件研磨装置
JPH01135454A (ja) 研削盤の追従押え台
CN206733348U (zh) 一种钻孔切割两用仿形机
CN1718448A (zh) 一种雕刻机
GB2045663A (en) Machine for finish-machining the tooth flanks of toothed workpieces
CN110421447A (zh) 异型小精密件研磨装置
CN117086709B (zh) 一种高精度研磨抛光装置
CN108637277A (zh) 弯曲类工件表面高精度车削加工工艺及其加工设备
US4717293A (en) Method for chamfering the axially facing ends of toothed workpieces, a meshing engagement aid manufactured according to this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CN221018160U (zh) 一种高位槽上盖翻边成型设备
JPH0742126B2 (ja) ガラス板の数値制御切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