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747B1 - 차량용 경고등 - Google Patents
차량용 경고등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0747B1 KR0150747B1 KR1019950026575A KR19950026575A KR0150747B1 KR 0150747 B1 KR0150747 B1 KR 0150747B1 KR 1019950026575 A KR1019950026575 A KR 1019950026575A KR 19950026575 A KR19950026575 A KR 19950026575A KR 0150747 B1 KR0150747 B1 KR 01507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set ring
- glove
- vehicle
- warning ligh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23—Details of the fastening means
- B60Q1/2626—Screw-nut faste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차량용 경고등은 베이스 플레이트, 착색된 투명재료로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글로브, 글로브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설치된 조명장치와 글로브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셋 링을 포함하며, 여기서 셋 링은 셋 링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한 연결부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와 맞물리며, 셋 링의 타단부가 탈착가능한 고정부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된다.
Description
제1도는 제2도 내지 제9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3도는 글로브가 제거된 차량용 경고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맞물림부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셋 링을 도시하는 확대평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Ⅶ-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지지부재를 도시하는 확대평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지지부재를 도시하는 확대측면도이다.
제10도,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경고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10도는 차량용 경고등의 필수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힌지부재를 도시하는 확대평면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힌지부재를 도시하는 확대측면도이다.
제13도, 제14도 및 제15도는 종래의 차량용 경고등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13도는 장착상태를 도시하는 사시설명도이다.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종래의 차량용 경고등의 평면도이다.
제15도는 제14도의 XV-XV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개선된 차량용 경고등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본 발명은 글로브가 용이하게 부착 및 분리가능하므로써 내부 부품이 용이하게 교환되는 차량용 경고등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베이스 플레이트(b), 글로브(c), 셋 링(set ring)(d) 및 조명장치(e)가 구비된 종래의 차량용 경고등(a)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베이스 플레이트(b)는 티어드롭과 유사한 형태로 된 금속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b)는 이 플레이트의 에지를 따라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외주벽(b')을 갖는다.
글로브(c)는 뒤집어진 컵과 유사한 형태이며, 이 글로브의 외주면 하부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플랜지(c')를 포함한다. 셋 링(d)은 링형태이며, 이 셋링의 상부 에지로부터 내부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돌출하는 플랜지(d')를 갖는다.
조명장치(e)는 L형태로 된 섀시(f), 도시되지 않는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되는 밸브(g) 및 반사경(h)으로 구성된다.
조명장치(e)는 섀시(f)의 하부에서 신장하는 최하위 부를 통하여 스크루(f')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b)에 체결된다.
탄성물질로 형성된 패킹(i)은 베이스 플레이트(b)가 글로브(c)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피하도록 하기 위해 글로브(c)의 내부에 설비되며, 따라서 글로브(c)는 손상되지 않으며 또한 물과 같은 것이 글로브(c)에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크루(j)는 셋 링(d)의 측면을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b)의 외주벽(b')을 나사관통하며, 이렇게 하여 베이스 플레이트(b)가 셋 링(d)에 체결되게 한다.
탄성물질로 형성된 패킹(k)은 차량용 경고등(a)이 차체(l)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때 차량용 경고등(a)과 차체(l) 사이에 장착되며, 따라서 차체(l)에 인가되는 충격등과 같은 것이 차량용 경고등(a)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차량용 경고등(a)은 스크루(m)에 의해 차체에 조립되는 반면에 패킹(k)은 베이스 플레이트(b)와 차체(l) 사이에 장착된다. 그후,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k)은 베이스 플레이트(b)의 외주벽(b')상에 장착되며 셋 링(d)은 셋 링(d)의 플랜지(d')가 글로브(c)의 플랜지(c')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글로브(c)와 맞물리며, 그후, 스크루(j)는 셋 링(d)의 측면을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b)의 외주벽(b')으로 나사관통된다. 따라서, 글로브(c)는 차체(l)에 단단하게 연결되는 반면에 글로브(c)의 플랜지(c')는 셋 링(d)의 플랜지(d')에 의해 추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경고등(a)에 따라, 내부 부품이 교환되어야 할 때, 먼저 셋 링(d)의 측면을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b)의 외주벽(b')과 맞물리는 스크루(j)가 맞물림 해제되며, 그후, 글로브(c)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엔, 차량용 경고등(a)이 차체(l)의 상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셋 링(d)의 측면을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b)의 외주벽(b')과 맞물리는 스크루(j)가 분리되어야 할 때, 하부방향으로 향하는 스크루(j)는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하는 것이 어렵지 않더라도 상부 방향으로 향하는 스크루(j)는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므로, 내부부품을 교환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며, 베이스 플레이트(b)로부터 셋 링(d)을 분리시키는 것이 요구되며 그후 글로브(c)를 제거한다. 더욱이, 스크루(j)는 종종 분실될 염려가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종래의 차량용 경고등에 따른 상기한 문제점의 관점에서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로브가 용이하게 부착 및 분리 가능하여 내부 부품이 용이하게 교환되는 개선된 차량용 경고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고 착색된 투명 재료로 형성된 글로브, 글로브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고등의 제공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셋 링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한 연결부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와 맞물리고 셋 링의 타단부가 분리가능한 고정부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셋 링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고등에 따르면, 셋 링은 연결부재를 맞물림 해제시키지 않는 반면에 단지 고정 부재만을 맞물림 해제시킴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 및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조작자는 내부 부품을 교환하기 위해 글로브를 용이하게 분리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고등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차량용 경고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차량용 경고등(1)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 베이스 플레이트(2)에 장착된 글로브(3), 글로브(3)를 베이스 플레이트(2)에 체결시키는 셋 링(4) 및 글로브(3) 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에 부착된 조명장치(5)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의 메인부(2a)의 일단에 형성된 신장부(6)는 상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나사구멍(6a)은 신장부(6)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약간 쉬프트된 위치에서 신장부(6) 내에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의 메인부(2a)의 타단부에 형성된 신장부(7)도 상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나사구멍(7a)은 신장부(7) 내에 형성된다.
글로브(3)는 착색된 투명 재료로 형성되며 컵이 뒤집어진 것과 유사한 형태이다. 글로브(3)에는 하부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단부(3a)와 글로브(3)의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외부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8)가 구비되어 있다.
글로브(3)의 개방단부(3a)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베이스 플레이트(2)의 에지부(2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윤곽이다.
셋 링(4)은 링플레이트부재로 형성되며 상부부분이 내부 방향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경사진다. 내부방향으로 향하는 플랜지(4a)는 셋 링(4)의 상부 에지로부터 전체적으로 돌출한다. 셋 링(4)에는 셋 링의 일단부에 형성된 후크와 유사한 형태의 맞물림부(9)와 맞물림부(9)와 대향하여 셋 링(4)의 타단부에 형성된 오목부(10)가 구비되어 있다. 오목부(10)의 최하부 플레이트(10a)에는 오목부(10)에 관통구멍(10b)을 형성하고 있다.
스크루(11)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로부터 오목부(10)의 관통구멍(10b)을 통하여 삽입되며 스크루(11)가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한 워셔(12)로 인해 셋 링(4)의 오목부(10)의 최하부 플레이트(10a)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워셔(12)는 스크루(11)의 네크부상에 형성된 글로브(11a)와 맞물린다.
조명장치(5)에는 금속 플레이트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13a) 및 하부 플레이트(13b)로 이루어진 L형태로 된 섀시(13), 벌브(14) 및 앞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인 포물선모양의 표면을 갖는 반사경(15)이 구비되어 있다. 조명장치(5)는 섀시(13)의 하부 플레이트(13b)를 스크루(16)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의 메인부(2a)에 체결시킴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2)에 장착된다. 벌브(14)는 섀시(13)의 상부 플레이트(13a)에 의해 지지된다. 반사경(15)은 섀시(13)의 상부 플레이트(13a)에 의해 지지되며, 따라서 반사경(15)은 반사경(15)의 반사면(15a)이 항상 벌브(14)를 향한채 회전가능하다. 반사경(15)은 도시되지 않는 회전 장치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되며, 조사하기 위해 글로브(3)를 통하여 광비임을 전달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바를 U형태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지지부재(17)는 지지축(18)과 바의 서로 떨어진 두 단부를 링 형태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지지구멍(19)을 갖는다.
지지부재(17)는 스크루(20)(도면에는 단순히 하나의 스크루만 도시됨)가 하부로부터 지지부재(17)의 지지구멍(19)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의 신장부(6)에 체결되며, 신장부(6)에 형성된 나사구멍(6a)와 단단하게 맞물린다.
탄성재료로 형성된 패킹(21)은 전체가 글로브(3)의 개방단부(3a)와 베이스 플레이트(2)의 에지부(2b)에 장착되며,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2)와 글로브(3)는 상호 직접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글로브(3)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패킹(21)은 또한 물이 글로브(3)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재의 역할을 한다.
탄성재료로 형성된 패킹(22)은 차량용 경고등(1)이 이 차체상에 조립될 때 베이스 플레이트(2)와 차체(23) 사이에 장착된다. 스크루(24)는 차량용 경고등(1)을 차체(23)에 체결시킨다.
차량용 경고등(1)의 조립체가 아래에 설명된다.
맨처음에, 스크루(20)는 지지부재(17)의 지지구멍(19)으로 삽입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의 신장부(6) 내에 형성된 나사구멍(6a)과 단단하게 맞물리며, 이렇게하여 지지부재(17)를 베이스 플레이트(2)의 하위부로부터 신장부(6)에 체결시킨다. 다음에, 섀시(13)의 하부 플레이트(13b)는 스크루(16)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의 메인부(2a)에 체결된다.
그후, 패킹(22)이 베이스 플레이트(2)와 차체(23) 사이에 배치되는 반면엔 베이스 플레이트(2)는 스크루(24)에 의해 차체(23)에 체결되며, 패킹(22)는 접착제 혹은 이와 유사한 적절한 부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의 에지부(2b)에 부착되며, 그후 글로브(3)의 개구단부(3a)는 패킹(22)의 최상부와 접촉하게 된다. 그후, 셋 링(4)은 제2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되도록 세트되며, 셋 링(4)의 맞물림부(9)는 베이스 플레이트(2)에 체결된 지지부재(17)의 지지축(18)을 걸며, 셋 링(4)은 버팀대 역할을 하는 지지축(18)을 따라 회전되며, 글로브(3)의 플랜지(8)는 셋 링(4)의 플랜지(4a)에 대해 접하게 되며, 그후 글로브(3)는 셋 링(4)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에 대해 추진된다. 그후, 셋 링(4)의 오목부(10)의 하부 플레이트(10a)의 관통구멍(10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루(11)는 탑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2)의 신장부(7) 내에 형성된 나사구멍(7a) 내부로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글로브(3)는 스크루(11)에 셋 링(4)을 베이스 플레이트(2)에 체결시킴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2)에 체결된다.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경고등에 따르면, 단지 스크루(11)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신장부(7)에 형성된 나사구멍(7a)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며, 셋 링(4)은 버팀대의 역할을 하는 지지축(18)을 따라 피봇식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셋 링(4)의 맞물림부(9)는 제2도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셋 링(4)이 피봇식으로 회전될 때, 글로브(3)의 플랜지(8)는 셋 링(4)의 플랜지(4a)로부터 릴리스되며 글로브(3)의 플랜지(8)를 추진하며, 따라서 글로브(3)는 베이스 플레이트(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벌브(14)는 용이하게 교환될 수 있다.
스크루(11)는 셋 링(4)의 오목부(10)의 하부 플레이트(10a) 상의 워셔(1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스크루(11)는 예를들면 벌브(14)가 교환될 때 분실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라, 스크루(11)는 셋 링(4)을 체결시키는 고정부재로써 이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정부재로 또는 스크루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들면 두 부분을 고정시키는 패스너와 같은 다른 부재도 또한 동일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경고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실시예에서와의 동일 부품 및 부재는 동일 부재번호로 표시되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힌지부재(25)는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오목형인 제1지지편(26), 평면도에서 보았을 때 볼록형인 제2지지편(27)과 회전축(28)으로 이루어진다. 장착구멍(26a)은 실린더형이 되도록 제1지지편(26)의 양단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며, 나사구멍(26b)은 제1지지편(26)에 형성된다. 장착구멍(27a)은 실린더 형이 되도록 제2지지편(27)의 돌출단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며, 관통구멍(27b)은 제2지지편(27)에 형성된다.
힌지부재(25)는 회전축(28)을 제1지지편(26)의 장착구멍(26a)과 제2지지편(27)의 장착구멍(27a) 속으로 삽입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힌지부재(25)의 제1지지편(26)의 나사구멍(26b)은 스크루(29)에 의해 셋 링(4)에 체결되는 반면에(제10도 내지 제12도에선 단지 한부분만 도시됨), 스크루(30)는 제2지지편(27)의 관통구멍(27b)으로 삽입되며 그후 베이스 플레이트(2)와 고정적으로 맞물린다(제10도 내지 제12도에선 단지 한부분만 도시됨).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경고등은 베이스 플레이트, 착색된 투명재료로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글로브, 글로브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조명장치와 글로브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셋 링을 포함하며 여기서, 셋 링은 셋 링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한 연결부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와 맞물리고, 셋 링의 타단부가 탈착가능한 고정부재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경고등에 따르면, 셋 링은 연결부재를 맞물림 해제하지 않은채 단지 고정부재만을 맞물림 해제시킴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 및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자는 내부 부품을 교환하기 위해 글로브를 용이하게 분리시킨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본 발명의 구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여겨져야 하며 부품의 형태, 크기 및 배열에서의 다양한 변화는 본 발명의 정신 혹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로브의 색은 적색, 황색, 청색 혹은 소망의 다른 색이 될 수 있다.
Claims (17)
-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된 컵형태의 글로브; 상기 글로브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설비된 조명장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글로브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셋 링; 상기 셋 링의 일단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맞물리게 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피봇식으로 회전가능한 연결부재와 상기 셋 링의 타단부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시키고, 분리 가능한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티어드롭과 유사한 형태인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메인부와 메인부의 주위 에지를 따라 상승하도록 형성된 에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향으로 구부려진 상기 메인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신장부; 상기 제1신장부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좌측 및 우측으로 쉬프된 위치에서 상기 제1신장부내에 형성된 나사구멍; 상향으로 구부려진 상기 메인부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2신장부와 상기 제2신장부내에 형성된 나사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는 착색된 투명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는 하향으로 개방된 개방단부와 상기 글로브의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일체로 외부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브의 상기 개방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와 윤곽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 링은 링플레이트 부재로 형성되고 그 상부가 내부방향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 링은 내부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셋 링의 상부 에지로부터 일체로 돌출한 플랜지, 상기 셋 링의 일단부에 형성된 후크와 유사한 형태의 맞물림부, 상기 맞물림부와 대향하여 상기 셋 링의 타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내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상기 오목부의 바닥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금속 플레이트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와 바닥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L형태 섀시, 벌브 및 앞면이 실질적으로 원형인 포물선형 표면을 갖는 반사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고정스크루 및 상기 고정스크루와 결합되는 워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셋 링의 상기 후크와 유사한 형태의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지지축으로 이루어지고, 금속 바를 구부림으로써 U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스크루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체결되고 상기 바의 서로 떨어진 두 단부를 링 형태가 되도록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힌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평면도에서 오목형인 제1지지편; 평면도에서 볼록형인 제2지지편; 회전축; 상기 제1지지편의 양단부를 실린더형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장착구멍; 상기 제1지지편내에 형성된 나사구멍; 상기 제2지지편의 돌출단부를 실린더형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장착구멍과 상기 제2지지편내에 형성된 나사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패스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1항에 있어서,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글로브의 개방단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에지부 사이에 전체적으로 장착된 제1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1항에 있어서,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차체 사이에 장착된 제2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섀시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반사경은 상기 반사경의 반사면이 항상 상기 벌브를 향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고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226064A JP2893506B2 (ja) | 1994-08-29 | 1994-08-29 | 車輌用警光灯 |
JP94-226064 | 1994-08-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07274A KR960007274A (ko) | 1996-03-22 |
KR0150747B1 true KR0150747B1 (ko) | 1998-10-01 |
Family
ID=1683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26575A KR0150747B1 (ko) | 1994-08-29 | 1995-08-25 | 차량용 경고등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893506B2 (ko) |
KR (1) | KR0150747B1 (ko) |
CN (1) | CN1070787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384628B (zh) * | 2010-08-30 | 2016-03-09 |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 隔板结构以及装配有所述隔板结构的冷藏设备 |
FR3054184B1 (fr) * | 2016-07-22 | 2018-07-13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Pare-chocs avec dispositif lumineux d’un vehicule automobile |
-
1994
- 1994-08-29 JP JP6226064A patent/JP289350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
- 1995-08-25 KR KR1019950026575A patent/KR015074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8-29 CN CN95109489A patent/CN107078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893506B2 (ja) | 1999-05-24 |
CN1119604A (zh) | 1996-04-03 |
JPH0869702A (ja) | 1996-03-12 |
CN1070787C (zh) | 2001-09-12 |
KR960007274A (ko) | 1996-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43507A (en) | Portable quartz floodlight fixture | |
US4920460A (en) | Self-illuminated grill for motor vehicles | |
US4516196A (en) | Luminaire hinge and latch | |
KR0150747B1 (ko) | 차량용 경고등 | |
US4689729A (en) | Floodlight | |
KR200355837Y1 (ko) | 배전반용 조명등 기구 | |
JPH055612Y2 (ko) | ||
JP4013291B2 (ja) | 照明器具 | |
JPS629604Y2 (ko) | ||
JPS6010015Y2 (ja) | 照明器具 | |
JPH05242714A (ja) | 照明器具 | |
JPH026564Y2 (ko) | ||
JPS583209Y2 (ja) | 車両用コンビネ−シヨンランプの仮止め機構 | |
US20010026453A1 (en) | Multidirectional docking light | |
US1783311A (en) | Lighting fixture | |
KR0125726Y1 (ko) | 자동차용 전조등의 백 커버 구조 | |
JPH0129923Y2 (ko) | ||
JPS63106154A (ja) | 車両用uタ−ンランプ | |
JPH0728070Y2 (ja) | 自動二輪車の照明器具取付け構造 | |
JPS646360Y2 (ko) | ||
KR930005309Y1 (ko) | 회전등 | |
JPH059770Y2 (ko) | ||
JP2591962Y2 (ja) | 車両用灯具 | |
JPH0377735U (ko) | ||
JPH0355604U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60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