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830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830B1
KR0146830B1 KR1019950029549A KR19950029549A KR0146830B1 KR 0146830 B1 KR0146830 B1 KR 0146830B1 KR 1019950029549 A KR1019950029549 A KR 1019950029549A KR 19950029549 A KR19950029549 A KR 19950029549A KR 0146830 B1 KR0146830 B1 KR 014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cold
opening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812A (ko
Inventor
최선용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9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830B1/ko
Publication of KR970014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물 등의 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시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원수를 정수로 변환시키며 변환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본체가 배설된 정수수단과, 상기 정수수단에서 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이 제거된 정수를 냉수 혹은 온수로 변환시키며 상기 정수수단에서 변환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재가 장착된 냉온수단과, 상기 정수수단에서 변환된 정수가 상기 정수수단의 정수본체 혹은 상기 냉온수수단의 저장부재로 공급되도록 정수의 흐릅을 제어하며 상기 정수수단에 장착된 절환수단으로 이루어진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정수 혹은 정수에서 변환된 냉·온수를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이 부가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구입시 경제적 부담이 경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수기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냉온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장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정수수단의 후면케이스를 제거한 후 정수수단의 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정수수단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후면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환수단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정수수단 11:본체
12:후면케이스 13:전처리필터
14:멤브레인 15:후처리필터
30:절환수단 31:절환본체
32:격벽부재 33:제1개폐수단
34:제2개폐수단 40:제어수단
50:냉온수수단 51:냉온수본체
52:냉수취출구 53:온수취출구
55:저장부재
본 발명은 수도물 등의 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시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시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수단과 각종 유해물질이 제거된 정수를 냉·온수로 변환시키는 냉온수수단을 혼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정수 혹은 냉·온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물 등의 원수를 정수시키는 정수기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정수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전(1)을 통해서 공급되는 원수 등에 포한된 염소성분 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을 제거시키는 전처리필터(2)와, 상기 전처리필터(2)를 통과하여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이 제거된 원수에 포함된 각종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 등의 세균을 제거시키는 멤브레인(3)과, 상기 멤브레인(3)을 통과하여 세균이 제거된 원수에 포함된 유독가스 등의 냄세를 제거시키는 후처리필터(7)등으로 이루어져 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하였다.
즉, 종래의 정수기는 수도물 등의 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만을 제거하여 정수를 공급하므로써, 사용자에게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정수를 냉각 혹은 가열시키는 별도의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를 구비하여야 했다.
또, 종래의 정수기에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를 구비할 경우에는 정수기가 대형화됨은 물론이고 제조코스트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냉온수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도물 등의 원수를 정수하여 냉·온수로 변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생수를 냉·온수로 변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종래에는 수도물 등의 원수를 정수로 제조하여 공급하는 정수기와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가 별도로 제작되어 시판되므로써 사용자가 정수 및 냉·온수를 공급받기 위하여는 정수기와 냉온수기를 각각 구입하여 설치해야 하므로써 사용자에게 경제적부담이 가중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시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수단과 각종 유해물질이 제거된 정수를 냉·온수로 변환시켜 공급하는 냉온수수단을 혼합하여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정수 혹은 냉·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에 편리성을 부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원수를 정수로 변환시키며 변환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본체가 배설된 정수수단과, 상기 정수수단에서 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이 제거된 정수를 냉수 혹은 온수로 변환시키며 상기 정수수단에서 변환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재가 장착된 냉온수수단과, 상기 정수수단에서 변환된 정수가 상기 정수수단의 정수본체 혹은 상기 냉온수수단의 저장부재로 공급되도록 정수의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정수수단에 장착된 절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정수 혹은 정수에서 변환된 냉·온수를 용이하게 공급받을수 있으므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이 부가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구입시 경제적 부담이 경감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저장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정수수단의 후면케이스를 제거한 후 정수수단의 후부를 개략적르오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정수수단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후면케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8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환수단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 내지 제8도에 있어서, (10)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물 등의 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시키는 정수수단으로써, 정수를 저장하는 탱크(119)가 배설되며 외관을 형성시키는 정수본체(11)와, 상기 정수본체(11)의 후부에 배설되어서 도시되지 않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등에 포함된 염소성분 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을 제거시키는 전처리필터(13)와, 상기 전처리필터(13)를 통과하여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이 제거된 원수에 포함된 각종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 등의 세균을 제거시키는 멤브레인(14)과, 상기 멤브레인(14)을 통과하여 세균이 제거된 원수에 포함된 유독가스 등의 냄개를 제거시키는 후처리필터(15)와, 상기 각종 필터(13)(14)(15)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정수본체(11)와 결합되어서 외관을 형성시키는 후면케이스(12)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정수수단(10)의 정수본체(11)의 후면에는, 상기 정수본체(11)의 탱크(119) 혹은 후술하는 냉온수수단의 저장부재로 각종 유해물질이 제거된 정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절환수단(30)이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절환수단(30)은, 상기 각종 필터(13)(14)(15)를 통과하여 각종 유해물질이 제거된 정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311)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정수가 상기 정수수단(10)의 탱크(119) 및 후술하는 냉온수수단으로 배출되도록 정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1배출구(312) 및 제2배출구(313)가 형성된 절환본체(31)와, 상기 절환본테(31)의 내부를 유통로(324)와 제1유통로(325) 그리고 제2유통로(326)로 구획시킴과 동시에 제1개폐구(322) 및 제2개폐구(323)가 형성된 격벽부재(32)와, 상기 격벽부재(32)에 형성된 제1개폐구(322)를 개폐시켜 상기 정수수단(10)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제1이동부재(331)와 제1코일(332)로 이루어진 제1개폐수단(33)과, 상기 격벽부재(32)에 형성된 제2개폐구(323)를 개폐시켜 후술하는 냉온수수단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제2이동부재(314)와 제2코일(342)로 이루어진 제2개폐수단(34)으로 구성되어서 정수의 공급을 제어한다.
또, 상기 절환수단(30)의 제1개폐수단(33) 및 제2개폐수단(34)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1 및 제2개폐수단(33)(34)이 제1 및 제2이동부재(331)(341)가 상기 제1 및 제2코일(332)(342)에 형성되는 자장에 의해 이동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개폐구(322)(323)를 개폐시키도록 전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전선(201)(202)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환수단(30)의 유입구(311)와 상기 후처리필터(15)에는 상기 후처리필터(15)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절환수단(30)의 유통로(324)로 공급되도록 정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4파이프(104)가 배설되고, 상기 절환수단(30)의 제1배출구(312)와 상기 정수수단(10)의 정수본체(11)의 탱크에는 상기 절환수단(30)의 제1배출구(312)를 통과한 정수가 상기 정수본체(11)의 탱크로 공급되도록 정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6파이프(106)가 배설되며, 상기 절환수단(30)의 제2배출구(323)와 후술하는 냉온수수단의 저장부재에는 상기 절환수단(30)의 제2배출구(313)를 통과한 정수가 후술하는 저장부재로 공급되도록 정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5파이프(105)가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후처리필터(15)와 상기 멤브레인(14)에는 상기 멤브레인(15)을 통과하여 세균이 제거된 원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3파이프(103)가 배설되고, 상기 멤브레인(14)가 상기 전처리필터(13)에는 상기 전처리필터(13)를 통과하여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이 제거된 원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2파이프(102)가 배설되며, 상기 전처리필터(13)와 도시되지 않은 수도전에는 수도물 등의 원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1파이프(101)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수수단(10)의 정수본체(11)의 후부에는, 상기 정수수단(10)의 정수본체(11)에 배설된 탱크(119)로 공급되는 정수의 수위 및 후술하는 냉온수수단의 저장부재로 공급되는 정수의 수위를 제어하도록 제어수단(40)이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정수본체(11)의 탱크(119)에는 상기 탱크(119)로 공급되는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상부 및 하부센서(191)(192)가 고착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센서(191)(192)와 상기 제어수단(40)에는 전원선(100)이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정수본체(11)의 탱크(119)로 공급된 정수의 수위를 상기 상부 및 하부센서(191)(192)가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어수단(40)으로 송신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센선(191)(192)에는 전원선(100)이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정수수단(10)의 후면케이스(12)에는 상기 절환수단(30)을 사용자가 절환시키도록 절환스위치(121)가 배설됨과 동시에 전원선(100) 및 상기 제5파이프(105)가 통과되도록 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림에서 (50)은 상기 절환수단(30)의 제2배출구(313)를 통과한 정수를 냉·온수로 변환시키는 냉온수수단으로써,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가 내장되며 외관을 형성시키는 냉온수본체(51)와, 상기 냉온수본체(51)로 정수가 공급되도록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재(55)로 이루어진다.
또, 냉온수본체(51)에는 냉수가 취출되는 냉수취수밸브(52)와, 온수가 취출되는 온수취출밸브(53)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재(55)에는, 상기 저장부재(55)로 정수가 공급되도록 상면에 공급구(55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냉온수본체(51)로 상기 저장부재(55)에 저장된 정수가 배출되도록 배출구(554)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저장부재(55)에 저장되는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상부센서(591) 및 하부센서(592)가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저장부재(55)의 상면에는 상기 저장부재(55)에 저장된 정수가 원활하게 상기 냉온수본체(51)로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부재(55)의 내부에 잔류되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1개 이상의 공기배출공(552)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재(55)의 공급부(551)에는 상기 제5파이프(105)의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저장부재(55)에 고착된 상부 및 하부센서(591)(592)와 상기 제어수단(40)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센서(591)(592)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어수단(40)으로 송신되도록 전원선(100)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정수수단(10)에는 각종 필터(13)(14)(15)가 장착되어서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삼투압식 정수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여과식 정수장치, 직결여과식 정수장치, 이온교환수지식 정수장치 등과 같이 원수를 정수로 변환시키는 모든 발명에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정수수단(10)으로부터 정수를 공급받고져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절환스위치(121)를 절환시켜 상기 절환수단(30)의 제1개폐수단(33)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한다.
또, 상기 절환수단(30)이 제1개폐수단(33)으로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1개폐수단(33)의 제1코일(332)에 자장이 형성되고, 상기 제1코일(332)에 자장이 형성되면 상기 제1개폐수단(33)의 제1이동부재(331)가 제8도에 도시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절환수단(30)의 격벽부재(32)에 형성된 제1개폐구(332)가 개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개폐구(332)가 개방되면 상기 정수본체(11)에 배설된 각종 필터(13)(14)(15)를 통과하여 각종 유해물질이 제거된 정수가 상기 절환수단(30)의 유통로(324)를 거쳐 상기 제1유통로(325)로 공급되게 된다.
또, 상기 절환수단(30)의 제1유통로(325)로 공급된 정수는 상기 제1배출구(312) 및 상기 제6파이프(106)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탱크(119)로 공급되게 되어 사용자가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탱크(119)로 공급되는 정수가 상기 상부센서(191)의 위치까지 공급되면 상기 상부센서(191)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40)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상부센서(191)로 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절환수단(30)의 제1개폐수단(33)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시킨다.
또, 상기 제1개폐수단(33)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제1개폐수단(33)의 제1이동부재(331)가 제8도에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격벽부재(32)에 형성된 제1개폐구(332)를 폐쇄시키므로써 상기 탱크(119)로 공급되는 정수의 흐름을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탱크(119)로 공급된 정수가 상기 하부센서(192)의 위치까지 소모되면 상기 하부센서(192)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40)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하부센서(191)로 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절환수단(30)의 제1개폐수단(33)으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 상기 제1개폐수단(33)으로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제1개폐수단(33)의 제1이동부재(331)가 제8도에 도시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격벽부재(32)에 형성된 제1개폐구(332) 를 개방시키므로써 상기 탱크(119)로 정수가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냉온수수단(50)으로부터 냉·온수를 공급받고져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절환스위치(121)를 절환시켜 상기 절환수단(30)의 제2개폐수단(34)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또, 상기 절환수단(30)의 제2개폐수단(34)으로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2개폐수단(34)의 제2코일(342)에 자장이 형성되고, 상기 제2코일(342)에 자장이 형성되면 상기 제2개폐수단(34)의 제2이동부재(341)가 제8동에 도시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절환수단(30)의 격벽부재(32)에 형성된 제2개폐구(323)가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개폐구(323)가 개방되면 상기 정수본체(11)에 배설된 각종 필터(13)(14)(15)를 통과하여 각종 유해물질이 제거된 정수가 상기 절환수단(30)이 유통로(324)를 거쳐 상기 제2유통로(326)로 공급되게 된다.
또, 상기 절환수단(30)의 제2유통로(326)로 공급된 정수는 상기 제2배출구(313) 및 상기 제5파이프(105)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저장부재(55)로 공급되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냉온수본체(51)에 장착된 냉수취출구(52) 혹은 온수취출구(53)를 통해서 냉·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저장부재(55)로 정수가 공급되면 상기 저장부재(55)에 잔류되는 공기가 상기 저장부재(55)에 형성된 공기배출공(55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저장부재(55)로 정수를 용이하게 저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재(55)로 공급되는 정수가 상기 상부센서(591)의 위치까지 공급되면 상기 상부센서(591)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40)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상부센서(591)로 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절환수단(30)의 제2개폐수단(34)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시킨다.
또, 상기 제2개폐수단(34)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제2개폐수단(34)의 제2이동부재(341)가 제8도에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격벽부재(32)에 형성된 제2개폐구(323)를 폐색시키므로써 상기 저장부재(55)로 공급되는 정수의 흐름을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저장부재(55)로 공급된 정수가 상기 하부센서(592)의 위치까지 소모되면 상기 하부센서(592)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40)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수단(40)은 상기 하부센서(191)로 부터 송신된 신호에 의해 상기 절환수단(30)의 제2개폐수단(34)으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 상기 제2개폐수단(34)으로 전류가 공급되면 상기 제2개폐수단(34)의 제2이동부재(341)가 제8동에 도시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격벽부재(32)에 형성된 제2개폐구(323)를 개방시키므로써 상기 저장부재(55)로 정수가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정수 혹은 정수에서 변환된 냉·온수를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이 부가되어 제품의 신로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구입시 경제적 부담이 경감된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원수를 정수로 변환시키며 변환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본체가 배설된 정수수단과, 상기 정수수단에서 원수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이 제거된 정수를 냉수 혹은 온수로 변환시키며 상기 정수수단에서 변환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재가 장착된 냉온수수단과, 상기 정수수단에서 변환된 정수가 상기 정수수단의 정수본체 혹은 상기 냉온수수단의 저장부재로 공급되도록 정수의 흐름을 제어하며 상기 정수수단에 장착된 절환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각종 유해물질이 제거된 정수가 유입되도록 유입구 형성되고 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정수가 상기 정수수단의 탱크 및 상기 냉온수수단으로 배출되도록 정수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제1배출구 및 제2배출구가 형성된 절환본체와, 상기 절환본체의 내부를 유통로와 제1유통로 그리고 제2유통로로 구획시킴과 동시에 제1개폐구 및 제2개폐구가 형성된 격벽부재와, 상기 격벽부재에 형성된 제1개폐구를 개폐시켜 상기 정수수단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제1이동부재와 제1코일로 이루어진 제1개폐수단과, 상기 격벽부재에 형성된 제2개폐구를 개폐시켜 상기 냉온수수단으로 공급되는 정수의공급을 제어하도록 제2이동부재와 제2코일로 이루어진 제2개폐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본체의 탱크에는, 상기 탱크로 공급되는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고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수단은,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가 내장되며 외관을 형성시키는 냉온수본체와, 상기 냉온수본체로 정수가 공급되도록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재에는, 상기 저장부재로 정수가 공급되도록 상면에 공급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냉온수본체로 상기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기 저장부재에 저장되는 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지으로 하는 정수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지 저장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저장부재에 저장된 정수가 원활하게 상기 냉온수본체로 배출되도록 상기 저장부재의 내부에 잔류되는 공기를 배축시키는 1개 이상의 공기배출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19950029549A 1995-09-11 1995-09-11 정수기 KR0146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549A KR0146830B1 (ko) 1995-09-11 1995-09-11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549A KR0146830B1 (ko) 1995-09-11 1995-09-11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812A KR970014812A (ko) 1997-04-28
KR0146830B1 true KR0146830B1 (ko) 1998-08-17

Family

ID=1942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549A KR0146830B1 (ko) 1995-09-11 1995-09-11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8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812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14228A3 (en) Under the counter water treatment system
US20020148719A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JPWO2011142476A1 (ja) 吐水栓
KR20220045130A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0146830B1 (ko) 정수기
KR200427743Y1 (ko) 냉온 정수기의 취수구 구조
JP4815722B2 (ja) 浄水器
JP2004278761A (ja) 複合単水栓
JP5484768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KR0146833B1 (ko) 정수기의 유로구조
JP3876782B2 (ja) 浄水器
JP4059804B2 (ja) カートリッジ型浄水器
KR200230320Y1 (ko) 냉온수기
JPH01170493U (ko)
KR100590003B1 (ko) 정수기
KR0172705B1 (ko) 원수공급용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배수장치
KR102613547B1 (ko) 필터 기능 선택형 필터 결합장치
JPH06285457A (ja) 浄水の給水装置
KR100187469B1 (ko) 냉온정수기의 냉수탱크에 대한 정수공급구조
KR0146835B1 (ko) 정수기
JP3266498B2 (ja) 浄水器付混合水栓
KR0146838B1 (ko) 정수기의 콘트롤구조
JPH11253934A (ja) 浄水器
JP4202481B2 (ja) 複合単水栓
JP3528330B2 (ja) 浄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