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090B1 - 버스용 차광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차광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090B1
KR0149090B1 KR1019950063157A KR19950063157A KR0149090B1 KR 0149090 B1 KR0149090 B1 KR 0149090B1 KR 1019950063157 A KR1019950063157 A KR 1019950063157A KR 19950063157 A KR19950063157 A KR 19950063157A KR 0149090 B1 KR0149090 B1 KR 0149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bus
light shielding
windshield glass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977A (ko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3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090B1/ko
Publication of KR97003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4Draw bars, including elements attached to it, e.g. sliding shoes, gripping elements or pull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2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77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10Roll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용 차광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윈드시일드 글래스(W) 양측의 가이드레일(15)을 따라 승강하는 커튼(C)에 의해 외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선을 차단하도록 한 버스용 차광장치에 있어서, 커튼(C)의 내측 하부에는 견인줄(1)의 선단을 각각 연결시키고, 상기한 견인줄(1)을 스프링(2)의 탄성에 의해 밀착되도록 한 로울러(3,4)의 접촉면을 통해 하부로 인출시킨 구조로 이루어지므로써 윈드시일드 글래스(W)의 여백을 최소화하여 외부로부터 반사된 광선의 영향을 줄이는 한편, 운전석에서도 반대방향에 위치한 커튼(C)의 승강을 임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용 차광장치
제1도는 종래의 버스용 차광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견인줄 2 : 스프링
3,4 : 로울러 15 : 가이드레일
C : 커튼 W : 윈드시일드 글래스
본 발명은 버스용 차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윈드시일드 글래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불필요한 빛반사를 차단시키도록한 버스용 차광장치의 조작성을 개선하고, 빛에 대한 차단효과를 높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윈드시일드 글래스의 내측으로는 외부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차단하므로서 운전자의 시각장애를 해소하도록 한 차광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같은 차광장치의 예로써 종래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윈도우 글래스(W)의 양측 및 내측에 커튼(C)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한 가이드레일(15)이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가이드레일(15)의 상부에는 커튼(C)이 권취된 로울러(11)가 수평으로 부착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써 정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선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커튼(C)의 하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적절한 위치까지 하향시킴에 따라 광선을 차단시키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버스용 차광장치(20)는 커튼(C)의 승강이 커튼(C)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레일(15)의 안내에 의해 이루어지는 관계로 커튼(C)의 폭과 길이에 대한 제약이 따르게 되어 윈드시일드 글래스(W)의 전부분에 대한 차폐를 할 수 없어 커튼(C)의 상부 양측을 포함하여 다수의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므로서 정면으로부터 햇빛이 반사될 경우에는 운전자의 시각에 많은 장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으며, 특히 주행중 운전석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커튼(C)의 승강을 운전자가 임의로 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따르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차광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인 윈드시일드 글래스(W)의 여백을 최소화하여 외부로부터 반사된 광선의 영향을 줄이는 한편, 운전석에서도 반대방향에 위치한 커튼의 승강을 임의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윈드시일드 글래스 양측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커튼에 의해 외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선을 차단하도록 한 버스용 차광장치에 있어서, 커튼의 내측 하부에는 견인줄의 선단을 각각 연결시키고, 상기한 견인줄을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밀착되도록 한 로울러의 접촉면을 통해 하부로 인출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차광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고, 제 3 도는 본 발명의 요부 상세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차광장치(10)는, 윈드시일드 글래스(W)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5)을 따라 승강하는 커튼(C)에 의해 외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선을 차단하도록 한 버스용 차광장치에 있어서, 커튼(C)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한 커튼(C)을 승강시키도록 한 견인줄(1)의 선단을 각각 연결시키고, 상기한 견인줄(1)을 스프링(2)의 탄성에 의해 밀착되도록 한 로울러(3,4)의 접촉면을 통해 하부로 인출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통상의 상태에서는 상기한 로울러(3,4)가 스프링(2)의 탄성에 의해 맞물려지므로써 로울러(3,4)간의 접촉면에 위치한 견인줄(1)을 고정시키게 되어 통상의 상태에서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과 커튼(C)의 자중에 의한 커튼(C)의 하강을 방지하고, 운전자가 커튼(C)을 승강시키기 위해 견인줄(1)을 조작할 경우에는 스프링(2)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갖는 로울러(3,4)가 이격되어지므로써 자유로운 승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2,13은 커튼(C)의 상부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선을 차단시키도록 한 선바이저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및 효과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차광장치(10)는 통상구조를 갖는 버스용 차광장치와 같이 버스의 정면에 위치한 윈드시일드 글래스(W)의 내측에 설치되어 커튼(C)의 승강에 따라 정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외부의 광선을 차단하도록 하게 되는데, 예로써 커튼(C)을 상부로 위치시키기 위해 견인줄(1)을 하부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한 견인줄(1)의 선단에 연결되어 윈드시일드 글래스(W)의 양측에 설치된 커튼(C)은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견인줄(1)의 조작을 멈추면 로울러(3,4)가 스프링(2)의 탄력에 의해 맞물려져 견인줄(1)을 고정시키게 되므로 커튼(C)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차광장치(10)는, 윈드시일드 글래스(W)의 여백을 최소화하여 외부로부터 반사된 광선의 영향을 줄이는 한편, 견인줄(1)이 윈드시일드 글래스(W)의 중앙에 설치된 관계로 운전석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커튼(C)을 운전자가 임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주행중에도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윈드시일드 글래스(W) 양측의 가이드레일(15)을 따라 승강하는 커튼(C)에 의해 외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선을 차단하도록 한 버스용 차광장치에 있어서, 커튼(C)의 내측 하부에는 견인줄(1)의 선단을 각각 연결시키고, 상기한 견인줄(1)을 스프링(2)의 탄성에 의해 밀착되도록 한 로울러(3,4)의 접촉면을 통해 하부로 인출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차광장치.
KR1019950063157A 1995-12-29 1995-12-29 버스용 차광장치 KR0149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157A KR0149090B1 (ko) 1995-12-29 1995-12-29 버스용 차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157A KR0149090B1 (ko) 1995-12-29 1995-12-29 버스용 차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977A KR970034977A (ko) 1997-07-22
KR0149090B1 true KR0149090B1 (ko) 1998-10-01

Family

ID=1944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3157A KR0149090B1 (ko) 1995-12-29 1995-12-29 버스용 차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0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739B1 (ko) * 2005-10-12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차량용 선 바이저
KR100946209B1 (ko) * 2008-09-10 2010-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형 차량용 선바이저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739B1 (ko) * 2005-10-12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차량용 선 바이저
KR100946209B1 (ko) * 2008-09-10 2010-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형 차량용 선바이저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977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090B1 (ko) 버스용 차광장치
CN212622225U (zh) 一种用于窗帘检查的升降机
JPS63188517A (ja) 自動車ドアのウインドウガラス昇降案内装置
KR102634401B1 (ko) 차광량 조절 도어커튼 어셈블리 및 그 작동 방법
KR102542310B1 (ko) 자동차용 스마트 글라스 전원공급장치 구조
CN219769867U (zh) 一种高铁驾驶室用遮阳帘组件
KR0141043B1 (ko) 자동차의 리어 글래스용 선바이저
KR0167966B1 (ko) 버스용 선바이저
JPH0137107Y2 (ko)
JPH031987Y2 (ko)
JPH0387794U (ko)
KR100346426B1 (ko) 자동차용 햇빛 차단 장치
CN219856748U (zh) 一种车用直升款遮阳帘的执行器
CN220577029U (zh) 一种用于汽车天窗导轨的防脱导向机构
JPH068694U (ja) 縦フレーム付きブラインド構造
KR900004684Y1 (ko) 보조 차광판이 부착된 자동차용 차양
KR980001076A (ko) 차량의 차양막장치
JPH0354311Y2 (ko)
JP2010163780A (ja) 上下開閉式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とこの上下開閉式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を備えたサッシ
JPH0752959Y2 (ja) 横型ブラインド
KR20190098449A (ko) 수직 개폐형 허니컴 블라인드
KR20040106744A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00410851B1 (ko) 버스용 차광 막의 가이드 레일 고정장치
KR200178101Y1 (ko) 차량용 진동방지 선 바이저 장치
JPH08302656A (ja) 制水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