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073B1 -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8073B1 KR0148073B1 KR1019950011913A KR19950011913A KR0148073B1 KR 0148073 B1 KR0148073 B1 KR 0148073B1 KR 1019950011913 A KR1019950011913 A KR 1019950011913A KR 19950011913 A KR19950011913 A KR 19950011913A KR 0148073 B1 KR0148073 B1 KR 01480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ter
- tape
- sub
- rod
- casset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49—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with servo control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트레이와 트랜스퍼로 구성된 테이프 로딩어셈블리를 테이블식으로 돌출시켜 테이프를 투입하고, 카세트 데크에 테이프를 장입 혹은 탈거하는 프론트 로딩방식의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와 트랜스퍼가 상호 일체로 슬라이드 되어 카세트 데크를 보유하는 틀체의 전방으로 오픈된 때, 상기 트랜스퍼에 프론트 및 리어 링커를 개재하여 장착되고 카세트 테이프가 놓여져 있는 플래터부재의 테이프 받침대를 상승시켜, 상기 트레이의 개구를 통해 그 플래터부재로부터 카세트 테이프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테이프 취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4도(a)(b)는 본 발명에 관련 테이프 취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가 안착되는 플래터(Platter)와 이를 지지하고 있는 트레이를 테이블식으로 돌출시키는 프론트 로딩방식의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그 테이프의 취출을 용이하게 달성하도록 카세트 테이프를 위로 밀어 올려 주는 테이프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종래의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는 통상 힌지 개폐되는 도어의 내부에 테이프를 삽입 장착하여 도어를 닫거나, 카스테레오에서와 같이 강제적으로 삽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번거로울 뿐 아니라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는 CD 플레이어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와 같이 프론트 로딩 방식을 채용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다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음향기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93-8662호에는 DAT(Digital Audio Tape) 프론트 로딩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4-20266호와 동 제94-20267호에는 카세트 테이프의 프론트 로딩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카세트 테이프의 프론트 로딩 방법은 테이블식으로 돌출되는 트레이 및 보조트레이에 카세트 테이프를 얹어 놓음으로써, 그 테이프를 자동으로 끌고 들어가 카세트 데크의 내부에 장착되게 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그러나, 상술한 카세트 테이프의 프론트 로딩 방법은 그 구성이 복잡하고, 카세트 테이프가 안착된 로딩 어셈블리를 단순히 테이블식으로 돌출시키기만 할 뿐, 그 테이프를 취출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론트 로딩 방법은 트레이와 보조트레이의 사이에 장탈착수단을 개재하고 있으며, 그 장탈착수단에 의해 상기 트레이와 보조트레이의 전후진이 동작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제품의 콤팩화가 어렵다.
또, 상술한 프론트 로딩 방법은 트레이와 보조 트레이가 틀체에 안내 슬라이드되어 테이블식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단순히 카세트 테이프 받침대상으로 테이프를 장입 혹은 그로부터 탈거하게 되는 바, 이때 트레이의 개구를 통해 테이프를 공급하기가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카세트 테이프를 데크에 장탈착시키는 로딩 어셈블리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콤팩트화를 달성하고, 그 테이프의 취출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트레이와 트랜스퍼로 구성된 테이프 로딩어셈블리를 테이블식으로 돌출시켜 테이프를 투입하고, 카세트 데크에 테이프를 장입 혹은 탈거하는 프론트 로딩방식의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와 트랜스퍼가 상호 일체로 슬라이드되어 카세트 데크를 보유하는 틀체의 전방으로 오픈된 때, 상기 트랜스퍼에 프론트 및 리어링커를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카세트 테이프가 놓여져 있는 플래터부재의 테이프 받침대를 위쪽으로 돌출시켜, 상기 트레이의 개구를 통해 그 플래터부재로부터 카세트 테이프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플래터부재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링커의 러그선단에서 각각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에 힌지 결합되는 서브 플래터와, 그 서브 플래터와 상호 일체로 슬라이드되게 그 측벽 내부에 접하도록 직립설치되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훅(Hook)부재를 보유하여 상기 서브플래터와 상호 일체로 슬라이드되는 중에 틀체의 스토퍼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를 멈춰 상기 서브 플래터와 분리되는 플래터 로드와, 상기 플래터 로드의 진행이 정지될 경우 그 플래터 로드와 서브 플래터의 분리 이동에 의해 승강수단을 따라 리프트되면서 테이프를 돌출시키는 테이프 플래터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승강수단은 테이프 플래터의 양측방으로 형성된 돌기가 관통되도록 플래터 로드에 형성된 안내공과, 상기 테이프 플래터의 돌기가 끼워져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서브 플래터의 양측벽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슬리트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테이프 로딩 어셈블리의 오픈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그 테이프가 안착되어 있는 서브 플래터를 상측으로 다소 돌출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트레이의 개구를 통해 테이프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트레이와 트랜스퍼는 별도의 장탈착수단이 없이 상호 일체 혹은 분리되어 안내 슬라이드되며, 테이프가 안착된 채로 이송 및 업/다운되는 플래터부재의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제품의 콤팩트화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전체 구성도 및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의 설명 부호 1은 베이스로 되는 틀체를 나타낸다.
상술한 틀체(1)에는 테이프 플레이어로서 카세트 데크(3)가 장착된다. 또, 상기 카세트 데크(3)가 장착된 틀체(1)의 상측에는 상기 카세트 데크(3)에 외부로부터 테이프를 장입하거나, 장입된 테이프를 탈거 및 이송하기 위한 테이프 로딩 어셈블리가 안착된 채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틀체(1)에는 테이프 로딩 어셈블리 즉, 트레이(5)와 트랜스퍼(7)를 전방 혹은 후방으로 안내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그 구동 수단은 틀체(1)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11)와, 상기 모터(11)의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벨트(13) 및 다수개의 기어(15)와, 상기 트랜스퍼(7)에 형성된 랙(17)과 치차 결합되어 그 트랜스퍼(7)를 슬라이드시키는 피니언(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19)은 그 상부에 안착된 트랜스퍼(7)함를 전후 방향으로 직진 이송시키게 되는 바, 이때 상기 트랜스퍼(7)는 트레이(5)와 함께 상호 일체 혹은 분리되어 상기 틀체(1)에 안착된 채로 안내 슬라이드되어진다.
상기 트레이(5)는 테이프의 장입 및 탈거를 위한 개구(27)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전후 양측으로는 호상 가이드(31, 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트레이(5)의 저면에는 트랜스퍼(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는 바, 이 트랜스퍼(7)의 양 측벽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록부재(37)는 트레이(5)의 슬리트(39)에 끼워져, 그 길이 방향 슬라이드만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구성된 트랜스퍼(7)와 트레이(5)는 상기 틀체(1)에 안내되어 그 프론트 방향으로 오픈되어 지는 바,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 및 피니언(19)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트레이(5)의 개구(27)를 통해 테이프를 장입하여 플래터부재(61)에 올려 놓거나, 그로부터 테이프를 탈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테이프가 안착되거나 탈거된 플래터부재(61)는 다시 트레이(5) 및 트랜스퍼(7)와 함께 리턴되어 진다. 또, 상기 플래터부재(61)는 그 행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하강을 시작하게 되고 상기 틀체(1)에 설치된 카세트 데크(3)에 그 테이프를 장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 전술한 테이프 로딩 어셈블리는 상기 트랜스퍼(7)의 양측벽에 형성된 안내수단에 의해 동작되면서, 상기 플래터부재(61)를 업/다운 시키게 되는 프론트 및 리어 링커(55, 5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프론트 및 리어 링커(55, 57)는 상기 안내수단에 힌지 결합되는 가동 힌지(59)와, 그 가동 힌지(59)가 호상으로 연장된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러그(6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힌지(59)를 중심으로 상기 트레이(5)의 호상 가이드(31, 33) 내면을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플래터부재(61)를 직하방으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안내수단은 트랜스퍼(7)의 양측벽에 관통 형성되어 프론트 및 리어 링커(55, 57)의 가동 힌지(59)가 각각 끼움 결합되는 안내공(65)과, 상기 트레이(5)의 양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 힌지(59)의 이동을 안내하는 호상의 안내구(67)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가동 힌지(59)는 트랜스퍼(7)의 분리 이동시, 그 트랜스퍼(7)의 안내공(65)에 의해 동작됨과 동시에 고정되어 있는 트레이(5)의 호상 안내구(67)를 따라 회동되어 진다.
또,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링커(55, 57)의 선단에는 각각 내향으로 돌출된 돌기(71, 73)가 마련되어 지는 바, 이들은 각각 플래터부재(61)의 구멍(75) 및 홈(77)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링커(55, 57)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가동 힌지(59)를 중심으로 다운/업되므로서, 그 상부에 안착된 카세트 테이프를 카세트 데크(3)에 장탈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테이프 취출장치로서 플래터부재의 구성을 제3도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은 제2도의 플래터부재(61)를 분해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의 설명부호 79는 전술한 프론트 및 리어 링커(55, 57)의 러그(63) 선단에서 각각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71, 73)에 구멍(75)과 홈(77)이 각각 끼움 결합됨으로써, 지지되는 서브 플래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서브 플래터(79)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및 리어 링커(55, 57)를 개재하여 상술한 트랜프서(7)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트랜스퍼(7) 및 트레이(5)의 오픈시 일체로 결합된 채로 슬라이드되어 진다.
상기 서브 플래터(79)의 양 측벽 내부에는 각각 플래터 로드(81)가 결합되어 지는 바, 이는 그 측벽과 접하여 밀착된 채로 슬라이드되도록 직립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플래터 로드(81)는 전술한 서브 플래터(79)의 홈(77)과 마찬가지로 횡 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홈(83)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홈(83)에는 전술한 돌기(73)가 마찬가지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플래터 로드(81)의 외측벽에는 복수개의 돌기(8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서브 플래터(79)의 양 측벽에 횡 방향으로 형성된 횡 장공(69)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 상기한 플래터 로드(81)는 테이프 로딩 어셈블리 즉, 트레이(5) 및 트랜스퍼(7)의 오픈시 틀체(1)의 선단에 형성된 스토퍼(53; 제2도 참조)에 걸려, 그 플래터 로드(81)의 진행을 차단하도록 하는 훅부재(87)를 보유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브 플래터(79)는 상기 플래터 로드(81)의 진행이 차단되어 분리 이동되는 시점에서 소정의 거리 만큼 더 진행하게 되는 바, 그 거리는 상기 서브 플래터(79)에 형성된 횡 장공(69)의 길이와 동일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리어 링커(55, 57)의 내향 돌기(73)가 삽입된 플래터 로드(81)의 홈(83)은 그 플래터 로드(81)의 슬라이드가 정지된 시점에서 서브플래터(79)가 분리 슬라이드되는 거리 즉, 상기 횡 장공(69)의 길이 만큼, 상기 서브 플래터(79)의 홈(77)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서브 플래터(79)와 플래터 로드(81)의 사이에는 탄성부재(89)가 개재되어 지는 바, 이는 상기 서브 플래터(79)의 고리(91)와 플래터 로드(81)의 고리(93)에 각각 그 양단부가 결합되어 있기때문에, 평시 서로 인장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플래터(79)와 플래터 로드(81)는 평시 제2도에 도시된 상태로 로딩 어셈블리와 함께 슬라이드 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로딩 어셈블리의 오픈시 그 플래터 로드(81)의 진행이 정지될 경우에는 상기 서브 플래터(79)만이 분리되어 그 횡 장공(69)의 길이 만큼 더 슬라이드되어 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 서브 플래터(79)의 상측에는 다시 카세트 테이프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테이프 플래터(95)가 놓여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플래터(95)는 서브 플래터(79)에 안착됨과 동시에, 그 네 귀퉁이에 형성된 돌기(95)가 각각 서브 플래터(79) 및 플래터 로드(81)에 형성된 승강수단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테이프 플래터(95)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97)가 관통되도록 플래터 로드(81)에 형성된 안내공(99)과, 상기 안내공(99)을 관통하여 돌출된 돌기(97)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서브 플래터(79)의 양측벽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슬리트(101)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 플래터(95)는 상기 플래터 로드(81)의 진행이 정지되고 상기 서브 플래터(79)가 소정의 길이 만큼 더 슬라이드 될 경우, 그 승강수단의 상호 작용 즉, 상기한 안내공(99)과 슬리트(101)의 상대적인 슬라이드 작용에 의해 위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플래터 로드(81)의 안내공(99)은 테이프 플래터(95)의 돌기(97)를 용이하게 밀어 올리기 위해, 서브 플래터(79)의 슬리트(101)가 형성된 수직선으로부터 그 전방으로 임의의 기울기로 경사 형성되어져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테이프 취출장치의 동작을 제4도(a) (b)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a)는 트레이(5)와 트랜스퍼(7)가 상호 일체로 결합된 채로 틀체(1)에 의해 안내 슬라이드되면서, 상기 트랜스퍼(7)의 랙(17)과 치차 결합된 피니언(19)의 시계방향 구동에 의해, 카세트의 프론트로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플래터부재(61)는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론트 및 리어 링커(55, 57)를 개재하여 그를 지지하고 있는 트랜스퍼(7) 및 트레이(5)와 동일 선상에 배치된 채로 이송된다.
또, 상기 플래터부재(61)의 상측에는 카세트 테이프(103)가 안착되어 있으며, 그 플래터부재(61)를 구성하는 서브 플래터(79)와 플래터 로드(81)가 탄성부재(89)를 개재하여 평시 인장력을 받도록 탄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플래터(79)를 지지하고 있는 돌기(73)는 홈(77)의 내측 선단에 지지되어있으며, 상기 서브 플래터(79)와 플래터 로드(81)의 승강수단에 의해 지지되는 테이프 플래터(95)는 그 돌기(97)가 안내공(99)과 종방향 슬리트(101)가 겹쳐지는 최저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피니언(19)이 계속 구동하게 되면, 플래터 로드(81)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훅부재(87)는 틀체(1)의 전방에 형성된 스토퍼(53)에 의해 차단되어, 그 플래터 로드(81)의 진행을 정지시키게 되는 바, 이러한 상태가 제4도(b)에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래터 로드(81)는 스토퍼(53)가 훅부재(87)를 차단함으로써 멈추게 된다. 하지만, 상기 서브 플래터(79)는 피니언(19)에 의해 계속 진행하려는 힘을 받게 되는 바, 그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서브 플래터(79)와 플래터 로드(81)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89)는 늘어나게 되고, 서브 플래터(79)의 홈(77)의 내측 선단에 지지되어 있던 돌기(73)가 상기 플래터 로드(81)의 홈(83) 내측 선단까지 밀려 들어가게 된다.
그와 동시에, 테이프 플래터(95)의 돌기(97)는 플래터 로드(81)의 안내공(65)을 따라 유도되고, 서브 플래터(79)의 종방향 슬리트(101)를 따라 상승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공(65)과 슬리트(101)가 서로 겹쳐지는 최상부에 위치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 플래터(9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에 안착되어있는 카세트 테이프(103)의 상측면이 트레이(5)의 상측면 보다 높게 되도록 밀어 올리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그 테이프를 용이하게 취출 혹은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상기 플래터부재(61)에 카세트 테이프(103)를 재 공급한 후, 피니언(19)을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서브 플래터(79)와 플래터 로드(81)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탄성부재(89)에 의해 제4도(a)의 상태로 다시 리턴되어 지는 바, 그 동작은 전술한 동작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하고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프 취출장치는 기존의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에서 테이프 로딩 어셈블리를 단순히 테이블식으로 돌출시켰던 것과 달리, 재차 테이프를 부상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를 도모하고 제품의 품위를 높일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 카세트 테이프의 프론트 로딩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생산성을 높일 뿐 아니라 제품의 콤팩트화를 달성한 것이다.
Claims (8)
- 트레이와 트랜스퍼로 구성된 테이프 로딩어셈블리를 카세트의 전방으로 돌출시켜 테이프를 장입하거나 혹은 탈거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에 있어서, 틀체에 안내되어 상호 일체로 슬라이드 되는 트레이와 트랜스퍼에, 프론트 및 리어 링커를 개재하여 플래터부재를 장착하되, 상기 트레이와 트랜스퍼가 틀체의 전방으로 오픈될 때 상기 플래터부재의 테이프 받침대를 위쪽으로 돌출시켜, 그 상부에 안착되어 있는 카세트 테이프를 트레이의 개구를 통해 용이하게 제거토록 구성된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플래터부재는 프론트 및 리어 링커의 러그 선단에서 각각 내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에 힌지 결합되는 서브 플래터와, 상기 서브 플래터와 상호 일체로 슬라이드되게 측벽 내부에 직립 설치되고,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훅부재를 보유하여 상기 서브 플래터와 상호일체로 슬라이드되는 중에 상기 훅부재가 틀체의 스토퍼에 걸림에 의해 슬라이드가 정지되는 플래터 로드와, 상기 플래터 로드의 진행이 정지될 경우 분리되어 계속 슬라이드되는 서브 플래터에 의해 승강수단을 따라 리프트되면서 테이프를 돌출시키는 테이프 플래터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승강수단은 테이프 플래터의 양측방으로 형성된 돌기가 관통되도록 플래터 로드에 형성된 안내공과, 상기 테이프 플래터의 돌기가 끼워져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서브 플래터의 양측벽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슬리트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 테이프 취출장치.
- 제3항에 있어서, 플래터 로드의 안내공은 테이프 플래터의 승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브 플래터의 슬리트가 형성된 수직선으로부터 그 전방으로 경사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서브 플래터의 양 측벽에는 플래터 로드의 슬라이드가 정지된 시점에서 서브 플래터가 분리 슬라이드되는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횡장공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의 테이프 취출장치.
-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서브 플래터의 횡 장공에는 플래터 로드의 돌기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리어 링커의 내향 돌기가 삽입되는 플래터 로드의 홈은 그 플래터 로드의 슬라이드가 정지된 시점에서 서브 플래터가 분리 슬라이드되는 거리 만큼, 상기 리어 링커의 내향 돌기가 삽입되는 서브 플래터의 홈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서브 플래터와 플래터 로드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호 인장력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11913A KR0148073B1 (ko) | 1995-05-15 | 1995-05-15 |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11913A KR0148073B1 (ko) | 1995-05-15 | 1995-05-15 |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42619A KR960042619A (ko) | 1996-12-21 |
KR0148073B1 true KR0148073B1 (ko) | 1998-10-15 |
Family
ID=1941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11913A KR0148073B1 (ko) | 1995-05-15 | 1995-05-15 |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48073B1 (ko) |
-
1995
- 1995-05-15 KR KR1019950011913A patent/KR014807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42619A (ko) | 1996-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48073B1 (ko) |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취출장치 | |
JP2774251B2 (ja) | 二重挿入防止用シャッター及びこれを有するディスクプレーヤー | |
US5636199A (en) | Automatic disc changer for retrieving a lowermost disc from a stack of stored discs and returning the disc to the top of the stack | |
CN112693723B (zh) | 一种脑血管疾病分析装置 | |
KR100239831B1 (ko) | 디스크플레이어 | |
KR0148074B1 (ko) |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로딩장치 | |
JPH0997471A (ja) |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 |
KR930008494Y1 (ko) |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테이프 카세트 이송장치 | |
JP3450870B2 (ja) | ディスク装置 | |
KR0123309Y1 (ko) | 프론트 로딩방식 카세트의 테이프 누름구 | |
KR960008035B1 (ko) | 미니디스크겸용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의 스핀들어셈블리 승강장치 | |
JPH05986Y2 (ko) | ||
JPH0759625A (ja) | 引出装置 | |
KR200150067Y1 (ko) |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 |
KR930008495Y1 (ko) | 테이프 카세트 장착장치 | |
JPH0737305A (ja) |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 |
JP3665525B2 (ja) | ディスク装置 | |
JPH0454592Y2 (ko) | ||
JP2501924Y2 (ja) | ディスクロ―ディング装置 | |
JPH08102117A (ja) | ディスク演奏装置 | |
JP3607797B2 (ja) | ディスクチェンジャ | |
JP3806595B2 (ja) | カートリッジの収納装置 | |
JPH08102129A (ja) | ディスク演奏装置 | |
JPS58182164A (ja) | エレベ−タ装置 | |
JPH05307826A (ja) | ディスク再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50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