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668B1 - 유도성 부하 구동회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성 부하 구동회로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668B1
KR0149668B1 KR1019900008795A KR900008795A KR0149668B1 KR 0149668 B1 KR0149668 B1 KR 0149668B1 KR 1019900008795 A KR1019900008795 A KR 1019900008795A KR 900008795 A KR900008795 A KR 900008795A KR 0149668 B1 KR0149668 B1 KR 0149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upled
amplifier
in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225A (ko
Inventor
제이.슐츠 워렌
Original Assignee
빈센트 죠셉 로너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빈센트 죠셉 로너,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빈센트 죠셉 로너
Publication of KR910002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4/0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 H03K4/06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 H03K4/0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 H03K4/48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 H03K4/60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a sawtooth current is produced through an inductor
    • H03K4/62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a sawtooth current is produced through an inductor using a semiconductor device operating as a switching device
    • H03K4/64Generating pulses having essentially a finite slope or stepped portions having triangular shape having sawtooth shape using as active elements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a sawtooth current is produced through an inductor using a semiconductor device operating as a switching device combined with means for generating the driving pul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 H03K17/60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using transformer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Amplifi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유도성 부하 구동 회로 및 그 방법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 CRT 편향 코일과 같은 유도성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의 도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CRT 편향 코일과 같은 유도성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의 도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CRT 편향 코일과 같은 유도성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의 도시도.
제4a도 내지 제4c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의 회로에 대한 증폭기 입력 전류 파평(ib) 대 시간(t)을 각각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변압기 18 : 1차 권선
20 : 2차 권선 26 : 증폭기
30 : 캐패시터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에 대한 수단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당히 높은 반복률(repetition rate) 및 유도성 부하를 구동할 수 있는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유도성 부하를 구동하도록 설계된 전력 증폭기는 전형적으로 고 전류 스위칭 장치로서 동작한다. 상기 형태의 전력 증폭기는 예를들어, 음극선관(CRT)을 이용하는 표시(display)시스템의 수평 편향 회로의 요크 메카니즘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기술의 편향 증폭기 형태는 미국 특허 제4, 670, 672호, 제4, 642, 533호, 제4, 205, 259호, 제3, 501, 672호 및 제3, 480, 826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본원에 참조된다.
상기 편향 증폭기의 스위칭 레이트(rate) 또는 동작 주파수는 CRT상에 형성된 영상 해상도 정도를 결정하는 한 요소이다. 점진적으로 높은 해상도가 요구되는 것처럼, 더욱 높은 편향 증폭기 동작 주파수가 요구된다. 64 내지 270KHz 또는 더 높은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편향 증폭기는 매우 바람직한 것이다.
CRT 편향 증폭기 및 다른 유도성 부하 증폭기가 비교적 높은 주파수에서 왜 동작하기 어려운가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예를들어, (1) 그러한 증폭기에서 사용된 직렬 인덕터의 임피턴스 및 임피던스 변압기에서의 누설 인덕턴스 효과는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이로써, 그 증폭기를 구동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2) 종래의 편향 증폭기는 전력을 낭비하며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폭기의 구동에 필요한 회로 및 또는 증폭기내에서 소비(dissipation) 및 과열 문제가 빠르게 악화된다. 종래 기술의 회로에서의 또다른 문제는 상기 증폭기의 동작이 완전히 최적화되지 않는 결과를 갖는 그러한 증폭기에 일반적으로 제공된 정극성 및 부극성 전류 펄스에 대해 독립 제어를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성 부하, 특히 CRT 편향 회로 또는 유사한 유도성 부하를 구동하기 위해 개선된 수단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이들은 상당히 높은 반복률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증폭기 구동 싸이클의 턴-오프부분 이상의 독립 제어 및 더욱 효과적인 동작을 제공하는 것이다. 덧붙이면,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적인 증폭기 특성의 변화에 대해 구동 회로의 감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유도성 부하에 결합된 제1출력단자, 공통 단자에 결합된 제2출력 단자 및 입력 단자를 갖추며 상기 유도성 부하를 구동하는 증폭기 수단과, 상기 입력 단자에 결합된 제1단자와 제2단자를 갖춘 인덕터와, 각각 제1 및 제2단자를 가지는 1차 및 2차 권선을 포함하는 변압기로서, 상기 1차 권선의 제1단자는 1차 권선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스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1차 권선의 제2단자는 상기 인덕터의 제2단자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2차 권선의 제1단자는 상기 1차 권선의 제2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2차 권선의 제2단자는 단방향 장치를 통해 상기 공통 단자에 결합되며, 상기 변압기의 권선은 제1차 권선이 여자될 때 상기 1차 권선 및 상기 2차 권선의 제1단자들이 같은 극성을 갖도록 배열된 변압기를 구비하도록 제1실시예의 회로에 제공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유도성 부하를 구동하기 위한 또다른 개선된 회로를 제공하며, 이 회로는 유도성 부하에 결합된 제1출력 단자, 공통 단자에 결합된 제2출력 단자 및 입력 단자를 갖춘 증폭기 수단과, 상기 입력 단자에 결합된 제1단자와 제2단자를 갖는 인덕터 및, 각각 제1 및 제2단자를 가지는 1차 및 2차 권선을 구비한 변압기로서, 상기 1차 권선의 제1단자는 1차 권선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스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1차 권선의 제2단자는 상기 증폭기의 입력 단자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2차 권선의 제1단자는 상기 인덕터의 제2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2차 권선의 제2단자는 단방향 장치를 통해 상기 공통 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변압기의 권선은 1차 권선이 여자될 때 상기 1차 권선 및 상기 2차 권선의 제1단자들이 같은 극성을 갖도록 배열된 변압기를 구비한다.
또한, 증폭기 입력 단자와 공통 단자 사이에 결합된 저항과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 출력 단자 사이에 결합된 정류 수단 및 캐패시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입력이 인덕터를 통해 변압기의 1차 및 2차 권선에 결합된 증폭기 수단의 출력에 결합된 유도성 부하를 구동하는 개선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를 통해 상기 증폭기의 입력에 결합된 1차 회로를 통한 상기 증폭기의 입력을 에너지화하고, 동일 인덕터를 통해 동일 증폭기 입력에 결합된 동일 변압기의 2차 회로를 사실상 도전 차단하는 단계 및 그후에, 상기 인덕터 및 상기 변압기의 2차 회로를 통해 상기 증폭기 입력을 멸에너지화하고 상기 변압기의 1차 회로를 사실상 도전 차단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그 입력이 변압기의 1차 회로에 직접 결합되며 인덕터를 통해 상기 변압기의 2차 회로에 결합된 증폭기 수단의 출력에 결합된 유도성 부하를 구동시키는 또다른 개선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 입력에 결합된 상기 1차 회로를 통해 상기 증폭기의 입력을 에너지화하는 반면에 상기 인덕터를 통해 동일 증폭기 입력에 결합된 동일 변압기의 2차 회로를 사실상 도전 차단하는 단계 및, 그후에, 상기 인덕터 및 변압기의 2차 회로를 통해 상기 증폭기 입력을 멸에너지화하는 반면에, 상기 변압기의 1차 회로를 사실상 도전 차단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양상, 목적 및 장점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히 상술되어진다.
제1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CRT 수평 편향 증폭기 회로(10)는 입력 전력 공급 접속부(11), 전류 제한 저항(12), 스위치(14), 1차 권선(18) 및 2차 권선(20)을 가지는 변압기(16), 직렬 인덕터(22), 분로 저항(24), 증폭기(26), 스너버(snubber) 다이오드(28), 에너지 저장 캐패시터(30) 및 편향 코일(32)을 구비한다. 전력 공급 접속부(13)는 증폭기(32)가 도전되었는지 아닌지에 따라 코일(32)을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캐패시터(30)를 충전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공통 접속부(15)가 또한 제공된다. 스위치(14)는 전력 공급 접속부(11)에 대해 중단 가능한 전류 경로를 제공하는 종래의 기술에서 공지된 빠른 동작 형태의 스위치이다. CRT 편향 응용에 대하여, 스위치(14)는 요구된 편향 주파수와 동일한 스위칭 주파수로 일반적으로 주기적 수단으로서 동작한다.
증폭기(26)는 전형적으로 고 전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며, 예를들어, 전력 MOSFETS, 달링통 및 또는 BIMOS장치 또는 회로와 같은 다른 증폭 장치 및 회로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증폭기라는 용어는 본원에 개시된 내용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다른 변형예를 발생시키도록 의도된 것이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회로(10)의 동작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증폭기(26)로서 사용하여 기술되어 있는데, 그 동작 원리는 다른 증폭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스위치(14)가 닫힐 때, 저항(12) 및 변압기(16)를 통해 전류가 흐르며, 이로써 변압기 2차 회로(20)에서 전류가 발생하며, 인덕터(22)를 통해 트랜지스터(26)의 베이스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는 트랜지스터(26)를 도전시키며 캐패시터(30)를 방전시키고, 증폭기(26)와 편향 코일(32)를 통해 기준 단자(15)로 전류가 흐르도록 허용한다. 코일(32)을 흐르는 전류의 축적은 소정의 상승 전류 램프(ramp)가 편향 코일(32)을 통해 얻어지도록 그 인덕턴스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는 CRT 편향 싸이클의 스위프(sweep) 부분에 해당한다.
스위치(14)가 개방될 때, 변압기(16)내의 붕괴 자계는 2차 권선(20) 단자에서 극성을 반전시켜, 증폭기(26), 인덕터(22) 및 2차 권선(20)에 반대 방향 전류(27)가 흐르도록 한다. 증폭기(26)를 턴오프하며 증폭기(26)의 입력에 저장된 전하는 제거된다. 인덕터(22)는 증폭기(26)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전류(27) 크기를 제한한다.
증폭기(26)가 턴오프될 때, 편향 코일(32)에 저장된 붕괴 자화 에너지는 충전 캐패시터(30)에 흡수된 코일(32)을 흐르는 동일 방향의 전류를 발생시킨다. 코일(32) 및 캐패시터(30)의 L 및 C값은 감소 전류 램프의 변화율을 조절하기 위해 선택되며, 상기 감소 전류 램프는 CRT 편향싸이클의 플라이-백 부분에 해당한다. 저항(24)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기생 스위칭 과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증폭기(26) 입력 단자 양단에 편리하게 제공된다.
종래기술 회로(10)에 관련된 어려움중 하나는 편향 구동 싸이클의 턴온 및 턴 오프 부분 동안에 인덕터(22)가 증폭기(26) 입력에 직렬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증폭기(26)의 입력 구동의 턴-온 부분 동안에, 인덕터(22)는 입력 구동 회로에 임피던스를 부가하며, 이로써, 스위치(14)를 통해 제공되는 큰 구동 전압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인덕터(22)의 직렬 저항은 턴-온 동안에 회로의 전력 손실을 증가시킨다. 더구나, 상기 증폭기 입력 구동의 턴-온 부분 동안에 인덕터(22)에 저장된 에너지는 입력 구동 싸이클의 턴-오프 부분동안 흐르는 반대 방향의 베이스 전류에 대향하며, 이로써, 증폭기(26)의 턴-오프가 더욱 어렵게 된다.
또다른 어려움은 턴-온 전류(25) 및 턴-오프 전류(27)가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실제의 전력은 전류 제한 저항(12)에서 소비된다. 덧붙이면, 턴-온(제4A도 참조) 동안에 비교적 장방형의 베이스 입력 전류(ib) 펄스 형태는 턴 오프 동안에 추출되는 증폭기에 저장된 전하를 증가시키며 증폭기(26)에서 소비된 전력도 증가시킨다. 더구나, 제1도의 회로 동작은 증폭기 특성 변화에 대해 비교적 민감하다. 이들은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다.
다른 종래 기술 회로는 이들 어려움과 관련된 다수의 어려움을 갖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약간의 또는 모든 문제를 피하는 회로 및 방법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상기 제2도에 설명된 회로는 상기 기술된 여러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도성 부하 구동 회로(40)를 도시한 것이다.
회로(40)는 제1도의 스위치(14)와 유사한 입력 스위칭 장치(44), 기생 억제 저항(42), 1차 권선(48) 및 2차 권선(50)을 갖춘 변압기(46),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와 같은 증폭기 수단(26), 저항(54) 및 다이오드등과 같은 단방향 도전 수단(56)을 구비한다. 편향 코일(32), 다이오드(28), 캐패시터(30) 및 전력 접속부(11, 13) 및 기준 접속부(15)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다. 변압기(46)의 1차 권선(48) 및 2차 권선(50)은 그 극성이 표시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1차 권선이 여자될 때 흑점은 같은 극성을 가지는 권선 단부를 표시하는 권선에 인접하여 표시된다.
스위치(44)가 닫힐 때, 전류(45)는 인덕터(52), 제1차 권선(48)을 통해 증폭기(26)의 입력에 흐른다. 상기는 증폭기(26)를 턴온한다. 2차 권선(50) 회로의 도전이 다이오드에 의해 차단되므로 변압기 2차 권선(5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저항(54)은 저항(24)과 유사하며 기생 스위칭 과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제공된다. 편향 코일(32), 캐패시터(30) 및 스너버 다이오드(28)을 포함하는 증폭기(26) 출력 회로 동작은 제1도와 관련하여 동일하게 설명된다.
상기 증폭기 입력 구동의 턴-온 부분 동안에 스위치(44)가 닫히면, 변압기(46)는 입력 구동 전력(45)의 상승비를 1차 제어하는 1차 권선(48)에 의해 결정된 익덕턴스를 갖는 인덕터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입력 전류 및 증폭기 턴-온에 대한 제어는 1차 인덕턴스를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능력에 의해 개선된다. 다이오드(56)의 존재는 증폭기(26)에 대한 입력 구동의 턴온부분 동안 변압기 동작을 방해한다.
스위치(44)가 개방될 때(다른말로 말하면 구동 입력이 중단될 때), 변압기 권선내의 붕괴 자화는 입력 구동 전류(45)의 반대 방향인 전류(47)가 증폭기(26) 입력, 인덕터(52), 2차 권선(50) 및 순바이어스된 다이오드(56)로 이루어진 2차 회로에 흐르도록 야기한다. 인덕터(52)는 전류(47)에 대응하는 증폭기 입력 구동의 턴-오프 부분의 하강 시간을 일차적으로제한한다.
제4B도는 제2도의 회로에 대한 증폭기 입력 전류 대 시간의 방향 및 상대적인 크기를 도시한 것이다. 정극성 고잉(going) 램프는 증폭기 입력 턴-온 동안에 얻어지며 음극성 고잉 포화 램프는 턴-오프 동안 얻어진다. 더구나, 턴-온부분의 형태가 1차 권선(48)의 인덕턴스에 의해 일차적으로 제어되고 턴-오프 부분의 형태가 인덕터(52)의 인덕턴스에 의해 일차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증폭기 입력 구동의 턴-온 및 턴-오프 부분의 개별적인 제어 능력이 개선된다. 더구나, 턴-오프 입력 구동의 포화 부분은 변압기(46)의 권수비 선택에 의해 조절되며, 전력 증폭기 동작에 대해 부가적 제어를 제공한다.
제2도의 회로 성능이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될지라도, 어떤 어려움이 계속 남아있게 된다. 예를 들어, 턴-온 충전전류는 계속 인덕터(52)를 통해 통과되며, 그 내부 손실은 턴-온 및 턴-오프 동안 에너지를 소비한다. 또한, 턴-온 부분 동안의 리액턴스는 그 요구된 구동 전압 증가를 위해 기여한다. 마지막으로, 턴온 동안 인덕터(52)에 저장된 에너지는 트랜지스터(26)를 턴-오프하기가 더욱 어려우며, 이것은 인덕터(52)의 붕괴 자계 전류가(45) 및 그 반대 전류(47)를 유지하는 EMF를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다른 개선된 회로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 회로의 증폭기 입력 구동 전류(65, 67)에 관련한 파형은 제4C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의 구동 회로(60)는 1차 권선(48)이 인덕터(52)를 통해 통과시키지 않은채 증폭기(26) 입력에 결합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2도의 회로와 유사하며 거의 같은 성분을 갖는다. 제3도의 회로(60) 동작은 제2도의 회로(40)와는 다르며, 입력 턴온동안 스위치(44)가 닫혔을 때, 입력 전류(65)는 인덕터(52)를 통해 흐르지 않고 1차 권선(48)을 통해 증폭기(26)의 입력으로 흐른다. 상기 설명된 대로, 변압기(46)는 1차 권선(48)의 인덕턴스에 의해 결정된 인덕터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증폭기 입력의 턴온 부분 동안 입력 구동 전류의 상승비는 1차 권선(48)의 인덕턴스를 선택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변압기 1차 회로 배선의 기생 저항이 아닌 다른 입력 회로 직렬 저항은 없어야 하며, 상기 기생 저항은 상당히 작은 것이다. 인덕터(52)의 직렬 저항 성분은 턴-온 동안에 회로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력 소비가 감소한다.
스위치(44)가 개방될 때, 제3도의 회로는 제2도의 회로처럼 동작한다. 턴-오프 전류(67)는 2차 권선(50)을 흐르는 전류를 유도하는 변압기 1차 권선의 붕괴 자계에 의해 구동되어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전류가 흐르는 방향은 충전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 다이오드(56)는 순바이어스된다. 인덕터(52)는 턴-오프 전류(67)의 하강 시간을 제어하며 변압기(46)의 권수비는 턴-오프 전류(67)(제4c도를 참조)의 최대(포화) 음극성 값(70)을 제어하기 위해 조절된다. 더구나, 제3도의 인덕터(52)는 턴-온동안 도전되지 않으므로, 그 붕괴가 EMF 반대 턴-오프 전류(67)를 발생시키는 자계는 없다. 따라서, 상승(71)의 턴-온비, 하강(72)의 턴-오프비 및 최대 턴-오프 구동(70)은 디커플링된다. 상기 특성은 증폭기(26)의 성능을 최적화하는데 실질적인 장점을 제공하며 개선된 결과가 동일한 진성 트랜지스터에 대해 얻어지도록 한다.
제3도 회로의 또다른 장점은 제1도 내지 2도 회로에서 인덕터(52)에 저장되고 증폭기(26) 입력에 저장된 전하의 제거에 반대되며 낭비되는 에너지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상기 에너지는 1/2L52[I(25)peak]2또는 1/2L52[I(45)peak]2에 의해 주어지며, L52는 인덕터(52)의 인덕턴스를 나타내며, I(25)peak및 I(45)peak는 각각 턴-온 입력 충전 전류(25, 45)의 피크값을 표시한다. 여기서, 아주 작은 하강 시간 및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한 하강 시간은 다른 성능 특성에 간섭없이 이루어진다. 즉, 소비는 감소한다.
더구나, 회로 성분의 크기는 다른 성분의 거의 독립적인 변압기(46)의 1차 권선(48)에 저장된 에너지에 의해 턴-오프 증폭기(26)에 필요한 에너지가 제공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저장된 에너지는 1/2Lp[I(65)peak]2이며, 여기서 Lp는 변압기(46)의 1차 권선(48)의 인덕턴스를 나타내며, I(65)peak는 턴-온 입력 충전 전류(65)의 피크 값을 나타낸다. 턴-오프 증폭기(26)에 필요한 에너지 량은 실제적으로 크다. 턴-오프 구동을 제공하기 위해 턴-온 동안에 변압기(46)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여, 상기 전체 에너지는 거의 보존되며 전체 소비는 다른 성능 특성의 희생없이 상당히 감소한다. 상기 입력 장치의 기생이외의 다른 손실은 거의 없게 된다. 상기는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예를들어, CRT 수평 편향에서와 같이 유도성 부하를 구동하기에 적합한 증폭기 구동 히로는 6볼트 전압의 전력 공급 접속부, 470 오옴(1화트)의 저항(42), 샤유게리트의 페로스카브에 의해 제조된 1811P~3C8 유형의 변압기(46)를 구비한다. 약 12:4의 권수비를 가진 NY 및 50 마이크로 헨리의 1차 인덕턴스, 약 2마이크로헨리의 인덕터(52) 약 22오옴(1와트)의 저항(54), 모토로라 MUR110 정류기의 다이오드(56) 및 모토로라 MJH16206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증폭기(26)은 포닉스 에이제트의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사에 의해 제조되었다. 다른 부품은 종래의 것이다. 상기 공급 접속부(13)의 전압 및 출력 부품(28), (30)은 종래의 기술에서 공지된 수단을 사용하여 편향 코일(32)의 소정의 특성에 따라 선택된다.
제1 내지 3도의 회로는 동일 조건하에서 동일 증폭기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비교되며 동일 주파수로 동작한다. 3개의 중요한 파라미터가 고려되는데, 즉, 증폭기에 저장된 전하가 방출되어지는 동안의 저장 시간 ts(제4A도 내지 4C도를 참조), 상기 회로의 스위칭 전력 손실(SWPL), 및 개별 트랜지스터 특성에서의 변화로 인해 관찰된 콜렉터 전류 하강 시간 tf의 변화량 △tf가 있다. 상기 결과는 제1도의 회로 동작으로 일반화된 테이블에 제시된다.
Figure kpo00002
이들 결과는 본 발명의 회로가 상당히 개선된 (작은) 저장 시간 및 상당히 개선된 (작은) 전력 소비를 제공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개선점은 실제 응용시 매우 중요하다.
상기 테이블에 도시된 △tf값은 다양한 특성 변화를 갖는 트랜지스터가 증폭기(26)로서 플러그 인 될 때 하강 시간 tf가 여러 회로에서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들어, 2개의 트랜지스터가 제1도의 회로에서 △tf=100 나노초까지 tf에서의 차를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테이블내의 데이타에 따라, 제2도 및 제3도의 회로에서 대체된 동일한 2개의 트랜지스터는 각각 30 및 10 나노초의 △tf값을 나타낸다. △tf의 감소는 본 발명의 회로가 불가피한 장치 특성 변화에 강한 내성이 있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하다. 이것은 상당히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당업자들은 본 회로 및 방법이 증폭기 입력 턴-온, 턴-오프 및 턴-오프 포화동안에 유도성 부하를 구동하기 위해 증폭기 입력 동작의 독립적인 설정에 여유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종래 기술에 대해 상당한 개선점을 제공하며, 전력 소비도 감소되고, 트랜지스터 특성 변화에 대한 감도가 더욱 감소함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수단 및 방법은 고속 CRT 편향 전력 증폭기에서와 같이 유도성 부하를 구동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이 기생 과도 현상 억제를 위한 가변 저항, 다이오드와 캐패시터에 결합된 유도성 부하를 구동시키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출력 증폭기, 및 입력 스위칭 수단에 있어서 설명되는 반면, 여러 수정안 및 부가안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즉 증폭기 출력을 유도성 부하에 결합하기 위한 다른 회로 구성 및 스위칭 과도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조합물 또는 다른 부품 및 다른 형태의 입력 스위칭 회로 및/ 또는 다른 형태의 출력 증폭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본 기술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청구범위에서의 기술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상기 및 다른 변형예를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유도성 부하에 결합된 제1출력 단자와, 공통 단자에 결합된 제2출력 단자 및, 입력 단자를 갖춘 증폭기 수단과, 상기 입력 단자에 결합된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갖춘 인덕터 및, 각각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가진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포함하는 변압기를 구비하며, 상기 1차 권선의 제1단자는 그 1차 권선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1차 권선의 제2단자는 상기 인덕터의 제2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2차 권선의 제1단자는 상기 1차 권선의 제2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2차 권선의 제2단자는 단방향 장치를 통해 상기 공통 단자에 결합되며, 상기 1차 권선 및 상기 2차 권선의 제1단자들은 동일 극성을 갖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성 부하 구동 회로.
  2. 유도성 부하에 결합된 제1출력 단자와, 공통 단자에 결합된 제2출력 단자 및 입력 단자를 갖춘 증폭기 수단과, 상기 입력 단자에 결합된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갖춘 인덕터 및, 각각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가진 1차 권선 및 2차 권선을 포함하는 변압기를 구비하며, 상기 1차 권선의 제1단자는 그 1차 권선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1차 권선의 제2단자는 상기 입력 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2차 권선의 제1단자는 상기 인덕터의 제2단자에 결합되며 상기 2차 권선의 제2단자는 단방향 장치를 통해 상기 공통 단자에 결합되며, 상기 1차 권선 및 상기 2차 권선의 제1단자들은 동일 극성을 갖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성 부하 구동 회로.
  3. 그 입력이 변압기의 1차 권선 회로에 직접 결합되고 인덕터를 통해 상기 변압기의 2차 권선 회로에 결합되는 증폭기 수단의 출력에 결합된 유도성 부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에 결합된 상기 1차 권선 회로를 통해 상기 증폭기의 입력을 에너지화하는 반면에, 상기 인덕터를 통해 동일의 상기 증폭기 입력에 결합된 동일 변압기의 2차 권선 회로를 실제로 도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후에, 상기 인덕터 및 상기 변압기의 2차 권선 회로를 통해 상기 증폭기 입력을 멸에너지화 시키는 반면에, 상기 변압기의 1차 권선 회로를 실제로 도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성 부하 구동 방법.
KR1019900008795A 1989-06-20 1990-06-15 유도성 부하 구동회로 및 그 방법 KR0149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69,413 US4897580A (en) 1989-06-20 1989-06-20 Amplifier drive circuit for inductive loads
US369,413 1989-06-20
US369413 1999-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225A KR910002225A (ko) 1991-01-31
KR0149668B1 true KR0149668B1 (ko) 1998-10-15

Family

ID=2345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795A KR0149668B1 (ko) 1989-06-20 1990-06-15 유도성 부하 구동회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97580A (ko)
EP (1) EP0403972B1 (ko)
JP (1) JPH07118777B2 (ko)
KR (1) KR0149668B1 (ko)
DE (1) DE6901627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2462A (en) * 1982-06-03 1994-10-04 Stolle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Anti-inflammatory factor, method of isolation, and use
DE4120778A1 (de) * 1991-06-24 1993-01-07 Nokia Deutschland Gmbh Horizontalablenkschaltung mit einem treibertransformator
US6107860A (en) * 1991-12-11 2000-08-22 Vlt Corporation High efficiency floating gate driver circuit using leakage-inductance transformer
US5572095A (en) * 1995-07-21 1996-11-05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deflection and high voltage stages in a video display
DE19602556A1 (de) * 1996-01-25 1997-07-31 Thomson Brandt Gmbh Steuerschaltung für einen periodisch betätigten Schalttransis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0826A (en) * 1968-10-25 1969-11-25 Gen Electric Television receiver horizontal sweep circuit having protection against arcing
US3501672A (en) * 1968-10-25 1970-03-17 Gen Electric Drive for television receiver horizontal sweep circuit output transistor
GB1576278A (en) * 1977-02-28 1980-10-08 Thorn Automation Ltd Transistor power stages
SU636802A1 (ru) * 1977-03-30 1978-12-05 Glebov Boris A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 транзистором
DE2809378A1 (de) * 1978-03-04 1979-09-13 Blaupunkt Werke Gmbh Horizontalablenkschaltung
US4227123A (en) * 1979-02-12 1980-10-07 Rca Corporation Switching amplifier for driving a load through an alternating-current path with a constant-amplitude, varying duty cycle signal
US4670692A (en) * 1984-09-17 1987-06-02 Tektronix, Inc. High-speed power amplifier for driving inductive loads
US4642533A (en) * 1985-03-27 1987-02-10 Ocean Technology, Inc. Constant current power circuit for horizontal deflection of cathode ray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32282A (ja) 1991-02-12
EP0403972B1 (en) 1995-01-25
KR910002225A (ko) 1991-01-31
JPH07118777B2 (ja) 1995-12-18
US4897580A (en) 1990-01-30
DE69016272T2 (de) 1995-09-07
DE69016272D1 (de) 1995-03-09
EP0403972A2 (en) 1990-12-27
EP0403972A3 (en)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5385A (en) RCC-type switching power supply
US6587358B1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EP0336725B1 (en) Switching power supply
JP3260036B2 (ja) 電圧駆動形電力用スイッチ素子のゲート駆動回路
US5107190A (en) Means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switching performance of power amplifiers
EP0649214A2 (en) High efficiency switch mode regulator
EP0297459A2 (en) Discharge load driving circuit
KR0149668B1 (ko) 유도성 부하 구동회로 및 그 방법
JP2588594B2 (ja) 水平偏向回路
US4519023A (en) Self-oscillating inverter including a DC to DC converter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US4123670A (en) Transistor switching circuit
US4371918A (en) High efficiency push-pull saturation converter
US4562361A (en) Power switching transistor drive circuit
CN113765510A (zh) 一种晶闸管驱动电路
KR890004210B1 (ko) 구동 회로(驅動回路)
JP2870945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0058035A1 (en) Transistor inverter device
US4864247A (en) High speed base drive for power amplifier
JPS6174414A (ja) 誘導性負荷駆動回路
US4176302A (en) Vertical deflection output circuit
US6323606B1 (en) Monitor deflection circuit
KR830001370Y1 (ko) 안정화 전원 회로
JPH0357709B2 (ko)
JPS626424B2 (ko)
JPH0516823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