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179B1 - 영상 처리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회로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179B1
KR0149179B1 KR1019910011495A KR910011495A KR0149179B1 KR 0149179 B1 KR0149179 B1 KR 0149179B1 KR 1019910011495 A KR1019910011495 A KR 1019910011495A KR 910011495 A KR910011495 A KR 910011495A KR 0149179 B1 KR0149179 B1 KR 0149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ed
video signal
pixel
signal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673A (ko
Inventor
오훈석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10011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179B1/ko
Publication of KR930003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Abstract

영상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노이즈 제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되는 원래의 영상신호의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영상신호내에 존재하는 임펄스(impulse) 성분의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제거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신호를 수평축으로 1/2압축하여 압축된 영상신호를 라인단위로 지연시켜 상관 데이타를 검출하고 상관도 검출에 의해 노이즈 판단 신호를 발생시켜 노이즈가 발생될 경우 상하 라인의 평균 신호를 출력하고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현재 영상 신호를 그대로 출력시켜 노이즈를 제거한후 인터폴레이션하여 원신호로 복원한다.

Description

영상처리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회로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노이즈 제거회로.
제2도는 제1도의 각부 동작 파형도.
제3도는 노이즈 발생의 주파수별 특성도.
제4도는 제1도에 따른 수평에지 변화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제6도는 제5도중 노이즈 제거부(2000)의 구체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적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수평축 데시메이션부 2000 : 노이즈 제거부
3000 : 수평축 인터폴레이션부
본 발명은 영상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노이즈 제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되는 원래의 영상신호의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영상신호내에 존재하는 임펄스(impulse) 성분의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제거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과 같은 영상신호 처리 및 재생 시스템등에 있어서의 주된 목표적 기능은 노이즈나 그밖의 아티팩트(Artifact)가 없는 깨끗한 영상을 재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방송국이나 테이프 제작사들로부터 만들어진 영상에는 전송경로가 중복된 카피(copy)등에 의해 노이즈의 혼합이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시스템의 성능에 따라 불필요한 노이즈가 더해지게 된다.
이러한 노이즈가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영상원(image source)이 원래 노이지(Noisy) 하거나 오래된 필링을 사용할때 발생한다. 또한 조악한 조명아래서 녹화를 할때도 화상은 노이지(noisy)하게 되며 텔레비젼 수신인 경우 약전계에서도 화상은 오염되고 있다. 이러한 노이즈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첫째는 임펄스 노이즈(impulse noise)이고 나머지 하나는 라인노이즈(line noise)인데, 상기 임펄스노이즈는 다시 백색 임펄스 노이즈와 흑색 임펄스 노이즈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의 노이즈는 영상신호내에 모두 한꺼번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대책이 요구되어야 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노이즈 제거 회로를 제2도와 관련시켜 설명한다.
상기 제1도에 의한 노이즈 제거 회로는 입력 영상신호를 두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어 제거하는 방법인데, 먼저 입력단(IN)으로 입력되는 제2도의 입력 영상신호(2a)는 LPF(Low Pass Filter)(2)와 BPF(Band Pass Filter)(4)에 의해 주파수 성분이 나누어진다.
여기서 상기 LPF(2)의 출력신호는 (2b)이고 상기 BPF(4)의 출력신호는 (2c)이다. 상기 (2b)는 제1증폭기(6)에 의해 소정 증폭된후 가산기(12)의 일측입력으로 제공되며, 상기 (2c)는 코아링부(8)에 의해 코아링 되어 진후(2d)와 같이 출력된다. 상기 (2d)는 제2증폭기(10)에 의해 소정 증폭되어(2e)와 같이 출력되어 상기 가산기(12)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가산기(12)는 상기 (2b)와 (2e)를 가산시켜 출력단(OUT)으로 (2f)를 보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코아링부(8)의 임계치(T) 적용에 의해 고역 성분의 노이즈는 제거됨을 알 수 있게 된다. 즉 제2도(2c)의 임계치(T)는 노이즈의 제거를 위해 일정 기준치 내에 들어 있는 영상신호를 제로로 처리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제3도는 백색 임펄스 노이즈의 주파수별 발생도를 도시한 것인데, 이에 따르면 (3a)는 약 7MHZ 대역에서의 노이즈 발생을 나타낸 것이고,(3b)는 약 3.58MHZ, (3c)는 약 2.3MHZ에서의 노이즈 발생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각 도트(dot)는 14MHZ의 샘플링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조합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동시에 원래의 영상신호에도 손상을 주게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제4도의 (4a)와 같은 수평에지의 천이 신호를 일정한 윈도우 내에서 산술평균 또는 메디안 필터를 사용하여 처리할 경우 (4b)와 같이 화질 열화된 영상신호가 출력되고 만다. 다시 말하면 임펄스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 윈도우 내에서 산술평균을 하거나 메디안 필터를 사용시 원래의 디테일한 영상신호도 손상을 입게 되어 전체적으로 소프트(soft)한 영상이 얻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원래의 영상신호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임펄스 성분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노이즈 제거 회로를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상신호의 수평 및 수직 상관도를 검출하여 노이즈로 판단될 때 상하 라인을 평균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노이즈 제거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수직 상관도 및 수평상관도를 검출하여 노이즈라고 판단될 경우에만 상,하 라인을 평균하여 노이즈를 제거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이즈 제거 회로도로서, 영상신호를 수평축으로 1/2압축하여 출력하는 수평축 데시메이션부(1000)와, 상기 수평축 데시메이션(1000)에서 1/2로 압축된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노이즈를 제거하여 출력하는 노이즈 제거부(2000)와, 상기 노이즈 제거부(200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영상신호를 2배로 신장하여 출력하는 수평축 인터폴레이션부(3000)로 구성된다.
제6도는 제5도중 노이즈 제거부(2000)의 구체회로도로서, 입력단(IN)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V)를 라인 단위로 지연시켜 1H지연 영상신호(VH)와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각각 출력하는 라인 지연부(100)와, 상기 라인 지연부(100)의 출력인 입력영상신호(V), 1H지연 영상신호(VH),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각각 입력하여 제1-제8상관 데이타를 검출하는 상관 데이타 검출부(200)와, 상기 상관 데이타 검출부(200)의 출력인 2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와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입력하여 프로세싱 포인트 영상신호의 상하 라인을 평균하여 출력하는 평균값 출력부(300)와, 상기 상관 데이타 검출부(200)에서 출력된 제1-제8상관 데이타를 입력하여 상관도를 검출하여 노이즈 유무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상관도 검출부(400)와, 상기 상관도 검출부(400)의 노이즈 유무판별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의 상,하 라인 평균신호 또는 현재 영상신호를 선택 출력하기 위한 MUX(50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중 라인 지연부(100)는 입력 영상신호(V)를 1H지연시켜 출력하는 제1 1H지연기(11)와, 상기 제1 1H지연기(11)에서 1H지연된 영상신호(VH)를 다시 1H 지연시켜 2H지연된 영상신호(VHH)를 출력하는 제2 1H지연기(12)로 구성되고, 상관 데이타 검출부(200)는 입력 영상신호(V)를 1픽셀지연 출력하는 제1지연기(13)와, 상기 제1지연기(13)에서 1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2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출력하는 제2지연기(14)와, 상기 제2지연기(14)에서 2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3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출력하는 제3지연기(15)와, 상기 1H지연 영상신호(VH)를 1픽셀지연 출력하는 제4지연기(16)와, 상기 제4지연기(16)에서 1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출력하는 제5지연기(17)와, 상기 2H지연 영상신호(VHH)를 1픽셀지연 출력하는 제6지연기(18)와, 상기 제6지연기(18)의 1픽셀 지연된 영상신호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2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출력하는 제7지연기(19)와, 상기 제7지연기(19)에서 2픽셀 지연된 영상신호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3픽셀 지연된 2H 지연 영상신호(VHH)를 출력하는 제8지연기(20)와, 상기 제5지연기(17)에서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3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출력하는 제9지연기(21)와, 상기 제9지연기(21)에서 3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4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0지연기(22)와, 상기 2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에서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감산하는 제1감산기(23)와,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2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감산하는 제2감산기(24)와, 상기 2픽셀 지연된 1H 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3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감산하는 제3감산기(25)와, 상기 2픽셀 지연된 1H 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감산하는 제4감산기(26)와,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3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감산하는 제5감산기(27)와,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1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감산하는 제6감산기(28)와,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1H지연 영상신호(VH)를 감산하는 제7감산기(29)와, 상기 4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감산하는 제8감산기(30)로 구성되며, 상기 평균값 출력부(300)는 상기 2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H)에서 상기 2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가산하는 가산기(48)와, 상기 가산기(47)에서 가산된 신호를 1/2증폭 출력하는 곱셈기(49)로 구성되며, 상기 상관도 검출부(400)는 상기 제1-제8감산기(23-30)의 감산출력 신호에 대한 각각의 절대값을 취하여 출력하는 제1-제8ABS(31-38)와, 상기 제1-제8ABS(31-38)의 절대값을 취한 제1-제8상관 데이타를 임계값(TH1)과 비교하여 출력하는 제1-제8비교기(39-46)와, 상기 제1-제8비교기(39-46)에서 비교 출력된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상관도 유무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게이트(47)와, 상기 논리게이트(47)의 상관도 유무판별 신호를 1픽셀씩 지연시켜 1픽셀에서 4픽셀 순차적으로 지연된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1-제14지연기(50-53)와, 상기 제11-제14지연기(50-53)에서 각각 1픽셀씩 지연된 신호를 입력하여 노이즈 유무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게이트(54)로 구성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노이즈 검출 윈도우(Window)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의 일실시에를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영상신호를 로우패스 필터(101)에서 저역 필터링한후 데시메이터(102)를 통해 데시메이션을 수행하여 10픽셀 정도에 걸친 노이즈를 5픽셀 정도의 크기로 줄인다. 상기 데시메이터(102)에서 출력된 신호는 노이즈 제거부(2000)로 입력되어 노이즈 포인트를 찾아 노이즈일 경우 상하 라인에서 평균값을 취하여 출력하고, 노이즈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데시메이터(102)에서 출력된 신호를 그대로 출력한다.
상기 노이즈 제거부(200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영상신호는 인터폴레이터(103)에서 인터폴레이션을 수행한후 로우패스 필터(104)에서 저역 필터링하여 원신호로 복원한다.
상술한 노이즈 제거부(2000)의 상세 동작을 제6도에서 살펴보면, 입력단자(IN)를 통해 입력 영상신호(V)가 입력되면 제1 1H지연기(11)에서 1H지연 출력한다. 상기 제1 1H지연기(11)에서 1H지연된 영상신호(VH)는 제2 1H지연기(2)에 입력되어 다시 1H지연되어 2H지연된 영상신호(VHH)를 출력한다. 또한 제1지연기(13)는 입력단자(IN)를 통해 입력된 입력 영상신호(V)를 1픽셀 지연시켜 출력한다. 상기 제1지연기(13)에서 1픽셀 지연된 신호를 입력하는 제2지연기(14)는 다시 1픽셀 지연시켜 2픽셀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출력한다. 상기 제2지연기(14)에서 2픽셀 지연된 신호를 입력하는 제3지연기(15)는 다시 1픽셀 지연시켜 3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출력한다. 상기 제1 1H지연기(11)에서 출력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입력하는 제4지연기(16)는 1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출력한다. 상기 제4지연기(16)에서 1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입력하는 제5지연기(17)는 다시 1픽셀 지연시켜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출력한다. 상기 제5지연기(17)에서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입력하는 제9지연기(21)는 다시 1픽셀 지연시켜 3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출력한다. 상기 제9지연기(21)에서 3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입력하는 제10지연기(22)는 다시 1픽셀 지연시켜 4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출력한다. 상기 제2 1H지연기(12)에서 출력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입력하는 제6지연기(18)는 1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출력한다. 상기 제6지연기(18)에서 1픽셀 지연된 신호를 입력하는 제7지연기(19)는 다시 1픽셀 지연시켜 2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출력한다. 상기 제7지연기(20)에서 1픽셀 지연된 신호를 입력하는 제8지연기(20)는 다시 1픽셀 지연시켜 3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2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에서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감산하는 제1감산기(23)는 제1상관 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2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감산하는 제2감산기(24)는 제2상관 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1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3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감산하는 제3감산기(25)는 제3상관 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감산하는 제4감산기(26)는 제4상관 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3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감산하는 제5감산기(27)는 제5상관 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1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감산하는 제6감산기(28)는 제6상관 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1H지연 영상신호(VH)를 감산하는 제7감산기(29)는 제7상관 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4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감산하는 제8감산기(30)는 제8상관 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제1-제8감산기(23-30)에서 출력된 제1-제8상관 데이타는 제1-제8ABS(31-38)에서 절대값을 취하여 각각 출력한다. 상기 제1-제8ABS(31-38)에서 절대값을 취한 제1-제8상관 데이터를 입력단자(8)로 입력하는 제1-제8비교기(39-46)는 입력단자(A)로 입력되는 임계값(TH1)과 비교하여 각각 출력한다. 상기 제1-제8비교기(39-46)의 비교 출력신호는 논리게이트(47)로 각각 입력되어 논리곱하여 상관도를 검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논리게이트(47)에서 상관도를 검출한 신호는 제11-제14지연기(50-53) 및 논리게이트(54)에 의해 임펄스성 노이즈 여부를 판별하게 되는데, 제7도의 윈도우를 적용시켜 수평방향의 윈도우 싸이즈를 5포인트(P1,P4,P4,P10,P11)로 적용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논리게이트(47)의 출력신호를 제11-제14지연기(50-53)에 의해 한 픽셀씩 지연시켜 각각 출력된다. 상기 제11-제14지연기(50-53)에서 각각 1픽셀씩 지연된 신호는 논리게이트(54)로 각각 입력되어 논리합하여 노이즈 판별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논리게이트(54)의 출력이 하이 상태이면 노이즈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논리게이트(54)의 출력인 노이즈 판단 신호는 MUX(500)의 선택 제어단자(S)로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논리게이트(54)의 출력이 하이이면 노이즈가 발생된 것이고 로우이면 노이즈가 발생되지 않은 것이다.
한편 상기 2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와 상기 2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48)는 가산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가산기(48)에서 가산된 신호는 곱셈기(49)에서 1/2증폭되어 상기 영상신호의 상하 라인 평균 신호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MUX(500)는 상기 논리 게이트(54)의 노이즈 판별신호 유무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의 상하라인 평균신호 또는 현재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러므로 원래의 영상신호의 아무런 손상없이 영상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또한 제7도의 윈도우 길이는 노이즈 주파수 성분에 따라 가변할 수 있으며 작은 길이는 윈도우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윈도우가 노이즈 제거효과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래의 영상신호에 손상을 주지 않고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화질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영상처리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 회로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평축으로 1/2압축하여 출력하는 수평축 데시메이션부(1000)와, 수평축 데시메이션부(10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V)를 라인 단위로 지연시켜 1H지연 영상신호(VH)와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각각 출력하는 라인 지연부(100)와, 상기 라인 지연부(100)의 출력인 입력영상신호(V), 1H지연 영상신호(VH),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각각 입력하여 제1-제8상관 데이타를 검출하는 상관 데이타 검출부(200)와, 상기 상관 데이타 검출부(200)의 출력인 2픽셀지연 입력 영상신호(VH)와 2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입력하여 영상신호의 상하 라인을 평균하여 출력하는 평균값 출력부(300)와, 상기 상관 데이타 검출부(200)에서 출력된 제1-제8상관 데이타를 입력하여 상관도를 검출하여 노이즈 유무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상관도 검출부(400)와, 상기 상관도 검출부(400)의 노이즈 유무판별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의 상,하 라인 평균신호 또는 현재 영상신호를 선택 출력하기 위한 MUX(500)와, 상기 MUX(500)로부터 노이즈가 제거된 영상신호를 2배로 신장하여 출력하는 수평축 인터폴레이션부(30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데이타 검출부(200)는 입력 영상신호(V)를 1픽셀지연 출력하는 제1지연기(13)와, 상기 제1지연기(13)에서 1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2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출력하는 제2지연기(14)와, 상기 제2지연기(14)에서 2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3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출력하는 제3지연기15)와, 상기 1H지연 영상신호(VH)를 1픽셀지연 출력하는 제4지연기(16)와, 상기 제4지연기(16)에서 1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출력하는 제5지연기(17)와, 상기 2H지연 영상신호(VHH)를 1픽셀지연 출력하는 제6지연기(18)와, 상기 제6지연기(18)의 1픽셀 지연된 영상신호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2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출력하는 제7지연기(19)와, 상기 제7지연기(19)에서 2픽셀 지연된 영상신호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3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출력하는 제8지연기(20)와, 상기 제5지연기(17)에서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3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출력하는 제9지연기(21)와, 상기 제9지연기(21)에서 3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다시 1픽셀 지연시켜 4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0지연기(22)와, 상기 2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에서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감산하는 제1감산기(23)와,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2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감산하는 제2감산기(24)와,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3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감산하는 제3감산기(25)와,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감산하는 제4감산기(26)와,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3픽셀 지연된 2H지연 영상신호(VHH)를 감산하는 제5감산기(27)와,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1픽셀 지연된 입력 영상신호(V)를 감산하는 제6감산기(28)와,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1H지연 영상신호(VH)를 감산하는 제7감산기(29)와, 상기 4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에서 상기 2픽셀 지연된 1H지연 영상신호(VH)를 감산하는 제8감산기(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도 검출부(400)는 상기 제1-제8감산기(23-30)의 감산출력 신호에 대한 각각의 절대값을 취하여 출력하는 제1-제8ABS(31-38)와, 상기 제1-제8ABS(30-37)의 절대값을 취한 제1-제8상관 데이타를 임계값(TH1)과 비교하여 출력하는 제1-제8비교기(39-46)와, 상기 제1-제8비교기(39-46)에서 비교 출력된 신호를 각각 입력하여 상관도 유무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게이트(47)와, 상기 논리 게이트(47)의 상관도 유무판별 신호를 1픽셀씩 지연시켜 1픽셀에서 4픽셀 순차적으로 지연된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제11-제14지연기(50-53)와, 상기 제11-제14지연기(50-53)에서 각각 1픽셀씩 지연된 신호를 입력하여 노이즈 유무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게이트(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회로.
  4. 영상처리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 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수평축으로 1/2압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영상신호를 수평축으로 1/2압축한 후 노이즈를 판별하여 상하라인 평균값을 취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영상신호를 수평축으로 2배로 신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이, 입력영상신호(V)를 라인 단위로 지연시켜 세개의 연속되는 수평 주사 라인 영상신호(V,VH,VHH)를 발생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발생된 3개의 연속되는 수평주사라인 영상 신호(V,VH,VHH)를 이용하여 제1-제8상관데이타를 검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지연된 입력영상신호(V)와 2H지연 영상신호(VHH)를 받아 영상신호의 상하 라인을 평균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제1-제8상관데이타를 검출한 후 현재 라인의 영상신호와 상하 라인의 영상신호의 상관도에 따라 노이즈를 판별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출력되는 노이즈 유무판별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의 상하 라인 평균 신호 또는 현재 영상신호(VH)를 선택 출력하기 위한 제7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가, 상하 라인의 노이즈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관도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상관도 판별 신호를 픽셀 단위로 지연시킨 후 가산하여 노이즈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도 판별신호 출력단계에서는 상하 라인과 경사 성분의 상관도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판별신호 출력단계가 수평 라인의 노이즈를 검출하여 수평 노이즈 판별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이즈 제거방법.
KR1019910011495A 1991-07-08 1991-07-08 영상 처리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회로 및 방법 KR0149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495A KR0149179B1 (ko) 1991-07-08 1991-07-08 영상 처리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1495A KR0149179B1 (ko) 1991-07-08 1991-07-08 영상 처리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673A KR930003673A (ko) 1993-02-24
KR0149179B1 true KR0149179B1 (ko) 1998-10-15

Family

ID=1931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495A KR0149179B1 (ko) 1991-07-08 1991-07-08 영상 처리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1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673A (ko) 199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3294B2 (ja) ノイズ低減信号処理回路および映像表示装置
US8810731B2 (en) Phase motion detector for baseband YC separation
JP2508442B2 (ja) ノイズ除去回路
JP3879692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受像機
KR930003178B1 (ko) 상관적응형 휘도신호와 색신호 분리회로
KR950011528B1 (ko) 영상신호의 천이영역 강조장치와 강조 제어방법
JPH04280595A (ja) 輝度信号と色信号分離用パターン適応形ディジタル櫛形フィルタ
US5497203A (en) Motion detection circuit for high definition television based on muse
KR0149179B1 (ko) 영상 처리 시스템의 노이즈 제거회로 및 방법
KR960004134B1 (ko) 임펄스 노이즈 제거방법 및 회로
JP3679208B2 (ja) コンポジットビデオ信号の動き検出回路
KR940000581B1 (ko) 휘도 및 색신호 분리 회로
JPH05103231A (ja) ノイズリダクシヨン回路
JPS6390988A (ja) 動き信号発生回路
KR100234238B1 (ko) 디지탈 잡음 저감장치
JP3781590B2 (ja) ノイズ低減信号処理装置
KR930011979B1 (ko) 영상신호의 휘도 및 색신호 분리회로
KR100209946B1 (ko) 펄스 노이즈 제거 회로
JP3130429B2 (ja) 動き検出回路
JPS60254986A (ja) カラーテレビジヨン信号のデコーダ
JP3971203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940000580B1 (ko) 수직 및 수평 상관 적응형 휘도 및 색신호 분리회로
KR960010189B1 (ko) 영상신호의 노이즈검출 및 제거회로
KR0135863B1 (ko) 디지탈 영상신호의 잡음 제거기
JP2669019B2 (ja) 非標準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