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237B1 -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237B1
KR0151237B1 KR1019940023734A KR19940023734A KR0151237B1 KR 0151237 B1 KR0151237 B1 KR 0151237B1 KR 1019940023734 A KR1019940023734 A KR 1019940023734A KR 19940023734 A KR19940023734 A KR 19940023734A KR 0151237 B1 KR0151237 B1 KR 0151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conduit
wheel
remote control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264A (ko
Inventor
피.야누스코 데이비드
제이.로찌노 쥬니어 프랑크
Original Assignee
허버트 케이. 지어포스
트라이엄프그룹홀딩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버트 케이. 지어포스, 트라이엄프그룹홀딩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허버트 케이. 지어포스
Publication of KR95001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46Mechanical actuating means for remote operation
    • F16K31/465Mechanical actuating means for remote operation by flexible transmission means, e.g. cable, chain, bowden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02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for conveying rotary mov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2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parts deformable to grip the cable or cables; Fastening means which engage a sleeve or the like fixed on the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8Fastenings for securing ends of driving-cables to one another, the fastenings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diameter as the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008Plural distinct articulation axes
    • Y10T403/32041Universal
    • Y10T403/32049Non-coplanar a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832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flexible drive connector [e.g., belt, chain, stran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02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74Rotatable rod, shaft, or post
    • Y10T74/2048Gear, drum, and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Flexible Shaft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휠 하우징(27)내에 설치된 구동기어휠(12)로 부터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종동휠 하우징(28)내에 설치된 종동기어휠(16)까지 전달해 주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양 기어휠(12)(16) 둘레를 따라 폐곡선을 이루며 팽팽히 감겨진 철심(18)을 매개하여 결합된 원격제어용 케이블조립체(10)에 관한것으로, 상기 철심(18)의 각각의 선단부(20)(22)에 결합된 제1및 제2선단부재(24)(26)와 선단부재(24)(26)를 연결하는 연굴구(38)가, 제1및 제2평행 피벗축선(42)(45)상에서 각각 수직 결합되어 축선회 할 수 있도록 된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철심을 도시하기 위해, 도관 및 휠하우징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부재와 연결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4a도는 연장된 철심선단이 개방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고 개방부 양단에는 장력조절너트가 구비되어 있는 제1도관의 측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상태에서 연결구가 설치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각각의 철심선단을 소정 간격만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제1도관의 측면도.
제4c도는 제4b도에 도시된 철심의 절단부가 선단부재의 소켓부에 삽입되도록 하기위해 철심에 감긴 나선형 와이어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제4d도는 연결구에 피벗결합되어 축선회할 수 있도록 된 선단부재에 제4c도의 철심선단이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제4e도는 부시와 축받이봉을 도시하기 위해, 개방부에 씌워지는 커버를 절단하여 나타낸 제1도관의 측면도.
제5도는 커버와 부시 및 축받이봉을 분리한 상태의 개방부를 도시한 제1도관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 12 : 구동기어휠
14 : 톱니 16 : 종동기어휠
18 : 철심 20,22 : 선단부
24 : 제1선단부재 26 : 제2선단부재
27 : 구동휠 하우징 28 : 종동휠 하우징
30 : 제1도관 32 : 제2도관
34 : 플렉시블 케이블 36 : 나선형 와이어
38 : 연결수단 40 : 제1체인링크
41 : 제1피벗핀 42 : 제1평행피벗축선
43 : 제2체인링크 44 : 제2피벗핀
45 : 제2평행피벗축선 46 : 제1선단
47 : 제2선단 48 : 중앙부재
52 : 제1커넥팅아암 54 : 제2커넥팅아암
58 : 소켓부 59 : 네크
60 : 제1철심안내관 62 : 제2철심안내관
64 : 제3철심안내관 66 : 제4철심안내관
68 : 유격 조절너트 70 : 나사산
72 : 제1내부층 74 : 제2내부층
76 : 제3내부층 78 : 최외곽층
80 : 개방부 82 : 제1플랜지
84 : 제2플랜지 86 : 커버
88 : 삽입관 90 : 결합관
92 : 도관체결너트 94 : U자형 부시
95 : 슬릿 96 : 축받이봉
98 : 요홈 100 : 원동기어
102 : 축 104 : 휠
106 : 장력조절너트 108 : 밸브
본 발명은 곡선통로를 따라 운동을 전달해 주는 원격제어용 케이블조립체의 전달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휠둘레에 폐곡선을 이루며 팽팽하게 걸린 철심을 매개로 하여 한쪽 휠로부터 발생된 회전운동을 다른 쪽 휠까지 전달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격제어기기는 운전자가 원격제어부에 의해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미국특허 제4,509,387호(Tschanz등 공동 양수인)로 공고된 바 있는 원격제어 조립체는 그러한 목적으로 선상(船上)에서 종종 사용되어 왔다. 상기의 쨘츠(Tschanz)원격제어 시스템은 구동기어휠 및 종동기어 휠과, 상기 휠 둘레에 폐곡선을 이루며 팽팽하게 걸린 채로 구동휠로부터 발생된 회전운동을 다른 쪽 휠까지 전달해주는 순환철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정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가 상기 철심에 구비되어 양휠의 기어와 맞물리게 되고, 이것은 상기 철심에 의해 두개의 휠이 연동될 수 있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철심은 몇몇 종류의 연결구를 사용하여 철심의 양단을 연결하므로써 이어지는데, 통상, 철심선단의 둘레에 오그라뜨려 붙인 단단한 연결관이 연결구로 사용된다. 철심산의 이 연결관은 보통, 휠 사이에서 앞뒤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철심이 휠에 감기어 연동될 때 마다 상기 연결관이 한쪽 휠의 기어톱니에 접촉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연결관이 강체로 되어 있으므로, 휠에 의해 결정된 구동반경에 수용될 수 없고, 이 연결관에 접촉되어 기어가 손상되거나 휠을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과 기어사이에 걸리게 된다.
이것은 철심과 휠의 전진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한다. 연결관이 기어휠과 하우징 사이에 끼어있을 경우, 연결관 자체가 손상되어 철심선단이 분리 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미국특허 제2,957,353호(Babacz등 공동 양수인)로 공고된 바 있는 연결구는 철심선단이 축선회할 수 있는 단일고정 피벗축을 갖는다. 이러한 형태의 연결구는 철심과 연결구가 꼬이게 되어 휠에 의해 결정된 구동반경에 수용될 수 없고, 따라서 철심과 연결구가 휠둘레를 이탈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철심선단을 연결하는 연결구가 기어휠과 휠하우징 사이에서 걸리지 않고, 철심이 양 휠간을 순환할 때 꼬이지 않는 원격밸브작동 조립체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곡선통로를 따라 운동을 전달해주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는, 다수의 기어톱니를 가지는 구동휠이 내장된 구동휠 하우징과, 다수의 기어톱니를 가지는 종동휠이 내장되고 상기 구동휠로부터 소정거리에 위치한 종동휠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가요성 운동전달철심은 선단부를 가지는 플렉시블 케이블과 이 케이블의 전길이에 걸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나선형으로 감겨진 와이어로 구성되되, 상기 철심은 구동 및 종동휠의 둘레에 폐곡선을 이루며 팽팽하게 감겨져 구동휠로부터 발생된 회전운동을 종동휠까지 전달해주며, 철심의 양선단부에 부착되는 제1및 제2선단부재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양 선단부재가 각각 수직교차하면서 축선회할 수 있도록 제1및 제2평행피벗축선상에 위치시키므로써, 상기 연결구와 선단부재를 수용하고 구동 및 종동휠 하우징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된 철심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연결구와, 선단부재와, 구동 및 종동휠의 둘레에 감겨진 상기 철심을 원상태대로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기본적인 형태를 갖는 운동전달원격제어용 케이블조립체(10)의 구성요소는: 방사상으로 확장된 다수의 기어톱니(14)를 갖는 구동기어휠(12)과, 방사상으로 확장된 다수의 기어톱니(14)를 갖는 구동기어휠(12)과, 방사상으로 확장된 다수의 기어톱니(14)를 갖고 상기 구동휠(12)로부터 소정거리에 위치한 종동기어휠(16)과, 선단부(20)(22)를 가지며 유연성운동을 전달해주는 철심(18)과, 상기 철심(18)의 각 선단부(20)(22)에 구비된 제1및 제2선단부재(24)(2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철심(18)은 구동 및 종동휠(12)(16)의 둘레에 폐곡선을 이루며 팽팽하게 감겨져 구동휠(12)로부터 발생된 회전운동을 종동휠(16)까지 전달해주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는, 구동휠(12)을 수용하는 구동휠하우징(27)과, 종동휠(16)을 수용하는 종동휠하우징(28), 그리고 상기 구동휠하우징(27)과 종동휠하우징(28)사이에 확장되어 철심(18)이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도관(30)(32)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철심(18)을 다수의 긴 철사로 꼬아 만든 와이어(36)를 플렉시블 케이블(34)에 나선형으로 감아서 된 것이다. 이것은 당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있고 유용하게 사용되는 이상적인 나선형권취 와이어이다. 와이어(36)가 플렉시블 케이블(34)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지되, 상기 케이블(34)의 전길이에 걸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나선형으로 권취된 와이어(36)가 구동 및 종동휠(12)(16)둘레에 형성된 톱니(14)에 맞물릴 수 있도록 케이블(34) 전 길이에 걸쳐 방사상의 돌기를 형성하므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철심(18)이 긴밀하게 맞물려 구동휠(12)로부터 종동휠(16)까지 회전운동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조립체(10)는 철심(18)의 선단부(20)(22)에 부착되는 각각의 선단부재(24)(26)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구(38)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연결구(38)는 제1선단(46)과 제2선단(47)을 가지는 제1체인링크(40)와, 제1체인링크(40)의 제1 및 제2선단(46)(47)을 관통하는 제1평행피벗축선(42)상에 위치한 제1피벗핀(41)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구(38)는 제1선단(46)과 제2선단(47)을 가지는 제2체인링크(43)와, 제2체인링크(43)의 제1 및 제2선단(46)(47)을 관통하는 제2평행피벗축선(45)상에 위치한 제2피벗핀(44)도 포함된다.
중앙부재(48)는 제1 및 제2체인링크(40)(43)의 제1선단(46)이 축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하되, 상기 제1피벗핀(41) 및 제1평행피벗축선(42)이 제2피벗핀(44) 및 제2평행피벗축선(45)과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한다. 선단부재(24)(26)와 각각의 선단부재(24)(26)에 결합되는 선단부(20)(22)가 제1 및 제2평행피벗축선(42)(45)과 제1 및 제2피벗핀(41)(44)을 축으로 회전하게되어, 상기 연결구(38)와 선단부재(24)(26)를 수용하고 구동 및 종동휠하우징(26)(28)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된 철심(18)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연결구(38)와, 선단부재(24)(26)와, 구동및종동휠(12)(16)의 둘레에 감겨진 상기 철심(18)을 원상태로대로 유지시켜준다. 즉, 철심(18)이 작동중에 꼬이더라고 제1체인링크(40)및 이에 대응하는 제1피벗핀(41)이나 또는, 제2체인링크(43) 및 이에 대응하는 제2피벗핀(44)중 어느 한쪽은, 구동 및 종동휠하우징(26)(28)내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구동 및 종동휠(12)(16)에 설치하므로써 그 구동반경이 결정되는 철심(18)과, 연결구(38)와, 선단부재(24)(26)에 의해서 적어도 두개의 평행피벗축선(42)(45)에 대해 축선회되는 철심선단부(20)(22)를 수용한다.
제1 및 제2체인링크(40)(43)는 자전거에 사용되는 체인, 또는 모스(Morse)가 미국특허 제2,737,822호로 제시한 체인의 형태를 따른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38)는 적어도,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한 제1 및 제2피벗핀(41)(44)을 구비한 한쌍의 링크(40)와 다른 한쌍의 링크(43)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및 제2피벗핀(41)(44)은 체인링크(40)(43)에 대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고 있다. 중앙부재(48)에는 제1커넥팅아암(52)과, 제1커넥팅아암(52)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제2커넥팅아암(54)이 구비되어있다. 상기 아암(52)(54)은 체인링크(40)(43)의 제1선단(46)에 축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1 및 제2체인링크(40)(43)와 이에 상응하는 제1 및 제2피벗핀(41)(44)이 하나만 구비된 연결구(38)를 도시하였으나, 모스(Morse)가 미국특허 제2,737,822호로 제시한, 즉 다른길이를 갖는 2개의 로울러체인을 구비하기 위하여 상기핀(41)(44)의 양단을 접합시켜 연결된 제1 및 제2체인링크(40)(43)와 제1 및 제2피벗핀(41)(44)에 있어서, 상기 요소 모두를 추가시키거나 또는 어느 한쪽만을 추가시킨 상태로 연결구(38)를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및 제2선단부재(24)(26)의 소켓부(58)에 철심(18)의 선단부(20)(22)를 연결하기 위해, 주름을 잡거나 또는 납땜을 하게되며, 혹은 두가지 방법을 병행하는 등의 상투적인 결합수단을 사용한다. 또한, 제1 및 제2선단부재(24)(26)에는, 그 소켓부(58)로부터 돌출된 네크(59)가 형성되어 있다. 네크(59)는 제1 및 제2선단부재(24)(26)를 축선회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체인링크(40)(43)의 제2선단(47)쪽에 연결시켜준다. 따라서 제1 및 제2체인링크(40)(43)의 각 피벗핀(41)(44)은 철심(18)의 선단부(20)(22)가 선회할 수 있는 다수의 축(42)(45)을 구성한다.
구동휠하우징(27)은 구동휠(12)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다. 구동휠하우징(27)은 일반적으로 두개이상의 금속재 부품(예를들면, 적어도 상·하한벌)으로 되어있으며, 휠(12)둘레에 밀폐공간을 갖도록 해준다. 구동휠하우징(27)에는 구동휠(12)에 접하도록 구동휠하우징(27)을 관통하여 뻗어있는 제1철심 안내관(60)과 제2철심 안내관(62)이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관(60)(62)은 실질적으로 철심(18)과 선단부재(24)(26)와 연결구(38)를 수용하는 도관과같은 작용을 하며, 철심(18)과 선단부재(24)(26)와 연결구(38)가 상기 하우징(27)내에서 구동휠(12)둘레를 따라 통과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종동휠하우징(28)은 종동휠(16)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다. 종동휠하우징(28)도 최소한 2개의 잘맞는 부품으로 되어있어 종동휠(16) 둘레에 밀폐공간을 갖도록 해준다. 종동휠하우징(28)에는 종동휠(16)에 접하도록 종동휠하우징(28)을 관통하여 뻗어있는 제3철심 안내관(64)과 제4철심 안내관(66)이 같은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도관(30)은 제1 및 제3철심 안내관(60)(64)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제2도관(32)은 제2 및 제4철심안내관(62)(66)사이에 연장되어 있어, 철심(18)과 선단부재(24)(26)와 연결구(38)가 제1도관(30)및 제1철심 안내관(60)내부를 지나 구동휠(12) 둘레를 따라 돌고, 제2철심안내관(62)과 제2도관(32)및 제4철심안내관(66)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지나 종동휠(16) 둘레를 통과한 후에, 제3철심안내관(64)을 통해 다시 제1도관(30)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관(30)(32)이 각각의 하우징(27)(28)과 맞물려 있도록 상기도관(30)(32)의 양단에, 유격조절너트(68)를 배치할 수 있는 플랜지(미도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7)(28)에 설치된 상기 안내관(60)(62)(64)(66)에는 그 표면에 나사산(70)이 형성되어 있어 이 나사산에 유격조절너트(68)가 끼워져서 상기 도관(30)(32)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각의 도관(30)(32)은 일반적으로 원료형태가 다른 4개층의 동심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내부층(72)은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라이너(polytetraflouroethylene liner): 제2내부층(74)은 상기 라이너 둘레에 감긴 고 장력(高張力)의 스틸와이어(steel wire): 제3내부층(76)은 제2내부층과 교차하도록 권취된 스틸 와이어: 그리고 최외곽층(78)은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외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다시말해서, 이들 각층은 관모양을 갖는 4개의 동심상의 껍질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이미 텔레홀렉스의 원격조정용 밸브 작동 시스템(Teleflex remote mechanical valve actuator system)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도관이다.
제1도관(30)은 철심(18)의 선단이 접근하는 반경상의 단락을 갖는 개방부(80)를 포함한다. 즉, 제1도관(30)은 개방부(80)를 결정하는 두개의 분리된 도관으로 구성된다. 제1도관(30)에는 개방부(80)의 일측선단에 배치된 제1플랜지(82)와 상기 개방부(80)의 타측 선단에 배치된 제2플랜지(84)가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관(30)의 절단부 어느쪽에든 배치된 제1 및 제2플랜지(82)(84)가 개방부(80)를 형성하며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제1도관(30)에는 개방부(80)를 덮어주는 커버(86)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86)에는 제1선단 및 제2선단을 가지는 삽입관(88)이 포함되고, 이 삽입관(88)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도관(30)을 따라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개방부(80)를 덮어준다. 또한, 커버(80)에는 삽입관(88)의 나사산에 맞물려 결합되는 결합관(90)도 포함된다. 이 결합관(90)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관(88)에 대응하여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관(88)과 결합관(90)이 맞물려 서로 결합되어 있을때, 제1도관(30)의 제1 및 제2플랜지(82)(84)에 삽입관(88)이 제1 및 제2선단이 인접하게되고 상기 삽입관(88)의 제1 및 제2선단에 각각 맞물리는 도관체결 너트(92)로 상기 커버(86)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상기 커버(86)에는, 그 아래에 제1,2플랜지(82)(84)사이에 있는 철심(18)을 연장하여 덮고 있는 U자형부시(9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부시(94)에는 제1,2플랜지(82)(84)사이에 그 자신의 길이만큼 슬릿(95)이 구비되어있다.
상기 부시(94)는 일반적으로 축받이용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부시(94)가 철심(18)에 삽입될 때 철심(18)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U자형 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86)에는 상기 부시(94)의 개방부(95)나 슬릿(95)안에 배치되는 축받이봉(96)이 구비된다. 상기 축받이봉(96)과 상기부시(94)는 제1도관(30)상에 있는 플랜지(82)(84)사이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를 유지하며, 개방부(80)의 최소크기를 유지한다.
구동휠(12)에는 휠상에 방사상 간격을 둔 다수의 기어톱니(14)가 구비되고, 상기 톱니(14)는 각자에 대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구동휠(12)을 통과하는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구동휠(16)에는 구동휠(16)주변에 방사상으로, 또한 환형으로 형성된 요홈(98)이 구비된다. 상기 요홈(98)에는 일정간격을 둔 다수의 요홈톱니(14)가 구비되어, 철심(18)상에 나선상으로 감겨진 와이어(36)에 의하여 형성된 방사상 돌기부와 맞물려지게 된다.
상기 조립체(10)에는 구동휠하우징(27)내의 구동휠(12)상에 있는 톱니(14)와 맞물려지는 원동기어(100)가 구비되어 구동휠(12)을 구동한다. 상기 구동휠(12)상의 톱니(1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심(18)상에 있는 나선형으로 감겨진 와이어(86)에 의해 형성된 돌기부와 원동기어(100)상의 톱니에 동시에 맞물려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조립체(10)에는 구동휠하우징(27)을 통하여 원동기어(100)에까지 연장되고, 원동기어(100)와 동일축선상에 부착되는 축(102)이 구비되며, 상기 축(102)에는 구동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축(102)과 원동기어(100)를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수단에는 원동기어(100)로부터 반대쪽 축(102)상에 동일축선상으로 배열된 휠(104)이 구비된다.
지금까지 묘사된 조립체(10)는 미국특허 제4,509,387호에 나타난 조립체와 거의 동일하며, 그것에 관한 설명은 여기에 참고적으로 설명되었다. 본 발명과, 종래의 원격조정되는 기계식 밸브작동기(Remote mechanical valve actuator)간의 중요한 차이점은 연결구(38)의 향상에 있다.
제4a도 내지 제4e도는 본 발명을 조립하기 위한 다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포함되었다. 처음에는, 철심(18)의 선단부(20)는 제1도관(30)상에 개방부(80)속으로 끼워지고 구동휠하우징(27)을 향하여 제1도관(30)을 따라 미끄러진다. 상기 철심(18)은 제1안내관(60)을 통과하여 구동휠(12)과 접촉한다. 상기 철심(18)은 구동휠(12)주위로 끌어당겨지고 제2안내관(62)을 통과하여 제2도관(32)속으로 당겨진다. 이 과정에서 철심(18)을 끌어당기기 위하여 구동휠(12)이 회전된다. 상기 철심(18)은 제2도간(32)을 따라 미끄러져 종동휠하우징(28)에 있는 제3안내관(64)을 통과한다. 상기 철심(18)은 구동휠(16)주위로 끌어당겨져 구동휠하우징(28)과 제4안내관(66)을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종동휠 주위에 철심(18)을 끌어당기기 위해 종동휠(16)을 회전시킨다. 상기 철심(18)은 개방부(80)를 향하여 제1도관(30)을 미끄러져 선단부(20)가 개방부(80)로 되돌아 나온다.
철심(18)의 두 선단부(20)(22)가 제1도관(30)상에 있는 개방부(80)로부터 밀려나올 수 있도록 상기 철심을 휠(12)(16)주위로 감은 후에, 상기 철심(18)의 선단부(20)(22)는 제1,2선단부재(24)(26)와 연결구(38)에 부착된다. 이 과정은 여러단계가 필요하다. 처음에는, 장력조절너트(106)가 개방부(80)의 각 측면상에 있는 제1,2플랜지(82)(84)에 접하게 될 때까지, 철심(18)의 양선단부(20)(22)에 있는 장력조절너트(106)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철심(18)은 팽팽하게 된다. 장력조절너트(106)가 상기 플랜지(82)(84)에 접한 후에 상기 장력조절너트(106)를 돌려서 철심이 늘어지지 않도록 조절한다. 상기 철심의 선단부는 정확한 길이로 조정되는데, 이 길이는 상기 철심(18)이 미리 결정된 장력으로 팽팽해진 후, 상기 철심의 선단부가 1과 5/8인치(또는 연결구(38)의 최대길이에 부합되는 길이)의 간격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된 길이로 제한된다. 다음에, 선단부재(24)(26)의 소켓부(58)가 크림프(crimp)되어 납땜이 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철심(18)의 각 선단부(20)(22)로 부터 나선형와이어(36)의 세그먼트(segment)가 제거된다.
상기 나선형 와이어는(36)는 다음에 언급되는 방법으로 제거된다. 상기 나선형 와이어(36)는, 와이어를 제거하기위한 세그먼트길이에 따라 첫번째 절단이 행해지고, 상기 케이블(34)주위에 거의 180°간격을 둔 동일 세그먼트를 따라 두번째 절단이 행하여져 철심케이블(34)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절단은 나선형 와이어(36)에 대해서만 행해지며 나선형 와이어(36)가 감겨진 케이블(34)에 대해서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상기 두번재 절단은 나선형 와이어(36)가 다수의 곡선형태의 조각들로 제거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34)상에 남아있는 나선형 와이어(36)의 선단은 상기 케이블(34)에 납땜된다. 이것은 나선형 와이어(36)가 상기 철심(18)에 고정되어, 와이어(36)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블(34)로부터 나선형 와이어(36)가 제거되는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상기 투컷(two-cut)방법이 가장 좋다.
상기 나선형 와이어(36)는 철심(18)의 선단(20)(22)으로부터 제거되므로, 상기 선단부재(24)(26)는 한쌍의 피벗핀(41)(44)을 사용하여 체인링크(40)(43) 각각에 대하여 축성회할 수 있게 연결된다. 철심(18)의 벗겨진 선단부(20)(22)는 선단부재(24)(26)의 소켓부(58)안에 놓여지고, 이 소켓부(58)는 선단부(20)(22) 주위에 크림프(crimp)된다. 상기 벗겨진 선단부(20)(22)는 크림프(crimp)된 소켓부(58)에 고정된다.
장력조절너트(106)는 그 다음에 제거된다. 상기 장력조절너트(106)은 분할너트이며, 이는 두개의 반쪽으로 구성됨을 의미하므로 상기 너트(106)은 철심(18)주위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장력조절너트(106)가 각각의 조각들로 분할될 수 없다면, 상기 너트(106)는 제거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납땜에 의한 거친 표면을 줄을 사용하여 다듬는다. 그리고나서 그리스윤활유가 상기 연결구(38)와 선단부재(24)(26) 및 철심(18)주위에 공급된다.
다음에, 축방향슬릿(95)을 갖는 부시(94)는 제1,2플랜지(82)(84)사이에 제1도관(30)의 개방부(80)안에 놓여지며 철심(18)을 덮고있다. 상기 부시(94)는 U자형을 이루고, 부시의 슬릿(95)은 철심(18)이 꼭 맞게 부시를 통과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부시(94)는 철심(18)을 덮을 수 있도록 개방부(80)에 놓여지므로, 축받이봉(36)은 제1도관(30)의 제1,2플랜지(82)(84) 사이에 있는 부시의 슬릿(95)을 따라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제1도관(30)상의 개방부(80)가 닫힌다. 이것은 삽입관(88)과 결합관(90)을 상기도관(30)을 따라 밀어넣어 상기 삽입관과 결합관이 개방부(80)위에서 서로 만나게 하므로써 성취된다. 상기 삽입관(88)은 도관체결 너트(92)가 개방부(80)의 각 측면상의 플랜지(82)(84)와 만날때까지 결합관(90)으로 끼워넣는다.
작동에 있어서, 밸브(108)는 휠(104)을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먼거리에서 제어된다. 상기 축(102)는 휠(10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원동기어(100)는 상기 축(10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고, 상기 원동기어(100)는 구동휠(12)을 회전시키며 구동휠(12)은 운동을 철심(18)으로 전달해준다. 그리고 철심(18)은 종동휠(16)로 운동을 전달해준다. 상기 종동휠(16)은 종동휠(16)의 회전력이 밸브(108)를 열거나 닫도록 하기위하여 상기 밸브(108)에 연결된다.
연결구(38)는 검사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은 제1도관(30)상의 개방부(80)를 덮고있는 커버(86)를 제거함에 의해 성취된다. 즉, 부시(94)와 축받이봉(96)을 제거하고 연결구(38)가 개방부(80)안에서 다시 보일 수 있을 때까지 철심(18)을 어떤 한 방향이나 다른 쪽 방향으로 손으로 급송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예를들어 묘사되었다. 그리고 상기 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제한을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명백히, 많은 변형된 것과 개량된 것이 위에서 설명된 관점에서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참고숫자는 단지 편리를 위한 것이며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특별히 위에서 묘사된 것 외에는 다른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6)

  1. 다수의 톱니(14)를 갖는 구동기어휠(12)이 내장되는 구동휠하우징(27); 다수의 톱니(14)를 갖는 종동기어휠(16)이 내장되고 상기 구동휠 하우징(27)으로부터 소정거리에 위치하는 종동휠하우징(28); 선단부(20)(22)를 갖는 플랙시블 케이블(34)과,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케이블(34)의 전길이에 걸쳐 나선형으로 권취된 와이어(36)로 이루어지고, 상기 톱니(14)와 맞물리면서 상기 구동휠(12)과 종동휠(16)에 감겨지며, 상기 구동휠(12)로부터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종동휠(16)로 전달하는 가요성운동전달철심(18); 및 상기 철심(18)의 각 선단부(20)(22)에 부착된 제1,2선단부재(24)(26)로 구성되어, 폐곡선을 이루며 일정장력을 갖는 시스템으로, 곡선통로를 따라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운동전달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에 있어서, 제1평행피벗축선(42)과, 상기 제1평행피벗축선(42)에 수직한 제2평행피벗축선(45)상에서 제1,2선단부재(24)(26)가 각각 축선회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연결수단(38)이 포함되므로써, 상기 연결수단(38)과 선단부재(24)(26) 및 철심(18)이 상기 철심(18)의 설치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구동 및 종동휠(12)(16)에 감겨져서, 상기 구동 및 종동휠하우징(27)(28)내를 통과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8)은, 제1,2선단(46)(47)을 갖는 제1체인링크(40)와, 상기 다수의 제1평행피벗축선(42)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체인링크(40)의 제1,2선단(46)(47)을 통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제1피벗핀(41)과, 제1,2선단(46)(47)을 갖는 제2체인링크(43)와, 다수의 제2평행피벗축선(45)을 제한하기위하여 상기 제2체인링크(43)의 제1,2선단(46)(47)을 통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제2피벗핀(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38)은 상기 제1,2체인링크(40)(43)의 제1선단(46)이 축선회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제1피벗핀(41)이 제2피벗핀(44)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중앙부재(4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선단부재(24)(26)는 상기 철심(18) 각각의 선단부(20)(22)에 부착되는 소켓부(58)와, 상기 소켓부(58)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2체인링크(40)(43)의 제2선단(47)에 대해 제1,2선단부재(24)(26)가 축선회하도록 연결된 네크(5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하우징(27)은 상기 구동휠(12)의 접선상에서 상기 구동휠하우징(27)내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1철심안내관(60)과, 상기 제1철심안내관(60)과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고, 상기 구동휠(12)의 전선상에서 상기 구동휠하우징(27)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2철심안내관(6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휠하우징(28)은 상기 종동휠(16)의 접선상에서 상기 종동휠하우징(28)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3철심안내관(64)과, 상기 제3철심안내관(64)과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고, 상기 종동휠(16)의 접선상에서 상기 종동휠하우징(28)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제4철심안내관(6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철심(18)이 제1도관(30) 및 제1철심안내관(60) 내부와, 구동휠하우징(27) 및 구동기어휠(12)사이를 통과하고, 제2철심안내관(62)과 제2도관(32) 및 제4철심안내관(66)내부와, 종동휠하우징(28) 및 종동기어휠(16)사이와, 제3철심안내관(64)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다시 제1도관(30)안으로 되돌아오는 순환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철심안내관(60) 및 제3철심안내관(64)사이를 이어주는 제1도관(30)과, 제2철심안내관(62) 및 제4철심안내관(66)사이를 이어주는 제2도관(3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관(30)은 상기 철심(18)의 길이를 조정하기위해 제1도관(30)을 따라 방사상으로 분할된 개방부(80)를 가지며, 상기 개방부(80)를 덮기위한 커버(8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관(30)은 상기 개방부(80)의 일측면상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환형의 제1플랜지(82)와, 상기 개방부(80)의 타측면상에 배치되고 방사상으로 연장된 환형의 제2플랜지(8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6) 내부에 위치하고 제1,2플랜지(82)(84)사이의 철심(18)위로 연장되며, 상기 제1,2플랜지(82)(84)사이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슬릿(95)이 형성되어 있는 U자형 부시(9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플랜지(82)(84)사이에 있는 상기 부시(94)의 슬릿(95)안에 배치되는 축받이봉(9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6)는 제1,2선단이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80)를 부분적으로 덮고있는 상기 제1도관(30) 주위에 배치되며, 그 위주면에 나선형 나사산이 형성되어있는 삽입관(8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6)는 상기 도관(30)둘레와 개방부(80)일부에 배치되고, 내측으로 나선형 나사산을 형성시킨 제1선단과 외측으로 나사산을 형성시킨 제2선단이 구비되며, 상기 제1선단이 삽입관(88)이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려지는 결합관(9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6)는 상기 삽입관(88)의 제1선단과 맞물리며 상기 제1플랜지(82)와 접하는 제1도관체결너트(92)와, 상기 결합관(90)의 상기 제2선단과 맞물리며 상기 제2플랜지(84)에 접하는 제2도관체결너트(9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휠(12)이 구동되도록 하기위해, 상기 구동휠하우징(27)내에서 구동기어휠(12)상에 있는 톱니(14)와 맞물리는 원동기어(1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하우징(27)을 관통하여 상기 원동기어(100)로 연장되고 상기 원동기어(100)와 동축선상에서 부착되며, 상기 원동기어(100)를 회전시키기위해, 동축선상에서 원동기어(100)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 휠(104)을 포함하는 축(102)을 포함하는 축(10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10).
KR1019940023734A 1993-09-22 1994-09-16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 KR0151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25,484 1993-09-22
US08/125,484 1993-09-22
US08/125,484 US5381706A (en) 1993-09-22 1993-09-22 Connector for remote valve actuating assembl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264A KR950010264A (ko) 1995-04-26
KR0151237B1 true KR0151237B1 (ko) 1998-12-15

Family

ID=2241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734A KR0151237B1 (ko) 1993-09-22 1994-09-16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81706A (ko)
EP (1) EP0644341B1 (ko)
KR (1) KR0151237B1 (ko)
AU (1) AU679093B2 (ko)
CA (1) CA2131491C (ko)
DE (1) DE6940400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2201A (en) * 1996-03-14 1999-05-11 U.S. Philips Corporation Positioning device and component placement machine including the positioning device
JPH1059197A (ja) * 1996-08-26 1998-03-03 Honda Motor Co Ltd ケーブル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5794488A (en) * 1997-03-14 1998-08-18 Triumph Controls, Inc Core element connector for remote control assembly
GB9707455D0 (en) * 1997-04-12 1997-05-28 Advanced Burner Systems Limite Control apparatus for a valve
USD421098S (en) * 1997-11-14 2000-02-22 Itw New Zealand Limited Connector for a valve assembly
US6086496A (en) * 1998-11-02 2000-07-11 Dbtel Incorporated Adjusting device
US6349614B1 (en) 1998-11-06 2002-02-26 Shimano, Inc. Bicycle cable connector for splicing two cables in series
DE19941207C1 (de) * 1999-08-30 2001-05-10 Webasto Dachsysteme Gmbh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Schwenkbauteil
EP1235026A1 (en) * 2001-02-27 2002-08-28 Paco Martinez Gil Security device for discharge of gas cylinder
US6604882B2 (en) 2001-11-01 2003-08-12 Triumph Brands, Inc. Cable joining device with breakaway nut
US20040113116A1 (en) * 2002-11-20 2004-06-17 London Larry R. Remote valve actuator
FR2866408B1 (fr) * 2004-02-13 2007-10-12 Gaz De France Dispositif de commande d'un organe d'obturation d'un circuit de fluide, a commande deportee et transmission mecanique par cable gaine
US8413957B2 (en) * 2009-12-15 2013-04-09 Stephen John Fandel Systems and methods and methods for valve control
US20130213382A1 (en) * 2012-01-20 2013-08-22 Phillip R. Barber Gas Barbecue With Fuel Supply Valve Control
US10060547B2 (en) * 2012-02-02 2018-08-28 Telmore Technologies, Inc. Remote actuator device for valve control knob on a tank
JP2014126183A (ja) * 2012-12-27 2014-07-07 Canon Anelva Corp コンダクタンスバルブ
US9562622B2 (en) 2013-12-05 2017-02-07 Knob Where You Need It, Llc Extension device for closure mechanism
EP3078522B1 (en) * 2015-04-09 2019-10-16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Method of assembling a roof assembly and such roof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7389C (de) * TH. J. SLOAN in Paris, 21 Boulevard Poissonniere Gelenkkette mit abwechselnd geschränkten Zapfen
FR413530A (fr) * 1910-03-09 1910-08-11 Henri Thollot Agrafe cardan pour courroie ronde
US2335455A (en) * 1942-12-30 1943-11-30 Henry L Scott Company Transmission of motion to cylindrical drums
US2615074A (en) * 1947-08-02 1952-10-21 Gen Cable Corp Cable pulling ey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957353A (en) * 1958-08-26 1960-10-25 Teleflex Inc Connector
GB987096A (en) * 1961-05-25 1965-03-24 Teleflex Prod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lexible cable controls
US3237977A (en) * 1963-05-15 1966-03-01 Technical Operations Inc Connector
US3468569A (en) * 1966-01-18 1969-09-23 Armco Steel Corp Terminal fitting for wire ropes
US3429197A (en) * 1966-08-10 1969-02-25 Teleflex Inc Motion transmitting remote control assembly
US3825356A (en) * 1972-07-14 1974-07-23 American Hoist & Derrick Co Two-piece swage fittings
US4290762A (en) * 1980-02-08 1981-09-22 The Laitram Corporation Multiple link transmission chain
US4509387A (en) * 1982-08-02 1985-04-09 Teleflex Incorporated Actuator assembly for remotely controlling a valve
US5074162A (en) * 1990-03-14 1991-12-24 Teleflex Incorporated Local station clutch
US5197348A (en) * 1991-10-07 1993-03-30 The Babcock & Wilcox Company Serpentine tube inspection positioning spine
US5159849A (en) * 1991-10-07 1992-11-03 The Babcock & Wilcox Company Serpentine tube inspection positioning sp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44341B1 (en) 1997-07-02
CA2131491C (en) 1999-05-11
CA2131491A1 (en) 1995-03-23
AU7281894A (en) 1995-04-06
US5381706A (en) 1995-01-17
EP0644341A1 (en) 1995-03-22
AU679093B2 (en) 1997-06-19
KR950010264A (ko) 1995-04-26
DE69404009D1 (de) 199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237B1 (ko) 원격제어용 케이블 조립체
RU2222456C2 (ru) Велосипе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 тросовым приводом (варианты)
EP0448284B1 (en) Bending device
US4453291A (en) Grip for pulling fiber optic cable
US5313539A (en) Branching section of a sheathed multicore optical fiber
US5435296A (en) Endoscope having crimped and soldered cable terminator
CA2119851C (en) Automatic guy wire dead end
US4700693A (en) Endoscope steering section
CA1200179A (en) Actuator assembly for remotely controlling a valve
EP0864769B1 (en) Core element connector for remote control assembly
WO2020148705A1 (en) Pulley and cable arrangement
US5657669A (en) Lawnmower cable control apparatus
EP0274698A1 (en) A bearing for a conveyor chain of a conveyor system
US20040113116A1 (en) Remote valve actuator
GB2336002A (en) Composite ribbon cable
US4953942A (en) Optical fiber cabl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00068655A (ko) 벨트 차동 장치
EP0064835A2 (en) A wire-feed mechanism
US3184991A (en) Steering control
JPS6326271A (ja) ア−ク溶接用ワイヤ自動送給装置
US11031744B1 (en) Belt structures for rotary electrical contact device
GB2336001A (en) Rotary coupling apparatus
JPS6012511A (ja) 光フアイバ−コ−ドの保持装置
JP2003337230A (ja) 光ファイバ収納具および光ファイバ収納方法
CA2200460A1 (en) Winding reel for wire, cable, et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