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827B1 -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및 파형관과 인입용 부재 - Google Patents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및 파형관과 인입용 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0827B1 KR0150827B1 KR1019940015276A KR19940015276A KR0150827B1 KR 0150827 B1 KR0150827 B1 KR 0150827B1 KR 1019940015276 A KR1019940015276 A KR 1019940015276A KR 19940015276 A KR19940015276 A KR 19940015276A KR 0150827 B1 KR0150827 B1 KR 0150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rugated pipe
- groove
- mounting
- corrugated
- engag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 for exampl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14 Corrugated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4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sealing material being introduced inside the pipe by means of a tool moving in the pip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기존의 관로내로 파형관을 인입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의 장착단부에 인입용 부재를 간단히 장착할 수 있는 파형관의 장착구조와 상기 파형관 및 인입용 부재를 제공한다.
축방향단면이 파형인 파형관을 그 축방향으로 당기는 경우, 인입용 부재(20)를 상기 파형관의 단부에 장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의 단부는 상기 장착단부에 삽입되는 인입용 부재(20)을 걸림하는 걸림수단(11)을 갖고, 또한 상기 인입용 2부재(20)는 상기 파형관의 장착단부의 걸림수단(11)에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수단(20b)를 갖는 파형관의 장착구조 및 이에 적합한 파형관 과 인입용 부재. 상기 파형관은 바람직하게는 걸어맞춤수단(11)로서 상기 파형관의 내벽의 상기 파형곤의 단부에서 상기 단부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의 삽입부(11a)와 상기 삽입부에서 연속하여 상기 파형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자된 가로홈의 정지부(11b)와 , 그리고, 상기 정지부에서 상기 장착단부의 개구부로 향해 연장된 형태의 걸림부의, 3개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형관은 걸림홈(11)을 상기 파형관의 종방향으로 소정간격마다 갖는다. 상기 파형관에 인입용 부재를 장착할 때에는 걸림수단이 단부에 나타나도록 파형관을 절단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파형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파형관에 인입용 부재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파형관에 형성된 걸림홈의 전개도.
제3도는 파형관에 형성된 걸림홈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전개도.
제4도는 파형관에 형성된 걸림홈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전개도.
제5도는 걸림홈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전개도.
제6도는 걸림홈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전개도.
제7도는 파형관에 형성된 걸림홈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전개도.
제8도는 걸림홈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전개도.
제9도는 걸림홈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전개도.
제10도는 종래의 파형관을 도시한 것으로, 파형관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 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형관 10a : 주벽(周壁)
11 : 걸림홈 11b : 삽입부
11b : 정지부 11c : 걸림부
11d : 돌기 16 : 걸림홈
16a : 삽입부 16b : 정지부
16c : 걸림부 16d : 돌기
17, 18 : 걸림홈 17a,18a :삽입부
17b, 18b : 정지부 17c, 18c : 걸림부
17d, 18d :돌기 20 : 인입용 부재(引留部材)
20a : 인입용 부재 본체 20b 걸어맞춤부
20c : 관통공 20d : 관통공
21 : 리드와이어 22 : 리드선
30 : 중간홈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된 기존의 관로 내에 광케이블 등을 추가로 증설하기 위해, 그 기존의 관로 내에 파형관을 배관할 때 사용하는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및 이에 사용하는 파형관과 인입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시에서, 도로를 파헤치는 작업에 수반하는 교통정체를 완화, 도시경관이나 재해 방지성의 향상, 또는 지하공간의 다목적 이용을 목적으로 도로의 지하에 형성된 공동 홈 내에, 가스관, 수도관 또는 통신용 메탈케이블을 부설하는 강관을 배관하고 있다. 이와같은 각종 배관 중에서, 메탈케이블 부설용의 배관에는 공케이블 등을 증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근래의 컴퓨터나 OA 기기류에 부수된 광 통신사업의 발전에 의하여, 새로운 광케이블의 부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같이, 광케이블을 증설할 경우에는 기존의 메탈케이블용 배관 내에 증설하는 광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요성을 갖는 소경(小經)의 플라스틱제 파형관을 배관하여 놓고, 그후 광케이블을 부설한다. 여기서, 파형관은 축방향단면이 파형이고, 종방향으로 다수의 환형홈이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관이다.
그런데, 기존의 관로네에 소경인 파형관을 인입시키는 경우에는, 파형관의 단부에 인입용 부재를 장착하고, 이 인입용 부재를 와이어등으로 당겨서 기존의 관내에 인입시켜 배관하고 있다.
이와같이, 인입용 부재로는 다양한 것이 실용화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파형관의 단부에 와이어 네트(wire net)를 씌우고, 이 네트의 외주를 마무리 테이프로 피복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또다른 인입용 부재로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단에 아이(eye : 관통공)(1a)를 갖는 아이볼트(1)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는 아이볼트(1)의 타단에 와셔(2)와 너트(3)를 장착하고, 이 아이볼트(1)의 와셔(2) 측을 파형관 내에 넣은후, 파형관(4)의 단부를 가열연화(加熱軟化) 시키고, 이에따라 연화상태에 있는 상기 단부를 손(手)등으로 내측으로 변형축경 시키면서 이 단부의 내측에 아이볼트(1)의 와셔(2)를 싸넣듯이 하여 이 단부를 가공하였다.
또한, 파형관으로서, 산부에 나선형인 나선파형관을 사용한 경우에는, 파형관의 내측에 나사 맞춤되는, 나사가 형성된 원통형의 인입용 부재를 파형관에 장착하고, 이 인업용 부재를 와이어 등으로 당겨서 기존의 관로 내로 인입시키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관로내에 파형곤을 배관할 목적으로 와이어네트를 사용하면, 파형관의 단부의 외경이 커지는 결과로, 파형관의 단부가 기존의 관로의 내벽이나 기존의 물체 등에 걸리기 때문에, 파형관을 관로내로 인입시키는때의 인장하중이 증가하며, 인입이 가능한 파형관의 길이가 제한되어 버린다. 즉, 한 번의 인입작업으로 인입되는 파형관의 길이는 비교적 짧다.
또한, 기존의 관로내에 메탈케이블 등이 부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관로 내로 다시 파형관을 인입시키는 경우에는 와이어 네트의 외주를 피복한 마무리 테이프가 마찰로 인해 벗겨지고, 또한 노출된 와이어네트에 의하여 기존의 메탈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된다. 이 때문에, 와이어네트는 인입용 부재로서는 반드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이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파형관에 아이볼트를 장착했을 때의 인장강도가 불균일해 지며, 확실하게 견고한 파형관의 인입을 달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나선 파형관에 나사맞춤되는 인입용 부재를 사용하여 인입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인입작업에 있어 파형관과 인입용 부재가 상대회전하는 경우가 초래되며, 파형관에서 인입용 부재가 벗겨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파형관의 외경을 증대시키지 않고서 인입용 부재를 간단히 장착할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관로내로의 인입작업에 있어서, 인입용 부재가 벗겨지는 경우가 없는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와 파형관 및 인입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축방향단면이 파형인 파형관을 축방향으로 당기고, 인입용 부재를 파형관의 단부에 장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의 장착단부는, 이 장착단부에 삽입되고 걸리는 상기 인입용 부재를 걸림하는 걸림수단을 갖고, 상기 인입용 부재는 상기 파형관의 장착단부의 상기 걸림수단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파형관의 장착단부의 1개소에도 가능하지만, 소정간격을 두고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2개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장착단부의 주벽내면의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입용 부재에 설치한 상기 걸어맞춤부를 안내하는 삽입부와, 상기 상입부의 선단에서 구부러져 파형관의 상기 장착단부의 개구로 향하여 연장되는 홈 형태의 걸림부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와 걸어맞춤부 사이에 파형관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기구(경사홈도 포함)의 중간홈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의 도중에서, 상기 인입용 부재의 돌기형의 걸어맞춤부의 돌기가 겨우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홈나비를 갖는 협착부를 형성한다. 예를들면, 이 걸림부의 도중에 홈의 내측으로 돌출한 돌부(파형관의 외측에서 보면 작은 오목부)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상기 협착부는 상기 인입용 부재에 설치한 걸어맞춤부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장착한 인입용 부재는 진동 등으로 뜻하지 않게 벗겨지는 경우가 없어진다.
파형관은 그 걸림수단과, 인입용 부재의 걸어맞춤수단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인입용 부재에 장착된다.
이때, 걸림수단을 대략 L자형의 걸림홈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관로내로의 인입작업에 있어서, 인입용 부재가 파형관에서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파형관의 걸림홈, 특히, 걸림부에 인입용 부재의 걸어맞춤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협착부를 설치하면 상기 걸어맞춤부가 상기 걸림홈에 확실하게 걸림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9도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파형관(10)은 축방향단면이 파형이며, 또한 종방향으로 다수의 환형홈(10a)이 형성된 합성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관이다. 주벽(10b) 내면의 종방향으로 소정 간격(예를 들면 4m)을 둔 위치에서, 종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걸림홈(11)이 둘레 방향으로 4개소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걸림홈(11) 은 파형관(10)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형관(10)의 외측에서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제1도에 있어서는 편의상, 걸림홈(11)에 대응하는 주벽(10b)의 부분을 외측에서 도시하였다. 걸림홈(11)에는 파형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나, 파형관(10)의 외측에서는 상기 걸림홈(11)의 윤곽은 보인다.
걸림홈(11) 은 인입용 부재(20)의 4개소에 설치한 돌기형의 걸어 맞춤부(20b)를 걸림하는 L자형의 홈이고, 도시한 파형관(10)에 있어서는, 파형관(10)의 좌우 어느 한측에서도 인입용 부재(20)를 장착할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 걸림홈(11)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걸림홈(11)의 전후에는 파형관(10)을 절단하는 절단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부(12)는 파형관(10)의 사용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 절단부(12)의 내주측에는 둘레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있어서, 인입용 부재(20)는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각각 대략 원추형(cone), 또는 대략 원추대(圓錐坮) 형태를 갖는 대략 방추형의 본체(20a)의외주에는 각 걸어맞춤부(20b)가 파형관(10)의 4개소에 형성된 걸림홈(11)과 대응되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20a)의 양단부에는, 이 본체(20a)를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관통공(20c,20d)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공(20c)에는 견인용의 리드와이어(21)의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쪽의 관통공(20d)에는 케이블 인입용의 리드선(2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걸림홈(11) 은, 파형관(10)을 종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전개하여, 주벽(10b)의 내면을 도시한 제2도에서와 같이, 파형관(10)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인입용 부재(20)에 설치된 걸어맞춤부(20b)를 안내하기 위한 삽입부(11a)와, 상기 삽입부(11a)의 깊숙한 곳에 연이어 설치되고 주벽(10b) 내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한 정지부(11b)와, 그리고 이 정지부(11b)에서 삽입부(11a)와 평행하게 꺽여서 돌아가는 걸림부(11c)를 갖고, 상기 걸림부(11c)에는 홈의 나비방향으로 돌출하여 인입용 부재(10)에 설치된 걸어맞춤부(20b)의 이동을 규제하는 돌기(11d)가 설치되어 있다.
파형관(10)에는 또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가 걸림홈(11)이 형성된 근방에는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된 보강용 리브(10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위에서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삽입부(11a)에 인접한 주벽(10b)의 외면은 서로 평행하게 평면(10d) 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파형관(10) 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고, 기존의 관로내에 배관할 경우에 인입용 부재(20)가 이하와 같이 장착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인입용 부재(20)의 움직임을, 제1도의 인입용 부재(200 에 설명의 편의상, 화살표(A,B,C)로 병기한다.
우선, 각 걸어맞춤부(20b)를 각 걸림홈(11)의 삽입부(11a)에 일치시켜서 인입용 부재(20)를 파형관(10)의 단부에 삽입하고, 도면증의 화살표 A 의 방향으로 각 걸어맞춤부(20b)를 삽입부(11a)의 벽면에 안내시키면서 정지부(11b)의 벽면에 각 걸어맞춤부(20b)가 맞닿을 때까지 인입용 부재(20)를 파형관(10) 내로 밀어 넣는다.
다음으로, 각 걸어맞춤부(20b)가 정지부(11b)의 벽면에 맞닿을 때, 도면중 화살표 B 의 방향으로, 인입용 부재(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각 걸어맞춤부(20b)를 정지부(11b)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어서, 각 걸어맞춤부(20b)가 걸림부(11c)의 벽면에 맞닿을 때, 도면중 화살표 C 의 방향으로, 인입용 부재(20)를 후방으로 후퇴시킨다.
그러면, 인입용 부재(20)는 각 걸어맞춤부(20b)가 걸림부(11c) 내로 당겨넣어지는 동시에, 돌기(11d)를 넘어서, 걸림부(11c)의 가장 깊은곳까지 들어가면서 인입용 부재(20)가 파형관(10)의 단부에 장착된다.
이와같이 하여, 인입용 부재(20)가 단부에 장착된 파형관(10) 은 리드와이어(21)에 의하여 당겨져서 기존의 관로내에 배관된다. 이때, 인입용 부재(20)는, 리드와이어(21)에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각 걸어맞춤부(20b)가 걸림부(11c)의 가장 깊은곳에 위치하는 한편, 인입용 부재(20)에 진동등으로 파형관(10)의 개구와는 반대방향의 비교적 작은 힘이 작용해도, 또한 각 걸어맞춤부(20b)와 돌기(11d)는 반대방향의 비교적 작은힘이 작용하고 각 걸어맞춤부(20b)가 돌기(11d)에 의하여, 이동이 규제됨으로, 불의로 벗겨지는 일은 없고 걸림부(11c) 내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이 파형관(10)의 인입작업 개시까지 파형관(10)과 인입용 부재(20)는 정확한 걸어맞춤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파형관(10)을 기존의 관로 내로 인입하는 작업에 있어서 파형관(10) 과 인입용 부재(20)는 상대회전하는 일이 없고, 인입용 부재(20)가 파형관(10)에서 벗겨지는 일도 없다.
그리고, 기존의 관로내에서 인입작업이 완료한때는 상기와는 반대의 조작에 의하여 파형관(10)에서 인입용 부재(20)을 벗길수 있다.
여기에서, 파형관에 형성되는 걸림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15)의 사이에 대향하여 배치된 걸림홈(16)을 엇갈리게 형성하거나,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단부를 형성하지 않고, 대향하여 배치된 걸림홈(17,18)을 엇갈리게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삽입부(11a)의 양단에 삽입부(11a) 및 걸림부(11c)를 연이어 설치하고 삽입부(11a)를 공통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걸림홈(11) 은 제1도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삽입부(11a), 정지부(11b), 및 걸림부(11c)의 3개부분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걸림홈(11)은 삽입부(11a)와 이에 연이어 설치되는 걸림부(11c)만으로도 충분하다. 제8도에서, 걸림부(11c)는 삽입부(11a)에 대하여 각도 90도, 또는 90도 이내의 각도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간홈(30)을 삽입부(11a)에 대해서 각도 90도 보다 큰 각도로 연설하고, 이에 연속하여 걸림부(11c)를 연이어 설치해도 좋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a)와 걸림부(11a)와 걸리부(11c) 사이에 중간홈(30)을 만곡시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의 제1도에서는 걸림부(11c)를 설치했지만, 정지부(11b)가 삽입부(11a)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경우에 걸림부(11c)는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삽입부(11a)는 걸림부(11c)와 동일하게 파형관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설치할 필요는 없고, 파형관의 축방향에 경사지게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제3도, 제4도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걸림홈(11) 과 대응하는부분에는 부호를 부여하고, 걸림홈(17,18)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에 도시는 걸림홈(17,18)을 채택한 경우의 파형관은 인입용 부재(20)를 장착하는 방향에 따라서 2점 쇄선 A 또는 2점쇄선 B를 따라 절단한다. 예를 들면, 제4도에 있어서, 인입용 부재(20)를 좌측에서 파형관에 장착할 때, 2점쇄선 A를 따라서 파형관을 절단하고, 각 걸어맞춤부(20b)를 걸림홈(18)에 삽입한다. 한편, 인입용 부재(20)를 우측에서 장착할 경우에는 2점쇄선 B 에 따라서 파형관을 절단하고, 각 걸어맞춤부(20b)를 걸림홈(17)에 삽입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걸림수단을 걸림홈으로 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와는 반대로 파형관(10)에 걸림돌출 줄을 설치하고, 상기 걸림돌출 줄과 걸어맞춤되는 걸림홈을 인입용 부재(20)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파형관의 외경을 증대시키지 않고서도 인입용 부재를 간단히 장착할수도 있으며, 기존의 관로내에 인입하는 작업에 있어서, 인입용 부재가 벗겨지는 일이 없는 파형관의 장착구조와 그 파형관과 그 인입용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걸림수단을 삽입부와 정지부로이루어지는 걸림홈으로 했기 때문에 기존의 관로 내로 인입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인입용 부재가 파형관에서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파형관의 걸림홈에, 인입용 부재가 설치한 걸어맞춤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협착부, 예를들면, 돌기를 설치하여 걸어맞춤부가 걸림홈에 확실하게 걸림되고 인입용 부재가 파형관에서 뜻하지 않게 벗겨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Claims (10)
- 축방향의 단면형상이 파형인 파형관(10)을 축방향으로 당겨서 인입용 부재(20)를 상기 파형관의 단부에 장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의 장착단부는, 상기 장착단부에 삽입 및 걸림되는 상기 인입용 부재를 걸림하는 걸림수단(11)을 갖고, 상기 인입용 부재는, 상기 파형관의 장착단부의 상기 걸림수단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수단(20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의 장착단부의 걸림수단은, 파형관의 내벽의 상기 장착단부에서 이 장착단부의 방대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의 삽입부(11a)와,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장착단부의 개구부를 향해 연장된 홈형태의 걸림부(11c)로 이루어 지고, 또한 상기 인입용 부재의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삽입부(11a)와 상기 걸림부(11c)의 각각의 홈에 안내되는 돌기형의 걸어맞춤부(20b)를 상기 인입용 부재의 표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의 장착단부의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홈형태의 삽입부(11a)와 상기 걸림부(11a) 사이에서 중간홈(3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의 장착 단부의 걸림수단은, 상기 파형관의 내벽에 상기 장착단부에서 상기 장착단부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의 삽입부(11a)와, 상기 삽입부에서 연속하여 파형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홈의 정지부(11b) 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인입용 부재의 걸어맞춤수단은, 싱기 삽입부(11a)와 정지부(11b)로 안내되는 돌기형의 걸어맞춤부(20b)를 인입용 부재의 표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의 장착단부의 걸림수단은, 상기 정지부(11b)의 선단부에서 계속하여 파형관의 축방향으로, 또한 파형관의 장착단부의 개구부의 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태의 걸림부(11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1c)의 홈은 그 도중에, 돌기형 걸어 맞춤부(20b)의 돌기가 겨우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홈 나비를 갖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용 부재(20)는 그 단부가 대략 원추형, 또는 대략 원추대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은 그 걸림수단을 상기 파형관의 축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연속하여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 축방향단면이 파형인 파형관(10)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은 상기 파형관과 상기 인입용 부재가 걸림될 때에 사용되는 걸림수단(11)을 상기 파형관과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
- 축방향단면이 파형인 파형관(10)을 축방향으로 당기는 경우에, 상기 파형관의 단부에 장착하여 상용되는 인입용 부재(20)는 상기 파형관의 장착단부의 걸림수단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수단(20b)를 갖는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3581893 | 1993-06-30 | ||
JP93-35818 | 1993-06-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2148A KR950002148A (ko) | 1995-01-04 |
KR0150827B1 true KR0150827B1 (ko) | 1998-12-15 |
Family
ID=12452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15276A KR0150827B1 (ko) | 1993-06-30 | 1994-06-29 |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및 파형관과 인입용 부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0150827B1 (ko) |
DE (1) | DE4422985C2 (ko) |
TW (1) | TW25059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8314B1 (ko) * | 2001-12-28 | 2008-01-28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기판의 변동에 의한 패턴의 오정렬이 보상된 패턴형성용잉크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형성방법 |
CN105005130A (zh) * | 2015-08-19 | 2015-10-28 | 国家电网公司 | 电缆探测光纤连接器 |
EP3346175A1 (en) * | 2017-01-06 | 2018-07-11 | Per Aarsleff A/S | Assembly for relining a junction between a branch pipeline and a main pipeline, and for relining a part of or the whole branch pipelin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57399B2 (ja) * | 1987-04-28 | 1996-11-27 | 北川工業株式会社 | 波形管接続具 |
DE3739334A1 (de) * | 1987-11-20 | 1989-06-01 | Philips Patentverwaltung | Einrichtung zur verbindung einer mit einer steckeinrichtung verbundenen optischen leitung mit einem einziehdraht |
-
1994
- 1994-06-23 TW TW083105725A patent/TW250598B/zh active
- 1994-06-29 KR KR1019940015276A patent/KR015082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4-06-30 DE DE4422985A patent/DE4422985C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50598B (ko) | 1995-07-01 |
DE4422985A1 (de) | 1995-01-19 |
DE4422985C2 (de) | 1998-01-22 |
KR950002148A (ko) | 1995-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96797A (en) | Flexible cable | |
US4374596A (en) | Pipe-form connector for cable ducts | |
CA2044086C (en) | Snap-in connector | |
JP2567757B2 (ja) | 管内への配線・配管材の布設方法、これの布設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配線・配管用の管 | |
JP3947987B2 (ja) | 壁体への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 |
US5442136A (en) | Method of installation of partitioning device for a tubular conduit | |
US5635675A (en) | Bendable protective tube for buried cables | |
KR0150827B1 (ko) | 파형관의 인입용 부재 장착구조 및 파형관과 인입용 부재 | |
JP3059635B2 (ja) | 波付管 | |
KR100449407B1 (ko) | 핸드홀또는맨홀및그접속관체와블록체 | |
US4889450A (en) | Guidance and protection system for the laying of pipes | |
US3087216A (en) | Utility cable splice cover | |
KR200143585Y1 (ko) | 광케이블용 내관 | |
US3545493A (en) | Conduit sections | |
US6729772B2 (en) | Sleeve for fixing optical cables | |
JPH05252628A (ja) | 管路内ケーブル布設方法および管路内分割具 | |
KR200261522Y1 (ko) | 광케이블 보호용 내관 | |
KR200161499Y1 (ko) | 전선 안내구 및 전선관 | |
KR200395497Y1 (ko) |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 |
KR20240000720U (ko) | Acf 케이블용 커넥터 | |
JPH075108U (ja) | 波付管用引留部材 | |
JP3217026B2 (ja) | 地中埋設管の接続方法 | |
JPH11234833A (ja) | 通管用治具とそれを用いた通管方法 | |
JP3940480B2 (ja) | 電線保護管用継手 | |
JPH1141772A (ja) | 通信ケーブル保護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610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