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367B1 - 플라스틱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367B1
KR0149367B1 KR1019930015040A KR930015040A KR0149367B1 KR 0149367 B1 KR0149367 B1 KR 0149367B1 KR 1019930015040 A KR1019930015040 A KR 1019930015040A KR 930015040 A KR930015040 A KR 930015040A KR 0149367 B1 KR0149367 B1 KR 014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mblem
transparent
plastic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539A (ko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1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367B1/ko
Publication of KR950005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23C14/20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on organic subst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후성이 우수하고 경량화된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투명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지는 착색 플라스틱층(1), 착색 플라스틱층의 상부면에 두께 2㎛내외의 실크인쇄층(2)을 형성하고, 실크인쇄층 상부면에 두께 2㎛내외의 알루미늄 증착층(3)을 형성한 다음, 투명성 경화도료로 이루어진 투명코팅층(4)을 알루미늄 증착층의 상부면에 형성한 후, 양면 접착층(5)을 투명 코팅층(4)의 상부면에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엠블렘의 제조방법 및 제1도의 구조를 갖는 엠블렘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엠블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2도는 종래의 아연주조물을 기재로 하여 이루어진 엠블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3도는 종래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수지를 기재로 하여 이루어진 엠블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12 : 기재 2 : 실크인쇄층
3 : 알루미늄 증착층 4 : 투명코팅층
5 : 양면접착층 6 : 금도금층
7 : 니켈도금층 8 : 동도금층
본 발명은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광투명성 플라스틱을 기재로 하고 내후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엠블렘은 상품의 외부에 부착되어 상품의 특징을 나타내는 일종의 표상으로서, 소비자에게 제조회사와 제품의 이미지를 가장 쉽게 전달하여 주는 매개체이다.
이에 따라 엠블렘은 여러가지 모양과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엠블렘은 상품의 외관에 부착되어 직접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관계로 외관의 고급화와 함께 외부환경에 대한 높은 내후성도 아울러 지녀야 상품의 이미지를 좋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종류의 구조를 갖는 엠블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 예를 들면, 플라스틱 기술이 발달되어 플라스틱의 표면에 금속도금을 행할 수 있게 되기 전에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주조를 할 수 있고 여타 금속에 대한 도금전착성이 우수한 아연을 기재로 엠블렘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제2도에는 아연을 기재로 한 엠블렘의 구조가 나타나 있다.
제2도에서 보듯이 아연을 기재로 한 금빛형상의 엠블렘은 아연 다이주조물의 기재(1)의 상부면에 구리로 30㎛ 두께 정도로 도금한 동도금층(8)을 형성시키고, 동도금층의 상부면에 엠블렘의 광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니켈로 10~15㎛의 두께로 도금한 니켈도금층(7)을 형성하고, 니켈도금층 상부에 엠블렘의 고급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금으로 0.1㎛ 내외의 두께로 도금한 금도금층(6)을 형성시키고, 금도금층 상부에 엠블렘의 형상을 이미지 업(image-up)하기 위하혀 두께 2㎛내외의 실크인쇄층을 형성한 다음, 이어서 상기의 인쇄층을 비, 먼지, 광선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기계적인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락카와 같은 투명성 경화도료로 투명 코팅층(4)를 형성하고,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엠블렘을 상품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의 도금층이 형성된 아연주조물(11)의 반대면에 양면 접착층(5)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아연주조물을 기재로 한 엠블렘은 아연으로 엠블렘의 기본형상을 다이케스팅하여 제작해야 하는 관계로 생산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복잡하고 섬세한 모양을 형상화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투명 코팅층이 락카와 같은 투명성 경화도료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피막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서 갑작스런 환경변화 또는 기계적 접촉등에 의해 파손되기 쉬워 내후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플라스틱 공업기술이 발전되면서 도금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기재로 한 엠블렘이 개발되어 보다 다양하고 섬세한 문양을 나타낼 수 있고 경제적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플라스틱을 기재로 한 엠블렘은 제3도에서 보듯이 기본적으로 아연 주조물을 기재로 한 엠블렘과 구조적인 면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에 내후성에 있어서는 여전히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재 개발되어 도금가능한 플라스틱으로 가장 우수한 특성을 갖는 ABS수지의 경우에 열연화점이 100℃이하이기 때문에 상기한 도금층과 실크인쇄층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코팅층을 열처리할 수 없는 관계로 내후성이 더욱 저하되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간단한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고, 더욱 내후성이 향상되어진 플라스틱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투명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지는 착색 플라스틱층(1), 착색 플라스틱층의 상부면에 두께 2㎛내외의 실크인쇄층(2)을 형성하고, 실크인쇄층 상부면에 두께 2㎛내외의 알루미늄 증착층(3)을 형성한 다음, 투명성 경화도료로 이루어진 투명코팅층(4)을 알루미늄 증착층의 상부면에 형성한 후, 양면 접착층(5)을 투명 코팅층(4)의 상부면에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엠블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투명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진 착색 플라스틱층(1), 착색 플라스틱층의 상부면에 두께 2㎛내외로 형성된 실크인쇄층(2), 실크인쇄층 상부면에 두께 2㎛내외로 형성된 알루미늄 증착층(3), 알루미늄 증착층의 상부층에 투명성 경화도료로 형성되어진 투명코팅층(4)로 구성되어진 엠블렘의 투명코팅층 상부면에 양면 접착층(5)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플라스틱 엠블렘을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엠블렘의 구성을 나타낸 구조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어진 프라스틱 엠블렘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품에 부착되어지는 부위가 종래의 엠블렘에 있어서 기재부(11 또는 12)가 아니라 투명코팅층(4)이고,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부위가 플라스틱 기재부로서 엠블렘에 형성되어 있는 실크 인쇄층(2) 및 알루미늄 증착층(3)의 기계적 마찰, 노광, 급격한 외부충격(화학적 또는 물리적 힘)에 대하여 보다 견고하게 보호될 수 있어 내후성이 크게 증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엠블렘을 구성하는 착색 플라스틱층(1)은 광투명성 플라스틱과 안료를 혼합하여 사출공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정밀하고 다양한 형태로의 가공이 가능하고 경제적 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엠블렘의 주된 색상은 플라스틱에 혼합되어지는 안료에 의하여 결정되어진다.
또한 엠블렘에 형성되는 도형의 문양은 실크인쇄층(2)에 의하여 결정되어진다.
즉, 엠블렘에 형성되는 도형의 문양은 광투명성 착색 플라스틱 내부에 문양의 음화를 실크인쇄로 형성시키는 실크인쇄층 뒷면에 알루미늄을 증착시키면 실크인쇄가 되지 않은 부분은 광투명성 플라스틱의 착색된 색상으로 인지되어지고 실크인쇄가 되어 있는 부분은 광이 흡수되어 버리므로서 색상으로 인지되지 않는 문양의 배경부를 형성하게 되어진다.
본 발명의 엠블렘 제작에 있어서, 광투명성 착색 플라스틱층의 소재로서는 내후성과 투명성이 뛰어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대표되어지는 메타크릴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오렌지색과 크리어(clear)색이 1 : 4비로 혼합된 황금색 안료를 수지의 중량에 대하여 0.2중량% 혼합하여 성형시킨 황금색 착색 플라스틱을 기판으로 하여 그 위에 실크인쇄물을 2㎛두께로 형성하고 3㎛두께의 알루미늄층을 증착시킨 후 락카를 분무하여 광투명성 경화피막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양면 접착층을 형성하여 제1도의 구조를 갖는 엠블렘을 제작하였다. 이 엠블렘은 금속의 도금층이 엠블렘의 표면에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부식의 염려가 없다.
[비교예]
ABS수지 성형품의 한 평면에 동도금을 실시하여 두께 15㎛의 구리도금층을 형성시키고 구리도금층 위에 통상의 방법으로 니켈도금층을 7㎛의 두께로 형성시키고 그 위에 0.05㎛의 두께로 형성하고 실크인쇄층을 2㎛두께로 형성시킨 다음, 락카를 분무하여 광투명성 경화 피막층을 형성시킨 후, ABS수지의 다른 한면에 양면 접착층을 형성하여 제3도의 구조를 갖는 엠블렘을 제작하고, 염수로 분무시켜 부식시험을 한 결과 심하게 부식되었다.

Claims (4)

  1. 광투명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지는 착색 플라스틱층(1), 착색 플라스틱층의 상부면에 두께 2㎛내외의 실크인쇄층(2)을 형성하고, 실크인쇄층 상부면에 두께 2㎛내외의 알루미늄 증착층(3)을 형성한 다음, 투명성 경화도료로 이루어진 투명코팅층(4)을 알루미늄 증착층의 상부면에 형성한 후, 양면 접착층(5)을 투명 코팅층(4)의 상부면에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엠블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착색 플라스틱층은 수지의 중량에 대하여 안료를 0.1~1중량% 혼합하여 용융혼합한 후 사출 성형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투명성 착색 플라스틱층은 메타크릴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엠블렘의 제조방법.
  4. 광투명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진 착색 플라스틱층(1), 착색 플라스틱층의 상부면에 두께 2㎛내외로 형성된 실크인쇄층(2), 실크인쇄층 상부면에 두께 2㎛내외로 형성된 알루미늄 증착층(3), 알루미늄 증착층의 상부층에 투명성 경화도료로 형성되어진 투명코팅층(4)로 구성되어진 앰블렘의 투명코팅층 상부면에 양면 접착층(5)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후성 플라스틱 엠블렘.
KR1019930015040A 1993-08-03 1993-08-03 플라스틱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KR014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040A KR0149367B1 (ko) 1993-08-03 1993-08-03 플라스틱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5040A KR0149367B1 (ko) 1993-08-03 1993-08-03 플라스틱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539A KR950005539A (ko) 1995-03-20
KR0149367B1 true KR0149367B1 (ko) 1998-10-01

Family

ID=19360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5040A KR0149367B1 (ko) 1993-08-03 1993-08-03 플라스틱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831B1 (ko) * 2001-09-14 2009-04-10 테크노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유채색 금속 광택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831B1 (ko) * 2001-09-14 2009-04-10 테크노 폴리머 가부시키가이샤 유채색 금속 광택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539A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6614B2 (ja) 部分的な金属化製造工程、転写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KR0149367B1 (ko) 플라스틱 엠블렘 및 그 제조방법
KR960003633A (ko) 장신구
JP2009090507A (ja) 加飾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加飾成形品
CN1762034A (zh) 用于移动设备的多色树脂成型组件
JP3598220B2 (ja) 絵付インサートフィルムおよび絵付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4964073B2 (ja) 加飾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加飾成形品
JP2981475B2 (ja) ホイールキャップまたはホイールキャップのセンターエンブレム
JP4850236B2 (ja) 透明導電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加飾成形品
JP2003203537A (ja) キーシート部材とその製造方法
JPH06346492A (ja) 表面に被覆加工した衛生用品とその製造方法
JP3637298B2 (ja) 加飾シート、加飾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JP5464574B2 (ja) 透明導電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加飾成形品
JP4927070B2 (ja) 透明導電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加飾成形品
JP4478541B2 (ja) 裏面側から照光可能な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3308603B2 (ja) 樹脂製ホイールキャップの製造方法
CN215552239U (zh) 一种具有耐腐蚀变色功能的电化铝箔
JP4261957B2 (ja) 加飾シート、凸レンズ付き加飾シートおよび射出成形同時加飾品
KR20170142695A (ko) 색변환 필름이 선명하게 형성된 의류용 장식체 및 상기 장식체의 제조방법
JPH11110103A (ja) 透光性金属めっき膜キーキャップ
CN216083549U (zh) 一种笔记本掌托与触摸板一体的装饰件
JPH0999272A (ja) 疑似クロムメッキ箔及び疑似クロムメッキ装飾品
US11015255B2 (en) Selective plating of three dimensional surfaces to produce decorative and functional effects
JPS6026670A (ja) 部分的に光を透過するポリカ−ボネ−ト成形品の製造法
KR980002292A (ko) 장식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