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729B1 - 크랭크축 미러의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크랭크축 미러의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729B1
KR0148729B1 KR1019950018843A KR19950018843A KR0148729B1 KR 0148729 B1 KR0148729 B1 KR 0148729B1 KR 1019950018843 A KR1019950018843 A KR 1019950018843A KR 19950018843 A KR19950018843 A KR 19950018843A KR 0148729 B1 KR0148729 B1 KR 0148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
work
dust
dust collec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047A (ko
Inventor
유키히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수기모토 모리히로
코마쯔코오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기모토 모리히로, 코마쯔코오키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수기모토 모리히로
Publication of KR96001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Sawing (AREA)

Abstract

공작물 가공시에 발생한 분진 등을 소형의 집진기로 효율좋게 집진한다.
공작물헤드(29) 사이로 지지된 공작물(3)을 미끄럼대(7)에 설치된 커터로 가공함과 아울러, 상기한 공작물(3)을, 미끄럼대(7)를 지지하는 새들(6)에 설치된 레스트(9)로 지지하도록 한 크랭크축 미러에 있어서, 상기한 레스트(9)를 공작물(3)의 지지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한 커터 및 레스트아암(9b)을 감싸도록 일치되는 한쌍의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가 적어도 한쪽과 상기한 집진기(16) 사이를 닥트(15)로 접속한 것이고, 용적이 작은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내의 공기를 흡인할 뿐으로 가공시에 발생한 분진 등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소형의 집진기(16)로 효율좋게 집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랭크축 미러의 집진장치
제1도는 종래의 집진장치의 설명도이다.
제2도는 종래의 집진장치의 설명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가 설치된 기계실의 평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가 설치된 기계실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가 설치된 크랭크축 미러의 레스트 근방을 확대한 측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서의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제7도는 제5도에서의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제8도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크랭크샤프트미러의 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공작물 5 : 공작물헤드
6 : 새들 7 : 미끄럼대
9 : 레스트 10,11 : 레스트 사이의 커버
13 : 배출구 15 : 닥트
16 : 집진기
본 발명은 공작물의 가공시에 발생한 유연(油煙)이나 분진 등(이하, 분진 등이라 함)을 집진하는 크랭크축 미러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크랭크축을 가공하는 크랭크축 미러에서는, 공작물 가공시에 분진 등이 발생하여 작업환경을 악화시킨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제1도에 표시하듯이, 크랭크축 미러가 수용된 기계실(a)의 윗 쪽에 후드(b)를 설치하고, 이 후드(b)와 집진기(c)의 사이를 닥트(d)로 접속하며, 후드(b)가 집진한 분진 등을 닥트(d)를 매개로하여 집진기(c)로 흡수하여 회수하거나, 제2도에 표시하듯이, 기계실(a)의 윗 면을 커버(e)로 밀폐하고, 기계실(a)의 내부와 집진기(c)를 닥트(d)로 접속하여, 기계실(a) 내부에 부유하는 분진 등을 집진기(c)로 흡수하여 회수하고 있다.
그러나, 기계실(a)의 윗 쪽에 후드(b)를 설치한 경우에는, 기계실(a)의 윗쪽에서 후드(b)의 간극으로부터 분진 등의 일부가 누출되는 점에서, 분진등의 회수효율이 떨어지며, 또, 누출된 분진 등에 의하여 작업환경이 악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기계실(a)의 윗 면을 커버(e)로 덮는 경우에는, 커버(e)의 일부에 공작물을 반출입하기 위한 공작물 반출입구(f)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공작물 반출입구(f)에서 분진 등의 일부가 누출되며, 또, 공작물 반출입구(f)에 셔터를 설치한 경우에도 셔터를 개폐할 때마다 분진의 일부가 누출되어서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 상기한 어떤 경우도, 기계실(a) 전체의 풍량을 포집하여 분진 등을 회수하기 위하여는, 용량이 큰 집진기(c)를 필요로 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공작물 가공시에 발생한 분진 등을 소형의 집진기로 효율좋게 집진할 수 있도록 한 크랭크축 미러의 집진장치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작물헤드의 사이에 지지된 공작물을 미끄럼대에 설치된 커터로 가공하며, 또, 상기한 공작물을, 미끄럼대를 지지하는 새들에 설치된 레스트로 지지하도록 된 크랭크축 미러에 있어서, 상기한 레스트를 공작물의 지지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한 커터 및 레스트아암을 감싸는 한 쌍의 레스트 사이의 커버를 각 레스트에 설치하며, 상기한 레스트 사이의 커버가 적어도 한 쪽과 상기한 집진기의 사이를 닥트로 접속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공작물 가공시에 발생한 분진 등은 레스트 사이의 커버 내의 공기와 함께 집진기에 흡수되어 회수되므로,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레스트 사이의 커버 내의 적은 용적의 공기를 흡인하므로서 집진할 수 있으므로, 용량이 작은 소형 집진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후드나 기계실의 윗 면을 덮는 커버 등이 필요없으므로, 장치 전체의 구성도 간단하게 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3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크랭크축 미러가 수용된 기계실의 평면도, 제4도는 전면 벽을 생략한 기계실의 정면도, 제5도는 크랭크축 미러의 레스트 근방의 확대측면도, 제6도는 제4도에서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도면, 제7도는 제5도에서의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이들의 도면에서, 참조부호(1)은 주위가 방음벽(2a)에 의하여 감싸여진 기계실(2) 내에 수용된 크랭크축 미러이며, 기계실(2)의 전면(前面)에는 개폐자재한 문(2b)이 설치되어 있으며, 윗 쪽에는 공작물(3)을 반출입하는 오토로우더(4)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크랭크축 미러(1)는 베드(1a) 위에 2대의 공작물헤드(5)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공작물헤드(5)의 대향면에는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3)의 양 끝을 잡는 척(5a)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공작물헤드(5)의 사이에는 2대의 새들(6)이 베드(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새들(6) 위에는, 새들(6)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는 미끄럼대(7)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미끄럼대(7)에, 공작물(3)을 절삭하는 커터가 설치된 커터스핀들이 스윙헤드(모두, 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를 매개로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각 새들(6)의 대향면에는 공작물(3)을 지지하는 레스트(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레스트(9)는 제5도에 표시하듯이, 한 쪽 끝이 핀(9a)에 의해 지지되어, 다른 쪽 끝이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는 한 쌍의 레스트아암(9b)이 있으며, 이들 레스트아암(9b)의 대략 중간부에 반원 형상의 절결부(9c)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절결부(9c)에 공작물(3)을 지지하는 패드(9d)가 부착되어 있다.
각 레스트아암(9b)의 개방단 쪽은 클램퍼(9e)에 의하여 결합상태로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한 레스트아암(9b)은 각 레스트(9)마다 설치된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한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는 서로 대향하는 면이 개구되고, 또, 하부에는 가공시에 발생한 칩을 베드(1a) 내에 설치된 칩컨베이어(12)로 낙하시키는 배출구(13)가 개구되어 있다.
상기한 각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 중의 한 쪽 커버(10)가 다른 쪽 커버(11)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고, 레스트(9)를 공작물(3)의 가공위치와 인접하는 지지위치로 분할하므로서, 각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의 일부가 제6도 및 제7도에 표시하듯이 중첩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한 쪽의 레스트 사이의 커버(10)의 상부 측면에 닥트(15)의 한 쪽 끝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닥트(15)는 레스트(9)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가요관(可撓菅)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닥트(15)의 다른 쪽 끝은 기계실(2)의 외측에 설치된 집진기(16)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하면,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3)이 오토로우더(4)에 의해 기계실(2)의 윗 쪽으로부터 각 공작물헤드(5) 사이로 반입되고, 회전 방향의 위상 분할이 완료되면 공작물(3)의 양 쪽 끝은 척(5a)에 의해 고정된다.
그 후, 각 공작물헤드(5)가 공작물(3)의 가공위치까지 이동하면, 이것에 수반하여 레스트(9)도 가공위치와 인접하는 지지위치로 이동되며, 각 레스트(9)에 설치된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가 제6도 및 제7도에 표시하듯이, 개구부 끝 쪽이 중첩된다.
이 상태에서, 집진기(16)를 작동시키면서 공작물(3)의 가공을 개시하는 것으로, 가공시에 발생한 분진 등은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 내의 공기와 함께 닥트(15)를 매개로하여 집진기(16)에 흡인되고, 집진기(16) 내의 필터(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 포집되어서 회수된다.
또,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 내의 공기흡인과 함께,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의 하부에 개구된 배출구(13)에서 기계실(2) 내의 공기가 흡입되므로, 분진 등이 배출구(13)로부터 누출하는 일이 없으며, 집진기(16)는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 내의 작은 용적의 공기를 흡인하므로써, 용량이 작은 소형의 것으로 충분하다.
[실시예2]
제8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크랭크샤프트미러의 개략구성 투시도가 나타나있다. 본 실시예의 크랭크샤프트미러는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평배치베드(17)와 이 베드(17)상에 그 베드(17)의 길이방향(V축 방향)에 이동 가능하게 적재된 2기의 새들(18)과 각 새들(18)상에 그 새들(18)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Y축방향)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 미끄럼대(1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미끄럼대(19)는 이 미끄럼대(19)의 미끄럼방향(Y축방향)으로 연장된 세로방향 지지벽(19a)을 보유하며, 이 지지벽(19a)의 한쪽 끝에는 수평면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각간상(角簡狀)의 케이스(19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벽(19a)의 케이스(19b)와 반대측 끝부분에는, 핀(20)을 매개로 하여 스핀들헤드(21)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이 스핀들헤드(21)의 케이스(19b)측의 끝부분은 그 케이스(19b)내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있는 가이드부재(22)에 대하여 Y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있다.
상기한 가이드부재(22)는 이 가이드부재(22)에 고정되어있는 너트부재(23)를 매개하여 케이스(19b)내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있는 볼나사축(24)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 볼나사축(24)이 케이스(19b)의 상단부에 부착되어있는 요동모터(25)에 정역회전되는 것으로 인하여 스핀들헤드(21)가 핀(20)을 중심으로 X축방향에 요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상기한 베드(17)의 양끝단부에는 각각 공작물헤드(29)가 부착되고, 이 공작물헤드(29)에는 공작물의 양단부를 각각 잡고있는 척(3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 21로 표시되어 있는 것은 가공시에 공작물을 지지하는 레스트이다.
크랭크샤프트미러의 작동을 계속 설명하면 우선, 절삭가공대상물 크랭크샤프트의 양단부를 서로 대향하는 척(30)으로 잡아 고정한 상태에서, 2기의 새들(18)을 V축 방향으로 가공위치까지 이동시켜 가공부의 측방을 레스트(31)로 지지하고, 다음에 요동모터(25) 및 미끄럼대(19)를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미끄럼대모터를 NC회로에 의해 동기회전시켜 정역회전시킨다.
이로 인하여 새들(18)상의 미끄럼대(19)는 일정주기로 Y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동시에 스핀들헤드(21)는 핀(20)을 중심으로 X축방향으로 일정한 주기로 요동되고, 이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각 운동의 조합에 의해 커터(27)는 크랭크샤프트의 핀부 혹은, 저널부 외주면을 따라 선회한다.
이때 커터(27)는 커터모터(28)의 회전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한 핀부 등의 외주면은 그 커터(27)의 절삭날(27a)에 의해 절삭 가공된다.
상기한 크랭크샤프트미러의 제어부인 NC장치에는 공작물인 크랭크샤프트의 핀부등의 가공경, 위상(회전방향 위상), 핀스트로크(크랭크샤프트 회전중심에서의 거리), 길이방향 치수 등의 공작물 데이터가 입력되고, 이 NC장치에 있어서는 그 입력데이터에 기초하여 커터(27)의 중심이 궤적의 지름 및 그 원궤적의 중심위치등에 관한 가공데이터가 작성되고, 이 가공 데이터에 기초하여 요동모터(25), 미끄럼대모터등의 제어가 실시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크랭크샤프트미러를 사용하여 공작물의 가공을 실시할 때에 가공열에 의한 예를 들면 스핀들헤드(21)의 열변형에 기인하여 공작물의 가공정도가 악화하거나, 혹은 절삭공구의 마모에 의해 가공정도가 악화되는 것에 반하여 본실시예는 상기한 가공데이터에 자동적으로 열보정 및 가공정도 보정을 추가한 시스템을 상기한 NC장치에 추가하였다.
다시 말해서, NC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메모리장치에는 가공에 필요한 기본데이터테이블 외에 측온데이터에 대해서 실험에 의해 얻어진 커터(27)의 중심이 그려진 원궤적의 경(徑) 및 그 원궤적의 중심위치등에 관한 보정데이터를 포함하는 열보정 데이터테이블을 보유하는 동시에 절삭공구의 마모에 따라 가공할 핀저널등의 외경, 위상, 핀스트로크, 길이방향치수등의 보정을 실시하기 위한 보정데이터를 포함한 기계고유의 가공정도 보정데이터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계의 열변위나 절삭공구의 마모등에 대한 가공정도를 기본가공데이터와 보정데이터를 비교하여 배율의 연산에 의해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커터(27)의 중심이 그려진 새로운 원궤적의 전체둘레의 좌표치를 다시 계산하지 않아도 고정도로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레스트를 덮도록 설치된 레스트 사이의 커버에 닥트를 개재하여 집진기를 접속하고, 레스트 사이의 커버를 이용하여 공작물 가공시에 발생한 분진 등을 집진기로 흡인하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의 집진방법과 같이 분진 등의 일부가 누출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서, 분진 등에 의해 작업환경이 악화되는 일이 없으며, 또, 용적이 작은 레스트 사이의 커버 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분진 등을 회수하므로, 종래의 기계실 전체의 공기를 흡인하는 것에 비하여, 용량이 작은 소형의 집진기를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이것에 의하여 낮은 비용, 저소음화와 함께 가동비용의 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
또, 기계실의 윗 쪽에 후드를 설치하거나 커버로 덮을 필요가 없으므로, 공작물의 반출입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고, 또, 장치 전체의 구성도 간단하게 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공작물헤드(29) 사이로 지지된 공작물(3)을 미끄럼대(7)에 설치된 커터로 가공함과 아울러, 상기한 공작물(3)을, 미끄럼대(7)를 지지하는 새들(6)에 설치된 레스트(9)로 지지하도록 한 크랭크축 미러에 있어서, 상기한 레스트(9)를 공작물(3)의 지지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한 커터 및 레스트아암(9b)을 감싸도록 일치되는 한쌍의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를 각 레스트(9)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레스트 사이의 커버(10),(11)가 적어도 한쪽과 집진기(16)의 사이를 닥트(15)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축 미러의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레스트 사이 커버(10),(11)의 하부에, 가공시에 발생한 칩을 배출하는 배출구(1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랭크축 미러의 집진장치.
KR1019950018843A 1994-11-11 1995-06-30 크랭크축 미러의 집진장치 KR0148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77342A JP2929361B2 (ja) 1994-11-11 1994-11-11 クランクシャフトミラーの集塵装置
JP94-277342 1994-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047A KR960017047A (ko) 1996-06-17
KR0148729B1 true KR0148729B1 (ko) 1998-11-02

Family

ID=1758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843A KR0148729B1 (ko) 1994-11-11 1995-06-30 크랭크축 미러의 집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29361B2 (ko)
KR (1) KR0148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1538A (ja) * 1996-08-30 1998-03-17 Komatsu Koki Kk クランクシャフトミラーの集塵方法及び集塵装置
JP2013240881A (ja) * 2012-04-24 2013-12-05 Komatsu Ntc Ltd クランクシャフトミラー
CN113231678A (zh) * 2021-06-05 2021-08-10 杭州路迪机械有限公司 一种花键轴加工用铣床及其加工工艺
CN115255468A (zh) * 2022-09-30 2022-11-01 国惠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阀门端面铣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047A (ko) 1996-06-17
JP2929361B2 (ja) 1999-08-03
JPH08141874A (ja) 1996-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3838B (zh) 机床
JP6821433B2 (ja) 5軸加工装置
JP3705999B2 (ja) 工作機械の切粉清掃装置
JP4869698B2 (ja) マシニングセンタ
EP0904890B1 (en) Horizontal machine tool
KR100890990B1 (ko) 칩제거를 위한 집진 장치를 구비한 cnc 고속 가공기
EP1977855A1 (en) Machine tool with main body covered with cover
KR0148729B1 (ko) 크랭크축 미러의 집진장치
JPS58171908A (ja) 加工用モ−タの集塵装置
JPH06126518A (ja) フライスヘッド
CN210024634U (zh) 开料机吸尘处理装置
JP2018030202A (ja) 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JP2002079431A (ja) 平板加工機
US20210008630A1 (en) Machine tool
CN214922244U (zh) 一种数控车床加工用回转工作台
KR100484639B1 (ko) 크랭크샤프트미러의집진방법및집진장치
JP4889893B2 (ja) 集塵ノズル移動装置を備えた立旋盤
JPH03169501A (ja) 数値制御ルータ機などの主軸ヘッド装置
JP3418453B2 (ja) プリント基板加工機における主軸ユニットの冷却装置
JP2505081Y2 (ja) 工作機械用集塵フ―ド装置
CN220006986U (zh) 一种具有防护机构的金属加工装置
JP2020082236A (ja) 加工機用の保護装置及び加工機
CN220838972U (zh) 一种便于清洗的数控铣床
JPH01281840A (ja) 切り粉除去装置
CN220613085U (zh) 一种摇臂轴夹持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