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627B1 - 스터핑 - Google Patents

스터핑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627B1
KR0150627B1 KR1019910701743A KR910701743A KR0150627B1 KR 0150627 B1 KR0150627 B1 KR 0150627B1 KR 1019910701743 A KR1019910701743 A KR 1019910701743A KR 910701743 A KR910701743 A KR 910701743A KR 0150627 B1 KR0150627 B1 KR 0150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ffing
sheet
starting material
thickness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039A (ko
Inventor
포쓰 라아스
Original Assignee
포쓰 라아스
포쓰니트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쓰 라아스, 포쓰니트 에이/에스 filed Critical 포쓰 라아스
Publication of KR92070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plastics, e.g. cinematographic fil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6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reinforced with sheet-like or rigid elements, e.g. prof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4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Optical Head (AREA)
  • Bedding Item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Revetment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터핑에 관한 것으로, 스터핑읕 (1)(2) 탄성재료로 이루어진,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느슨하게 배치된 개개의 스터핑 엘레먼트로 구성된다. 각각의 스터핑 엘레먼트(2)는 최소한 하나의 굴곡을 가지는 쉬트의 박막형 조각의 형상이다. 스터핑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고, 저온 또는 고온상태에서 조작되어 스터핑 엘레먼트로 성형되는 출발재료로 부터 형성된다. 호일, 쉬트 및 막대같은, 많은 다양한 반-제조 플라스틱 가공품이 출발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고, 스터핑 엘레먼트는 나아가 플라스틱 과립으로부터 직접 제조될 수도 있다. 스터핑은 침구류, 예컨대 깃털이불 및 베개용으로, 매트리스 및 덮개가 있는 가구용으로, 그리고 가옥 및 열적 설비에서 일반적으로 단열재로서 유리하게 사용되다.

Description

스터핑
본 발명은 탄성재료로 된 다수개의, 바람직하게는 느슨하게 배치된 개개의 스터핑 부재로 이루어진 스터핑에 관한 것이다.
이런 유형의 스터핑은 베개, 깃털이불 및 이롸 유사한 침구류용으로, 매트리스 및 겉천을 댄 가구의 패딩용으로, 및 예컨대 빌딩에서의 단열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원래, 스터핑은 솜털, 깃털, 케이폭(kapok) 및 곱슬거리는 털과 같은 천연 제품 뿐이었지만, 최근에는 인공적으로 제조된 재료, 예컨대 발포 플라스틱, 유리 및 돌과 같이 상이한재료로 된 섬유로 선택의 폭이 넓다.
종래 기술에는 동물의 안정한 출산을 위한 인공 밀짚 제조, 깨지기 쉬운 제품의 보호, 및 스터핑을 위한 여러 인공재료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미국 특허 명세서 제 4,171,401호에는 말 및 소와 같은 가축에 사용되는 안정 출산용의 종래 밀짚을 대체하기 위한 인공 밀짚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인공 밀짚의 크기(평평하고 곧게 뻗어있는 상태에서)는 하기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인 범위 바람직한 범위 특히 바람직한 범위
두께(um) 60-800 100-600 150-500
길이(mm) 30-800 100-600 150- 400
폭 (mm) 1-20 2-15 2.5-8
그러므로 인공 밀짚에 대한 가로 세로 비(즉, 길이/폭의 비) 1.5 내지 800,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160이다.
스위스 특허 명세서 제 538,425호에는 예컨대 운반 도중 깨지기 쉬운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발포 플라스틱으로 된 계란 모양의 안장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재료 및, 최종 발포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재료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발포되지 않은 중간 생성물의 일반적인 치수는 길이가 3 내지 20mm,폭이 2 내지 10mm이고, 두께가 800 내지 3000㎛이다.상기 중간 생성물은 발포단계에서 발포되므로써 입자의 크기가 3 내지 4개의 인자에 의해 증가된다.,
독일 특허 명세서 제 1,131,505 호에는 특수 결합제로 내부 결합된, 가요성이고 주름진 다수의 플라스틱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는 덮개용, 단열 및 방음용 스터핑 재료가 기재되어 있다.
영국 특허 명세서 제 977,872 호에는 접촉 필라민트 사이에서 서로 맞물리기 위해 표면이 거친, 대다수의 무작위로 얽혀있는 규칙적인 형태의 발포 수지 필라민트를 포함하는, 쿠션, 매트리스, 퀼트 등의 용으로, 및 패킹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스터핑 재료가 기재되어 있다. 스터핑은 경우에 매우 많이 소비되므로 적정가격으로 시판되어야 하고, 스터핑을 이용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해야 하며, 동시에 스터핑은 한 적용분야에서 다른 적용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할 수 있으면서, 밀도, 탄성 변형성, 단열용량 및 물세탁 가능성에 대한 표준치를 포함하는 많은 기술적 내용에 부합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대부분의 경우, 난연성이어야 하고, 알레르기 체질의 사람을 불안하게 하지 않는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공지의 스터핑 재료들은 이들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모든 경우에서 상기 언급한 요구 조건을 완전히 만족시키지는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스터핑보다 상기와 요구조건들을 더욱 만족 시킬 수 있도록 적용된, 이하에서 기술되는 유형의 스터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유형의 스터핑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 스터핑은 각각의 스터핑 부재가 하나 이상의 굴곡을 갖는 박막형 시트조각으로 성형되고, 각각의 시트 조각은, 두께가 1 내지 7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이고, 길이가 1 내지 100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mm, 특히 바랍직하게는 1 내지 15mm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스터핑 부재 사이에서 공기 부피가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하며, 개개의 부재가, 한 부재에서 다른 부재에 걸리는 가능한 부하로부터의 힘을 탄성적으로 전달하는 판 스프링으로서 작용할 것이기 때문에, 스터핑이 비교적 저렴하게 제조되고, 매우 가볍고, 탄성임을 의미한다. 크기, 두께 및 형태가 다양한 스터핑 부재들이 혼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스터핑은 또한 다양한 적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재료는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으며, 이는 스터핑이 예컨대 끓임 및 오토클레이빙에 의하여 살균온도에서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고, 플라스틱 재료가 추가로 가교결합되는 경우에 각각의 개별적인 플레이트 형 스터핑 부재의 강도 및 탄성이 모든 방향에서 동일하게 양호하게 되도록 하는 스터핑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한 유리한 구체예에서, 플라스틱 재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군에 속할수 있으며, 또는 이들의 물리적 혼합물, 공중합체 및 라미네이트일 수 있다. 이로써 스터핑은 고강도 및 고탄성을 얻으며, 알레르기 체질의 사람을 불안하게 하지 않을 것이다. 폴리에텔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는 경우, 또한 스터핑은 난연성을 지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재료는 균일하게 분포된 작은 기포를 다수 포함하여, 단열 용량이 양호한 특히 가벼운 스터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한 스터핑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방법은 출발재료, 바랍직하게는 플라스틱을 준비하는 단계, 및 이 출발재료로부터 저온 또는 고온에소 다수의 스터핑 부재를 박막형 시트 조각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은 시판중인 반제조 상태의 제품을 스터핑 부재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는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출발 재료로는 적당한 시트 조각으로 인열및/또는 절단되며 각각의 시트 조각이 하나 이상의 굴곡을 갖도록 영구 변형되는 플라스틱 시트, 또는 바람직하게는 압연 또는 프레싱과 동시 또는 후속하여 영구변형되는 적당한 시트 조각으로 인열 및/또는 절단하므로써 목적하는 스터핑 부재의 두께로 감소되는,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출발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의 특히 적절한 구체예에서, 스터핑 부재는 각각이 예컨대 구형 또는 다면의 비교적 두꺼운 출발재료로부터 성형될 수 있으며, 이 출발재료는 바람직한 두께와 하나 이상의 굴곡을 갖는 시트 조각으로 압연 또는 프레스된다. 이것은 스터핑 부재가 적당한 플라스틱 과립으로부터 직접 제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고강도 및 고탄성 요구조건을 가지기 위해서는 추가로 예컨대 유리 섬유 등오로 보강될 수 있는 경화성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플라스틱 재료에는 본 발명에 따라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시트, 블록, 튜브 또는 로드 형태의 출발재료가 사용되며, 이러한 출발재료는 선삭(turning), 분쇄(milling), 또는 평삭(planing) 같은 치핑(chipping) 작업 처리되어, 박막형 시트 조각으로 다수의 스퍼핑 부재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터핑 부재의 성형이 진행되는 처리영역에, 건조시 액체가 형성된 스터핑 부재상의 고무성 피막을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도와 조성을 가지는 냉각 및 윤활 액체가 첨가될 수 있다. 이것은 스터핑 부재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며, 스터핑 부재들이 서로 스칠 때 발생할수 있는 소음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한 스터핑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스터핑은 스터핑은 스터핑 침구류, 예컨대 베개 또는 깃털이불용으로, 매트리스 및 겉천을 댄 가구의 패딩용으로, 및 예컨대 가옥, 냉장용 가구 및 유사한 열적 설비등에서 단열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로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스터핑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제 1도에 도시된 스터핑에 속하는 부재중 하나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스터핑 부재가 플라스틱 시트를 기재로하여 제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비교적 두껍게 신장된 플라스틱 출발 재료를 기재로 하는 스터핑 부재가 제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5도는 플라스틱 과립을 기재로하여 스터핑 부재가 제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6도는 플라스틱 로드로부터 선삭에 의하여 제거되는 칩으로서 스터핑 부재가 제조되는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1도는 서로 느슨하게 접촉하여 무작위로 배치된 다수의 스터핑 부재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도면부호(1)로 표시된 스터핑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 2도는 박막형 시트 조각으로 이루어진 상기 스터핑 부재(2)중 어느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시트 조각은 여러방향으로 굴곡져 있다. 또한 상기 시트 조각은 특정 외형과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모든 경우에서 하나 이상의 굴곡을 가져야 하며, 탄성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스터핑(1)에 부하가 걸리는 경우, 그 힘은 전체 스터핑을 통해 어느한 스터핑 부재(2)로부터 다른 스터핑 부재(2)로 이동되고,이에 따라 각 스터핑 부재는 힘의 크기와 방향에 상응하여 구부러질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휨에 대한 저항율은 제 3의 힘인 두께에 역비례하며, 저항율은 언급한바와 같이 매우작기 때문에, 각 스터핑 부재는 영구적으로 변형되지 않으면서 상당한 정도의 휨을 유지할 수 있어, 대체적으로 스터핑에 매우 우수한 탄성 변형성을 제공하고, 또한 각 스터핑 부재의 형태 및 재료를 적당히 선택하므로써 임의의 원하는 목적에 적용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군, 또는 이들의 물리적 혼합물, 공중합체 및 라미네이트가 스터핑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어, 스터핑이 특히 우수한 강도 및 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이 가교결합되는 경우, 특히 모든 방향에서 균일한 기계적 특성을 갖게 된다.
스터핑 부재들 사이에서 자연적으로 생기게 되는 고비율의 기포로 인해, 스터핑은 밀도가 유리하게 낮고, 단열용량이 우수하다. 상기 특성은 자체에 작은 기포를 다수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므써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스터핑은 두께,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한 스터핑 부재를 혼합하므로써 각각의 응용에 적용될 수 있다. 각 스터핑 부재는 두께가 1 내지 75 ㎛, 바람직하게는5 내지 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이고, 길이가 1 내지 100mm,1 내지 30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mm이다.
제3도는 스터핑 부재(3)의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두께가 마무리된 스터핑 부재(2)의 두께에 해당하는 플라스틱 시트(3)는 공급 릴(4)로부터 한쌍의 로울러(5)에 의해 끌어당겨지고,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6)으로 표시된 작업장에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이 작업장에서 스터핑 부재(2)가 실질적으로 형성되고, 시트(3)가 적당한 시트 조각으로 인열 및/또는 절단되며, 동시에 변형되어 목적하는 형태를 얻게 된다.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작업장(6)은 적당한 경질 고부의 웨브(8)를 구비한 통상적으로 비교적 큰 로울러(7) 및 단단한 강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적당한 패턴(10)이 있는 보다 소형의 연마 로울러(9)로 이루어진다. 로울러(7,9)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로울러(7)의 고무 웨브(8)는 로울러 사이에서 플라스틱 시트를 로울러(9)의 패턴(10)으로 프레스(press)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시트는 로울러(9)의 패턴 자국을 얻게됨과 동시에 적당한 시트 조각의 스터핑 부재(2)로 절단된다. 따라서, 상기 패턴의 형사에 따라, 스터핑 부재(2)는 선택적으로 목적하는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강도 및 탄성을 포함하여 완성된 스터핑 부재(2)의 기계적 특성은 부분적으로 작업 단계와 출발 재료(3)에 따라 좌우된다. 이러한 출발재료가 경질의 탄성 재료인 경우, 공정은 실제 작업에앞서 적당한 가열수단(미도시됨)에 의해 플라스틱 시트(3)를 가열하므로써 고온 상태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추가로, 냉각제 및 윤활제는 작업 공정 동안 노즐(11)을 거쳐 첨가될 수 있고, 상기 냉각제 및 윤활제는 건조시 액체가 스터핑 부재상의 고무상 피막을 이탈시키는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각 스터핑 부재의 내마모성이 증가되고, 사용할 때 부재들의 상호 마찰로 인한 소음이 감소되거나 완전히 제거되며, 이는 특히 스터핑이 침구, 예컨대 베개 및 깃털 이불로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하게 된다.
제4도는 스터핑 부재(2)를 제조하기 위한 제 2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플라스틱 시트(3)가 비교적 두께가 출발물(12)로 대체된 후, 로울러(5)에 의해 시트 두께를 감소시키도록 냉각상태 또는 고온상태에서 로울링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3도에 도시한 장치에 완전히 상응한다. 예컨대, 시트 및 로드 형태의 시판용 반제품이 출발물(12)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스터핑 부재에 대한 실제 작업은 제 3도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므로,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제5도는 스터핑 부재(2)를 제조하기 위한 제 3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경우에, 출발 재료는 공급호퍼(15)에 저장된 적당한 미세 분할 과립(13)이며, 상기 공급호퍼로부터 과립(13)의 각각의 입자(grain)(14)가 공급호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입자(14)를 공급하는 무한 벨트 컨베이어(16)에 상호 간격을 두고 첨가된다. 입자는 이동되는 동안 예컨대 가열수단(17)의 복사열 또는 열풍에 의해 가열된 후, 가열된 입자는 각각의 입자를 적당한두께로 롤링시키는 두 개의 전방 로울러(18)사이로 수직 낙하되고, 이후 입자(14)는 작업장(19)에 도달하게 되어 스터핑 부재(2)의 최종 형태로 성형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작업장은 적당한 경질 고무 웨브(21)를 구비한 비교적 큰 로울러(20) 및 표면에 패턴(23)이 있는 보다 소형의 연마 로울러(22)를 포함한다. 냉각제 및 윤활제는 분사 노즐(24)을 통해 부가되고, 작업장(19)은 통상적으로 제 3 및 4도에 관해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각각의 개별적인 입자는 자동적으로 스터핑 부재가 되어, 흔히 복잡한 인열 또는 절단공정이 이와 같은 경우에서는 제거되기 때문에, 연마 로울러(22)의 패턴(23)에는 절단 부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제 5도에 도시된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장점은 이 장치가 과립으로부터 직접 스터핑 부재를 직접 제조할 수 있으므로써 우선하여 과립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데에 발생할 수 있는 상당한 비용을 완전히 없앤다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제6도는 비교적 두께가 두께가 두꺼운 플레이트, 블록, 튜브 또는 로드를 치핑 작업, 예컨대 선삭가공, 분쇄 또는 평삭에 의해 치핑하므로써, 제조되는 스터핑 부재(2)를 제조하기 위한 제 4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분사노즐(27)로부터 냉각제 및 윤활제가 동시 공급되면서, 로드(26)는 선삭 공구(25)에 의해 부스러기(2)로 선삭가공되고, 이들 각각은 개별적인 스터핑 부재를 형성한다. 특히, 본 방법의 상기 구체예의 장점은 매우 강한 탄성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경화성 및 임의로 추가로 보강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될 수 있고, 또한 경질 탄성발포 플라스틱으로부터 특히 가볍고 탄성이며 단열성인 스터핑 부재가 성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스터핑은 다수의 다양한 목적에 적합하다.
상기 스터핑의 응용으로는, 스터핑의 가벼움 및 부드러운 탄성 변형성, 및 박테리아 멸균 온도에서의 비등 및 오토클레이빙에 대한 내구성으로 인해 솜털 및 깃털을 유리하게 대체시킬 수 있는 깃털이불 및 베개와 같은 침구류가 포함되며, 여기서 스터핑은 특히 병원 및 유사 기관에서 침구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알레르기에 대한 불안을 야기시키지 않는다는 조건이 부가되어야 한다.
또한, 스터핑은 상당히 높은 하중을 견딜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고, 상기 변형물은 특히 매트리스 및 겉천을 댄 가구의 패딩용으로 유용하다.
스터핑의 큰 단열 용량으로 인해, 이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가옥 및 열적 설비에서 단열재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서는 스터핑 재료에 균일하게 분포된 작은 기포가 다수 함유되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

Claims (14)

  1.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군으로부터 또는 이들의 물리적 혼합물, 공중합체 및 라미네이트로부터 선택된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느슨하게 배치된 개개의 스터핑 부재로 이루어지는 스터핑으로서,
    각각의 스터핑 부재가 판 스프링으로서 성형되고, 다수개의 무작위로 배향되는 벤드를 포함하는 비대칭 형상의 박막형 시트 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시트 조각이 두께가 1 내지 75㎛이고, 길이가 100㎜임을 특징으로하는 스터핑,
  2. 제 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가 가교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핑.
  3. 제 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가 균일하게 분포된 작은 기포를 다수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핑.
  4. 제 1항에 있어서, 두께,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한 스터핑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스터핑.
  5.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의 군으로부터 또는 이들의 물리적 혼합물, 공중합체 및 라미네이트로부터 선택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출발재료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출발재료로부터 다수의 스터핑 부재를, 저온 또는 고온상태에서, 박막형 시트 조각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여, 제 1하에따른 유형의 스터핑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출발재료로서, 각각이 영구 변형되는 적당한 시트 조각으로 인열 또는 절단되는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출발재료의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압연 또는 프레싱과 동시에 또는 후속하여 영구 변형되는 적당한 시트 조각으로 인열 또는 절단하므로써 목적하는 스터핑 부재의 두께로 감소되는,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출발 재료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스터핑 부재가 구형 또는 다면의 비교적 두꺼운 출발재료로부터 성형되어, 목적하는 두께 및 다수의 무작위로 배향되는 벤드를 갖는 시트조각으로 압연 또는 프레스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비교적 두꺼운 플레이트, 블록, 튜브 또는 로드 형태의 출발재료를 사용하는 단계, 이러한 출발 재료를 선삭, 분쇄 또는 평삭과 같은 치핑 작업을 수행하여 다수의 무작위 배향 벤드를 갖는 박막형 시트의 형태로 다수의 스터핑 부재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는 방법.
  10. 제 7항 내지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충전 부재를 성형하는 처리영역에, 건조시 액체가 형성되는 스터핑 부재상의 고무 상피막을 이탈시킬 수 있는 조도와 조성을 가지는 냉각 및 윤활 액체가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하에 따른 유형의 스터핑으로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또는 깃털이블과 같은 침구류.
  12. 제 1항에 따른 유형의 스터핑으로 채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
  13. 제 1항에 따른 유형의 스터핑으로 패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또는 소파와 같은 겉천을 댄 가구.
  14. 제 1항에 따른 유형의 스터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가옥, 냉장용 가구 또는 기타 열적 설비에서의 단열재.
KR1019910701743A 1989-06-02 1990-06-01 스터핑 KR0150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271989A DK271989A (da) 1989-06-02 1989-06-02 Fyld
DK2719/89 1989-06-02
PCT/DK1990/000135 WO1990015016A1 (en) 1989-06-02 1990-06-01 Stuff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039A KR920701039A (ko) 1992-08-11
KR0150627B1 true KR0150627B1 (ko) 1998-10-01

Family

ID=811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743A KR0150627B1 (ko) 1989-06-02 1990-06-01 스터핑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476012B1 (ko)
JP (1) JP3209743B2 (ko)
KR (1) KR0150627B1 (ko)
AT (1) ATE128949T1 (ko)
AU (1) AU648257B2 (ko)
BR (1) BR9007414A (ko)
CA (1) CA2055601C (ko)
DE (1) DE69022990T2 (ko)
DK (2) DK271989A (ko)
ES (1) ES2077681T3 (ko)
FI (1) FI915687A0 (ko)
HU (1) HUT60208A (ko)
NO (1) NO178694C (ko)
RU (1) RU2041856C1 (ko)
WO (1) WO19900150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06080A2 (pt) 2009-09-18 2019-09-24 Horizon Oilfield Solutions Inc sistemas e métodos para a concentração de fluídos de água de despejo.
EP2603322A1 (en) 2010-08-11 2013-06-19 Fossfill ApS A method and a system for the manufacture of a plastics filling material
JP5687140B2 (ja) * 2011-06-10 2015-03-18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クッション体
EE05763B1 (et) 2014-03-26 2016-03-15 Osaühing Delux Vooditarvete täidismaterjal ja selle kasutam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31505B (de) * 1955-02-28 1962-06-14 Berleburger Schaumstoffwerk G Fuellstoff fuer Polster, Waerme- und Schalldaemmung
GB977872A (en) * 1960-06-23 1964-12-16 Riichi Tobari Stuffing material for cushions, mattresses, quilts and the like
US3387672A (en) * 1964-06-26 1968-06-11 Mobil Oil Corp Cavitational method for drilling wells
GB1369851A (en) * 1971-10-06 1974-10-09 Teijin Ltd Polyester fibres
DE2154754C3 (de) * 1971-11-04 1978-08-31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xpandierbarer Styrolpolymerisate
IE45870B1 (en) * 1976-09-09 1982-12-15 Legrix G Artificial straw for making stable lit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T60208A (en) 1992-08-28
NO914672D0 (no) 1991-11-28
AU5819090A (en) 1991-01-07
DE69022990D1 (de) 1995-11-16
RU2041856C1 (ru) 1995-08-20
WO1990015016A1 (en) 1990-12-13
DK271989D0 (da) 1989-06-02
DK271989A (da) 1990-12-03
AU648257B2 (en) 1994-04-21
KR920701039A (ko) 1992-08-11
EP0476012A1 (en) 1992-03-25
CA2055601C (en) 2001-08-07
ES2077681T3 (es) 1995-12-01
JPH04507353A (ja) 1992-12-24
DE69022990T2 (de) 1996-04-11
CA2055601A1 (en) 1990-12-03
NO914672L (no) 1992-01-30
HU904816D0 (en) 1992-06-29
ATE128949T1 (de) 1995-10-15
FI915687A0 (fi) 1991-12-02
BR9007414A (pt) 1992-06-16
JP3209743B2 (ja) 2001-09-17
NO178694C (no) 1996-05-15
DK0476012T3 (da) 1995-11-27
NO178694B (no) 1996-02-05
EP0476012B1 (en) 199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788B2 (en) High comfort mattresses having fiberballs
US7255917B2 (en) Reticulated open cell filling material
US6372076B1 (en) Convoluted multi-layer pad and process
US20190150631A1 (en) Cushions including one or more zones of different materials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e for improved yield
CN107614238B (zh) 三维条形结构
US6500292B1 (en) Convoluted surface fiber pad
KR0150627B1 (ko) 스터핑
JP2007331222A (ja) 凹凸表面材
US20080044619A1 (en) Reticulated open cell filling material
US5405694A (en) Stuffing
US11812861B2 (en) Comfort layer with liquid pod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206995U (ja) 合成樹脂発泡薄片
US20190053630A1 (en) Three dimensional polylactide fiber matrix layer for bedding products
US20200008595A1 (en) Filling element for fabric products
JP7416691B2 (ja) プレコンディショニングされた寝具製品用の3次元ポリマー繊維マトリクス層
JPH0248244B2 (ko)
JP2024044215A (ja) 硬化高反発クッションおよび硬化高反発まく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