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496B1 - 폴리에스테르 및 그라프트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유리 섬유-강화 열가소성 성형 재료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및 그라프트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유리 섬유-강화 열가소성 성형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496B1
KR0149496B1 KR1019900004943A KR900004943A KR0149496B1 KR 0149496 B1 KR0149496 B1 KR 0149496B1 KR 1019900004943 A KR1019900004943 A KR 1019900004943A KR 900004943 A KR900004943 A KR 900004943A KR 0149496 B1 KR0149496 B1 KR 0149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yrene
graft
mixtures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369A (ko
Inventor
에드문드 멕 키 그라함
크놀 만프레트
콜름 페터
라우스베르크 디트리히
Original Assignee
방에르트 바르츠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에르트 바르츠,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방에르트 바르츠
Publication of KR90001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및 그라프트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유리 섬유 강화 열가소성 성형 재료
본 발명은 필수 성분으로서, A) a1) a11) a11+a12)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60 내지 99 중량%와 a12) a11+a12)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 내지 40 중량%의 혼합물 50 내지 80중량%, a2) a21)a211) C2-C10-알킬 아크릴레이트 75 내지 99.9중량%및 a212) 2개 이상의 올레핀계, 비콘쥬게이트 이중결합을 갖는 다작용기성 단량체 0.1 내지 5중량%, 및 a213) 또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 0내지 24.9 중량%를 기재로 하는 탄성 중합체의 그라프트 단위체 50 내지 90 중량% 및 a22) a221) 하기 일반식(1)의 스티렌 또는 치환된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 내지 90 중량% 와 a222)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49 중량% 의 그라프트 10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진 그라프트중합체 10 내지 25 중량%, 및 a3) a31) 하기 일반식(Ⅰ)의 스티렌 또는 치환된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 내지 90중량% 와 a32)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49 중량%의 공중합체 10 내지 25 중량%의 혼합물 45 내지 90 중량% 및 B) 유리 섬유 5 내지 50 중량%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은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1은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 또는 할로겐이며, n은 0, 1, 2 또는 3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품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성형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 및 필수 성분으로서 신규 성형 재료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B-27 58 497 호에는 폴리에스테르 및 개질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가 기재되어 있는데, 개질제로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α-메틸 스티렌을 사용한다. 예에서, ASA 중합체는 개질 SAN 중합체로서 사용한다. 개질 SAN 중합체가 상기 재료의 필수 성분인 경우, 이는 필름 생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계적 특성, 특히 내충격성 및 굽힘 강도는 전적으로 만족스럽지만은 않다. 또한, 90 내지 170℃에서 연장 저장후에도 상기 특성의 안정성 역시 만족스럽지는 않다.
DE-B 22 55 654 호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배합물이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공중합체 및 그라프트 중합체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스테르와 그라프트 중합체를 기재로 하지만 상기에서 기술한 단점을 갖지 않는 열가소성 성형재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90 내지 170℃에서 장기간 안정성을 갖는 만족스러운 기계적 특성도 달성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이 본 발명에 따라, 서두에서 정의한 열가소성 성형 재료에 의해 달성됨을 발견하게 되었다.
신규의 성형 재료는 성분 A로서, a1) a11) a11+a12)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60내지 99,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7 중량% 와 a12a11+a12)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5 중량%, a2) 그라프트 중합체 10 내지 25 중량% 및 a3) 스티렌/(메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10 내지 25 중량%의 혼합물 45 내지 90, 특히 55 내지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중량%를 함유한다.
신규의 성형 재료중에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a11및 a12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테레프탈산, 이의 에스테르 또는 다른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를 부탄-1,4-디올, 또는 에탄-1,2-디올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20몰% 이하의 테레프탈산은 다른 디카르복실산으로 대체할 수 있다.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박산, 도데칸디오산 및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상기 카르복실산의 혼합물 및 이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는 본원에서 단지 예로써 언급할 수 있다.
또한, 20몰% 이하의 디히드록시 화합물인, 부탄-1,4-디올 또는 에탄-1,2-디올은 다른 디히드록시 화합물, 즉 부텐-1,4-디올, 헥산-1,6-디올, 헥산-1,4-디올, 시클로헥산-1,4-디올, 1,4-디-(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비스페놀 A, 네오펜틸글리콜, 상기 디올의 혼합물 및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로 대체할 수 있다.
25℃에서 페놀/o-디클로로벤젠 혼합물 (1:1 중량비) 0.5중량% 용액으로 측정한, 폴리에스테르 a11및 a12의 점도값은 통상적으로 50-250, 바람직하게는 70-170 ㎤/g 이다.
성분 A 중 폴리에스테르 a1)의 양은 성분 a1) + a2)+a3) 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5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 특히 바람직하게는 50내지 70 중량%이다.
성분 A 중 양이 10 내지 25, 특히 12 내지 25,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 중량%인 그라프트 중합체 a2)는 a21)a211) C2-C10-알킬 아크릴레이트 75 내지 99.9중량% a212) 2개 이상의 올레핀계, 비콘쥬게이트 이중결합을 갖는 다작용기능 단량체 0.1 내지 5중량% 와 a213) 또 다른 공중합성 단량체 0내지 24.9 중량%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단위체 50 내지 90 중량%, 및 a22) a221) 하기 일반식(Ⅰ)의 스티렌 또는 치환된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 내지 90 중량% 와 a222)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50 중량% 로 이루어져 있다.
성분 a21)은 유리 전이 온도가 -20℃ 미만, 특히 -30℃ 미만인 탄성중합체이다.
상기 탄성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탄소수가 2 내지 10, 특히 4 내지 8인 아크릴산의 에스테르를 주 단량체 a211)으로 사용한다. 특히 바람직한 단량체의 예로는 이소- 및 n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는데, 이중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외에도, a211+a212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개 이상의 올레핀계 이중 결합을 갖는 다작용기성 단량체 0.1 내지 5, 특히 1 내지 4 중량%를 사용한다. 이중에서, 이작용기성 화합물, 즉 두개의 비콘쥬게이트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로는 디비닐벤젠, 디알릴푸마레이트, 디알릴 프탈레이트,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시클로데케닐 아크릴레이트 및 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에닐 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는데, 이중 트리시클로데케닐 아크릴레이트 및 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 디에닐 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단량체 a211) 및 a212) 외에도, 24.9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의 또다른 공중합성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부타-1,3-디엔, 스티렌, α-메틸 스틸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산의 C1-C8-알킬 에스테르 또는 이러한 단량체의 혼합물 역시 그라프트 단위체를 합성하는데에 사용할 수 있다.
그라프트 단위체 a21)의 제조 방법은 그자체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DE-B 1 260 135 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응하는 생성물 역시 시판되고 있다.
유화액 중합 반응에 의한 제조는 몇몇의 경우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라프트 중합체 a2) 중 그라프트 단위체 a21)의 양은 a2)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5,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이다.
a211) 하기 일반식(1)의 스티렌 또는 치환된 스틸렌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 중량%와 a222)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중량%를 공중합(반응)시킴으로써 수득할 수 있는 그라프트 쉘(shell) a22)를 그라프트 단위체 a21)에 그라프트시킨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 은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1은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 또는 할로겐이며, n은 0, 1, 2, 또는 3 이다.
치환된 스티렌의 예로는 α-메틸스틸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 p-클로로-α-메틸스티렌을 들 수 있는데, 이중 스티렌 및 α-메틸스틸렌이 단량체 a211으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그라프트 쉘 a22)는 1 반응 단계 또는 다수의 반응 단계, 예컨대 2 또는 3 반응 단계로 제조할 수 있는데, 남아있는 전체 조성물은 이 반응 단계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다.
그라프트 쉘은 예컨대, 독일 특허 제 1,260,135 호 및 독일 공개 출원 DOS 3,227,555, DOS 3,149,357 및 DOS 3,414,118 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유화액중에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 조건에 따라, 단량체 a221) 및 a222)의 유리 공중합체의 일부 양이 그라프트 공중합(반응) 동안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그라프트 공중합체(a21+ a22)의 중앙 입자 크기는 50 내지 1000mm, 특히 80 내지 700mm (중량 평균 d50값)이다. 따라서, 탄성 중합체 a21)의 제조 및 그라프트시의 조건은 상기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위한 측정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독일 특허 제 1,260,135 호, 독일 공개 출원 DOS 2,826,925 호 및 하기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참고문헌 : J. Appl. Polym. Sci. 9 (1965), 2929-2938]. 탄성 중합체의 라텍스의 입자 크기는 예컨대, 응집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그라프트 중합체 a2로는 성분 a22)의 제조를 위한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에서 형성되는 유리, 비그라프트화 단일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몇몇의 바람직한 그라프트 중합체가 하기에 명기되어있다:
a2/1 : a211) n-부틸 아크릴레이트 98중량% 와 a212) 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에닐 아크릴레이트 2 중량%의 그라프트 단위체 a21) 60중량% 및 a221) 스티렌 75중량% 와 a222)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의 그라프트 쉘 a22) 40 중량% a2/2 : a2/1 에 관해, 스티렌의 제 1 그라프트 쉘 5 중량% 및 a221) 스티렌 75 중량% 와 a222)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의 제 2 그라프트 쉘 35 중량%를 가진 그라프트 단위체 a2/3 : a2/1 에 관해, 스티렌의 제 1 그라프트 쉘 13 중량%와 중량비 75:25의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제 2 그라프트 쉘 27 중량%를 가진 그라프트 단위체.
신규의 성형 재료는 성분 a3)로서, a31) 상기 일반식(Ⅰ)의 스티렌 및/ 또는 치환 스티렌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 중량% 및 a32) 아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중량%의 공중합체 1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 중량%를 함유한다.
신규의 성형 재료는 상기로부터 생성된 성형품의 우수한 강도, 높은 내충격성 및 특히 우수한 표면 조직에 의해 특징 지워진다. 더우기, 변형성 및 열변형 저항성은 특히 유용하다.
[실시예]
하기의 성분을 사용한다 :
A) a1) a11) DIN 53,728 파트 2에 따라 결정한, 점도가 108㎤/g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BASF AG의 Ultradur
Figure kpo00003
B2550) a12) 점도가 75㎤/g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25℃에서 60:40 페놀/o-디클로로벤젠의 0.5% 용액)
a2) DE-A 22 44 584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 n-부틸 아크릴레이트 58.8 중량%와 디히드로디시클로펜타디에닐 아크릴레이트 1.2 중량% 그라프트 단위체와 스티렌 30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10 중량%의 그라프트 쉘의 그라프트 중합체 a3) 25℃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DMF)의 0.5% 용액에서 측정한, 점도가 80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중량비 65:35), B) 유리 섬유.
또한, 두 실시예의 조성물 역시 하기의 첨가제(각 경우에 있어서, A) +B)의 총중량을 기준으로한 중량%)를 함유한다 :
카아본 블랙 1.5 중량%
활석 0.1 중량%
펜타에리트리톨 스테아레이트 0.8중량%
표에 기재한 조성물을 용융시키고 그 용융물을 압출 성형시켰다. 압출 성형 후, 특성 결정을 위해 필요한 시험 표본을 사출성형시켜 생성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표에 제시하였다 :
Figure kpo00004
상기 표에 있어서 그 결과는 신규 재료가 DE-B 2 758 497 호에 기재된 재료에 대한 특성 스펙트럼보다 더 우수함을 명백히 나타낸다.

Claims (3)

  1. 필수 성분으로서, A) a1) a11) a11+a12)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60 내지 99 중량%와 a12) a11+a12)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 내지 40 중량%의 혼합물 50 내지 80중량%, a2) a21)a211) C2-C10-알킬 아크릴레이트 75 내지 99.9중량%, 및 a212) 2개 이상의 올레핀계, 비콘쥬게이트 이중결합을 갖는 다작용기성 단량체 0.1 내지 5중량%, 및 a213) 추가의 공중합성 단량체 0내지 24.9 중량%를 기재로 하는 탄성 중합체의 그라프트 단위체 50 내지 90 중량% 및 a22) a221) 하기 일반식(Ⅰ)의 스티렌 또는 치환된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 내지 90 중량% 와 a222)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49 중량% 의 그라프트 10 내지 50중량%로 이루어진 그라프트중합체 10 내지 25 중량%, 및 a3) a31) 하기 일반식(Ⅰ)의 스티렌 또는 치환된 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 내지 90중량% 와 a32)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49 중량%의 공중합체 10 내지 25 중량%의 혼합물 45 내지 90 중량% 및 B) 유리 섬유 5 내지 50 중량%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R은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 수소 또는 할로겐이고, R1은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킬 또는 할로겐이며, n은 0, 1, 2 또는 3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필수 성분으로서 A) a1) a11) a11+a12)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60 내지 99 중량%와 a12) a11+a12)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 내지 40 중량%의 혼합물 50 내지 80중량%, a2) a21)a211) n-부타 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이 둘 모두 75 내지 99.9 중량%, a212) 이작용기성 단량체 0.1 내지 5중량%, 및 a213) 부티-1,3-디엔,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C1-C8-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모두 0 내지 24,9 중량%로 이루어진 그라프트 단위체 50 내지 90 중량%, 및 a22) a221)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 내지 90 중량% 와 a222)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49 중량%의 그라프트 10 내지 50 중량%의 그라프트 중합체 10 내지 25 중량%, 및 a3) a31)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50 내지 90 중량%와 a32)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 내지 49 중량%의 공중합체 10 내지 25 중량%의 혼합물 55 내지 90 중량% 및 B) 유리 섬유 10 내지 40 중량%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
  3. 제1항에서 청구한 열가소성 성형 재료를 필수 성분으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성형품.
KR1019900004943A 1989-04-11 1990-04-11 폴리에스테르 및 그라프트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유리 섬유-강화 열가소성 성형 재료 KR0149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911828.2 1989-04-11
DE39118282 1989-04-11
DE3911828A DE3911828A1 (de) 1989-04-11 1989-04-11 Glasfaserverstaerk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polyestern und pfropfpolymerisa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369A KR900016369A (ko) 1990-11-13
KR0149496B1 true KR0149496B1 (ko) 1998-10-15

Family

ID=637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943A KR0149496B1 (ko) 1989-04-11 1990-04-11 폴리에스테르 및 그라프트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유리 섬유-강화 열가소성 성형 재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92357B1 (ko)
JP (1) JP2845555B2 (ko)
KR (1) KR0149496B1 (ko)
DE (2) DE39118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25B1 (ko) * 2000-06-19 2007-11-16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생리용 쇼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37130C (en) * 1990-03-08 2006-01-24 James M. Sperk, Jr.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DE4101699A1 (de) * 1991-01-22 1992-07-23 Bayer Ag Thermoplastische polyesterformmassen
US5519094A (en) * 1992-03-06 1996-05-21 B. F. Goodrich Company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using a modifi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DE19845289A1 (de) 1998-10-01 2000-04-06 Basf Ag Unverstärk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DE19845317A1 (de) * 1998-10-01 2000-04-06 Basf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für Kraftfahrzeug-Innenanwendungen
US6242519B1 (en) 1999-01-14 2001-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DE19903073A1 (de) * 1999-01-27 2000-08-10 Basf Ag Formmassen für Kraftfahrzeug-Innenanwendungen
DE19905341A1 (de) * 1999-02-09 2000-08-10 Basf Ag Polycarbonatarme Formmassen für Kraftfahrzeug-Anwendungen
DE19929302A1 (de) 1999-06-25 2000-12-28 Basf Ag Haftfähigkeitsverringerte Formmassen für Kraftfahrzeuganwendungen
DE19929300A1 (de) * 1999-06-25 2000-12-28 Basf Ag Verbunde mit Schweißbereichen bestehend aus Formteilen
US20060223923A1 (en) * 2005-02-07 2006-10-05 Serge Cavalli Thermoplastic vulcanisate blend
DE102007006776A1 (de) 2007-02-12 2008-08-21 Dracowo Forschungs- Und Entwicklungs Gmbh Polymernetzwerke
EP3287493A1 (de) * 2016-08-26 2018-02-28 LANXESS Deutschland GmbH Polyesterzusammensetzung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1338A1 (de) * 1987-06-27 1989-01-05 Basf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polyphenylenethern und polyestern
DE3852432T2 (de) * 1987-07-01 1995-07-13 Ibm Befehls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 Computersystem.
DE3733856A1 (de) * 1987-10-07 1989-04-27 Basf Ag Glasfaserverstaerk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polyestern und pfropfpolymerisaten
DE3733839A1 (de) * 1987-10-07 1989-04-20 Basf Ag Glasfaserverstaerk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polyestern und pfropfpolymerisat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25B1 (ko) * 2000-06-19 2007-11-16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생리용 쇼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92357A2 (de) 1990-10-17
EP0392357A3 (de) 1992-01-02
EP0392357B1 (de) 1995-06-28
KR900016369A (ko) 1990-11-13
DE59009314D1 (de) 1995-08-03
JPH02294356A (ja) 1990-12-05
JP2845555B2 (ja) 1999-01-13
DE3911828A1 (de) 199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9915A (en) Glas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based on polyesters and graft polymers
KR0149496B1 (ko) 폴리에스테르 및 그라프트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유리 섬유-강화 열가소성 성형 재료
US4535124A (en) Thermoplastic polyester moulding compositions which have good impact strength
US4292233A (en) High-impact polybutylene terephthalate
US4396742A (en) Thermoplastic polyester moulding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toughness
US4022748A (en) Thermoplastic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s
CA2000122C (en) Ductile, blow moldable composition containing a styrene-methylmethacrylate copolymer having pendant carboxy ester groups
JPS62201961A (ja) 改良ポリエステル組成物
US4968731A (en)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and graft polymers
CA1176390A (en) High impact resistant composition includ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s and abs grafted polymer
EP0122601B1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JPS61145248A (ja) 耐衝撃性の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成形材料
US4940746A (en)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and graft polymers
JPH019226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4145331A (en) Thermoplastic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s with improved heat distortion point
EP0551687A1 (en) Blends of poly(cyclohexane dimethylene terephthalate)
JPH02105848A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カーボネートおよびポリアルキレンテレフタレートの耐衝撃性熱可塑性成形コンパウンド
USH766H (en) Polyarylate compositions
US4454302A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KR930010235B1 (ko)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합금 수지 조성물
EP0313842A2 (en) Composition
US4187259A (en) Polymer blends with improved hydrolytic stability comprising a linear aromatic polyester and a methacrylate cross-linked acrylate copolymer
JPH0412901B2 (ko)
JPS5920695B2 (ja) ポリエステル弾性体組成物
US4985493A (en) Thermoplastic moulding compounds with low temperature toughness obtained from aromatic polyester carbonates and special graft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