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749B1 - 충전 부재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부재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749B1
KR0146749B1 KR1019950013806A KR19950013806A KR0146749B1 KR 0146749 B1 KR0146749 B1 KR 0146749B1 KR 1019950013806 A KR1019950013806 A KR 1019950013806A KR 19950013806 A KR19950013806 A KR 19950013806A KR 0146749 B1 KR0146749 B1 KR 0146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plasticizing
hard
layer
fil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703A (ko
Inventor
준 무라따
나오끼 시라이
요시아끼 니시무라
유지 이시하라
기요시 미조에
쓰네노리 아시베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5003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 G03G15/0233Structure, details of the charging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surface proper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자 사진 장치의 감광 부재를 충전시키기에 적당한 충전 부재에 개선된 표면 특성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충전 부재는 경질 수지를 경질 중합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가소제 중합체로 가소화시킴으로써 형성된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을 갖는다.

Description

충전 부재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부재를 갖는 전사형 전자사진 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부재를 갖는 전자사진 장치를 프린터로서 포함하는 팩시밀리 장치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로울러의 단면도.
제4도는 충전 로울러의 저항 측정 방식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광 부재 1a : 광전도층
1b : 전기 전도성 지지층 2 : 충전 부재
2b : 탄성층 2c, 31, 42 : 코어 금속
2d : 표면층 3 : 전원공급장치
3a : 마찰전극 10 : 화상노출수단
11 : 현상수단 12 : 전사수단
13 : 세정수단 14 : 전사수용재료
32 : 스폰지 로울러층 33 : 저항층
41 : 로울러 43 : 알루미늄판
44 : 저항계측기
본 발명은 전하 수용 부재(충전될 부재)와 접촉 또는 인접하여 전하 수용 부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부재, 및 이 충전 부재를 사용한 장치, 특히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장치(예: 복사기 또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 및 정전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이제까지는 감광 부재, 유전체 등을 포함하는 전하 수용 부재인 화상 전달 부재의 표면을 충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코로나 방전기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코로나 방전기는 화상 운반 부재와 같은 전하수용부재의 표면을 목적하는 전위 수준으로 균일하게 충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다.
그런데, 코로나 충전기는 고압 전원 장치를 필요로 하고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므로, 오존 발생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한다.
그러한 코로나 방전기와는 대조적으로, 상술한 접촉 또는 인접 전하 장치는 전원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인가 전압이 낮고 오존을 덜 발생시키기 때문에 유익하다.
그러한 접촉 또는 인접 충전 부재는 전기 전도성 지지체에 1개의 저항층을 코팅하거나, 또는 적절한 비저항층을 갖는 상부 저항층 및 감광 부재와 같은 전하 수용 부재를 균일하게 충전시키고 전하 수용 부재 표면의 핀홀 및 홈(scar)과 같은 손상에 기인하는 전하 누설을 방지하도록 전하 수용 표면에 적절한 닙(nip)폭을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탄성을 갖는 하부 저항층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층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2 이상의 저항층을 포함하여 다층 구조의 경우, 하부층은 카본 블랙, 금속 분말, 또는 다른 금속 산화물의 전기 전도성 분말 등을 탄성 재료에 분산시켜 형성된 저항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탄성 재료의 예로는 합성 고무,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클로로프렌 고무(CR), 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및 실리콘 고무;천연 고무(NR)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폴리올레핀 및 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상부층은 카본 블랙 또는 금속 산화물의 전기전도성 입자를 폴리아미드 및 우레탄 수지와 같은 중합체에 분산시켜 형성된 저항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이를테면 전기 전도성 카본 블랙을 상부 저항층(표면층)에 도입하여 전기 전도성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카본 블랙이 매트릭스 중합체에 대해 큰 강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저항막층은 경도가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강화 효과가 적은 카본 블랙 또는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이 분산되기 때문에 전도성 부여 효과가 약하고, 따라서 이들을 다량 분산시켜야 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막 및 경도가 증가된 충전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충전 부재가 전자사진 장치에서 사용될 경우, 감광 부재는 심각하게 손상되어 홈 및 마모를 일으켜서 감광 부재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감광 부재 위에서의 토너의 막 형성과 같은 난점을 유발시킨다.
특히, 하부층으로서 스폰지층이 배치될 경우에는, 표면층이 가압하에서는 균열되기 쉬우며, AC전원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충전하는 동안 진동에 의한 잡음이 증가하기 쉽다.
이러한 난점은 가소제, 오일, 계면활성제, 비결정성 저분자량 올리고머 등을 첨가해서 경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저분자량 물질이 충전 부재의 표면으로 이동하여 감광 부재를 오염시키거나 또는 토너 점착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이온 전도성 중합체의 사용을 고려할 수도 있는데, 이를 사용할 경우, 전기 저항율이 온도 변화에 크게 의존하게 되고 전압 인가시 저항이 변화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열화된다는 난점이 수반되므로, 현재로서는 그러한 이온 전도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변형종동성(變形從動性 : deformation-followability)이 우수한 표면층을 갖는 충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광 부재를 오염시키지 않는 충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그러한 충전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질 중합체, 및 이 경질 중합체에 결합되어 경질 중합체를 가소화하기 위한 가소화 중합체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갖는 충전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충전 부재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경질 중합체는 이 경질 중합체에 가소화 중합체를 결합시킴으로써 유연화되는데, 이는 경질 중합체의 응집 및 결정화를 억제하는 가소화 중합체의 분자내 가소화 효과 때문이다. 따라서, 경질 중합체는 저분자량 가소제 또는 오일과 같은 유연화제를 가하지 않고도 유연화 될 수 있다.
가소화 중합체는 경질 중합체에 결합시키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가소화 중합체의 이동으로 인한 감광 부재의 오염 또는 토너 점착과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층의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변형종동성이 우수한 저항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 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살펴봄으로써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가소화 중합체는 각종 방식으로 경질 중합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테면, 가소화 중합체 사슬의 말단 또는 일부가 경질 중합체 사슬에 분지쇄로서 결합되거나, 가소화 중합체 사슬의 여러 지점에서 경질 중합체 사슬에 결합되어 망상 또는 사다리 모양을 형성하거나, 경질 중합체 사슬의 말단에 결합되거나, 가소화 중합체 부분(들) 및 경질 중합체 부분(들)의 블럭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경질 중합체의 예로는 각종 수지 및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실리콘 수지, 폴리올레핀 및 스티렌 기재 수지를 들 수 있다.
그러한 경질 중합체는 통상적으로 200kg.f/㎠보다 큰, 특히 250kg.f/㎠보다 큰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자체로서도 바람직할 수 있으나 과도한 경도 및 취성과 같은 불필요한 특성을 유발시키기 쉽다. 그러한 높은 인장 강도가 얻어질 경우, 경질 중합체는 또한 폴리아미드 및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소화 중합체는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경질 중합체에 결합되어 표면층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1)디메틸올프로피온산, 1,2-디메틸올에틸술폰산 또는 디에틸올아민과 같은 개질제 화합물을 경질 중합체가 합성될 때 경질 중합체를 제공하는 단량체 또는 예비 중합체와 반응시켜 경질 중합체내에 관능기, 예를 들면 -COOH, -SO2H 또는 -NH-를 도입시킨다. 그 다음, 가소화 중합체가 경질 중합체의 관능기와 반응하도록 한다.
(2)디메틸올프로피온산, 1,2-디메틸올에틸술폰산 또는 디에틸올아민과 같은 개질제 화합물과 반응시켜 경질 중합체의 예비 중합체에 관능기, 예를 들면 -COOH, -SO2H 또는 -NH-를 도입시킨다. 그 다음, 가소화 중합체를 예비 중합체의 관능기와 반응시키고, 이어서 가교제 또는 다관능성 중합체와 반응시켜 경질 중합체를 형성한다. 특히, 경질 중합체가 폴리우레탄인 경우에는, 가소화 중합체를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의 말단 NCO기와 반응시킨 다음 가교제 또는 다관능성 중합체와 반응시킬 수 있다. 별법으로,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를 테트라메틸에틸렌 디아민, 테트라메틸-1,3-부탄디아민, 펜타메틸디에틸렌테트라민, 또는 테트라메틸-1,3-디아미노-1,2-프로판올과 같은 아민 사슬 연장제와 반응시켜 예비 중합체의 말단에 -NH2기를 도입하고 이어서 가소화 중합체를 NH2기와 반응시키고, 가교제 또는 다관능성 중합체와 반응시켜 경질 중합체 단위를 완성시킨다.
경질 중합체 또는 그의 예비 중합체와 반응성이 있는 가소화 중합체를 제공하기 위해, 관능기를 가소화 중합체에 도입시킬 수 있다. 이는 가소화 중합체의 합성 단계에서 가소화 중합체를 제공하는 단량체 또는 예비 중합체를, 이를 테면, (1)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반응시켜 에폭시기를 도입하거나, (2)폴리에틸렌 글리콜,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등과 반응시켜 OH기를 도입하거나, 또는 (3) 상기 (2)의 -OH기를 알콕시기로 전환시킨 후 아크릴아미드, 폴리아미드(예:나일론) 또는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과 반응시켜 -NH2기를 도입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경질 중합체와 가소화 중합체간의 반응은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ⅰ)이를 테면, 디메틸올프로피온산과 폴리올의 반응을 통해 얻은 -COOH기를 갖는 경질 중합체의 예비 중합체를 말단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가소화 중합체)와 반응시킨다.
(ⅱ)-COOH기를 갖는 경질 중합체의 예비 중합체를 메틸메톡실화 폴리아미드(가소화 중합체)와 반응시킨다.
(ⅲ)말단 -NCO기를 갖는 경질 중합체의 예비 중합체를 말단 아크릴아미드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가소화 중합체)와 반응시킨다.
인장 강도가 250kg.f/㎠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kg.f/㎠이하인 표면층 수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경질 중합체를 가소화 중합체로 적절히 가소화시킬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가소화 중합체는 경질 중합체에 결합될 경우, 경질 중합체 단독의 경우보다 50kg.f/㎠이상, 특히 100kg.f/㎠이상 정도 작은 인장 강도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가요성, 고함량 충전제 보유 능력, 기계 강도, 내마모성 등의 측면에서 볼 때, 경질 중합체는 폴리우레탄 기재 중합체(폴리우레탄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예를 들면 폴리아디페이트 기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카프로락톤 기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기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아크릴 폴리올, 이들의 폴리부타디엔 기재 개질 생성물 및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폴리올,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이들을 에폭시로 개질시킨 생성물 및 공중합체;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공중합에 의해 얻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방향족 및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2,2,4(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TMDI),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PPDI), 4, 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HMDI), 디아니시딘 디이소시아네이트(DA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및 트랜스-1,4-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CHDI)를 들 수 있다.
저항층은 예를 들어 각종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수성 페인트로 피복시키거나, 또는 중합체에 예를 들어 음이온계, 양이온계 또는 비이온계 친수성 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써 친수성기를 도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감광부재로의 이동과 같은 첨가제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효과를 고려해 볼 때, 표면층 형성 수지에 친수성기를 도입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것은 폴리우레탄 기재 경질 중합체로부터 표면층 형성 수지를 제조하는 데에만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친수성기를 갖는 이러한 단량체는 경질 중합체, 가소화 중합체 또는 이들 둘 모두에 예컨대 생성된 표면층 형성수지 100 중량부 당 2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친수성기를 갖는 단량체의 예로는, 디메틸올프로피온산, 리신 및 β-(2-아미노에틸) 아미노에틸 카르복실산 등의 카르복실산 및 그 염, β-(2-아미노에틸) 아미노에틸술폰산 및 1,2-디메틸올에틸술폰산 등의 술폰산 및 그 염, 및 인산 및 그 염을 포함하는 음이온계 단량체; N-메틸디메틸올아민 등의 히드록실아민, 트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을 포함하는 양이온계 단량체; OCN(CH2)6-N(COO(CH2O)2CH3)-CONH(CH2)6-NCO 등의 비이온계 단량체가 있다.
가소화 중합체는 선형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며, 이들의 예로는 폴리아미드, 포화 지방족 산 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중합체, 폴리올레핀, 폴리실록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가소화 중합체는, 경질 중합체에 결합될 때 경질 중합체의 인장 강도를 효과적으로 저하시킨다면, 폴리우레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소화 중합체는 5,000 내지 50,000의 수평균 분자량(Mn)(표준 폴리스티렌 샘플을 사용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을 갖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가소화 중합체는 경질 중합체에 1:2 내지 10:1의 중량비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화 중합체가 하한치 미만의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가소화 중합체에 의해 얻어지는 유연화 효과가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질 중합체의 특성이 저하되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가소화 중합체는 분자 디자인화의 관용도, 우수한 내수성 및 내후성의 면에서 볼 때 아크릴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기재 경질 중합체와 아크릴 중합체 기재 가소화 중합체를 배합하면, 폴리우레탄으로 인한 우수한 고함량 충전제 보유 효과와 내마모성 및 아크릴 중합체로 인한 우수한 내후성 및 내습성을 포함하여 상승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제공한다.
아크릴 중합체의 예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히도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 아미드, 아크릴로 니트릴, 아크릴산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기타 아크릴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이들 아크릴 단량체와 스티렌 및 스티렌 유도체(예:비닐톨루엔)를 포함하는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 중합체는 각종 방법에 의해 소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상기 폴리우레탄에 대해 언급한 이유와 유사한 이유 때문에 친수성기를 갖는 단량체와 공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 형성 수지가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가소화 중합체 부분을 이미 포함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표면층 형성 수지에는 아크릴 부분(가소화 중합체 부분) 및 우레탄 부분(경질 중합체 부분)을 포함하는 블럭 공중합체 구조가 제공되어, 분자내 가소화에 효과적인 마이크로상 분리를 일으킨다.
친수성기가 도입된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저항층 형성 후에 수분 흡수로 인한 저항 변화 등의 역효과가 문제기 된다면, 카르복실기 등의 친수성기와 반응성이 있는 가교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교제로는 에폭시계, 아민계, 금속 킬레이트계, 멜라민계, 페놀계, 이소시아네이트계, 알데히드계 등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도 무방하나, 우수한 내전압 특성을 제공하고 실온에서 거의 반응성을 나타내지 않는 메톡시메틸화 멜라민 등의 멜라민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하부 저항층은 탄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의 예로는 EPM(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중합체), 폴리부타디엔, 천연 고무, 폴리이소프렌, SBR(스티렌부타디엔고무), CR(클로로프렌 고무), NBR(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등의 고무; BR(부타디엔 수지)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예를 들면 SBS(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스티렌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및 PVD; 및 폴리우레탄, 폴리스트렌,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VD(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아크릴 수지, 스티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등의 기타 중합체 물질이 있다.
하부 저항층은 10-50도의 경도(ASKER-C)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재료 중에서, EPDM이 특히 바람직한데, 이것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오염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탄성 재료는 고상 또는 발포체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균일하게 충전시키고 충전 잡음에 대해 소음(消音) 효과를 나타내도록 전하 수용 부재에 충분한 닙 폭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발포체가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상부 및 하부 저항층에 도입되는 전기전도성 입자의 예로는, 필요에 따라 카본 블랙, 금속 분말, 및 산화티탄, 산화주석 및 산화아연 등의 금속 산화물 분말; 및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 분무 코팅 또는 혼합 로울러 진동에 의해 산화주석, 산화안티몬, 산화인듐, 산화몰리브덴, 아연, 알루미늄, 금, 은, 구리, 크롬, 코발트, 철, 납, 백금 또는 로듐 등의 전기전도성 물질로 피복된 적절한 물질의 입지가 있다. 전기전도성 입자들은 표면층 형성 수지 100중량부 당 5 내지 100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저항층(표면층)은 104-1012ohm.cm의 비저항 및 5-500㎛의 두께를 갖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장치의 일 실시 태양의 단면도를 개요한 것이다.
제1도에서, 드럼형 전자사진 감광 부재(1)은 전하 수용 부재 또는 전하 운반 부재로 사용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된 전기전도성 지지층(1b) 및 이 지지층(1b) 위에 형성된 광전도성 층(1a)로 이루어진다. 감광 부재(1)은 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주변 속도로 축(1d) 주위를 회전한다. 감광 부재(1)은 그 표면에 소정의 극성 및 퍼텐셜을 갖도록 일차충전(접촉 또는 인접 충전에 의해)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 부재(2)(즉, 이 태양에서는 충전 로울러)에 의해 균일하게 충전된다. 총전 로울러(2)는 전기전도성 지지체로서의 코어 금속(또는 섀프트)(2c), 탄성층(2b) 및 표면층(2d)가 차례로 놓여져 구성된다. 코어 금속(2c)는 이것이 베어링 부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양쪽 단부를 갖고 있다. 코어 금속(2c)는 축(1d)와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충전 로울러(2)는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가해지는 소정의 압력 하에 감광부재(1) 위에 인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감광부재(1)의 회전과 맞물려서 회전한다.
(접촉 또는 인접 충전에 의한)일차 충전은 전원장치(3)에 의해 마찰(또는 문지르기) 전극(3a)을 통해 코어 금속(2c)에 직류(DC) 바이어스 전압을 가하거나 또는 직류 바이어스 전압 및 교류(AC) 바이어스 전압을 중첩적으로 가해서 수행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회전하는 감광 부재(1)의 주변 표면에 소정의 극성 및 소정의 퍼텐셜을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충전 부재(2)에 의해 균일하게 충전된 감광 부재(1)의 주변 표면에 화상 노출 수단(10)에 의해 화상 방향으로 노출(즉, 원상(original image)의 레이저 비임 주사 노출 또는 슬릿 노출)시킴으로써, 원상 데이타에 대응하는 정전하 잠상이 감광 부재(1)의 주변 표면 위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잠상은 토너가 장착된 현상 수단(11)에 의해 현상 또는 가시화되어 차례로 토너 화상(또는 현상된 화상)을 형성한다.
토너 화상은 종이와 같은 전사 수용 재료(14)의 정면에 연속적으로 전사되어, 전사수단(12)에 의해, 감광부재(1)의 회전과 동시에 공급부(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 감광부재(1)과 전사수단(12)(즉, 이 태양에서는 전사 로울러) 사이에 있는 전사 위치로 시의 적절하게 운송된다. 전사 수단(로울러)(12)는 토너의 극성과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전사 수용 재료(14)의 후면을 충전시키는데 사용됨으로써, 감광 부재(1) 위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이 재료(14)의 정면에 전사된다.
이어서, 그 위에 토너 화상을 갖는 전사 수용 재료(14)는 감광 부재(1)의 표면으로부터 탈착되어 정착수단(도시되어 있지 않음)으로 운송되고, 이로써 화상이 정착됨으로써 화상이 형성된 제품이 출력된다. 한편, 전사 수용 재료(14) 후면 위에도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전사 수용 재료(14)는 이 재료(14)를 전사 위치로 다시 운송하기 위한 재운송 수단으로 운송된다.
전사 작업 후에, 감광 부재(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 토너 등의 부착 물질을 제거 및 회수하기 위한 세정 수단(13)으로 감광 부재(1)의 표면을 세정시킴으로써 세정된 표면을 얻어 다음 사이클을 위해 준비한다.
충전 부재(2)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로울러형 충전 부재 이외에 블레이드형, 블럭형, 막대형 또는 벨트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로울러형 또는 블레이드형 충전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로울러형 충전 부재(2)의 경우, 충전 부재(2)는 예를 들어 시트형의 전하 수용 부재와 운동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거나, 또는 회전이 불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충전부재(2)는 예를 들어 시트형의 전하 수용 부재의 운동 방향과 동일 또는 반대 방향으로 또는 상기 드럼형 감광 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주변 속도로 그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광 부재, 충전 부재, 현상 수단 및 세정 수단과 같은 전자사진 장치의 여러 요소 또는 구성 부품은 프로세스 카트리지(process cartridge)속으로 일체로 조립되어, 이 카트리지는 장치의 몸체와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부재, 현상 수단 및 세정 수단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의 구성 부품은 감광 부재와 함께 프로세스 카트리지 속으로 일체로 조립될 수 있고, 이러한 카트리지는 장치 몸체의 레일과 같은 안내(guiding)수단을 매개로 하여 장치 몸체에 부착되거나 또는 장치 몸체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태양에서, 충전 부재 및(또는) 현상 수단은 감광 부재와 함께 사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성할 수 있다.
전자 사진 장치가 복사기 또는 프린터로서 사용되는 경우, 화상 노출은 원상으로부터의 반사광 또는 투사광을 사용하거나 또는 원상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이 데이타를 신호로 전환시킨 후 이 신호에 따라 레이저 비임 주사, LED 어레이의 드라이브 또는 액정 셔터 어레이의 드라이브를 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장치가 팩시밀리용 프린터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화상 노출 수단은 수용된 데이타를 인쇄하기 위한 수단에 해당한다. 제2도는 이 실시 태양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제2도에서, 조절기(21)은 화상 판독기(또는 화상 판독 유닛)(20) 및 프린터(29)를 조절한다. 조절기(21)은 전체적으로 CPU(중앙 처리 유닛)(27)에 의해 조정된다. 화상 판독기(20)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타는 전송회로(23)을 통해서 팩시밀리와 같은 다른 터미날로 전송된다. 한편, 팩시밀리와 같은 다른 터미날로부터 받은 데이타는 수신기 회로(22)를 통해서 프린터(29)로 전송된다. 화상 기억 장치(26)은 예정된 화상 데이타를 저장한다. 프린터 조절기(28)은 프린터(29)를 조절한다. 제2도에서, 부호(24)는 전화기를 나타낸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선로(또는 회로) (25)로부터 받은 화상(즉, 선로에 연결된 원격 터미날로부터 받은 화상 정보)는 수신기 회로(22)에 의해 검파되고, CPU(27)에 의해 해독되고, 연속해서 화상 기억장치(26)에 저장된다. 1페이지 이상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타가 화상 기억장치(26)에 저장될 때, 해당하는 페이지에 대해서 화상 기록이 수행된다. CPU(27)이 화상기억장치(26)으로부터 1페이지에 해당하는 화상데이타를 판독하고, 1페이지에 해당하는 해독된 데이타를 프린터 조절기(28)로 전송한다. 프린터 조절기(28)이 CPU(27)로부터 1페이지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타를 받을 때, 프린터 조절기(28)은 프린터(29)를 조절해서 그 페이지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타의 기록을 수행한다. 프린터(29)에 의해 기록되는 동안, CPU(27)은 다음 페이지에 해당하는 또다른 화상 데이타를 받아들인다.
따라서, 화상의 수신 및 기록은 상기 방법으로 제2도에 도시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제1도에 도시한 전자사진 부재(1)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다.
전기 전도성 지지체(1b) 위에 감광층(1a)를 형성시킬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지지체는 그 자체로서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강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산화인듐-산호주석의 증착막으로 코팅된 플라스틱 재료,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지지하는 적당한 결합제와 함께 전기 전도성 입자(예; 카본 블랙 또는 산화주석 입자)의 코팅층, 또는 전기 전도성 결합제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기 전도성 지지체와 감광층 사이에는 차단 기능 및 접착 기능을 갖는 하도층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도층은 예를 들면 카세인, 폴리비닐알콜, 니트로셀룰로오스,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아미드(예: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또는 공중합 나일론), 폴리우레탄, 젤라틴 또는 산화알루미늄으로부터 5㎛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하도층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하도층의 비저항은 107ohm.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광층(1)은, 임의로 결합제에 의해 또는 증착법에 의해, 유기 또는 무기 광전도체의 코팅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광층은 전하 발생층 및 전하 수송층을 포함하는 기능 분리형의 적층 감광층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전하 발생층은, 필요에 따라 증착법에 의해 적당한 결합제를 이용하여, 아조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퀴놀린 안료 또는 페릴렌 안료와 같은 전하 발생 물질로부터 두께 0.0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의 코팅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하 수송층은 적당한 필름 형성용 결합제 수지와 함께 히드라존 화합물, 스티릴 화합물, 옥사졸 화합물 또는 트리아릴아민 화합물과 같은 전하 수송 물질로부터 두께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의 코팅층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화(劣火), 예를 들면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감광층 위에 보호층을 배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로울러 축에 대해 수직 방향의 단면임)을 갖는 충전 로울러를 제조하였다.
길이 250㎜의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직경 6㎜의 코어 금속(31)의 230㎜의 길이에 105ohm의 중저항을 갖는 스폰지 로울러층(32)로 코팅하였다. 또한, 감광 부재에 핀홀과 같은 결점이 생기는 경우, 저항이 작은 스폰지층(32)는 과다한 전류 때문에 타기 쉽다. 이러한 난점을 방지하고 충전 전류가 필요량만큼만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스폰지 로울러층은 제4도에 도시한 방식으로 측정할 때 104내지 108ohm의 저항을 가질수 있다. 제4도에서, 로울러(41)의 저항은 코어 금속(42)의 양쪽 측면 단부 위에 각각 하중 W(예:500g; 약 2㎜의 닙 폭을 제공하기 위한 하중)를 가하고 인가 전압 100V를 가한 상태에서 저항 계측기(44)에 의해 코어 금속(42)와 알루미늄판(43)사이에서 측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스폰지 로울러(32)는 EPDM 100 중량%, 일차 입도 30㎛의 케트젠(Ketjen) 블랙(전기 전도성 부여제) 5 내지 15 중량부 및 아조디카본아미드(발포제) 5 내지 10 중량 %로부터 형성된다. 고무 혼합물을 압출에 의해 관으로 성형하고, 160℃에서 30분동안 발포용 수증기로 수행하는 제1 가황 단계 및 200℃에서 10분 동안 전기로에서 수행하는 제2 가황 단계를 포함하는 가황 단계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발포관은 표면 부분의 발포가 불균일하고 경도가 불규칙한 불균일한 표면을 가지므로, 이것을 연마해서 제거함으로써 직경 12㎜의 스폰지 로울러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스폰지 로울러는 기포 직경이 약 100㎛이고, ASKER-C 경도가 35였다.
이어서, 스폰지 로울러(32)에는 충전 불규칙성을 방지하고 감광 부재 위의 핀홀로의 전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균일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저항층(33)을 코팅시키는데, 이에 앞서 스폰지층(32)의 표면과 저항층(33)의 코팅 사이가 잘 접착되도록 하기 위해 실란 커플링제 프라이머를 먼저 코팅시킨다.
저항층(33)은 다음과 같이 제조되는 수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형성하였다.
말단에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아크릴 공중합체(메틸 메타크릴레이트 40 중량부, n-부틸 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 스티렌 20 중량부,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8 중량부 및 메타크릴산 1 중량부로 이루어짐; Mn=약 2×104; 가소화 중합체)를 아디페이트 기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아디프산 및 네오펜틸 글리콜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0 중량부 및 디메틸올프로피온산 6 중량부를 반응시켜서 제조함)과 반응시켜서 아크릴 중합체로 개질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하고, 이어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45 중량부와 반응시켰다. 이 결과 생성된 물질을 고속 교반 하에 물 중에 분산시키고, 이어서 사슬 연장을 위해 헥사메틸렌디아민 3 중량부와 반응시켜서 아크릴 중합체(가소화 중합체) 부분: 폴리우레탄 부분의 중량비가 약 4:1인 아크릴 중합체가 결합된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수성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아크릴 중합체로 개질된 폴리우레탄 함유 수성 코팅액(고체 물질 40 중량부 및 물 100 중량부를 함유함)을 유리 시이트 위에 붓고, 공기 중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어서, 유리 시이트로부터 막을 박리시켜서 120℃에서 10분동안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두께 0.1㎜의 막을 폭 10㎜ 및 길이 100㎜의 스트립으로 절단하였다. 막에 대해 20℃에서 인장 속력 100㎜/분으로 인장 시험을 수행한 결과, 인장 강도(M100)는 76kg.f/㎠이었다.
별도로, 아크릴 중합체로 개질된 폴리우레탄 함유 수성 코팅액에, 입자 크기 0.1 내지 0.2㎛의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는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주석(SnO2, Sb2O5)의 전기 전도성 입자 30 중량%(코팅액 중의 수지의 양을 기준으로 함)을 페인트 진탕기를 사용하여 12시간 동안 분산시켜서 점도 200cps의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전기 전도성 입자의 첨가량의 변동에 덜 민감한 안정하게 조절된 체적 저항률을 갖는 저항층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주석 입자와 같이 중저항을 갖는, 즉 체적 저항률이 10ohm.cm 정도인 전기 전도성 입자들이 0.1 내지 1 ohm.cm 정도의 낮은 체적 저항률을 갖는 카본 블랙과 같은 전도성이 큰 입자들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산 단계에서, 분산이 불량하면, 충전 부재의 표면층에 국부적으로 절연된 미소 영역이 형성되기 쉽고 이는 감광 부재의 대응 부분에서의 충전 실패라는 결과를 낳기 때문에 분산은 양호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수지 100 중량부를 함유하는 코팅액에는 친수성 카르복실기와의 반응을 위해서 헥사메틸메톡시멜라민(소수성 부여제)6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코팅액 중에,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스폰지 로울러를 침지시키고, 30㎜의 속도로 인장하였다. 약 80㎛의 균일한 건조 코팅 두께를 제공하기 위하여, 코팅 단계는 서로 반 대의 축 인장 방향으로 2회 반복 실시하였다. 또한, 이 코팅 단계에서는 로울러 코팅법 및 비임 코팅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코팅된 로울러를 135℃의 고온 공기 건조 오븐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충전 로울러는 모래형 외관의 화상을 형성시키는 표면 결함이 없는 균일 표면을 가졌다. 로울러는 제4도에 도시한 방식으로 측정하였을 때 저항이 106ohm이고, ASKER-C 경도가 45도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충전 로울러를 제1도의 화상 형성 장치에 충전 로울러(2)로서 설치하고, 이것은 DC 전압 -700V 및 AC 전압 500Hz 및 200V(Vpp)를 포함하는 중첩 전압을 가하 상태에서 충전 및 화상 형성에 이용하는데, 이로써, 감광 부재(1)이 고온고습 및 저온저습을 포함하는 모든 환경 조건하에서 -700V에서 균일하게 충전될 수 있다.
이어서, 충전 로울러를 사용해서 6000장의 A4 시이트에 연속 화상을 형성 행하였다. 연속 화상 형성후에도, 충전 로울러에는 표면 균열과 같은 어떠한 표면 변화도 없었으며, 초기 단계와 동일한 충전 특성을 가졌다.
별도로, 저항층을 위한 코팅액(전기 전도성 입자를 함유함)를 알루미늄 시이트 위에 도포하고, 고온 공기 건조 오븐에서 135℃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서 25㎛ 두께의 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직경 50㎜의 전극을 하중 200g하에서 접속시켜서 10V의 전압을 가하였다. 그 결과, 막의 비저항은 108ohm.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아크릴 중합체; 폴리우레탄 비를 약 1:1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아크릴 중합체로 개질된 폴리우레탄 함유 수성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별도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SnO2. Sb2O5의 전기 전도성 입자를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pH 5.5로 조정한 물 중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개질된 폴리우레탄 코팅액 및 전도성 입자 분산 슬러리를 고체/고체 중량비가 1/0.3이 되도록 서로 혼합시켰다. (균일 분산은 간단한 교반기를 사용하여 수행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적당한 분산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결과 얻어진 코팅액의 점도는 200cps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코팅액을 사용하며 표면 저항층을 제조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충전 로울러를 제조하였다. 평가 결과, 충전 로울러는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코팅액을 이용하여 별도로 막을 형성한 결과, 얻어진 막 샘플은 인장 강도가 110kg.f/㎠이었다.
[비교예 1]
아크릴 공중합체(가소화 중합체)로 개질하는 것을 생략하고,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주석 입자를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폴리우레탄 코팅 조성물에 분산시켜서 표면 저항층을 위한 코팅액을 형성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성 폴리우레탄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스폰지 로울러를 상기코팅액으로 2회 침지 코팅시키고,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건조시켜서 충전 로울러를 제조하였다.
건조 후, 충전 로울러에는 로울러의 길이 방향으로 가느다란 주름이 생겼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감광 부재에 대해서 가압 하에서 로울러를 회전시켰을 때, 로울러는 표면 균열을 일으켰으며, 이로 인해 화상 형성 결과 화상에 줄무늬가 나타났다.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코팅액을 이용하여 별도의 막을 형성한 결과, 얻어진 막 샘플은 인장 강도가 442kg.f/㎠이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충전 부재를 전사 로울러로서 사용하는 예를 후술한다.
전자사진 장치에서 전사 로울러는 감광 부재, 중간 전사 부재 또는 전사 드럼과 같은 화상 보유 부재 위의 토너 화상을 전압을 가한 상태에서 전시 수용지 위로 정전 전사하기 위한 부재이다.
전사 로울러는 전사 전류의 국부적인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105내지 109ohm 정도의 중간 수준의 저항을 가져야 하고, 높은 전사 압력 하에서 일어나기 쉬운 전사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낮은 경도를 가져야 하고, 부착된 과량의 토너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높은 방출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특성, 특히 낮은 경도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중간 수준의 저항을 갖는 스폰지 로울러를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EPDM, CR, 또는 탄소 또는 아연 산화물 분말과 같은 전기 전도성 분말을 함유하는 폴리우레탄이 발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폰지 로울러는 불균일한 표면을 가지고, 특히 저온저습 환경하에서 증가된 저항을 갖기 쉬운 전사지를 위해 높은 전사 전압을 필요로 한다. 이 경우, 과다한 전사 전류는 돌출 부위에 집중되고, 감광 부재로 흐름으로써, 전사후 국부적인 전하를 제거할 수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연속 화상에 반점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유연한 표면을 갖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충전 로울러를 전사 로울러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저온저습 환경하에서도 균일한 전사 화상이 형성될 수 있었다.
게다가, 표면을 유연하게 한 결과, 토너 분말 등의 부착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전사 로울러의 내구성이 개선되었다.
또한, 문자 화상의 해상 실패 및 연속 화상 형성시의 표면층 균열과 같은, 표면 강도의 증가에 수반되는 문제점들을 제거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가소화 중합체로서 아크릴 공중합체 대신에 말단 아크릴 그리시딜 에테르기를 갖는 폴리아세탈 공중합체(폴리비닐 부티랄 10 몰%,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40 몰% 및 폴리비닐알콜 50몰%로 이루어짐; Mn=약3×104)를 사용하여 폴리아세탈:폴리우레탄 중량비가 약 1:1인 폴리아세탈로 개질된 폴리우레탄 함유 수성 코팅액을 제공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가소화 중합체로 개질된 수성 폴리우레탄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코팅액에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주석 입자들을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분산시켜서 저항층 형성용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표면 저항층용 코팅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충전 로울러를 제조하였다. 평가 결과, 충전 로울러는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성능을 가졌다.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코팅액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막을 형성한 결과, 형성된 막 샘플은 인장 강도가 150kg.f/㎠이었다.
[실시예 5]
6,10-나일론(Mn=약10,000)의 아미드 수소의 20%를 메틸메톡실화시켜서 가소화 폴리아미드를 제조하고, 이것을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네오펜틸 글리콜 및 아디프산으로부터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0 중량부와 2,4-디아미노헥산 5 중량부를 반응시켜서 제조함)과 반응시킨 후, HMDI(4, 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서 폴리아미드:폴리우레탄 중량비가 약 1:2인 폴리아미드로 개질된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였다. 폴리아미드로 개질된 폴리우레탄을 수성 코팅액으로 제조하고, 여기에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주석 입자들을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분산시켜서 저항층 형성용 수성 코팅액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코팅액을 표면 저항층을 제조하는데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충전 로울러를 제조하였다. 평가 결과, 충전 로울러는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4000 시이트의 연속 화상을 형성한 후에도, 충전 로울러는 표면 외관에 균열과 같은 어떠한 변화도 없었고, 초기 단계와 동일한 충전 성능을 가졌다.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하게 코팅액을 사용하여 별도의 막을 형성한 결과, 얻어진 막 샘플은 인장 강도가 160kg.f/㎠이었다. 또한, 가소화 폴리아미드를 사용하는 것을 생략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유사하게 하여 형성된 막은 인장 강도가 310kg.f/㎠이었다.

Claims (18)

  1. 경질 중합체 및 이 경질 중합체에 결합되어 경질 중합체를 가소화시키기 위한 가소화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표면층을 갖는 충전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 중합체는 선형 중합체인 것인 충전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가소화 중합체 및 경질 중합체를 1:2 내지 10: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충전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중합체는 폴리우레탄 기재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 중합체는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중합체는 폴리우레탄 기재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고, 가소화 중합체는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충전 부재.
  7. 제1항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전기전도성 탄성층을 통해 전기전도성 기판 위에 배치되는 것은 충전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성 탄성층은 가공성인 것인 충전 부재.
  9. 감광 부재와, 경질 중합체 및 이 경질 중합체에 결합되어 경질 중합체를 가소화시키기 위한 가소화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충전 부재, 현상수단 및 세정 수단 중의 1종 이상이 카트리지내에 집적되어 이루어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 중합체는 선형 중합체인 것인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가소화 중합체 및 경질 중합체를 1:2 내지 10: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중합체는 폴리우레탄 기재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 중합체는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감광 부재, 감광 부재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 부재, 잠상 형성 수단,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 및 현상된 화상을 전사 수용 재료 위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부재는 경질 중합체 및 이 경질 중합체에 결합되어 경질 중합체를 가소화시키기 위한 가소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전자 사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 중합체는 선형 중합체인 것인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가소화 중합체 및 경질 중합체를 1:2 내지 10: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경질 중합체는 폴리우레탄 기재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 중합체는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KR1019950013806A 1994-05-30 1995-05-30 충전 부재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0146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672294 1994-05-30
JP94-116722 1994-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703A KR950033703A (ko) 1995-12-26
KR0146749B1 true KR0146749B1 (ko) 1998-12-01

Family

ID=1469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806A KR0146749B1 (ko) 1994-05-30 1995-05-30 충전 부재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51801A (ko)
EP (1) EP0685772B1 (ko)
KR (1) KR0146749B1 (ko)
CN (1) CN1089455C (ko)
DE (1) DE69511006T2 (ko)
SG (1) SG49551A1 (ko)
TW (1) TW3042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2466B2 (ja) * 1996-08-02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帯電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装置
US6011090A (en) * 1996-12-13 2000-01-0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conductive roller prepared by molding the composition and electronic photographic cartridge
JP3378162B2 (ja) * 1997-01-21 2003-02-1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誘電体シートの製造方法
US6078773A (en) * 1997-02-14 2000-06-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US6078778A (en) * 1997-09-05 2000-06-20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ifying member compris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elastomer, and electrophotograph apparatus using said electrifying member
JPH11218998A (ja) * 1998-02-02 1999-08-10 Oki Data Corp 帯電ローラ
US6243552B1 (en) * 1998-07-29 2001-06-05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0075595A (ja) * 1998-08-26 2000-03-14 Fuji Xerox Co Ltd 帯電部材および帯電装置
JP2000346048A (ja) * 1999-06-09 2000-12-12 Shin Etsu Polymer Co Ltd 半導電性シリコーンゴムロール
US7162180B1 (en) * 1999-09-03 2007-01-09 Bridgestone Corporation Elastic roller
US7035572B2 (en) * 2003-10-31 2006-04-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ard imaging device charging systems, electrophotography charging systems, hard imaging apparatuses, and hard imaging device electrophotography charging methods
US7835668B2 (en) * 2004-11-24 2010-11-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methods, imaging member charging methods, and image engines
US7664434B2 (en) * 2004-12-28 2010-02-16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S7801461B2 (en) * 2006-07-18 2010-09-21 Fuji Xerox Co., Ltd. Charging member cleaning roller, charging member cleaning roller for charg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684732B2 (en) * 2006-12-22 2010-03-23 Ricoh Company, Ltd.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3380403B (zh) * 2011-02-15 2015-06-10 佳能株式会社 充电构件、其生产方法、处理盒和电子照相设备
US8750763B2 (en) 2011-12-30 2014-06-10 Lexmark International, Inc. Charge roll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hard filler particles
JP6168693B2 (ja) * 2013-08-07 2017-07-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導電性ゴム組成物および転写ロー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9573A (en) * 1974-04-26 1976-05-25 Xerox Corporation Biasable member and method for making
EP0264702B1 (de) * 1986-10-07 1995-08-02 Willi Möller AG Kunststoff, der einen Tetracarbonsäuretetraester-Weichmacher enthält
JP2614317B2 (ja) * 1989-06-20 1997-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575209B2 (ja) * 1989-07-05 1997-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用帯電部材および電子写真装置
US5270768A (en) * 1991-04-24 1993-12-14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member containing reduced titanium oxide and device using same
JPH05333668A (ja) * 1992-05-29 1993-12-17 Canon Inc 接触帯電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656888B2 (ja) * 1992-06-04 1997-09-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複写装置に用いる導電性ゴム材料
EP0578071B1 (en) * 1992-06-26 1998-09-02 Canon Kabushiki Kaisha Contact charging member and apparatus using the charging member
EP0620506A3 (en) * 1993-04-16 1995-03-15 Bando Chemical Ind Charging part and charging device 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1006D1 (de) 1999-09-02
KR950033703A (ko) 1995-12-26
EP0685772B1 (en) 1999-07-28
TW304236B (ko) 1997-05-01
US5751801A (en) 1998-05-12
SG49551A1 (en) 1998-06-15
CN1118891A (zh) 1996-03-20
CN1089455C (zh) 2002-08-21
DE69511006T2 (de) 1999-12-23
EP0685772A1 (en) 1995-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6749B1 (ko) 충전 부재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
US5363176A (en) Contact charging member and apparatus using the charging member
US5270768A (en) Charging member containing reduced titanium oxide and device using same
JP4745793B2 (ja) 弾性ローラ、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258833A (ja) 転写フィルム部品
US5713067A (en) Charging member, process cartridge using the sam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S5819142A (en) Charging member and image-forming unit having the same
JP3379280B2 (ja) 半導電性ロール
US6001454A (en) Charg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3049687B2 (ja) 帯電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069352B2 (ja) 導電部材及び電子写真装置
JP3536669B2 (ja) トナー担持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3912847B2 (ja) 帯電部材およ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3446284B2 (ja) 電子写真装置用導電部材
JP2000206779A (ja) トナ―担持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3451738B2 (ja) 帯電部材及び帯電装置
JP3870466B2 (ja) 半導電性ロール
JP2003084546A (ja) 帯電部材及び帯電装置
JP3347396B2 (ja) 接触帯電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装置
JP4194533B2 (ja) 現像ローラ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0206778A (ja) トナ―担持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328354A (ja) 帯電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1069165A (ja) 現像ローラ及び現像装置
JP2001242696A (ja) 現像剤担持体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1051498A (ja) 現像剤層形成部材及び該現像剤層形成部材を用いた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