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108B1 - 점진적 편심율을 갖는 다초점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점진적 편심율을 갖는 다초점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108B1
KR0151108B1 KR1019900700098A KR900700098A KR0151108B1 KR 0151108 B1 KR0151108 B1 KR 0151108B1 KR 1019900700098 A KR1019900700098 A KR 1019900700098A KR 900700098 A KR900700098 A KR 900700098A KR 0151108 B1 KR0151108 B1 KR 0151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adius
contact lens
progressive
eccen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398A (ko
Inventor
마리오 지오반자나
Original Assignee
마리오 지오반자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117086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511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오 지오반자나 filed Critical 마리오 지오반자나
Publication of KR90070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4Annular configuration, e.g. pupil tun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2Simultaneou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진적 편심율을 갖는 다초점 콘택트렌즈
본 발명은 원거리 시각(근시 및 원시)에 대한 시력이상 및 근거리시각(노안)에 대한 시력이상 모두를 단일 시력이상 교정수단을 통하여 교정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채택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컴퓨터 또는 전자데이타 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수치제어 및 복제 선반등 어떤 종류의 선반에 의해 상기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재래식 유리렌즈에 있어서는 근거리 및 원거리를 올바르게 볼 수 있으려면 유리렌즈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야 했다. 여기서 렌즈에 대해 상대적으로 눈을 움직임으로서 렌즈의 상부를 통해 원거리를 볼 수 있었고 반면 렌즈하부로 근거리를 볼수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 렌즈는 2 초점 렌즈라 불린다. 또한 알려진 대로 3 초점 및 다초점 렌즈들은 둘 다 볼수 있거나 볼 수 없는 테두리를 갖고 있다. 둘 또는 좀 더 많은 비대칭 부분으로 분할된 이런 종류의 렌즈들은 콘택트렌즈로는 적당치가 않는데, 왜냐하면 이들 렌즈들은 계속적으로 눈을 움직여야 한다. 눈과 렌즈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콘택트렌즈가 가진 상기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광선 조건에 적응하는 동공의 능력을 이용하는 하나의 해결책이 시도되어 왔다. 따라서, 콘택트렌즈를 각각 다른 구형체 곡률을 가지고 있는 둘 이상의 동심체로 나누는 것이 고안되었고, 광선에 따라 동공이 확대 또는 수축되었을시 각각 다른면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은 두뇌의 구별 및 종합 능력에 의해 지지된다. 각각 다른 구형체곡률을 가진 면을 갖는 상기 렌즈들은 시각을 흐리게 하며(예를 들면 분리시각) 또한 눈을 쉽게 피로하게 한다는 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구형체 점진적 곡률을 가진 단일 또는 복수의 밀착된 동심체를 사용함에 의하여 최적 근거리 정정 및 어떠한 광선 조건하에서도 완전한 원거리 시각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심구형체를 설계하는 신규한 개념에 기초한 콘택트렌즈를 제공함에 의해 상기 결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중요한 특징은 모든 교정은 중간 및 볼록 및 오목렌즈 모두 렌즈 바깥표면을 적당히 연마함에 의해 얻어진다는 사실이다.
본 근시교정 메커니즘은 내부에서 외부로 반경방향으로 전진할 때 굴절력의 점진적 변화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곡면의 설치에 근거한다. 면의 가장 안쪽으로부터 가장 바깥쪽 점까지의 굴절력의 차는 두 시각 결함으로 언급한 디옵터의 대수적 합에 의해 주어진다고 생각된다. 점진적이란 말은 여기서 다음을 의미한다. 즉 렌즈외부 표면 곡면은 두단부에서 완전하게 선형으로 된다는 의미이다. 상기 기하학적 패턴은 중앙구형체로부터 출발하여 점진적인 비율로 외부 반경을 점진적으로 감축함에 의해 달성된다. 그렇게 하여 근시교정을 위한 화살촉 모양(시상)의 곡선을 얻는 것이다. 원시 및 근시교정의 차가 높으면 높을수록 점진은 더 빠를 것이다. 이 형식의 콘택트렌즈는 수치제어선반 또는 모사선반 등에 의해 제조되어질 수 있고, 하드 및 소프트한 어떤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좀더 쉽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콘택트렌즈 기술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 정의를 하겠다. 기저반경이란 눈을 향한 구표면의 반경을 뜻한다. 시상이란 말은 기저깊이를 뜻한다' 광학적 면적이란 말은 시각에 할당된 렌즈면적의 직경을 뜻한다. 렌즈반경이란 접합점과 렌즈에지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의 반경을 뜻한다. 접합이란 동어는 두 곡면 사이의 만나는 점 또는 두 인접지역을 분할하는 원주를 의미한다. 에지에서의 상승 높이는 렌즈 전체 반경에 대해 고려되어지는 기저 곡선의 시상과 최종 시상사이의 차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예시적으로 여기서 언급된 몇 가지 실시예에 근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다초점 볼록렌즈에 대한 평면도 및 직경 단면도이다.
제2도는 다초점 오목렌즈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제3도는 여전히 본 발명에 따르는 다초점 구형체렌즈의 평면도이다.
제4도는 중심구형체로부터 최초 인접 점진적 비구형체까지의 본 발명 렌즈의 외부 표면패턴을 단면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제1도에서 제3도에 나타난 것 같이, 여러 부분들의 상호치수비는 명확성을 위해 확대되어졌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는 중심구형체(1), 상기 중심구형체(1)와 동축이고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점진적 비구형체(2), 및 주변렌즈체(3)로 구성되어져 있다.
특별히 제1도에서 제3도까지 각각 좀더 언급하면, 콘택트렌즈 제조 선반의 제어컴퓨터에 대한 입력 데이터 및 컴퓨터에 의한 응답으로서 주어진 출력 결과에 관한 몇 가지 예가 보고되어져 있다.
[예 1]
[점진적 편심율을 갖는 다초점 볼록 콘택트렌즈의 제조]
콘택트렌즈 제조를 위한 선반에 연결된 컴퓨터는 다음 값들이 입력되어 있다;
굴절지수 1.510 ; 시상 2.92㎜ ; 접합두께 0.15㎜ ; 기적곡선반경 7.05㎜ ; 굴절력 0.00 ; 추가굴절력 1.49 ; 광학면지름 8.00㎜ ; 전지름 11.50㎜ ; 최초 블랭크 전체 두께 2.00㎜.
특별프로그램에 의하면 컴퓨터는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고 다음 출력 결과를 응답으로 제공한다.
외부광학적 곡선반경 7.11㎜ ; 중심 두께 0.17㎜ ; 에지에서의 상승 높이 0.03㎜ ; 두께 게이지반경 8.94㎜ ; 암 -4.99㎜ ; 렌즈곡선반경 7.01㎜ ; 두께 게이지반경 7.02㎜.
이렇게 획득된 값은 자동적으로 입력 데이터로서, 운반대 이동을 통해 렌즈외부표면을 연마하는 선반의 입력데이타로서 보내진다.
제1도는 이 예를 따라 제조된 렌즈의 형태를 나타낸다.
[예 2]
[점진적 편심율을 갖는 오목(네가티브) 다초점 콘택트렌즈 제조]
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을 따르면, 컴퓨터에 대한 입력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굴절지수 1.510 ; 시상 2.92㎜ ; 중심두께 0.06㎜ ; 지저곡선반경 7.00㎜ ; 굴절력 -7.000 ; 추가굴절력 3.00 ; 광학면 반경 9.00㎜ ; 전지름 11.50㎜ ; 최초 블랭크 전체 두께 2.00㎜.
컴퓨터로부터의 출력값은 다음과 같다;
외부광학적 곡선반경 7.76㎜ ; 에지에서의 상승 높이 0.08㎜ ; 두께 게이지반경 9.70㎜ ; 암 -10.32㎜ ; 렌즈곡선반경 6.97㎜ ; 두께 게이지반경 6.85㎜.
제2도는 위에 열거된 데이터에 의한 만든 렌즈의 예를 도시한다.
[예 3]
[다초점 점진적 편심율 콘택트렌즈 제조]
예1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컴퓨터에 대한 입력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굴절지수 1.510 ; 시상 2.92㎜ ; 기저반경 7.05㎜ ; 굴절력 -4.49 ; 추가굴절력 4.49 ; 전지름 11.50㎜ ; 최초 블랭크 전체 두께 2.00㎜.
다음 출력값이 얻어진다;
광학적 곡선반경 7.55㎜ ; 중심 두께 0.10㎜ ; 두께 게이지반경 9.45㎜ ; 암 -3.79㎜.
제3도는 위에 열거된 데이터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½의 외부표면 반경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는 근시에 적용될 동심체의 비구형체(2)가 선형으로 점점 증가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점선 4는 근시에 대한 이상적 구형체인, 광축의 교차로부터 시작하는 이상적 곡면을 나타낸다. 반면 점선5는 원시에 대하여 제공될 구형체렌즈의 이상적 곡선의 광축의 교차로부터 시작하는 패턴을 나타낸다. 실선 2에 의해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외부표면에 대해 주어진 실제 패턴은 점진적 비구형체곡면이 얻어지는 두선 4와 5를 점진적 이탈시킨다. 선 8은 원시에 대한 곡면반경이고, 선 9는 근시에 대한 곡면반경이고, 반면 선 10은 비구형체(2)의.점진으로 반경을 변경하여 곡선을 변경시킨다. 상기에 있어 본 발명 방법에 따라 얻어진 표면의 편심율 변동은 대응하는 곡률반경의 편차당 0.01과 0.03범위 사이에 있다. 2중 화살표 6은 상기와 같이 제공된 곡선의 시상을 나타내며, 반면 2중화살표 7은 원시와 관계 있는 이상적 곡선 5의 시상을 나타낸다.
점진적 편심율과 비구형체곡선을 가진 본 발명의 다 초점렌즈는 어떠한 광선 조건에서도, 특히 야외에서와 같이 좋은 광선 조건의 경우에 완전하게 원시에 대해서 적용된다. 여기서 광선에 의해 동공은 수축되며 거의 전적으로 렌즈 중앙부를 덮는다. 반면에 근시는 보장된다. 광선 조건이 주광보다 나쁜 실내에서는 동공은 점진적 비구형체 곡선을 갖고 중앙지역에 이웃한 하나 이상의 동축지역으로 확대된다. 이런 경우 동공은 각막의 주위면을 포함하는 비구형체에 의해 제공되어지는 시차 시각을 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의 상기 특징들은 동시에 도로(원거리 시각)와 계기판(근거리시각)을 보아야하는 운전자들에게 적당할 것이다. 왜냐하면 렌즈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의 전이가 굴절력의 갑작스런 변화로 인한 불쾌감 없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몇 가지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수정 및/또는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다.

Claims (1)

  1. 전면이 구형체 곡률인 중심영역 및 전면이 비구형체 곡률인 하나 이상의 동축 인접 영역으로 구성된 다초점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상기 동축 인접 영역의 상기 전면의 비구형체 곡률은 점진적인 편심율을 갖고, 상기 동축 인접 영역의 편심율의 변동은 대응하는 곡률반경의 편차당 0.01 내지 0.03 사이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초점 콘택트 렌즈.
KR1019900700098A 1988-05-24 1989-05-08 점진적 편심율을 갖는 다초점 콘택트렌즈 KR0151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0707/88A IT1217703B (it) 1988-05-24 1988-05-24 Lente a contatto multifocale ad eccentricita' progressiva e procedimento per la sua fabbricazione
IT20707A/88 1988-05-24
PCT/IT1989/000033 WO1989011672A1 (en) 1988-05-24 1989-05-08 A progressive eccentricity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398A KR900702398A (ko) 1990-12-07
KR0151108B1 true KR0151108B1 (ko) 1999-05-15

Family

ID=1117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098A KR0151108B1 (ko) 1988-05-24 1989-05-08 점진적 편심율을 갖는 다초점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214453A (ko)
EP (1) EP0417136B1 (ko)
JP (1) JP2655735B2 (ko)
KR (1) KR0151108B1 (ko)
AT (1) ATE108030T1 (ko)
AU (1) AU623655B2 (ko)
CA (1) CA1325539C (ko)
DE (1) DE68916541T2 (ko)
ES (1) ES2014632A6 (ko)
GE (1) GEP19970639B (ko)
IT (1) IT1217703B (ko)
LT (1) LT3542B (ko)
PT (1) PT90665B (ko)
RU (1) RU1836649C (ko)
WO (1) WO1989011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5858A (en) * 1987-06-01 1993-07-06 Valdemar Portney Multifocal ophthalmic lens
US5125729A (en) * 1991-05-03 1992-06-30 Les Laboratoires Opti-Centre Inc. Multifocal contact lens
US5689324A (en) 1992-08-18 1997-11-18 Q2100, Inc. Progressive lens
US5502518A (en) * 1993-09-09 1996-03-26 Scient Optics Inc Asymmetric aspheric contact lens
US5517260A (en) * 1994-03-28 1996-05-14 Vari-Site, Inc. Ophthalmic lens having a progressive multifocal z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574518A (en) * 1995-01-10 1996-11-12 Les Laboratoires Opti-Centre Inc. System incorporation two different sphero-non-spherical contact lenses for correcting presbytia
US5715031A (en) * 1995-05-04 1998-02-03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Concentric aspheric multifocal lens designs
AU6330696A (en) * 1995-06-06 1996-12-24 Scientific Optics, Inc. Asymmetric bifocal intraocular lens
US5583589A (en) * 1995-07-07 1996-12-10 Phillips Lens Co., Inc. Process for forming a monocentric seamless bifocal lens
US5724120A (en) * 1995-10-02 1998-03-03 Svochak; Jan B.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5702440A (en) 1996-01-26 1997-12-30 Allergan Multifocal ophthalmic lens for dim-lighting conditions
US5864378A (en) * 1996-05-21 1999-01-26 Allergan Enhanced monofocal IOL or contact lens
US6231603B1 (en) 1998-11-10 2001-05-15 Allergan Sales, Inc. Accommodating multifocal intraocular lens
US6102946A (en) * 1998-12-23 2000-08-15 Anamed, Inc. Corneal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210005B1 (en) 1999-02-04 2001-04-03 Valdemar Portney Multifocal ophthalmic lens with reduced halo size
US20060238702A1 (en) 1999-04-30 2006-10-26 Advanced Medical Optics, Inc. Ophthalmic lens combinations
US6390621B1 (en) * 2000-05-30 2002-05-21 Vision-Ease Lens, Inc. Manufacturing of positive power ophthalmic lenses
US7077985B2 (en) * 2000-05-30 2006-07-18 Vision-Ease Lens Injection molding of lens
US6695449B2 (en) * 2000-08-17 2004-02-24 Novartis Ag Lens design to enhance vision quality
US7780729B2 (en) 2004-04-16 2010-08-24 Visiogen, Inc. Intraocular lens
US20120016349A1 (en) 2001-01-29 2012-01-19 Amo Development, Llc. Hybrid ophthalmic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facing a surgical laser with an eye
JP2002350787A (ja) * 2001-03-21 2002-12-04 Menicon Co Ltd コンタクトレンズ
JP3921375B2 (ja) * 2001-10-12 2007-05-30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及び角膜手術装置
JP4009185B2 (ja) * 2001-11-30 2007-11-14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作方法
US7763069B2 (en) 2002-01-14 2010-07-27 Abbott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with outer support structure
US6923540B2 (en) * 2002-07-31 2005-08-02 Novartis Ag Toric multifocal contact lenses
US20040082993A1 (en) 2002-10-25 2004-04-29 Randall Woods Capsular intraocular lens implant having a refractive liquid therein
US7662180B2 (en) 2002-12-05 2010-02-16 Abbott Medical Optics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0040141150A1 (en) * 2003-01-21 2004-07-22 Roffman Jeffrey H. Hybrid multifocal contact lenses
US7858001B2 (en) * 2003-09-09 2010-12-28 Insight Equity A.P.X., L.P. Photochromic lens
EP2955567A1 (en) 2003-09-09 2015-12-16 Insight Equity A.P.X., LP Photochromic polyurethane laminate
US20050131535A1 (en) 2003-12-15 2005-06-16 Randall Woods Intraocular lens implant having posterior bendable optic
US7044597B2 (en) 2003-12-16 2006-05-16 Bausch & Lomb Incorporated Multifocal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GB0504448D0 (en) * 2005-03-03 2005-04-06 Spurgeon Peter J C Optical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WO2006094313A2 (en) 2005-03-04 2006-09-08 Vision-Ease Lens Forming method for polymeric laminated wafers comprising different film materials
US9636213B2 (en) 2005-09-30 2017-05-02 Abbott Medical Optics Inc. Deformable intraocular lenses and lens systems
AR062067A1 (es) * 2006-07-17 2008-10-15 Novartis Ag Lentes de contacto toricas con perfil de potencia optica controlado
WO2008077795A2 (en) 2006-12-22 2008-07-03 Amo Groningen Bv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lens system and frame therefor
US20080161914A1 (en) 2006-12-29 2008-07-03 Advanced Medical Optics, Inc. Pre-stressed haptic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7713299B2 (en) 2006-12-29 2010-05-11 Abbott Medical Optics Inc. Haptic for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8048156B2 (en) 2006-12-29 2011-11-01 Abbott Medical Optics Inc. Multifocal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20090228101A1 (en) 2007-07-05 2009-09-10 Visiogen, Inc. Intraocular lens with post-implantation adjustment capabilities
US20090033864A1 (en) * 2007-07-30 2009-02-05 Shone Thomas R Multifocal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improving vision and for producing multifocal contact lenses
US8034108B2 (en) 2008-03-28 2011-10-11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having a haptic that includes a cap
JP5428431B2 (ja) * 2009-03-23 2014-02-26 東レ株式会社 老視用コンタクトレンズ
AU2010266020B2 (en) 2009-06-26 2015-03-26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US8343217B2 (en) 2009-08-03 2013-01-01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ommodative vision
US9084674B2 (en) 2012-05-02 2015-07-21 Abbott Medical Optics Inc. Intraocular lens with shape changing capability to provide enhanced accomodation and visual acuity
CN205880405U (zh) * 2013-10-21 2017-01-11 目立康株式会社 隐形眼镜和隐形眼镜组
JPWO2015060211A1 (ja) * 2013-10-21 2017-03-09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
EP3441814A4 (en) * 2016-04-04 2019-11-13 Seed Co., Ltd. FLEXIBLE CONTACT LEN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ADSORPTION OF A SOFT CONTACT LENS ON THE CORNEA
AU2018330604A1 (en) 2017-09-11 2020-04-02 Amo Groningen B.V. Methods and apparatuses to increase intraocular lenses positional st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3578A (en) 1975-04-21 1978-02-14 Phillip M. Frieder Spectacle lens for aphakia patients
US4185897A (en) * 1977-09-09 1980-01-29 Frieder Philip M Prosthetic aspheric spectacle lens for aphakia
GB2086605A (en) * 1980-11-03 1982-05-12 Breger Joseph Laurance Improved bivision contact lens for the treatment of presbyopia
CS219738B1 (en) * 1981-02-02 1983-03-25 Otto Wichterle Soft lenticullar contact lens with negative refraction
US4580882A (en) * 1983-04-21 1986-04-08 Benjamin Nuchman Continuously variable contact lens
EP0201231A3 (en) * 1985-05-03 1989-07-12 THE COOPER COMPANIES, INC. (formerly called CooperVision, Inc.) Method of treating presbyopia with concentric bifocal contact lenses
DE3516575A1 (de) * 1985-05-08 1986-11-13 Hecht Contactlinsen GmbH, 7800 Freiburg Contactlinse
US4752123A (en) * 1985-11-19 1988-06-21 University Optical Products Co. Concentric bifocal contact lens with two distance power reg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820707A0 (it) 1988-05-24
LTIP1606A (en) 1995-07-25
JPH03504419A (ja) 1991-09-26
GEP19970639B (en) 1997-06-10
WO1989011672A1 (en) 1989-11-30
CA1325539C (en) 1993-12-28
ES2014632A6 (es) 1990-07-16
JP2655735B2 (ja) 1997-09-24
PT90665A (pt) 1989-11-30
EP0417136A1 (en) 1991-03-20
DE68916541D1 (de) 1994-08-04
IT1217703B (it) 1990-03-30
DE68916541T2 (de) 1994-10-20
LT3542B (en) 1995-11-27
PT90665B (pt) 1994-10-31
AU3565689A (en) 1989-12-12
EP0417136B1 (en) 1994-06-29
AU623655B2 (en) 1992-05-21
ATE108030T1 (de) 1994-07-15
RU1836649C (ru) 1993-08-23
KR900702398A (ko) 1990-12-07
US5214453A (en) 199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108B1 (ko) 점진적 편심율을 갖는 다초점 콘택트렌즈
CA2736074C (en) Toric multifocal contact lenses
EP2508936B1 (en) Contact lenses
EP1527367B1 (en) Translating contact lens having a ramped ridge
EP0248489A2 (en)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176579B1 (en) Bifocal contact lens with toric transition
JPH063629A (ja) 透明軸、分節多焦点式眼用レンズ
US6874887B2 (en) Multifocal contact lens
GB2069714A (en)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ophthalmic lens
KR20090110885A (ko) 다초점 안과용 렌즈의 고안 방법
JP2001502810A (ja) コンタクトレンズ
US5812237A (en) Ophthalmic no-line progressive addition lenses
EP0668524A2 (en) Progressive power lens
CN105652466A (zh) 渐进环焦或全焦自由曲面镜片的制作方法
CN103246084A (zh) 一种固定通道长度的渐进多焦点镜片
WO2000058773A1 (en) Contact lenses with contoured edges
CA2471856C (en) Contact lenses with off-center sphere surface
KR940007900B1 (ko) 누진 초점 세그멘트 부착의 다초점 렌즈
US4573776A (en) Biconvex aphakic prosthetic lens
GB1569764A (en) Progressive power ophthalmic lens
Jalie Progressive power lenses-part 1
GB1569765A (en) Progressive power ophthalmic lens
MXPA00011631A (en) Contact lenses with contoured e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