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877B1 -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877B1
KR0148877B1 KR1019950009858A KR19950009858A KR0148877B1 KR 0148877 B1 KR0148877 B1 KR 0148877B1 KR 1019950009858 A KR1019950009858 A KR 1019950009858A KR 19950009858 A KR19950009858 A KR 19950009858A KR 0148877 B1 KR0148877 B1 KR 0148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ue
chute
take
injection molding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226A (ko
Inventor
조원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0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877B1/ko
Publication of KR96003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3/00Manipulators of master-slave type, i.e. both controlling unit and controlled unit perform corresponding spatial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출로보트의 스프로(sprue)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물 성형과정에서 사출물에 수반되는 스프루를 처리하는 취출로보트의 스프루(sprue)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이송 컨베이어(8)및 스프루박스(30)가 제공되는 취출로보트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선단에 연결되는 프레임(21)과,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판(26)과, 상기 고정판(26)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슈트(20)와, 피스톤 로드(25a)가 상기 이동슈트와 결합되어 이동슈트를 구동하는 실린더(25)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취출로보트의 스프루(sprue)처리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동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취출로보트 2:아암
3:지그 4:사출성형기
5:제품 8:이송컨베이어
10:조직부 11:X축
20:이동슈트 21:프레임
24:스프루받이부 26:고정판
29:레일 29a:바퀴
30:스프루박스
본 발명은 취출로보트의 스프루(sprue)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물 성형과정에서 사출물에 수반되는 스프루를 처리하는 취출로보트의 스프루(sprue)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출성형기로 사출물을 성형할 때에는 용융상태의 사출재를 금형상에 주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금형상에는 상기 용융물을 금형의 내측에 형성되는 캐비티내로 유동공급하는 주입로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출시 용융물의 주입완료후에는 상기 주입로상에 잔존하는 용융물이 상기 사출물과 함께 응고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사출물에 수반되는 부수적인 부분을 일명 스프루라 한다. 따라서 취출로보트는 사출물의 취출시에 상기 스프루를 동시에 취출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여기서 지금까지 실시되고 있는 종래의 스프루 취출장치를 살펴보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기(4)의 일 측에 스프루박스(6)가 설치되고, 그 스프루박스의 측단에 이송컨베이어(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사출성형기(4)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스프루(7)와 제품(5)이 동시에 취출로보트(1)의 아암(2)에 연결된 지그(3)에 물려서 취출된다.
이와 같이 취출된 제품(5)은 취출로보트(1)의 아암(2)가 스프루 박스(6)의 상부에 이르면 제품(5)안에 있는 스프루(7)를 절단시켜 스프루(7)를 스프루박스(6)내에 낙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아암(2)이 이동하여 이송컨베이어(8)의 상부에 이르면 아암(2)이 하강하여 스프루(7)가 제거된 제품(5)을 이송컨베이어상에 안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취출로보트(1)의 작업동작이 완료되어 다시 최초의 위치로 원상복귀하는 공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스프루박스(6)가 설치되는 곳이 사출성형기(4)를 조작해야 하는 조작부(10)에 근접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작업공간이 협소해지는 관계로 인하여 불편함을 갖는 것은 물론 비상조치시에는 더욱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불편한 점이 발생되었다.
아울러, 스프루박스(6)의 위치에는 스프루를 분쇄하는 별도의 분쇄기를 설치하기 곤란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스프루박스(6)내에 스프루의 양을 점검하여 소정량이 차게 되면 매번 교체해야 하므로 최근 공장자동화의 추세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점유공간을 최소화하여 작업공간의 이용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무인화를 실현할 수 있는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이송컨베이어(8)및 스프루박스가 제공되는 취출로보트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선단에 연결되는 프레임(21)과,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판(26)과, 상기 고정판(26)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슈트(21)와, 피스톤 로드(25a)가 상기 이동슈트와 결합되어 이동슈트를 구동하는 실린더(25)를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이송컨베이어와 동일선상에 선택적으로 출몰가능한 이동슈트를 설치하여 사출성형기로부터 취출된 스프루와 사출된 제품을 각각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사출성형기의 조작부의 작업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출된 제품에서 제거된 스프루를 담을 수 있는 스프루박스의 위치에다 분쇄기를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동일구성은 부호를 동일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취출로보트로부터 사출성형된 제품 및 스프루를 이송시키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사출성형기(4)의 일측에 스프루 박스(6)가 설치되고, 그 스프루 박스의 측단에 이송컨베이어(8)가 설치되어 있다. 이송컨베이어(8)의 선단에는 제1 지지대(21a) 및 제2지지대(21b)로 이루어진 프레임(21)이 설치된다. 그리고, 프레임(2)상에는 후방으로 선택적으로 출몰하는 이동슈트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슈트(20)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대(21b)의 상부에는 장공(28)이 형성된 고정판(26)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고정판(26)의 상부에는 이동슈트(20)의 출몰방향으로 안내레일(29)설치되며, 상기 스프루받이부(24)의 하단에 상기 안내레일(29)상에서 이동하는 바퀴(29a)가 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프루받이부(24)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실린더(25)는 지지판(31)에 설치되고, 그 피스톤로드(25a)는 상기 스프루받이부(24)의 저면에 고정된 브라켓(27)과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27)과 피스톤로드(25a)의 결합을 위해서 고정판(26)상에 브라켓(27)이 하부로 출몰되어, 전.후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공(2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21)의 선단에는 상기 이동슈트(20)의 스프루받이부(24)를 따라 하강하는 스프루(7)를 수용하는 스프루박스(30)가 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취출로보트(1)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 흐름도에 의거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취출로보트(1)의 조작부(10)에서 시작버턴을 '온'시키게 되면 아암이 하강하게 되고(100), 하강이 완료된 후 아암이 소정거리 전진한 후 제품을 취출하여 다시 후퇴하여 최초의 진입대기위치 상승하게 되고(110), 이어서 Y축이 X축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120). 이어서 Y축이 X축상의 소정위치(이송컨베이어의 상부)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한다(130). Y축이 이송컨베이어 상단에 도달하면 지그가 회전을 이루고(140) 지그회전이 확인되면(150) 실린더가 구동하여 이동슈트(20)가 후진하게 된다(160).
그리고 이동슈트의 전진확인 신호(170)에 의해 스프루집게(미도시)가 해제되어 스프루(7)가 스프루받이부(24)로 낙하하여 이동슈트(20)의 경사방향으로 미끄러지며 스프루 박스(30)내로 들어가게 된다(180). 이어서 이동슈트(20)는 전진하게 되고(190), 이동슈트의 전진이 확인되면(200), 아암이 하강하고(210), 아암하강 완료후에 제품(5)을 잡고 있던 흡착지그(3)가 개방되어 제품을 이송 컨베이어(8)상에 안착시킨다(220).
그리고 아암은 다시 상승하여(230) 최초의 위치 즉 사출성형기(4)의 상부의 대기위치로 회복하게 된다(24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장치는 스프루박스를 이송컨베이어 동일선상에 설치하여 사출성형기의 측면부에 설치된 조작부의 작업공간을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취출로보트의 X축의 길이를 종래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X축 주행도중 별도의 스프루해제를 위한 정지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취출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슈트에서 분리 해내는 스프루를 직접 분쇄기로 공급하여 스프루의 처리를 이룰 수 있으므로 사출성형 공장의 무인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일 측에 이송컨베이어(8)및 스프루박스가 제공되는 취출로보트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선단에 연결되는 프레임(21)과, 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판(26)과, 상기 고정판(26)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슈트(20)와, 피스톤로드(25a)가 상기 이동슈트와 결합되어 이동슈트를 구동하는 실린더(25)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26)의 상면에 이동슈트의 이동방향응로 설치되는 레일(29)과, 이동슈트의 하단에 레일을 타고 구름운동하는 바퀴(29a)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슈트는 전방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5)는 고정판(26)의 하단에 설치하고, 고정판(26)상에, 이동슈트의 이동 방향으로 장공(28)을 형성하며, 이동슈트(20)의 하단에서 상기 장공(28)을 관통하여 브라켓(27)을 설치하고 피스톤로드(25a)의 선단을 상기 브라켓(27)에 결합하여 실린더에 의해 이동슈트가 전후진됨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장치.
KR1019950009858A 1995-04-25 1995-04-25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장치 KR0148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858A KR0148877B1 (ko) 1995-04-25 1995-04-25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858A KR0148877B1 (ko) 1995-04-25 1995-04-25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226A KR960037226A (ko) 1996-11-19
KR0148877B1 true KR0148877B1 (ko) 1998-10-15

Family

ID=1941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858A KR0148877B1 (ko) 1995-04-25 1995-04-25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14348A (zh) * 2019-10-11 2019-12-27 宝钢工程技术集团有限公司 带有轨道的自动化浇钢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226A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0014204A1 (en) Injection molding process and apparatus
WO1991008095A2 (en) Single-strip moulding apparatus
US5750059A (en) Method of molding resin to seal electronic parts
EP0428792B1 (en) Single strip molding apparatus
EP2735421B1 (en) Apparatus for removing resin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removing resin molded product
KR19980018807A (ko) 수지 성형 장치 (Resin molding machine)
KR0148877B1 (ko) 취출로보트의 스프루 처리장치
KR0183636B1 (ko) 사출물의 게이트 절단장치
KR950015741A (ko) 범용의 리이드 가공기
KR20050092176A (ko) 사출 성형품의 게이트 절단장치 및 그 방법
US6557619B2 (en) Ingot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JP4815283B2 (ja) 成形・成膜システム
KR102494911B1 (ko) 수지 밀봉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JP3714765B2 (ja) プレス装置の搬送機構
JP3586543B2 (ja) 半導体モールド装置
JP3153470B2 (ja) 成形品の搬送及びゲート切断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S58119836A (ja) 竪型射出成形機
KR100264239B1 (ko) 리드프레임 몰딩 시스템 및 몰딩 방법
JPS62207555A (ja) ダイカスト製品のせき切断装置
KR101822053B1 (ko) 도어 그립용 사출 게이트 제거장치
JPH0714613B2 (ja) 樹脂成形品取出用チャック装置
KR100198273B1 (ko) 몰드금형의 성형품 게이트 절단방법 및 성형품 게이트 절단장치
JPH0535658B2 (ko)
CN219903450U (zh) 眼镜腿插针装配后道加工设备
CN216992802U (zh) 一种注塑组装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