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256B1 - 테이프자동교환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자동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256B1
KR0150256B1 KR1019940015654A KR19940015654A KR0150256B1 KR 0150256 B1 KR0150256 B1 KR 0150256B1 KR 1019940015654 A KR1019940015654 A KR 1019940015654A KR 19940015654 A KR19940015654 A KR 19940015654A KR 0150256 B1 KR0150256 B1 KR 0150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deck
tape deck
signal
magaz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232A (ko
Inventor
채경도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4001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256B1/ko
Publication of KR96000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2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11B15/6805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linearly moving rectangular box shaped magaz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에 사용되는 테이프자동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카오디오는 테이프 데크 1개에 테이프를 수동으로 교환하여 사용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운행중 테이프를 교환하고자 할때 운전에 불편함을 주어 사고의 위험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테이프선택버튼을 푸쉬하여 테이프를 자동으로 교환가능토록 하여 운전중에 자동으로 테이프를 교환하도록하여 운행중 사고를 방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프 자동교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자동교환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메거진에서 테이프데크로 또는 역으로의 테이프이동 동작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메거진 2 : 테이프감지센서
3 : 제1 감지부 4 : 테이프데크
5 : 테이프데크부 6 : 테이프데크감지센서
7 : 제2 감지부 8 : 테이프선택버튼
9 : 제어부 10 : 모터
11 : 동력전달수단 12 : 레버
13 : 축 14 : 연결바
20 : 회전축
본 발명은 테이프자동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카오디오 또는 홈오디오에서 테이프를 자동으로 교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이의 카오디오는 테이프 데크 1개에 테이프를 수동으로 교환하여 사용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운행중 테이프를 교환하고자 할때 운전에 불편함을 주어 사고의 위험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테이프선택버튼을 푸쉬하여 테이프를 자동으로 교환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수개의 테이프를 장착가능토록 형성한 테이프메거진과, 상기 테이프 메거진에 실장된 테이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테이프메거진의 테이프장착부위에 설치된 수개의 테이프감지센서와 상기 수개의 테이프감지센서를 구동시켜 테이프의 유무를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1 감지부와, 상기 테이프메거진과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한 테이프데크를 실장한 테이프 데크부와, 상기 테이프데크부 내부의 테이프데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테이프데크부의 내부에 설치된 수개의 테이프데크감지센서와, 상기 수개의 테이프데크감지센서를 구동시켜 테이프데크부의 위치를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2 감지부와, 상기 제1 감지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테이프의 유무를 감지한 신호와 테이프를 선택하는 테이프선택버튼부의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테이프데크가 정위치에 도달했다는 제2 감지부의 테이프데크 위치를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구동/정지신호를 입력받아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테이프자동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데크의 상하면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은 상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에 의해서 상기 테이프데크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상기 테이프메거진에는 테이프데크로 또는 그 역으로 테이프가 이동되도록 테이프매거진 일단에 설치되어 있는 축과,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와, 상기 테이프데크쪽으로 테이프를 장착시키거나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데크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좌우로 이동되는 연결바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자동교환장치의 구성도로, 수개의 테이프를 장착 가능토록 형성한 테이프메거진(1)과 ; 이 테이프 메거진(1)에 실장된 테이프를 감지하기 위해 테이프매거진(1)의 테이프장착부위에 설치된 수개의 테이프감지센서(2)와 ; 상기 수개의 테이프감지센서(2)를 구동시켜 테이프의 유무를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1 감지부(3)와 ; 상기 테이프매거진(1)과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한 테이프데크(4)를 실장한 테이프데크부(5)와 ; 이 테이프데크부(5) 내부의 테이프데크(4)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테이프데크부(5)의 내부에 설치된 수개의 테이프데크감지센서(6)와 ; 상기 수개이 테이프데크감지센서(6)를 구동시켜 테이프데크(4) 위치를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2 감지부(7)와 ; 상기 제1 감지부(3)를 통하여 전달되는 테이프의 유무를 감지한 신호와 테이프를 선택하는 테이프선택버튼부(8)의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테이프데크(4)가 정위치에 도달했다는 테이프데크감지센서(6)의 테이프데크(4) 위치를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9)와 ; 이 제어부(9)의 구동/정지신호를 입력받아 도시되지 않은 기어장치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테이프데크(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모터(10)와 ; 상기 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데크(4)의 상하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나사와 회전축(20)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나사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하측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다수개의 기어열(예를 들면, 일반적인 기술인 방향전환을 하기 위한 아이들(idle) 기어사용)을 이용하여 상기 테이프데크(4)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호전축(20)을 포함하고 있는 동력전달수단(11)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테이프매거진(1)에서 테이프데크(4)로 또는 역으로 테이프이동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매거진(1) 후단에 축(13)이 설치되고 이축(13)에는 레버(12)가 설치된다. 또한 이 레버(12) 대응 부위에는 일단이 바형태를 이룬 연결바(14)가 위치되며, 연결바(14) 타단은 테이프데크(4) 후단에서 ㄱ자형 레버(12)가 축(13)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테이프데크(4)에 테이프 장착 및 이탈을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테이프메거진(1)의 축(13)에 설치된 레버(12)와 연결바(14)는 동력전달수단(11)에 의해 테이프데크(4)와 같이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바(14)는 테이프데크(4)가 정지한 후, 테이프선택버튼부(8)의 선택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동력전달 장치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아 제2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레버(12)의 일단부를 축(1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밀게됨으로써, 상기 레버(12)의 타단부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테이프를 우측으로 밀게된다.
그러면, 테이프의 우측에 있는 테이프데크(4)에 테이프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테이프데크(4)의 내부에 있는 도시되지 않은 테이프 인입장치에 의해서 테이프가 상기 테이프데크(4)의 내부에 정확히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14)의 작동은 다른 구동원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제1 감지부(3)에서 테이프매거진(1)의 각 테이프유무를 감지하여 이 데이타를 제어부(9)에 보내고 이 제어부(9)는 이 데이타를 유지하며 테이프 선택버튼(8)의 선택신호에 의해 원하는 테이프를 청취할 수 있도록 모터(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T3에 테이프가 존재할때 T3의 테이프를 동작시키기 위해 테이프선택버튼부(8)의 설정버튼을 선택하면 제어부(9)는 T3의 위치에 해당하는 M3까지 테이프데크(4) 상하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나사와 상기 회전축(20)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나사가 결합되어 하강하도록모터(10)를 구동시킨다. 이후에는 테이프데크감지센서(6)에 연동하는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작용으로 테이프데크(4)를 정지 시키고 모터(10)의 동력을 일시 이용하거나, 별도의 동력원(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하여 연결바(14)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연결바(14)의 선단에 닿는 레버(12)의 일단부가 축(1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가 테이프데크(4)내로 들어가고 상기 테이프데크(4) 내의 도시되지 않은 인입장치에 이해 테이프가 안착되며, 테이프가 안착시에는 연결바(14)를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작시켜 제2도와 같이 초기 상태로 대기하면서 테이프를 청취할 수 있다. 이후 테이프를 인출코자할 때에는, 상기에 기술한 바와 반대로, 연결바(14)가 도시되지 않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테이프를 데크(4)에서 인출시킨다.
물론 이때도 테이프가 테이프매거진(1)으로 안착되면 테이프감지센서(2)에 의해 제어부(9)가 이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 신호에 따라 연결바(14)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처음의 상태로 대기토록 한다.
본 고안에서 연결바(14)이 작동은 상기 구조외에도 여러가지로 가변시켜 구현가능하고 구동동력 역시 다양하게 설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행중에 테이프를 자동으로 용이하게 교환함으로써 운행중 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1)

  1. 수개의 테이프를 장착가능토록 형성한 테이프매거진(1)과, 상기 테이프 매거진(1)에 실장된 테이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테이프매거진(1)의 테이프장착부위에 설치된 수개의 테이프감지센서(2)와, 상기 수개의 테이프감지센서(2)를 구동시켜 테이프의 유무를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1 감지부(3)와, 상기 테이프매거진(1)과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한 테이프데크(4)를 실장한 테이프데크부(5)와, 상기 테이프데크부(5) 내부의 테이프데크(4)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테이프데크부(5)의 내부에 설치된 수개의 테이프데크감지센서(6)와, 상기 수개의 테이프데크감지센서(6)를 구동시켜 테이프데크부(5)의 위치를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제2 감지부(7)와, 상기 제1 감지부(3)를 통하여 전달되는 테이프의 유무를 감지한 신호와 테이프를 선택하는 테이프선택버튼(8)의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테이프데크(4)가 정위치에 도달했다는 제2 감지부(6)의 테이프데크(4) 위치를 감지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9)와, 상기 제어부(9)의 구동/정지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하는 모터(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테이프자동교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데크(4)의 상하면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20)은 상기 모터(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2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에 의해서 테이프데크(4)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상기 테이프매거진(1)에는 테이프데크(4)로 또는 그 역으로 테이프가 이동되도록 테이프매거진(1) 일단에 설치되어 있는 축(13)과, 상기 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12)와, 상기 테이프데크(4)쪽으로 테이프를 장착시키거나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데크(4)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좌우로 이동되는 연결바(14)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자동교환장치.
KR1019940015654A 1994-06-30 1994-06-30 테이프자동교환장치 KR0150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654A KR0150256B1 (ko) 1994-06-30 1994-06-30 테이프자동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654A KR0150256B1 (ko) 1994-06-30 1994-06-30 테이프자동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232A KR960002232A (ko) 1996-01-26
KR0150256B1 true KR0150256B1 (ko) 1998-10-15

Family

ID=19387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654A KR0150256B1 (ko) 1994-06-30 1994-06-30 테이프자동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2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232A (ko) 199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29185B1 (en) Automatic cassette loading apparatus
KR0114561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용 회전스위치장치
KR0150256B1 (ko) 테이프자동교환장치
JPH08204394A (ja) 電子部品挿入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653309B1 (en) Stencil printer equipped with print image transverse position adjustment means
US4645365A (en) Paper feed control in a printer
KR940011178B1 (ko) 반도체 단결정봉의 절단장치
US4368961A (en) Scene-start and -end referenced indicator arrangement for projector storing scene-start and -end frame counts
US5063553A (en) Cartridge guiding device for disk player
US8589962B2 (en) Apparatus with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ropagating a driving force from a driving source to an opening and closing body
JP2005020863A (ja) 配電盤における引出型遮断器ユニットの位置確認装置
JP2001127489A (ja) 部品実装装置
JP2562210Y2 (ja) 電動オートチェンジ
JP2687743B2 (ja) シート分配収容装置
KR950001536B1 (ko) 급지트레이의 용지방향 전환장치 및 그 제어회로
US4974959A (en) Slide projector
JP3215559B2 (ja) ネジ切り旋盤装置
JPH05270669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収納部材駆動装置
KR920007219B1 (ko) 비디오 프린터의 자동급지방법
KR100379233B1 (ko) 복사장치의 카세트 자동 개폐장치 및 방법
KR19980053552A (ko) 액튜에이터를 이용한 파킹폴 장치
JPH03228526A (ja) ビス締付け管理装置
JP2542183Y2 (ja) テスト機能を備えた製氷機
KR830001682Y1 (ko) 자동 기록 시스템
JPH0731843B2 (ja) カセツトテ−プデツ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