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899B1 - 데이타 패킷 재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타 패킷 재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899B1
KR0149899B1 KR1019940031424A KR19940031424A KR0149899B1 KR 0149899 B1 KR0149899 B1 KR 0149899B1 KR 1019940031424 A KR1019940031424 A KR 1019940031424A KR 19940031424 A KR19940031424 A KR 19940031424A KR 0149899 B1 KR0149899 B1 KR 0149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data packet
received
controller
p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099A (ko
Inventor
피. 에작 리챠드
난다 산지브
Original Assignee
에프.비. 룰루디스
에이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비. 룰루디스, 에이티 앤드 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프.비. 룰루디스
Publication of KR950016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6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payload signals;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8List acknowledgements,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consisting of a list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2Details of sliding window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전송 링크의 처리능력은 모든 인지되지 않은 데이타 패킷을 반복적으로 재전송하고 윈도우가 다시 개방되거나 수신기 상태 메시지 재전송된 데이타 패킷의 수신을 인지할 때까지 재전송하므로써 전송 윈도우 폐쇄에 응답하도록 데이타 패킷의 송신기를 배치하므로써 향상된다.

Description

데이타 패킷 재전송 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을 따른 송·수신기의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의 수신기가 제1도의 송신기로 전송하는 상태 제어 패킷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수신기가 본 발명에 따라서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를 정보 패킷에 부가시키고나서 상기 패킷을 제1도의 송신기에 전송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5도 및 제6도는 제1도의 송신기가 본 발명에 따라서 유지하는 전송 리스트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2도의 수신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도시한 순서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제1도의 송신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상층 제어부 105 : RAM
110 : 송신 버퍼 120 : 전송 제어기
125 : 시퀀스 번호 발생기 206 : 수신 제어기
225 : 수신 버퍼 복조기 220 : 부분/전체 상태 전송 버퍼 변조기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배경]
통상적으로, 무선 전송시에는 잡음 및 수백밀리초까지 지속되는 심한 페이딩(deep fading)을 받는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로인해, 열악한 전송 조건하에선, 무선 전송 링크를 거쳐 전송되는 데이타 패킷을 한 번 이상 재전송할 필요가 있다. 데이타 패킷의 빈번한 재전송이 무선 전송 링크의 처리능력을 저하시킨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전송 윈도우(transmission window)가 폐쇄될 때마다 데이타 패킷의 재전송을 중지하는 것이 또한 처리능력을 저하시킨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게다가, 역모드(reverse mode)(호스트 수신기에서 사용자 송신기로)시에, 호스트에서 사용자로 전송되는 정보는 어느 패킷이 수신기에 의해 정확하게 또는 부정확하게 수신되는지를 나타내는 상태 패킷(status packet)에 의해 선점된다. 이로인해, 정보 전승을 위해 사용되는 역 전송 통로의 대역폭은 상태 패킷의 전송으로 인해 감소된다. 일부 장치는 이와 같은 감소를 수용할 수 있지만, 고레벨이 지속되는 이중 처리능력(a high level of sustained duplex throughput)이 필요로될 때, 이와 같은 감소는 수용될 수 없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을 따른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제1도에 도시된 송신기(100)는 무선 통신기내에 포함된 휴대용 무선 터미널의 송신부를 구성하는데, 상기 무선 터미널은 소정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작한다. 이와 같은 프로토콜은 버스(51)를 거쳐 전송 버퍼(110)에 접속되는 소위 상층 제어부(upper layer control)(50)를 동작시킨다. 상기 버퍼(110)는 종래 메모리 장치, 예를 들어 선입선출(FIFO)RAM 메모리일 수 있다. 상층 제어부(50)로서 작용하는 데이타 발생 프로세서는 정보 워드로부터 형성된 데이타 패킷을 버퍼(110)의 순차적인 메모리 장소에 기억시킨다. 데이타 패킷이 버퍼(110)에 기억된후, 이 패킷은 버스(111)를 거쳐서 제어기(120)에 의해 검색된다. 즉, 제어기(12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데이타 패킷을 수신기(200)(제2도)에 전송하기 위하여 버퍼(110)에 기억된 순서로 데이타 패킷을 로딩시키지 않는다.
상술된 프로토콜은 데이타 패킷을 교환시키는 무선 통신 통로를 통해서 무선 터미널과 호스트 터미널을 인터페이스시키는 다수의 기능을 규정하는 논리 링크 제어층(logical link control layer)을 동작시킨다. 수신기(200)에서, 이와 같은 기능은 특히 수신되는 데이타 패킷을 수반하는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s)를 검사하고, 에러를 검사하고, 상태 제어 메시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메시지를 송신기(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이와 같은 상태 메시지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부분적이거나 전체 상태 메시지중 한 메시지일수 있다. 송신기(100)에서, 이와 같은 기능은 특히 시퀀스 번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시퀀스 번호를 버퍼(110)에서 로딩되지 않는 각 데이타 패킷에 부가(appending)시키고, 패킷을 수신기(200)에 전송하고, 수신기(200)에서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는 상기 데이타 패킷을 재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부가(appending)라는 용어의 의미는 패킷이 전송되는 트랙 순서를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리스트에 부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전 이중 모드(full duplex mode)로 동작시 송신기(100)(제2도에선 수신기(200)) 동작은 수신기(200)(송신기(100)) 동작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송신기(100)는 수신기(200)를 포함하고 수신기(200)는 송신기(100)를 포함한다.)
논리 링크 제어층 기능은 특히 제어기(120), RAM 버퍼(105), 시퀀스 번호 발생기(125) 및 전송 번호 발생기(145)를 이용하여 송신기(100)에서 구현된다. 시퀀스 번호 발생기(125)는 특히 M값이 예를 들어 128인 종래 모듈러 M카운터일 수 있다. 제어기(120)는 발생기(125)에 의해 발생되어 버스(126)를 거친 현재값을 수신하여 상기 값을 패킷 시퀀스 번호로서 전송 버서(110)로부터 로딩되지 않는 최종 데이타 패킷에 부가한다. 게다가, 제어기(120)는 최종 데이타 패킷의 수신기, 예를 들어 수신기(200)가 패킷이 에러없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에러 검사 코드를 발생시킨다. 에러 검사 코드를 통상 순회 용장 코드(cyclic redundancy code)라 칭한다. 제어기(120)가 데이타 패킷을 형성한 후, 상기 제어기는 상기 데이타 패킷을 전승 버퍼 변조기(135)에 로딩시킨다. 전송 버퍼 변조기(135)는 호스트 수신기(200)에 의해 할당된 무선 채널을 규정하는 캐리어 신호를 이용하여 종래 방식으로 데이타 패킷을 변조한다. 그리고나서, 변조기(135)는 안테나(121)를 통해서 변조 결과를 전송한다. 게다가, 제어기(120)는 한 카피(copy)의 전송 데이타 패킷을 현재 시퀀스 번호로 인덱스된 위치의 RAM(105)에 기억시킨다. 따라서, 제어기(120)는 RAM(105) 인덱스로서 패킷과 관련된 시퀀스 번호를 이용하므로써 RAM(105)에 기억되는 데이타 패킷을 손쉽게 액세스할 수 있다.
송신기(100)는 또한 다수의 순차적인 RAM메모리 장소에서 형성되는 전송 리스트 버퍼(1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메모리 장소수는 편리성을 위한 것이며, 상기 장소수에만 국한되지는 않지만, 발생기(125)에 의해 발생된 수의 범위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제어기(120)는 발생기(145)에 의해 발생되는 수와 관계하여 전송되는 패킷의 시퀀스 번호를 버퍼(130)에 기억시키는데, 상기 번호는 제어기(120)가 재전송하는 데이타 패킷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어기가 전송하는 각 데이타 패킷의 순서를 표시한다. 전송 리스트(130)를 유지하는 이유가 이하에서 서술될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수신기(200)는 상술된 무선 채널의 캐리어 주파수에 의해 변조되는 데이타 패킷을 수신하는 안테나(221)를 포함한다. 이 변조된 데이타 패킷은 복조기(225)에 의해 수신되는데, 상기 복조기는 무선 채널의 내용을 복조하여 상기 복조된 결과를 데이타 패킷으로 형성하여 관련된 버퍼에 기억시킨다. 수신 제어기(205)는 패킷을 기억하는 순서로 복조기(225)의 버퍼로부터 나오는 상기 패킷을 순서대로 로딩시키지 않는다. 제어기(205)는 어떤 에러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이와 같은 패킷 각각을 검사한다. 전형적으로, 이와 같은 에러는 전파처럼 대기를 통하여 전송될 때 잡음을 받는 패킷에 의해 야기된다. 수신 제어기(205)가 수신된 패킷에 에러가 있다는 것을 인지한 경우, 제어기는 상기 패킷을 버린다. 수신된 패킷에 에러가 없는 경우, 제어기(205)는 송신기(100)에 의해 패킷에 부가되는 시퀀스 번호로 인덱스되는 장소에서 버스(206)를 거쳐 수신 버퍼(210)에 상기 패킷을 기억시킨다. 그후에, 제어기(205)는 이들 패킷을 순서대로 버퍼(210)에 로딩시키지 않고 상기 패킷을 버스(211)를 통해서 상층 제어부(250)로 순서대로 통과시킨다. 예를 들어, 패킷 번호(21 내지 24 및 26)가 버퍼(210)에 기억되는 경우, 제어기(205)는 패킷(21 내지 24)을 상층 제어부(250)로 통과시키지만 순서를 벗어난 패킷(26)은 통과시키지 않았다. 제어기(205)는 패킷(205)이 정확하게 수신되어 버퍼(210)에 기억된 후에만 상층 제어부(250)에 패킷을 통과시킨다.
어느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되는지, 부정확하게 수신되는지 또는 전혀 수신되지 않는지를 트랙하기 위하여, 수신 제어기(205)는 상술된 범위의 시퀀스 번호들 중 각 번호에 대응하는 비트 번호로부터 형성된 비트맵(bit map)(216)을 RAM(215)에 유지시킨다. 수신 제어기(205)가 정확하게 데이타 패킷을 수신할 때, 상기 수신 제어기는 특정 2진값, 예를 들어 2진수 1로 설정되는데, 상기 2진수 1의 비트맵에서의 위치는 데이타 패킷에 포함된 시퀀스 번호에 대응한다. 정확하게 수신된 패킷의 시퀀스 번호가 예를 들어(27)인 경우, 제어기(205)는 비트맵(216)의 위치(27)에 위치된 비트를 2진수 1로 설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데이타 패킷이 어떤 이유로 인해 부정확하게 수신되거나 전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비트맵의 대응 비트값은 그와 반대인 2진값, 예를 들어 2진수 0으로 설정된다.
수신기(200)는 어느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되는지 그리고 부정확하게 수신되는지 또는 전혀 수신되지 않는지를 표시하는 상태 제어 메시지를 버퍼 변조기(220)를 통해서 송신기(1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이하부터,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는 패킷을 전혀 수신되지 않는 패킷이라 한다). 제3도에 상태 제어 메시지의 전형적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에러 검사 필드는 송신기(100)로 하여금 상태 제어 메시지가 채널 잡음 및 패이딩으로 인한 에러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종래 에러 검사 코드를 포함한다. NR필드는 수신기가 각 상층 제어부로 통과시키는 최종 데이타 패킷의 시퀀스 번호보다 1 만큼 큰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다. NL필드는 수신기가 정확하게 수신하는 가장 큰 시퀀스 번호 패킷을 포함한다. 비트 맵 필드 bmf는 비트맵(제1도, (216))에서 형성되어 수신기(200)가 어느 데이타 패킷이 정확하게 또는 부정확하게 수신되는지를 송신기(100)에 알으켜주도록 하는 것이다. 필드 bmf의 비트 위치는 상술된 방식으로 관련된 상태 메시지의 NR필드에 포함된 시퀀스 번호와 관계하는 데이타 패킷 시퀀스 번호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bmf필드의 비트값은 대응 데이타 패킷이 상술된 바와 같이 정확하게 수신되는지(예를 들어, 2진수 1) 또는 부정확하게 수신되는지(2진수 0)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필드 NR값이 8인 경우, 비트 NR+1은 데이타 패킷(9)에 대응하며, 비트 NR+2는 데이타 패킷(10)에 대응하며, 비트 NR+3는 데이타 패킷(11)에 대응한다.
수신기(200)가 송신기(100)로 전송하는 트래픽 레벨(the level of traffic)이 정체(heavy)인 경우, 수신기(200)는 제어, 즉 제3도의 상태 메시지를 버퍼(220)를 통해서 전송한다. 이와 같은 트래픽이 상당히 정체되고 고레벨이 지속되는 처리능력이 양방향(이중 동작)에서 요구되는 경우, 수신기(200)는 본 발명에 따라서 부분적인 버젼(partial version)을 전송하는데, 그 결과 상기 수신기(200)는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를 사용자 정보 패킷에 부가시킨다. 부분적인 제어 메시지 a의 전형적인 예가 제4도에 도시되고 다수의 필드, 예를 들어 세 개의 필드로부터 형성된다. 필드 b, c 및 d 각각은 그룹 번호(group number)와, NR이 이 그룹에 있는지를 표시하는 비트 및 예를 들어 8비트를 포함하는 부분적인 비트맵을 포함한다. 그룹 번호는 특히 비트맵(216)에 포함된 비트들중 예를 들어 8비트로 이루어진 그룹을 식별하는 어드레스이다. 필드 d를 형성하는 비트 각각은 식별된 비트 그룹의 상태를 표시한다.
따라서, 트래픽이 정체될 때, 수신기(200)는 전체 상태 제어 메시지 대신에 본 발명에 따라서 각 정보 패킷에 부가되는 다수의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방식으로, 수신기(2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트래픽 정체 기간중 수신기에서 송신기까지의 역 채널 대역폭을 과중하게 하지 않는다.
제1도를 참조하면, 버퍼 복조기(140)는 수신기(200)에서 송신기(100)까지의 역 무선 채널을 모니터하여 상기 채널을 거쳐 전송되는 캐리어 신호를 복조한다. 이와 같은 복조는 수신기(200)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패킷)를 형성시킨다. 버퍼 복조기(140)는 관련된 메모리에 이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 각각을 기억시키는데, 상기 메시지는 제어기(120)에 의해 로딩되지 않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메시지는 제3도에 도시된 타입의 상태 제어 메시지(이하부터 전체(full) 상태 제어 메시지라 칭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메시지는 또한 정보 패킷에 부가되는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를 갖거나 갖지 않는 정보 패킷일 수 있다.
제어기(120)가 버퍼(140)로부터 나오는 메시지(패킷)를 로딩하지 않을 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메시지를 검사하여 정보 패킷인지 전체 상태 제어 메시지인지를 결정한다. 만일 정보 패킷이라면, 제어기(120)는 상기 정보 패킷을 관련된 수신기(200)(도시되지 않음) 및 (225)에 제공한다. 그렇게하기전, 제어기(120)는 정보 패킷에 부가되는 어떤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를 제거한다. 수신된 패킷이 전체 상태 제어 메시지인 경우, 제어기(120)는 상태 제어 메시지 내용을 이용하여 RAM(105)에 포함된 비트맵을 중복기록하는데, 상기 비트 맵은 비트맵(216)과 유사하게 배열된다. 제어기(120)는 전송되는 데이타 패킷중 어느 패킷이 RAM(105)에 기억된 비트맵의 내용 및 수신된 상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NR 및 NL값의 함수로서 수신기(200)에 의해 정확하게 또는 부정확하게 수신되는지를 결정한다. 송신기(100)는 수신기(200)가 정확하게 수신하는 상기 데이타 패킷을 재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데이타 패킷을 불필요하게 여러번 재전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기(1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전송되는 각 데이타 패킷의 시퀀스 번호 리스트를 전송 버퍼(130)(제1)도)에 유지시킨다. 제어기(120)는 또한 제5도에 도시되고 상술된 바와 같이 버퍼(135)를 통해서 전송되는 각 패킷을 전송 순서 번호와 관련시킨다.
설명을 하기 위해, 제어기가 시퀀스 번호(50 내지 54)와 관련된 다수의 데이타 패킷을 버퍼 변조기(135)를 통해서 수신기(200)에 전송한다고 가정하자. 그렇게 할 때, 제어기는 전송되는 순서로 각 패킷을 전송 버퍼(130)에 기억시킨다. 제어기(120)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전송 번호와 각각 기억된 패킷을 관련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기(120)가 시퀀스 번호(50 내지 54)의 전송 패킷을 전송 순서 번호(831 내지 835) 각각과 관련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에 송신기가 패킷(No, 54)를 전송한 후 그러나 패킷(No, 55)을 전송하기전 수신기(200)로부터 나오는 전 상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또한, 수신 메시지에 포함된 NR 및 NL값 각각이(51 및 54)이고 비트 위치 NR 및 NR+1을 제외하고 수신된 비트 맵의 NR+3(즉, 54)을 포함한 모든 비트 위치가 2진수 1로 설정된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내용에 응답하는 제어기(120)는 어느 전송 패킷이(a) 정확하게 수신되어(예를 들어, 패킷 No. 50) 상층 제어부(250)로 통과하는지, (b) 정확하지만 시퀀스(예를 들어 패킷 Nos. 53 및 54)중에서 어느것이 수신되는지 또는(c) 부정확하게 수신되는지 또는 전혀(예를 들어, 패킷 Nos 51 및 52) 수신되지 않는지를 결정한다. 이들 패킷이 정확하고 순서대로 수신되기 때문에, NR 제어기(120)의 값을 토대로 리스트 시퀀스 번호로 부터 시퀀스(No. 50)까지 삭제한다. 제어기는 전송 버퍼(130)로부터 관련된 패킷을 삭제한다. 그러나, 제어기(120)는 상기 리스트로 부터 시퀀스(Nos. 53 및 54)를 삭제하지 않고, 다만, 이들을 인지된 것으로서 간주한다. 이 이유는 이들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될지라도 순서를 벗어나서 수신되기 때문이다. 리스트(500)을 이용하는 제어기(120)는 어느 패킷이 인지되지 않았는지를 결정하고 인지된 패킷(즉, 54)과 관련되는 최대 전송 순서 번호(이하부터 SL이라함)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전송 순서 번호와 관계된다. 그렇게 할 때에, 제어기(120)는 SL을(835)로 설정하여 SL의 현재값을 관계된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제어기(120)는 시퀀스 번호(51 및 52)가 SL보다 작은 전송 순서 번호(832 및 833)와 관계되고 재전송하기 위한 패킷(Nos 51 및 52)을 표시한다. 이 결과를 토대로 제어기(120)는 수신기(200)에 재전송하기 위하여 패킷(No. 51)을 전송 버퍼(135)에 공급한다. 패킷(52)이 전송될 때, 제어기(120)는 패킷(No. 52)을 버퍼(135)에 공급하여 재전송한다. 그렇게 할 때, 제어기(120)는(501 및 502)로 각각 표시된 바와 같이 시퀀스 번호(54)에 대한 엔토리(entry)에 이어지는 리스트(500)의 다음 시퀀스 번호를 재입력한다. 게다가, 제어기(120)는 후자의 엔트리를 연속적으로 전송 순서 번호(836 및 837) 각각과 관계시켜 이들 패킷에 대한 최종 전송 시퀀스를 식별한다. 제어기(120)는 시퀀스 번호(55 내지 57)와 관계된 패킷을 순서대로 전송하고 버퍼(135)에 공급할 때 리스트(500)의 시퀀스 번호를 입력시킨다. 게다가, 제어기(120)는 리스트(500)의 시퀀스 번호를 전송 순서 번호(836 내지 840) 각각과 관계시킨다.
이때에, 송신기(100)과 패킷(No. 57)을 전송한 후, 그러나 패킷(No. 58)을 전송하기전 상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NR 및 NL이 또다시(51 및 54)과 동일하고 NR을 제외한 NR+3를 포함하는 비트맵의 모든 비트가 2진값 1을 갖는다고 가정하자. 유사하게, 제어기(120)는 NR보다 작은 시퀀스 번호와 관계된 모든 패킷을 버퍼로 부터 삭제한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기(120)는 정확하게 수신되지만 순서대로 수신되지 않는 패킷을 삭제할 수 없다. 제어기(120)는 테이블(500)을 검사하여 후자의 인지된 패킷중 어느 패킷이 최고 전송 순서 번호와 관계되는지를 결정한다. 그렇게 할 때에, 제어기(120)는 최고 전송 순서 번호가 재전송된 패킷(No. 52)(엔트리 502)과 관계된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그로 인해 상기 제어기는 SL을 (837)로 설정된다. 제어기는 인지되지않은 재전송 패킷(51)과 관계된 전송 순서 번호가(836)이고 SL보다 작다는 것을 결정한다. 따라서 제어기(120)는 패킷(No. 51)을 버퍼(135)에 공급하여 재전송하고 상기 패킷이 전송될 때, 즉, 버퍼(135)가 비워있을 때, 제어기(120)는 우선적으로 패킷(58)을 버퍼(135)에 공급한다. 게다가, 시퀀스 번호(51 및 58)는 전송되는 순서로 리스트(500)에 부가되고 전송 순서 번호(841 및 842) 각각과 관계된다.
이 때에, 송신기(100)는 패킷(No. 58)을 전송한 후 그러나 패킷(No. 59)을 전송하기전 상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NR 및 NL이(51 및 57)과 동일하고 NR 및 NR+5를 제외하면 NR+6을 포함하는 비트맵의 모든 비트가 2진값 1을 갖는다고 가정하자. 유사하게, 제어기(120)는 NR보다 작은 시퀀스 번호와 관계된 모든 패킷을 버퍼로부터 삭제한다. 유사하게, 제어기(120)는 정확하게 수신되지만 순서를 벗어나서 수신되는 패킷, 즉(Nos. 52 내지 55 및 57)을 삭제할 수 없다. 제어기(120)는 NR 및 NL간의 상기 인지된 패킷중 어느 패킷이 최고 전송 순서 번호와 관계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테이블(500)을 검사한다. 그렇게 할 때, 제어기(120)는 최고 전송 순서 번호가 엔트리(50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송된 패킷(No. 57)과 관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그로인해 상기 제어기는 SL을 (840)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새롭게 수신된 비트맵이 패킷을 정확하게 수신하지 않고 그와 관계된(즉, 839) 전송 순서 번호가 현재 SL보다 작기 때문에, 제어기(120)는 패킷(No. 56) NR+5을 버퍼(135)에 공급하여 재전송한다. 그러나, 제어기(120)는 새로운 비트맵이 패킷을 정확하게 수신한다는 것을 표시할지라도 패킷(No. 51)을 재전송하지 않는다. 패킷(No. 51)을 재전송하지 않는 이유는 재전송된 패킷(No. 51)(즉, 841)과 현재 관계된 전송순서 번호가 SL(840)의 현재값 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때에, 패킷(No. 56)을 재전송한 후 본원에서 크기가 8로 가정된 전송 윈도우가 폐쇄되었다고 가정하자. 이것은 시퀀스 번호(51)(59 빼기 윈도우 크기)를 갖는 패킷이 인지될때까지의 송신기가 시퀀스(59)를 갖는 패킷을 전송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구나, 모두 전송되지만 인지되지 않는 패킷(예를 들어 Nos, 51, 56 및 58)은 SL의 현재값으로 인해 재전송될 수 없다. 종래 장치에서, 전송 윈도우가 폐쇄되고 전송될 패킷이 없을 때, 송신기는 가령 패킷(Nos. 56, 51 및 58)과 같이 인지되지 않은 패킷을 포함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중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신기가 아이들 상태(idle state)에 있고 상술된 바와 같이 전송 윈도우가 폐쇄되고 전송할 패킷이 없는 동안 전송을 중지하는 것보다 차라리 전송 윈도우가 폐쇄되고 전송할 패킷이 없는 동안에도 모두 인지되지 않은 패킷을 전송하는 장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송 윈도우가 폐쇄되고 전송할 패킷이 없을 때, 본 발명을 따르는 송신기(100)는 본 예에서 패킷(Nos. 56, 51 및 58)인 인지되지 않을 패킷을 라운드-로빈 방식(round-robin fashion)으로 자동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재전송하는 동안 삽입 재전송 상태(preemptive retransmission state)가 된다.
따라서, 이 때에, 제어기(120)는 수신기(200)에 전송(재전송)하기 위하여 순서대로 패킷(Nos. 56, 51 및 58)을 전송 버퍼(135)에 공급하고 유사하게(505 내지 507)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전송 번호 각각과 관련하여 상기 패킷 번호를 리스트(500)에 부가한다. 이들 패킷은 최저 전송 순서 번호에서 최고 전송 순서 번호까지 순서대로 전송된다. 게다가, 본 발명을 따른 제어기(120)는 리스트(500)의 칼럼(5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패킷이 삽입적으로 재전송되는지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이들 삽입적으로 재전송되는 패킷 각각에 대한 다수의 카피(copy) 비트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120)는 또다시 패킷(Nos. 56 및 51)를 순서대로 삽입적으로 재전송하고 유사하게(508 및 509)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관련된 카피 비트의 설정에 따라서 리스트(500)의 상기 번호를 리스트 한다.
이때에, 제어기(120)가 두 번째 패킷(No. 58)을 삽입적으로 전송하기전 송신기(100)가 상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새롭게 수신된 상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NR 및 NL 각각이(51 및 57)과 동일하고 NR을 제외하고 NR+7을 포함하는 비트맵의 모든 비트가 2진값 1을 갖는다고 가정하자. 유사하게, 제어기(120)는 NR보다 작은 시퀀스 번호와 관계된 모든 패킷을 버퍼로부터 삭제한다. 유사하게, 제어기(120)는 정확하게 수신되지만 순서를 벗어난 패킷을 삭제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을 따르면, 제어기(120)는 SL을 변경하지 않고 전송 윈도우가 폐쇄되는 동안(840)으로 설정된 SL을 남겨둔다. 따라서, 송신기는 관련된 카피 비트가 설정될 때 인지된 패킷의 전송 순서 번호를 이용하여 SL을 갱신하지 않는다. 이 이유는 다수의 카피 패킷이 전송되기 때문인데, 그로인해 어느 전송순서 번호가 SL을 갱신하도록 사용되는지를 결정하기가 어렵다.
이 때에, 수신기(200)에 의한 패키시(Nos. 56 및 58)수신이 인지되기 때문에, 승신기는 패킷(No. 51)만을 삽입적으로 재전송한다. 그렇게 할 때에, 제어기(120)는 재전송할 때 마다 패킷(No. 51)을 전송 순서 번호(851, 852 및 853)와 관계시키고 테이블(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피 비트를 설정한다. 이 때에, 상태 제어 메시지가 수시니(200)로부터 수신된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NR은 (59)와 같고 NL은 (58)가 같다. 이 때에, 전송 윈도우가 폐쇄되고 제어기(120)가 상기 폐쇄된 윈도우로 인해 삽입 재전송 모드가 되고 재전송할 패킷이 없기 때문에, SL 값은(840)이 된다. 그러나, 수신된 상태 제어 메시지 결과를 토대로 전송 윈도우가 개방된다고 가정하면, 제어기(120)는 상술된 방식으로 다음 순서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상기 패킷은 테이블(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퀀스 번호(59)로 시작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송신기(100) 및 수신기(200)간의 트랙픽 정체 기간동안, 수신기(200)는 전송 상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시작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제어 메시지는 데이타 패킷, 예를 들어 8개의 패킷 그룹과 관련되는데, 상기 패킷의 수신 상태는 부분적인 비트맵을 표시하는 비트, 예를 들어, 8비트 그룹으로 규정된다. 수신기(200)는 비트 그룹 및 각 그룹 번호를 상술된 바와 같이 송신기(100)에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 패킷에 부가한다. 이와 같은 정보 패킷에 응답하는 송신기(100)는 부분적인 제어 메시지를 스트립 오프(strips off)하고나서 상기 정보 패킷을 수신 버퍼(225)로 보낸다. 그리고나서, 송신기(100)는 메시지에서 간접적으로 식별되는 상기 데이타 패킷에만 관계하여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한다.
특히, 이 때에, 시퀀스 번호의 범위가(0 내지 127)이고 제어기(120)가 시퀀스 번호(45 내지 48) 각각을 나타내는 데이타 패킷만을 전송한다고 가정하자. 또한, 제어기(120)가 후자의 데이타 패킷을 전송 순서 번호(731 내지 734)와 관계시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를 관계된 전송 테이블(500)에 기억시킨다고 가정하자. 제6도는 후술되는 추가 전송인에이블 필드(520)를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제5도와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게다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6도의 테이블(500)은 시퀀스 번호(0 내지 127) 각각과 관계된(128)라인을 포함한다).
이 때에, 패킷(No. 48)을 전송한 후, 그러나 패킷(No. 49)를 전송하기전, 송신기(100) 수신기(200)로부터 부분적인 비트맵을 나타내는 정보 패킷(8)을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후자 패킷의 예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패킷(8)의 부분적인 비트맵 a이 그룹 번호(5)를 지정하므로써, 그와 관계된 8비트가 상기 그룹과 관계된 패킷, 즉 시퀀스 번호(40 내지 47) 각각과 관계된 데이타 패킷의 수신 상태(인지된 (ACK) 또는 인지되지 않은(UNAK)를 표시한다. 2진수 1로 설정될 때, 서브필드 c는 NR이 관계된 부분적인 비트맴의 첫 번째 제로 비트 위치에 표시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2진수 0으로 설정될 때 NR이 상기 그룹에 없다는 것을 표시한다(패킷 8의 필드 지정된 e는 패킷의 나머지를 표시한다.)
수신기(200)가 패킷 시퀀스(Nos. 0 내지 44), 즉 그룹(0 내지 4)를 정확하게 수신하여 각 부분적인 비트맵을 통해서 이와 같은 점을 송신기(200)을 통지한다고 가정하자. 이로인해, 수신기(200)는 이들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되고 송신기(100)가 그것을 지체없이 통지받고 NR이 그룹(5)와 관계되기 때문에 후자의 부분적인 비트 맵 전송을 반복하지 않는다. 이 때에, 송신기(100)가 NR이 (45)와 같고 NL이 (44)와 같다는 것을 표시하는 비트맵을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나, 수신기(2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들 패킷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패킷이 부정확하게 수신되는 경우 패킷 그룹에 대한 부분적인 비트 맵을 계속해서 전송한다. 게다가, 한 그룹이상의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는 경우, 수신기(200)는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송신기(100)에 관련된 부분적인 비트 맵을 전송한다. 수신기(200)가 모든 처리안된 데이타 패킷(outstanding data packet) 및 NR=NL+1을 수신시, 수신기(200)는 어떤 타잎의 데이타 패키시을 계속해서 수신하는 동안 필드 C를 통해서 NR을 식별하는 비트맵을 계속해서 전송한다.
특히, 제7도의 정보 패킷 8의 수신에 응답하여(제6도에선, 패킷 48 전송후 수신됨), 송신기(1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부분적인 비트 맵 a을 스토립-오프한다. 수신된 부분적인 비트 맵을 토대로, NR=46이 되고 NL=45가 된다. 게다가, SL은 종던 SL 값보다 큰(731)과 동일하다. 따라서, SL은 (731)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기(100)는 전체 비트맵을 처리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부분적인 비트를 처리한다. 그렇게할때에, 제어기(120)는 수신기(200)에 재전송될 패킷의 시퀀스 번호와 관계된 이들 재전송 인에이블 필드에 1을 입력한다. 그러나, 수신된 비트맵 8이 이들 패킷이 인지되지 않았다는(UNAK) 것을 표시할지라도, 제어기(120)는 재전송하기 위한(인에이블) 패킷(Nos. 46 및 47)를 표시하지 않는다. 재전송하기 위한 이들 패킷을 표시하지 않는 이유는 최대 수신된 시퀀스 번호, 즉 NL이 (45)와 동일하게 되어 상기 정보가 모호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패킷(Nos. 46 및 47)이 수신기(200)에서 수신되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제어기(120)는 수신기(200)에 전송하기 위하여 전송 패킷(Nos. 49 내지 51)을 순서대로 버퍼(135)에 계속해서 공급한다. 후자의 패킷을 전송한 후, 그러나 패킷(No. 52)을 전송하기전, 송신기(100)가 정보 패킷(9)을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유사하게, 제어기(120)는 정보 패킷(9)으로부터 부분적인 비트맵 a을 스트립-오프하여 상기 패킷을 의도된 목적지로 보낸다.
패킷(9)의 필드 a는 비트맵이 패킷(Nos. 48 내지 55)를 포함하는 그룹(6)과 관계가 있고 NR이 이 그룹내에 없다는 것을 표시한다. 게다가, NR은 여전히(45)와 동일하고, NL은 (49)와 동일하고 SL은 (735)와 동일하다(735가 SL 값(즉, 731)보다 크기 때문에, SL은 (735)로 설정된다). 이로인해서 그리고 비트맵을 처리함에 따라서, 제어기의 전송 순서 번호(734)는 SL(735)보다 작기 때문에, 제어기 시퀀스 번호(48)와 관계된 재전송 인에이블 필드를 표시한다(1 값을 이용하여 인에이블함). (시퀀스 번호(46 및 47)를 갖는 패킷 상태가 현재부분적인 비트맵으로부터 얻을 수 없을 지라도, 이와 같은 상태는 그룹(5)에 대한 부분적인 비트맵을 수신시 활용되거나 NR이 그룹(6)으로 이동되는 경우 활용됨) 이와 같이 표시한 다음에, 제어기(120)는 관계된 재전송 인에이블 필드를 토대로 패킷(No. 48)를 재전송한다. 제어기(120)가 패킷(No. 52)를 계속해서 전송하고 후자의 패킷을 전송한 후 정보 패킷(10)을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또한, 패킷(10)은 NR을 포함하는 부분적인 비트맵을 운반하고 NR보다 작은 시퀀스 번호를 갖는 모든 패킷을 인지한다. 부분적인 비트맵을 처리하는 제어기(120)에 따라서, NR은 (48)과 동일하게되고 패킷(46 및 47)은 인지된다. SL은 패킷(Nos 46 및 47)과 관계된 전송 순서 번호가(735)보다 작게되기 때문에 (735)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기(120)는 어떤 패킷도 재전송하지 않지만 패킷(53)을 계속해서 전송한다.
이 때에, 송신기(100)가 수신기(200)로부터 정보 패킷(11)을 수신히고 비트맵 a을 스트립-오프하여 나머지 정보를 의도된 수신지에 보낸다고 가정하자. 후자의 비트맵을 처리함에 따라서, NR은 (48)과 동일하게 되지만, NL 및 SL은 (52 및 739) 각각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수신기(200)가 관계된 패킷 수신을 인지하지 않지만 전송 순서 번호(739)와 관계된 패킷(No. 52) 수신을 인지하기 때문에, 제어기(120)는 전송 순서 번호(737 및 738)와 관계된 전송 인에이블 필드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표시한 후, 제어기(120)는 패킷(Nos. 48 및 51)을 순서대로 재전송하고 이들 패킷을 전송 순서 번호(741 및 742)와 각각 관계시킨다.
다음에, 송신기(100)가 제어기(120)에 의해 유사하게 처리되는 정보 패킷(12)을 수신한다고 가정하자. 그에 따라서, NR, NL 및 SL 각각은(53, 52 및 739)로 설정된다. 이들 값을 토대로, 제어기(120)는 시퀀스 번호(52)까지의 모든 패킷이 수신기(200)에 의해 인지되어 재전송될 필요가 있는 처리안된 패킷이 없다는 결론을 내린다. 따라서, 송신기는 패킷(No. 54)을 전송 버퍼(135)에 공급하므로써 데이타 패킷을 계속해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테이블(5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시퀀스(0 내지 127) 각각과 관계된(128)개의 엔트리만을 포함한다. 그로인해, 테이블(500) 크기는 고정되는데, 이 테이블에서 전송 순서 번호, 인지 상태(acknowledgement status), 재전송 인에이블 및 한 라인의 카피 비트 필드의 내용만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제6도는 전송 순서 번호(734, 738 및 741) 각각과 관계하며 패킷(No. 48)을 세 번 리스트하는 것을 도시한다. 실제론, 시퀀스(No. 48)는 여러번 재전송될지라도 테이블(500)에 단지 한번만 리스트된다. 즉, 상기 예를 따르면, 두 번째 패킷(No. 48)이 전송되며, 전송 순서 번호(734)는 엔트리(48)에서 번호(738)로 대체된다. 유사하게, 세번째 패킷(No. 48)이 전송되고나서, 전송 순서 번호(738)는 (741)로 대체된다.
수신기(200)에서 본 발명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는 제8도 및 제9도에서 순서도로 도시되고 있다. 제8도를 참조하면, 프로그램은 에러없는 데이타 패킷을 수신시에 블럭(800)에서 시작되어 블럭(801)으로 진행한다. 블럭(801)에서, 프로그램은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시퀀스 번호(이하부터 SM)를 NR의 현재값과 비교한다. SN이 수신기가 이미 상기 패킷을 수신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NR 및(NR+Window-1)간에 있지 않다면, 프로그램은 수신된 패킷을 버리고나서 블럭(802)에서 종료된 다음 패킷 수신을 대기한다. (가변되는 SN, NR, NL 및 NG에 관한 모든 동작이 각 가변 범위, 즉(128, 128, 128 및 16) 각각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주목하자. 또한, 비교동작은 현재 윈도우에서 유효한 값, 즉 NR 및(Window-1)간에서 행해진다고 가정하자. 만일 윈도우가 값 0(제로)을 스팬(span)한다면, 원래 동작 상태를 유지시키는 적절한 동작이 행해진다고 가정하자). 그렇지 않다면, 프로그램은 비트맵 RCVR-STATE가 시퀀스 번호 SN에 대응하는 장소에서 1(일)값을 갖는지를 결정하는 블럭(803)으로 진행한다. 만일 그 경우라면, 수신기는 시퀀스 번호를 나타내는 패킷을 이미 수신했다고 판정하여 블럭(802)에서 종료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프로그램은 수신된 데이타 패킷을 순서대로 버퍼(210)에 기억시키고나서 상술된 바와 같이 메모리(215)에 기억된 비트맵을 갱신하는 블럭(804)으로 진행시킨다. 그리고나서, 프로그램은 SN이 NL보다 큰지 여부를 알기 위하여 검사하는 블럭(805)으로 진행한다. 만일 크다면, 프로그램은 SN과 동일하도록 NL을 갱신하는 블럭(806)으로 진행한다. 그리고나서, 프로그램은 블럭(807)으로 진행한다.
블럭(807)에서, 프로그램은 NR이 SN과 동일한지를 결정한다. 만일 동일하지 않다면, 새로운 비순서적인 데이타가 상층 제어부(250)로 전달되어(811)에서 종료된다. 만일그렇치 않다면,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데이타가 활용된다는 결론을 내리고, 블럭(808)으로 진행한다. 블럭(808)에서 프로그램은 상층 제어부로 전달되도록 활용되는 비순서적인 패킷번호를 토대로 NR에 대한 새로운 값을 결정한다. 상술된 바에 따르면, 프로그램은 제로와 동일한 RCVR-STATE의 제1엔트리에 대응하는 시퀀스 번호를 결정한다. 이것은 NR의 새로운 값이다. 그리고나서, 프로그램은 NR의 종전값 및 NR의 새로운 값보다 1이 작은 값 간의 수를 갖는 모든 비순서적인 데이타 패킷을 상층 제어부로 통과시키는 블럭(809)으로 진행시킨다. 그리고나서, 프로그램은 블럭(812)에서 종료된다.
제9도를 참조하면, 부분적 및 전체 상태 제어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수신기 프로그램은 블럭(900)에서 시작되어 블럭(901)으로 진행한다. 블럭(901)에서, 프로그램은 메모리 RAM(215)에 기억된 비트맵과 NR 및 NL의 현재값을 토대로 전체 상태 제어 메시지를 기억시킨다. 블럭(903)에서, 프로그램은 NG를 증가시켜 NL값이 NG 곱하기 8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블럭 904)에서 검사하거나 NG의 현재값이 NR/8로부터 얻어지는 결과의 정수부보다 작은지를(블럭 906)에서 검사한다. 만일 두가지 검사중 하나가 참이라면, 프로그램(블럭 905에서)은 NG를 NR/8로부터 얻어지는 결과의 정수부로 설정하여 NR이 비트맵의 첫번째 0((제로) 값은로 표시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나서, 프로그램(블럭 907)은 NG값에 의해 특정화된 그룹과 관계되는 비트맵(216)의 비트 상태를 이용하여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를 발생시킨다. 프로그램(블럭 908)은 버퍼(220)에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를 기억시킨다. 프로그램은 블럭(909)에서 종료된다.
버퍼(220)에서, 전체 상태 제어 메시지는 사용자 정보 패킷이 버퍼(220)에 기억되지 않은 경우에 전송된다. 사용자 정보 패킷이 기억된 경우엔, 버퍼(220)는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를 상기 패킷에 부가시켜 그 결과를 전송한다.
제10도는 상태 제어 메시지가 수신될 때 전송기(100)에서 시작되는 프로그램을 나타낸다. 특히, 프로그램은 블럭(1000)에서 시작되어 블럭(1001)으로 진행한다. 블럭(1001)에서, 프로그램은 상태 메시지가 전체 상태 제어 메시지인 경우 블럭(1002)으로 진행한다. 만일 그렇치않다면, 블럭(1004)으로 진행한다.
블럭(1002)에서, 프로그램은 RAM(105)에 기억되는 전체 비트맵 내용을 갱신하고 수신된 상태 메시지내의 데이타로 규정된 바와 같이 NR 및 NL 값을 갱신한다. 다음에, 프로그램은 현재 SL보다 큰 SL값 및 새롭게 인지된 패킷의 전송 순서 번호를 결정하고 나서 재전송될 상기 패킷의 인에이블 비트를 표시하고 이들 패킷의 전송 순서번호가 작다는 것을 표시하는 블럭(1003)으로 진행한다. 그리고나서, 프로그램은 블럭(1011)으로 종료된다.
블럭(1004)에서, 프로그램은 NR이 수신된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제4도의 필드 'c'를 통해서)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포함된다면, 프로그램(블럭 1005)은 관련된 8비트를 형성하는 비트이 2진값을 토대로 NR값을 결정한다. 다음에 프로그램(블럭 1006)은 상기 8비트에 대한 새로운 NL값을 결정한다. 프로그램(블럭 1007)은 새로운 NL이 NL의 현재값보다 큰지 여부를 검사하고 블럭(1008)과 같은 경우에 NL을 새로운 NL과 동일하도록 설정한다.프로그램(블럭 1009)은 인지된 데이타 패킷을 표시하고 나서 부분적인 상태 제어 메시지 내용을 토대로 SL값을 갱신한다. 그리고나서, 프로그램(블럭 1010)은 후자의 제어 메시지 표시가 인지되지 않고 패킷의 전송 순서 번호(SSN)가 SL보다 작은 상기 데이타 패킷에 대한 재전송 인에이블 비트를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프로그램은 종료된다.
제11도의 프로그램은 전송 버퍼(135)가 비워있을때마다 블럭(1100)에서 시작된다.특히, 프로그램은 우선적으로 어떤 경우에도 어느 패킷이 재전송되는지를 결정한다. 프로그램은 NR에서 시작되는 테이블(500)(제5도 또는 제6도)을 탐색하는 프로그램 루프를 표시하는 블럭(1101 내지 1103, 1107 및 1108)을 통해서 성취되어 재전송 인에이블이 1로 설정되는 인지되지 않은 패킷에 대한 최소 시퀀스 번호를 위치시킨다. 시퀀스 번호가 발견되는 경우, 프로그램(블럭 1104)은 상기 시퀀스 번호에 대한 재전송 인에이블 비트를 소거하고 시퀀스 번호를 다음 순차적인 전송 순서 번호(SSN)와 관계시킨다. 그리고나서, 프로그램은 버퍼(135)에 상기 관계된 패킷을 기억시키고나서 종료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버퍼(135)가 또다시 비워있을 때 블럭(1100)에서 다시 시작된다.
NR 및 NRmax간의 시퀀스 번호를 갖는 패킷이 1로 설정된 자신과 관계된 전송 인에이블로 발견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블럭(1109)으로 진행한다. 블럭(1109)에서, 프로그램은 NRmax가 NR+(전송 윈도우)보다 작은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작다면, 프로그램(블럭 1110)은 데이타 패킷을 포함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버퍼(110)를 검사한다. 만일 포함한다면, 프로그램(블럭 1110)은 다음 시퀀스 번호 뿐만아니라 다음 순차적인 전송 순서 번호와 패킷을 관계시켜 그 결과를 RAM(105)에 기억시킨다. 그리고나서, 프로그램은 수신기(200)에 전송하기 위하여 패킷을 버퍼(135)에 기억시킨다. 그리고나서, 프로그램은 종료된다.
만일 전송 윈도우가 폐쇄되거나(블럭 1109) 또는 전송되는 새로운 패킷이 없다면(블럭 1110), 프로그램은 블럭(1113)으로 진행한다. 블럭(1113 내지 1118)은 인지되지 않은 패킷과 관계되는 최소 전송 순서 번호(SSN)을 탐색하는 루핑 프로그램을 표시한다. 프로그램이 상기 번호를 구할 때, 관련된 패킷을 우선적으로 재전송한다. 그렇게 하면, 프로그램(블럭 1119 및 1120)은 (a) 상기 패킷에 대한 카피 비트를 2진값 1로 설정하고 (b) 다음 전송 순서 번호와 상기 패킷을 관계시키고 (c) 상기 패킷을 버퍼(135)에 기억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그후에, 프로그램은 전송 버퍼(135)가 비워있을 때 블럭(1100)에서 다시 시작된다.
상술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각종 변경 및 수정을 행할 수 있다.

Claims (5)

  1. 데이타 패킷을 수신기에 전송하여 상기 전송된 데이타 패킷을 전송되는 대로 각 전송 순서 번호와 관계시키는 수단과, 상기 수신기에 의해 정확하게 그리고 부정확하게 수신되는 상기 전송된 데이타 패킷을 식별하는 상태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부정확하게 수신된 데이타 패킷의 관계된 전송 순서 번호가 정확하게 수신된 최종 데이타 패킷으로서 상기 메시지에서 식별되는 전송된 데이타 패킷과 관계된 전송 순서 번호에 앞서있는 상기 부정확하게 수신된 데이타 패킷만을 재전송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데이타 패킷 재전송 장치에 있어서, 데이타 패킷을 전송하는 윈도우가 폐쇄될때마다 동작하여 상기 윈도우가 개방될 때 상기 수신기에 의해 부정확하게 수신되는 데이타 패킷을 재전송하고 상기 윈도우가 데이타 패킷의 송신을 위해 개방되거나 상태 메시지의 수신이 상기 데이타 패킷을 정확하게 수신하였다는 것을 표시할 때까지 이와 같은 데이타 패킷 각각을 재전송하는 것을 반복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패킷 재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맵 필드와; 정확하게 수신된 최종 데이타 패킷을 식별하는 필드 및 적절한 순서로 정확하게 수신된 최종 데이타 패킷을 식별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전체 상태 메시지로서, 상기 비트맵 필드는 상기 데이타 패킷이 전송되는 순서로 상기 데이타 패킷중 각각 한 패킷에 부가되는 각 시퀀스 번호와 관계된 다수의 비트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패킷 재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메시지는 사용자 정보 패킷에 삽입되는 부분적인 상태 메시지로서, 상기 부분적인 상태 메시지는 (a) 상기 데이타 패킷 그룹이 전송되는 순서로 상기 데이타 패킷 그룹중 각각 한 그룹에 할당되는 각 시퀀스 그룹 번호와 관계되는 비트 그룹으로부터 형성되는 비트맵 필드 및 (b) 상기 시퀀스 그룹 번호 및 또다른 시퀀스 그룹 번호간의 관계겅을 규정하는 그룹 번호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패킷 재전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인 상태 메시지는 정확하고 적절한 순서로 수신되는 상기 최종 데이타 패킷을 식별하는 필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패킷 재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무선 전화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패킷 재전송 장치.
KR1019940031424A 1993-11-30 1994-11-28 데이타 패킷 재전송 장치 KR0149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871 1993-11-30
US08/159,871 US5444718A (en) 1993-11-30 1993-11-30 Retransmission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099A KR950016099A (ko) 1995-06-17
KR0149899B1 true KR0149899B1 (ko) 1999-05-15

Family

ID=2257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424A KR0149899B1 (ko) 1993-11-30 1994-11-28 데이타 패킷 재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444718A (ko)
EP (1) EP0658028B1 (ko)
JP (1) JP3212464B2 (ko)
KR (1) KR0149899B1 (ko)
CN (1) CN1174641C (ko)
AU (1) AU672536B2 (ko)
CA (1) CA2132649C (ko)
DE (1) DE69434310T2 (ko)
ES (1) ES2240961T3 (ko)
HK (1) HK10035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174C (fi) * 1995-05-09 1997-04-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atansiirtojärjestelmä, jossa on liukuvaan ikkunaan perustuva datavuonohjaus
GB2302243B (en) * 1995-06-12 2000-03-01 Comm & Control Electronics Ltd Communication system message acknowledgement
US5664091A (en) * 1995-08-31 1997-09-02 Nc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voiding unnecessary retransmissions using a selective rejection data link protocol
US5751719A (en) * 1995-11-30 1998-05-1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fer in the presence of disconnects
US5959995A (en) * 1996-02-22 1999-09-28 Fujitsu, Ltd. Asynchronous packet switching
DE19608204C2 (de) * 1996-03-04 1998-04-16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tragung von Informationen über die Funkschnittstelle zwischen einer Teilnehmereinrichtung und einer Netzeinrichtung eines zellularen Mobilfunknetzes
US6990069B1 (en) 1997-02-24 2006-01-24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ransport protocol performance in communication networks having lossy links
US5974028A (en) * 1997-02-24 1999-10-26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ransport protocol performance in communication networks having lossy links
US6226680B1 (en) * 1997-10-14 2001-05-01 Alacritech, Inc. Intelligent network interface system method for protocol processing
US6118765A (en) * 1998-01-13 2000-09-12 Qualcomm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liminating unnecessary retransmissions
US6226301B1 (en) * 1998-02-19 2001-05-01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ation and assembly of data frames for re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862622B2 (en) 1998-07-10 2005-03-01 Van Drebbel Mariner Llc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 packet-centric wireless point to multi-point (PTMP) transmission system architecture
US6680922B1 (en) 1998-07-10 2004-01-20 Malibu Networks, Inc. Method for the recognition and operation of virtual private networks (VPNs) over a wireless point to multi-point (PtMP) transmission system
US6452915B1 (en) 1998-07-10 2002-09-17 Malibu Networks, Inc. IP-flow classification in a wireless point to multi-point (PTMP) transmission system
US6628629B1 (en) 1998-07-10 2003-09-30 Malibu Networks Reservation based prioritization method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latency and jitter sensitive IP-flows in a wireless point to multi-point transmission system
US6594246B1 (en) 1998-07-10 2003-07-15 Malibu Networks, Inc. IP-flow identification in a wireless point to multi-point transmission system
US6640248B1 (en) 1998-07-10 2003-10-28 Malibu Networks, Inc. Application-aware, quality of service (QoS) sensitive,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US6590885B1 (en) 1998-07-10 2003-07-08 Malibu Networks, Inc. IP-flow characterization in a wireless point to multi-point (PTMP) transmission system
US6367045B1 (en) 1999-07-01 2002-04-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andwidth efficient acknowledgment/negative acknowledg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KR20000044339A (ko) * 1998-12-30 2000-07-15 박태진 통신시스템에서 전송효율을 증가시키는 링크계층의 데이터재전송방법
FI113822B (fi) 1999-01-19 2004-06-15 Nokia Corp Ohjattu dataverkon virheestä toipuminen
FI106760B (fi) 1999-03-03 2001-03-30 Nokia Oyj Menetelmä ja laite tiedonsiirtopakettien uudelleenlähettämiseksi
JP4015773B2 (ja) * 1999-03-10 2007-11-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受信装置
US7437750B1 (en) 1999-04-12 2008-10-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transceiv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GB9915593D0 (en) * 1999-07-02 1999-09-01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ata acknowledgement
JP3472511B2 (ja) * 1999-07-12 2003-12-02 Kddi株式会社 データ伝送装置
US6208620B1 (en) * 1999-08-02 2001-03-27 Nortel Networks Corporation TCP-aware agent sublayer (TAS) for robust TCP over wireless
US6859462B1 (en) * 1999-08-10 2005-02-22 Orative Corporation Minimization and optimization of overall data transfer connect time between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ng devices and remote machines
KR100607934B1 (ko) 1999-08-27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에서의 링크 계층의 오류 제어방법 및 이를위한 기록 매체
US6775707B1 (en) 1999-10-15 2004-08-10 Fisher-Rosemount Systems, Inc. Deferred acknowledgment communications and alarm management
JP2001142845A (ja) 1999-11-17 2001-05-25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転送制御方法
US6697331B1 (en) 1999-11-17 2004-02-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ink layer acknowledgement and retransmission for cellular telecommunications
KR100606694B1 (ko) * 1999-12-28 2006-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링크 프로토콜의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US6629285B1 (en) * 2000-01-04 2003-09-30 Nokia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FI112305B (fi) * 2000-02-14 2003-11-14 Nokia Corp Datapakettien numerointi pakettivälitteisessä tiedonsiirrossa
US6760781B1 (en) * 2000-02-16 2004-07-06 3Com Corporation Intelligent packet transmission engine
EP1137313B1 (en) * 2000-03-22 2006-10-04 Alcatel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frames
CN1114874C (zh) * 2000-05-15 2003-07-16 倚天资讯股份有限公司 利用双向无线传输进行软件更新的方法及其系统
EP1161022A1 (en) * 2000-05-25 2001-1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ive repeat protocol with dynamic timers
JP2002026877A (ja) * 2000-06-07 2002-01-25 Agilent Technol Inc ブロック誤り率測定法
US6754197B1 (en) * 2000-09-15 2004-06-22 Atheros,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 data block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020457B2 (en) * 2001-05-31 2006-03-28 Orativ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xy-enabling a wireless device to an existing IP-based service
US7123933B2 (en) * 2001-05-31 2006-10-17 Orativ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pplication management of a wireless device
US20020180798A1 (en) * 2001-05-31 2002-12-05 Poor Graham V.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a wireless device platform to multiple applications
KR100800807B1 (ko) * 2001-11-20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재전송을 지원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재전송의 변조방식결정 방법 및 장치
JP3912091B2 (ja) * 2001-12-04 2007-05-09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345999B2 (en) * 2002-07-18 2008-03-1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the retransmission of data packets
US7042857B2 (en) 2002-10-29 2006-05-09 Qualcom, Incorporated Uplink pilot and signaling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GB2396088B (en) * 2002-12-06 2005-06-29 Qualcomm A data transfer procedure for transferring data of a data sequence between a transmitting entity and a receiving entity
KR100964657B1 (ko) * 2002-12-07 2010-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US7177297B2 (en) 2003-05-12 2007-02-13 Qualcomm Incorporated Fast frequency hopping with a code division multiplexed pilot in an OFDMA system
US6859449B2 (en) * 2003-05-19 2005-02-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enhanced radio link control acknowledgment
US7974243B2 (en) 2003-06-18 2011-07-05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Wireless packet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packet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50052465A1 (en) * 2003-07-03 2005-03-10 Moore Richard L. Wireless keyboard, video, mouse device
JP2006050519A (ja) * 2003-10-24 2006-02-16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274961B2 (en) * 2003-10-24 2012-09-25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ology of adjusting a RTS/CTS transmission protocol
US7475322B2 (en) * 2003-11-14 2009-01-06 Avocent Huntsville Corporation Wireless broadcast protocol
US8611283B2 (en) * 2004-01-28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using a single channel to provide acknowledgement and assignment messages
US8516323B2 (en) * 2004-04-05 2013-08-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pair function for a broadcast service
US20050254508A1 (en) * 2004-05-13 2005-11-17 Nokia Corporation Cooperation between packetized data bit-rate adaptation and data packet re-transmission
US8891349B2 (en) 2004-07-23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optimizing portions of a frame
US20060136614A1 (en) * 2004-07-30 2006-06-22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length aggregate acknowledgements in a shared resource network
US8259565B2 (en) * 2004-09-16 2012-09-04 Qualcomm Inc. Call setup in a video telephony network
US8831115B2 (en) 2004-12-22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MC-CDMA multiplexing in an orthogonal uplink
US8238923B2 (en) 2004-12-22 2012-08-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using shared resour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526705B2 (en) * 2005-05-03 2009-04-28 Agere Systems Inc. Acknowledgement message modifica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US7907966B1 (en) 2005-07-19 2011-03-15 Aol Inc. System and method for cross-platform applications on a wireless phone
US7965771B2 (en) * 2006-02-27 2011-06-2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mediate display of multicast IPTV over a bandwidth constrained network
CN101047953B (zh) * 2006-03-30 2012-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对自动重传请求数据进行处理的方法
JP2007324700A (ja) * 2006-05-30 2007-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伝送制御方法
US7584286B2 (en) 2006-06-28 2009-09-01 Intel Corporation Flexible and extensible receive side scaling
US8031701B2 (en) 2006-09-11 2011-10-04 Cisco Technology, Inc. Retransmission-based stream repair and stream join
JP4284353B2 (ja) * 2006-12-26 2009-06-24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US8769591B2 (en) 2007-02-12 2014-07-01 Cisco Technology, Inc. Fast channel change on a bandwidth constrained network
US20080253369A1 (en) 2007-04-16 2008-10-16 Cisco Technology, Inc. Monitoring and correcting upstream packet loss
US8386892B1 (en) * 2007-11-05 2013-02-2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artial packet recovery for wireless networks
US8819512B1 (en) * 2008-01-19 2014-08-26 Appex Networks Holding Limited Method for detecting TCP packet losses and expediting packet retransmission
SI2241046T1 (sl) 2008-02-08 2012-04-30 Ericsson Telefon Ab L M Postopek in razporeditev v telekomunikacijskem sistemu
US8787153B2 (en) 2008-02-10 2014-07-22 Cisco Technology, Inc. Forward error correction based data recovery with path diversity
EP2255478B8 (en) 2008-03-20 2013-03-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 transceiver for reducing retransmission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9312989B2 (en) * 2008-07-07 2016-04-12 Cisco Technology, Inc. Importance-based FEC-aware error-repair scheduling
WO2010016669A2 (en) 2008-08-04 201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001731B2 (en) 2008-08-11 2015-04-07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 a secondary station and system therefor
KR20100021957A (ko) * 2008-08-18 2010-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동 재전송 요청 피드백 메시지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10098411A1 (ja) * 2009-02-25 2010-09-02 京セラ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0140192A1 (ja) * 2009-06-03 2010-12-09 株式会社 東芝 通信装置
US8473803B2 (en) * 2009-10-30 2013-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RQ feedback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0141909A (ja) * 2010-01-27 2010-06-24 Kyocera Corp 通信装置およびデータフレーム再送方法
US8693558B2 (en) * 2010-04-12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delimiters for low-overhead communication in a network
WO2011145474A1 (ja) * 2010-05-20 2011-11-24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装置および再送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249932A (ja) * 2010-05-24 2011-12-08 Smk Corp 無線通信モジュール、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無線システム
US8995630B1 (en) 2010-08-01 2015-03-31 Tulsa Holdings, Llc Telephony and applications communication in a non-mobile telephone system
CN102609378B (zh) * 2012-01-18 2016-03-30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消息式内存访问装置及其访问方法
JP6135078B2 (ja) * 2012-09-14 2017-05-31 富士通株式会社 到達確認メッセージについて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WO2014155495A1 (ja) * 2013-03-25 2014-10-02 Ntt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通信装置、受信装置、及び送信装置
KR20180080607A (ko) * 2017-01-04 2018-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재전송 방법 및 장치
CN109245860B (zh) 2017-04-28 2020-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和数据处理装置
RU2731123C1 (ru) * 2017-06-28 2020-08-31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е устройства пользователя и принимающего радиоузла на основании кодовой книги harq, сконфигурированной конфигурирующим радиоузло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69762D1 (en) * 1980-08-26 1985-01-17 Ibm System for the retransmission of incorrectly received numbered frames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US4422171A (en) * 1980-12-29 1983-12-20 Allied Corporation, Law Department Method and system for data communication
US4841526A (en) * 1984-05-25 1989-06-20 Wilson Jon C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5007051A (en) * 1987-09-30 1991-04-09 Hewlett-Packard Company Link layer protocol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DE3876776T2 (de) * 1988-01-22 1993-07-01 Ibm Steuerflussverminderung in selektiven wiederholungsprotokollen.
US5245616A (en) * 1989-02-24 1993-09-14 Rosemount Inc. Technique for acknowledging packets
US5084877A (en) * 1989-05-05 1992-01-28 At&T Bell Laboratories High speed transport protocol
US5222061A (en) * 1991-10-31 1993-06-22 At&T Bell Laboratories Data services retransmission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099A (ko) 1995-06-17
DE69434310T2 (de) 2006-02-09
EP0658028B1 (en) 2005-03-23
CN1111889A (zh) 1995-11-15
EP0658028A2 (en) 1995-06-14
JP3212464B2 (ja) 2001-09-25
CA2132649C (en) 1999-04-13
AU7900894A (en) 1995-06-08
JPH07202856A (ja) 1995-08-04
ES2240961T3 (es) 2005-10-16
US5444718A (en) 1995-08-22
CA2132649A1 (en) 1995-05-31
HK1003552A1 (en) 1998-10-30
AU672536B2 (en) 1996-10-03
EP0658028A3 (en) 1998-10-07
CN1174641C (zh) 2004-11-03
DE69434310D1 (de) 200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899B1 (ko) 데이타 패킷 재전송 장치
AU764613B2 (en) Method for minimizing feedback responses in ARQ protocols
US7991875B2 (en) Link level retry scheme
US6389016B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data
US5432798A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5477550A (en)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using a modified SR-ARQ protocol
US5210751A (en) Signal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re-transmission control in units of slots
US88425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ransport protocol performance in communication networks having lossy links
US658117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frames and user data frames i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0686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lving ambiguity in reception of multiple retransmitted frames
US200501523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automatic repeat request
KR19990076825A (ko) 계층형 arq 구조의 연결된 에러 검출 코딩 및 패킷 넘버링
JPH1132077A (ja) 送信制御装置、受信制御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WO2001078036A1 (en) Joint range reject automatic repeat request protocol
KR100387543B1 (ko) 통신 단말 장치
EP0418866A2 (en) Signal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re-transmission control in units of slots
KR20000077219A (ko) 통신 채널의 데이터 단위 식별 방법
KR100612654B1 (ko) 자동 재송신 요청을 위한 프레임 생성 장치 및 방법
US6778497B1 (en)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for a network
JPH09186740A (ja) データ伝送制御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00312201A (ja) 通信装置および誤り制御方法
JP2000059347A (ja) 無線通信方法および装置
de Lima et al. An accumulative acknowledgment protocol for point-to-multipoint high speed communications
de Lima et al. An improved point-to-multipoint GB (N) ARQ scheme for high speed satellite communications
KR20030066848A (ko)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시스템의 무선 링크 제어를 위한데이터 블록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