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751B1 -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751B1
KR0148751B1 KR1019940024464A KR19940024464A KR0148751B1 KR 0148751 B1 KR0148751 B1 KR 0148751B1 KR 1019940024464 A KR1019940024464 A KR 1019940024464A KR 19940024464 A KR19940024464 A KR 19940024464A KR 0148751 B1 KR0148751 B1 KR 0148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ne
lead
waste liquid
reactor
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544A (ko
Inventor
최태주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101994002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751B1/ko
Publication of KR96001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5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by removing fluoride or fluorin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62Heavy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재사용가능한 폐액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소 및 납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한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재생폐액속에 든 불소와 납을 동시에 제거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이들을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재생폐액속에 포함된 불소 및 납을 동시에 처리가능하게 함으로써, 재생폐액으로부터 불소 및 납을 제거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을 최소화시킴은 물론이고, 이들을 제거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재생폐액의 불소/납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반응조에서 재생폐액에 소석회를 투입하여 재생폐액을 PH 10.5∼12로 안정화시킨 다음, 제2반응조에서 염산(Hcl)을 투입하여 PH 6.5∼9.5로 중화시키고, 제3반응조에서 고분자응집제(Poly Acryl Amide)를 투입한 후 제1침전조에서 응집된 불소 및 납이온을 침전처리하는 한편, 제4반응조에서 다시 소석회를 투입하여 재생폐액을 PH 10.5∼12로 안정화시킨 다음, 제5반응조에서 황산알루미늄(Al2(SO4)3nH2O)를 첨가하여 PH 7.5∼9.5로 조절하고, 제6반응조에서 고분자응집제(Poly Acryl Amide)를 투입하여 불소 및 납이온을 응집시킨 다음, 제2침전조에서 재침전, 제거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폐액의 불소/납을 동시에 처리하는 폐액처리장치의 개략도.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재생폐액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소 및 납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한 브라운관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여러 장치를 가지면서 배출된 재생폐액, 예컨대 불량 브라운관재생공정에서 브라운관에 묻은 불필요한 형광액을 불소로 세척하고 난 뒤 여러 공정을 거친 재생폐액속에는 불소와 납등이 포함되어 있어서 환경보전법에 규정한 농동 이하로 처리하여 배출하여야 한다. 전술한 재생폐액속에서 불소와 납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 불소와 납을 동시에 제거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이들을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이고,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재생폐액속에 포함된 불소 및 납을 동시에 처리가능하게 함으로써, 재생폐액으로부터 불소 및 납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시킴은 물론이고, 이들을 제거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반응조에서 재생폐액에 소석회를 투입하여 재생폐액을 PH 10.5∼12로 안정화시킨 다음, 제2반응조에서 염산(HcL)을 투입하여 PH 6.5∼9.5로 중화시키고, 제3반응조에서 고분자응집제(Poly Acryl Amide)를 투입한 후 제1침전조에서 응집된 불소 및 납이온을 침전처리하는 한편, 제4반응조에서 다시 소석회를 투입하여 재생폐액을 PH 10.5∼12로 안정화시킨 다음, 제5반응조에서 황산알루미늄(Al2(SO4)3nH2O)를 첨가하여 PH 7.5∼9.5로 조절하고, 제6반응조에서 고분자응집제(Poly Acryl Amide)를 투입하여 불소 및 납이온을 응집시킨 다음, 제2침전조에서 재침전, 제거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폐액의 불소/납을 동시에 처리하는 폐액처리장치의 개략도로서, 불소 및 납을 포함하고 있는 재생폐액을 제1반응조에 넣은 다음, 상기 제1반응조에 PH조절 및 칼슘(Ca)원으로 소석회를 투입하여 제1반응조에 있는 재생폐액의 PH를 10.5∼12로 상승시켜 안정화시킨다.
이때, 상기 제1반응조에는 다음과 같은 반응식의 불소이온(CaF2) 및 납이온(Pb(OH)2이 생성된다.
이어, 상기 제1반응조에서 안정화된 재생폐액을 제2반응조로 보낸다.
상기 제2반응조의 재생폐액속에 있는 납이 PH 10이상에서는 재용출되므로 제2반응조에서 염산(Hcl)을 투입하여 제2반응조에 있는 재생폐액의 PH를 6.5∼9.5로 낮추어 중화시킨다.
상기 제2반응조에서 중화된 재생폐액을 제2반응조로 보낸후, 제3반응조에 고분자응집제인 플리아크릴아미드(Poly Acryl Amide)를 약 2∼6ppm정도 투입한다.
이때, 제3반응조의 재생폐액속에 있는 불소 및 납이온은 고분자응집제에 의해 각각 응집된다.
이어, 상기 제3반응조에서 응집되는 불소 및 납이온을 제1침전조로 보낸다.
상기 응집된 불소 및 납은 제1침전조에서 침전된다.
이때, 상기 제1침전조에는 침전된 불소, 납 그리고 재생폐액이 있다.
진술한 바와같은 과정을 거치더라도 상기 제1침전조에 있는 재생폐액속에는 불소 및 납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침전조에 있는 재생폐액을 제4반응조로 보낸다.
이어, 상기 제4반응조에 소석회를 투입하여 재생폐액의 PH를 10.5 ∼ 12로 상승시켜 안정화시킨다.
이때, 상기 제4반응조에는 불소이온(CaF2) 및 납이온(Pb(OH2))이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반응조에서 안정화된 불소 및 납이온을 제5반응조로 보낸 후, 제5반응조에 황산알루미늄(Al2(SO4)3nH2O)를 첨가시켜 재생폐액의 PH를 7.5 ∼ 9.5로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제5반응조에는 다음과 같이 미세한 다공질의 Al(OH)3플록들을 형성시켜, 이 Al(OH)3플록에 불소화합물과 납화합물이 흡착되도록 한다.
이처럼, 전술한 Al(OH)3플록에 불소화합물과 납화합물이 흡착되면, 제6반응조에서 고분자응집제인 플리아크릴아미드(Poly Acryl Amide)를 약2∼5ppm정도 투입하면, 제6반응조의 재생폐액속에 남아 있는 불소 및 납이온을 응집된다.
이어, 상기 제6반응조에서 응집되는 불소 및 납이온을 제2침전조로 보낸다.
상기 응집된 불소 및 납은 제2침전조에서 침전된다.
이때, 상기 제2침전조에는 불소와 납이 완전히 제거된 재생폐액과 침전된 불소와 납이 있다.
따라서, 브라운관재생공정시에 배출되는 재생폐액중에 있는 불소/납은 상기 과정을 거치면서 동시에 제거된다.
위에서 설명한 재생폐액이 불소/납 동시처리방법은 본 발명의 한 가능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 재생폐액의 불소/납 처리방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그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설명과 같이 처리되는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라운관재생공정에서 배출되는 재생폐액을 제1반응조로 보낸후, 제1반응조에 소석회를 투입하여 재생폐액을 PH 10.5∼12로 안정화시킨 다음, 제2반응조에서 염산(Hcl)을 투입하여 PH 6.5∼9.5로 중화시키고, 제3반응조에서 고분자응집제(Poly Acryl Amide)를 투입한 후 제1침전조에서 응집도니 불소 및 납이온을 침전처리하는 한편, 제4반응조에서 다시 소석회를 투입하여 재생폐액을 PH 10.5∼12로 안정화시킨 다음, 제5반응조에서 황산알류미늄(Al2(SO4)nH2O)를 첨가하여 PH 7.5∼9.5로 조절하고, 제6반응조에서 고분자응집제(Poly Acryl Amide)를 투입하여 불소 및 납이온을 응집시킨 다음, 제2침전조에서 재침전 처리함으로써, 재생폐액으로부터 불소 및 납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시킴은 물론이고, 이들을 제거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불소 및 납을 포함하고 있는 재생폐액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폐액을 제1반응조에 투입시킨 후, 상기 제1반응조에 소석회를 첨가하여 재생폐액의 PH를 10.5∼12로 안정화 시킴과 동시에 불소이이노 및 납이온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불소이온 및 납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재생폐액을 제2반응조로 투입시킨후, 상기 제2반응조에 염산을 첨가하여 상기 재생폐액의 PH를 6.5∼9.5로 중화되는 단계와; 상기 제2반응조에서 중화된 재생폐액을 제3반응조로 투입시킨 후, 상기 제3반응조에 고분자응집제를 첨가하여 불소이온 및 납이온을 응집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3반응조에서 응집된 불소이온 및 납이온을 포함하고 있는 재생폐액을 제1침전조로 투입시킨 후, 응집된 불소이온 및 납이온을 동시에 침전처리하여 재생폐액과 분리시켜 분리된 재생폐액만 제4반응조로 투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4반응조로 투입된 재생폐액에 다시 소석회를 첨가하여 재생폐액의 PH를 10.5∼12로 안정화 시킴과 동시에 불소이온 및 납이온이 생성되는 단계와; 상기 불소이온 및 납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재생폐액을 제5반응조로 투입시킨후, 상기 제5반응조에 황산알루미늄을 첨가하여 상기 재생폐액의 PH를 7.5∼9.5로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제5반응조에서 PH가 7.5∼9.5로 조절된 재생폐액을 제6반응조로 투입시킨 후, 상기 제6반응조에 고분자응집제를 첨가하여 불소이온 및 납이온을 응집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6반응조에서 응집된 불소이온 및 납이온을 포함하고 있는 재생폐액을 제2침전조로 투입시킨 후, 응집된 불소이온 및 납이온을 동시에 침전처리하여 재생폐액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
KR1019940024464A 1994-09-28 1994-09-28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 KR0148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4464A KR0148751B1 (ko) 1994-09-28 1994-09-28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4464A KR0148751B1 (ko) 1994-09-28 1994-09-28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544A KR960010544A (ko) 1996-04-20
KR0148751B1 true KR0148751B1 (ko) 1998-08-01

Family

ID=1939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464A KR0148751B1 (ko) 1994-09-28 1994-09-28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7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123A (ko) * 1997-05-31 1998-12-05 엄길용 불산함유폐수 처리 방법
KR20030064465A (ko) * 2002-01-28 2003-08-02 주식회사 미래수 오폐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00839828B1 (ko) * 2007-12-31 2008-06-19 홍성수 폐절삭유의 유수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544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2165B1 (en) Method of treating waste water to remove fluorine ion by coagulating sedimentation
JP2002018449A (ja) 溶存フッ素イオン除去剤及びこれを利用したフッ素含有廃水の処理方法
JPH1190165A (ja) 排煙脱硫排水の処理方法
KR0148751B1 (ko) 재생폐액의 불소/납 동시처리방법
JP2006055728A (ja) フッ素含有排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4543481B2 (ja) ホウ素およびフッ素含有水の処理方法
JP2912237B2 (ja) フッ素含有排水の処理方法
JP4543478B2 (ja) ホウ素含有水の処理方法
TWI263623B (en) Effluent water treatment method
JP2000246262A (ja) 廃液からの重金属除去時、発生するスラッジの低減方法
KR100318660B1 (ko) 불소를함유한하폐수처리제및그를사용한하폐수처리방법
KR100349154B1 (ko) 폐수중 불소제거용액 및 이를 이용한 불소 제거 방법
JPH05185073A (ja) 希薄酸性溶液の処理方法
JPH10230282A (ja) 弗素含有排水の処理方法
KR960011886B1 (ko) 산폐수 무방류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76528B1 (ko) 불소, 6가크롬을 처리하기 위한 폐수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0150331B1 (ko) 염화칼슘과 철염을 이용한 불소폐수 처리방법
KR100756838B1 (ko) 폐수 처리 방법
KR100189661B1 (ko) 폐수중의 불소처리방법
KR0142932B1 (ko) 불소함유 폐수의 처리방법
KR920009840B1 (ko) 코우크스 폐수중 불소 제거방법
JP2003275772A (ja) フッ素含有水の処理方法及びフッ素含有水処理装置
KR20110075382A (ko) 불소를 함유한 산성폐수의 불소 처리방법
WO2023026661A1 (ja) フッ素含有水の処理方法
KR930010763B1 (ko) 코우크스 가스폐액에서 발생되는 불소 및 시안이온 동시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