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883B1 - 공통채널용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 Google Patents

공통채널용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883B1
KR0145883B1 KR1019950026430A KR19950026430A KR0145883B1 KR 0145883 B1 KR0145883 B1 KR 0145883B1 KR 1019950026430 A KR1019950026430 A KR 1019950026430A KR 19950026430 A KR19950026430 A KR 19950026430A KR 0145883 B1 KR0145883 B1 KR 014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power
level
switching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807A (ko
Inventor
전성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6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883B1/ko
Priority to RU96110690A priority patent/RU2121220C1/ru
Priority to CN96107918A priority patent/CN1083174C/zh
Priority to US08/688,371 priority patent/US5818305A/en
Publication of KR970013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7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several loops, e.g. for redundant clock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2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 H03J5/24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ed exclusively for band selection
    • H03J5/24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ed exclusively for band selection using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1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864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the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a dielectric reson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공통채널용 디지털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있어서 국부발진기주파수동기회로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중 한쪽의 기준오실레이터의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수직편파용, 수평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를 동시에 동기시키고, 동작중인 기준오실레이터가 고장날 경우 반대쪽 오실레이터로 자동 절체되도록 하는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를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전원을 기준오실레이터에 공급하는 수직편파용 및 수평편파용 바이어스 스위치를 한쪽만 온되게 스위칭하여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중 한쪽의 기준오실레이터만 동작시키고, 그 출력신호를 전력분배하여 수직편파용, 수평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에 동시에 인가한다. 만약 한쪽의 오실레이터가 고장나면 이를 체크하여 다른쪽의 기준오실레이터가 동작하도록 다른쪽 바이어스 스위치를 온되게 동작시킨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공통채널용 디지털 마이크로파 시스템

Description

공통채널용 디지털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제1도는 종래의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이 따른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의 구체 회로도
본 발명은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통채널(Co-Channel)용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에서의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에서는 채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대다수가 공통채널(Co-Channel)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한 채널의 주파수를 수직편파(Vertical polarization wave: 이하 “V”라 칭함)모도 및 수평편파(Horizontal polarization wave: 이하 “H”라 칭함)모드로 분리하여 각각에 데이타를 실어주고 반대편에서는 이와는 반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있게 해준다.
공통채널(Co-Channel)로 동작하는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용 마이크로파 시스템에서 송신시, 기저대역신호는 시스템에서 채택한 변조방식에 의해 중간주파신호로 변조된다. 그후 V 및 H 모드에 각각 우수한 주파수 안정도와 위상잡음 특성을 갖는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Phase Locked Dielectric Resonator Oscillator: 이하 “PLDRO”라고 칭함)를 국부발진기로 사용하여 주파수변환기에서 주파수를 상승시킨다. 주파수상승된 V 및 H 신호는 전력증폭된 후 OMT(Orthomode Transducer)에서 하나로 묶여 송신된다.
마이크파 시스템에서 수신 시에는, 복조된 신호에서 에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V 및 H 모드 각각에 대해 송신부 국부발진기의 주파수와 동일하게 주파수를 동기시켜 주어야 한다.
상기 송신부 국부발진기로 사용되는 PLDRO는 외부의 고정밀도 기준오실레이터에 위상이 고정되는 외부형(External Type)이며, 따라서 V 및 H 모드 각각의 PLDRO로 입력되는 외부 기준오실레이터신호를 동기시켜 주면상기 PLDRO의 출력주파수를 동기시킬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의 블럭도이다. 2와 12는 V용 및 H용 PLDRO로서 국부발진기이다.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의 부분은 10과 20으로서, 상기 V용 및 H용 PLDRO(2,12)의 위상을 고정시키기 위한 각각의 기준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라인 22와 24를 통하여 서로간의 기준신호를 동기시킨다.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10,20)의 구성을 함께 설명하면, 4와 14는 각각 조절전압에 따라 출력되는 기준신호의 주파수가 가변되는 V용 및 H용 기준오실레이터이다. 그리고 6과 16은 V용 및 H용 위상비교기이며, 8과 18은 V용 및 H용 루프필터이다.
V용 기준오실레이터(4)에서 출력된 기준신호는 V용 위상비교기(6)에서 H용 기준오실레이터(14)에서 출력된 기준신호와 위상 비교된 후 V용 루프필터(8)를 통하여 V용 기준오실레이터(4)의 조절전압을 조정한다. 그에따라 V용 기준오실레이터(4)는 H용 기준오실레이터(14)에 주파수를 동기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주파수 동기시키는 방법은 동기회로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V, H중 어느 한쪽의 기준오실레이터가 고장날 경우에는 시스템이 오동작할 가능성이 무척 높았다. 그리고 한쪽의 기준오실레이터가 고장날 경우 다른 쪽 기준오실레이터로의 절체(제1도에서 점선(24)을 연결시키는 것임)를 수동으로 조작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에서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를 신뢰성 있게 동작하는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중 한쪽의 기준오실레이터의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수직편파용, 수평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를 동시에 동기시키는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편파용 및 수평편파용 기준오실레이터간의 상호간의 주파수 동기를 제거하는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작중인 기준오실레이터가 고장날 경우 반대쪽 오실레이터로 자동 절체되도록 하는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동일한 부품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든지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블럭도이다. 제2도에서, 모듈1(100)은 V용 PLDRO(2)에 기준신호 RF를 제공하기 위한 V용 송신부 국부발진주파수 동기회로이고, 모듈2(200)는 H용PLDRO(12)에 기준신호 RF를 제공하기 위한 H용 송신부 국부발진주파수 동기회로이다. 상기 모듈1(100)과 모듈2(200)에 동일한 명칭으로 부여된 구성요소들은 서로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수행한다. 제3도에서는 제2도의 모듈들 중 모듈1(100)의 구체 회로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은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중 한쪽의 기준오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기준신호를 V용 및 H용 PLDRO(2, 12)에 동시에 인가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모듈1(100)의 기준오실레이터(104)가 동작하여 기준신호를 출력하면 이 기준신호는 모듈1(100)의 결합기(116)와 모듈2(200)의 결합기(216)에 동일한 전력값으로 인가되고 결국은 V용 및 H용 PLDRO(2,12)에 함께 인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특징은 동작중인 기준오실레이터가 고장날 경우 반대쪽 오실레이터로의 절체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모듈1(100)의 기준오실레이터(104)가 고장이 나서 동작하지 않으면 모듈1(100)의 제1분배기(106), 제2분배기(108), 레벨검출기(110), DC증폭기(112) 및 비교기(114)를 통하여 반대편 모듈 즉 모듈2(200)의 바이어스 스위치(202)를 스위칭 온시킨다. 그러면 전원 Vcc는 상기 바이어스 스위치(202)를 통하여 모듈2(200)의 기준오실레이터(204)에 인가되고, 기준오실레이터(204)는 기준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제2도 및 제3도를 함께 참조하면, 참조번호 102,202는 기준오실레이터(104,204)에 인가되는 전원 Vcc를 온오프하는 바이어스 스위치로서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된다. 상기 바이어스 스위치(102,202)는 기준오실레이터(104,204)의 정상동작 여부에 따라 서로 반대쪽 모듈의 기준오실레이터(204)에 인가되는 전원 Vcc를 상보적으로 스위칭한다. 만약 모듈1(100)의 바이어스 스위치(102)가 스위칭 온되면 기준오실레이터(104)가 정상동작하여 기준신호 RF를 발생하고, 그에 따라 제1분배기(106), 제2분배기(108), 레벨검출기(108), DC증폭기(112) 및 비교기(114)를 통하여 모듈2(200)의 바이어스 스위치(202)를 스위칭 오프한다. 그 반대로 모듈1(100)의 바이어스 스위치(102)가 스위칭 오프되면 기준오실레이터(104)는 동작하지 않아 기준신호 RF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모듈2(200)의 바이어스 스위치(202)는 스위칭 온된다. 상기 바이어스 스위치(102,202)는 초기전원 인가시 한쪽 모듈이 먼저 동작되도록 우선순위 결정회로(제3도의 103)를 포함하고 있다. 참조번호 104,204는 기준오실레이터로서 바이어스 스위치(102,202)를 통하여 전원 Vcc가 인가되면 V용 및 H용 PLDRO(2,12)의 국부발진주파수 동기를 위해 사용되는 기준신호 RF를 발생시킨다.
참조번호 106,206은 제1분배기이다. 상기 제1분배기(106,206)는 기준오실레이터(104,204)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신호 RF의 전력을 결합기(116)와 제2분배기 (108)쪽으로 나누어준다. 상기 제1분배기(106,206)는 언 밸런스 타입 윌킨슨 분배기(Unbalance Type Wilkinson Divider)로서 결합기(116,216)쪽으로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과 제2분배기(108,208)쪽으로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을 2:3으로 나누어 준다. 참조번호 108,208은 제2분배기이다. 상기 제2분배기(108,208)도 역시 언밸런스 타입 윌킨슨 분배기로서 제1분배기(106,206)로부터의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을 레벨검출기(110,210)와 반대편 모듈의 결합기(216,116)로 각각 나누어준다.
이때 레벨검출기(110,210)쪽으로 분배되는 신호와 반대편 모듈의 결합기(216,116)로 분배되는 신호의 전력비는 2:3이다. 따라서 상기 제1분배기(106,206)를 통하여 분배되어 결합기(116,216)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과 상기 제1분배기(106,206)와 제2분배기(108,208)를 통하여 반대편의 결합기(216,116)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은 같게 된다. 참조번호116,216은 윌킨슨 결합기(Wilkinson Combiner)이다. 결합기(116,216)는 제1분배기(106,206)나 반대편 모듈에 있는 제2분배기(208,108)의 신호에 대한 입력 아이솔레이션(Isolation)특성을 가진다. 결합기(116,216)의 출력은 증폭기(116,216)에서 적절한 레벨로 증폭되어 PLDRO(2,12)에 기준신호 RF로 인가된다.
참조번호 110,210은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로 구성된 레벨 검출기이다. 상기 레벨검출기(110,210)는 제2분배기(108,20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DC전압으로 변환하여 DC증폭기(112,212)로 출력한다. 참조번호 112,212는 오피앰프(Op-Amp)로 구성된 DC증폭기이다. 상기 DC증폭기(112,212)는 레벨검출기(110,210)로부터의 출력되는 DC전압을 적절한 레벨로 증폭시킨 후 비교기(114,214)로 출력한다. 참조번호 114,214는 오피앰프(Op-Amp)구성된 비교기이다. 상기 비교기(114,214)는 DC증폭기(112,212)에서 증폭된 신호를 각각의 기준전압 Vref1, Vref2와 비교하여 논리 “H”또는 “L”를 출력한다. DC증폭기(112,212)의 출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Vref1, Vref2보다 크면 논리“ L”를 출력하고, DC증폭기(112, 212)의 출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 Vref1, Vref2보다 적으면 논리“H”를 출력한다. 상기 논리 “H”는 반대쪽 모듈의 바이어스 스위치(102,202)를 온시키고, 논리 “L”는 반대쪽 모듈의 바이어스 스위치(102,202)를 오프시킨다.
이하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동작은 모듈1(100)의 기준오실레이터(104)가 동작하고 있음을 가정하여 설명되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모듈2(200)의 기준오실레이터(204)는 동작하고 있지 않다.
지금 전원 Vcc가 인가되면 모듈1(100)의 바이어스 스위치(102)를 통하여 기준오실레이터(104)에인가된다. 따라서 전원 Vcc를 인가받은 기준오실레이터(104)는 동작하여 기준신호를 발생한다. 발생된 기준신호는 수동소자 R10, L4, L5, C5∼C7로 구성된 제1분배기(106)에서 신호의 전력이 각각 분배된다. 이때 결합기(116)와 제2분배기(108)로 전력분배되는 비율은 2:3이다. 상기 제1분배기(106)에서 분배된 한쪽신호는 수동소자 R12,L8,L9,C12∼14로 구성된 결합기(116)를 통하여 출력되며 증폭기(118)에서 증폭된 후 V용 PLDRO(2)로 인가된다. 그리고 제1분배기(106)에서 분배된 다른 한쪽 신호는 수동소자 R11,L6,L7,C8∼10으로 구성된 제2분배기(18)를 통하여 다시 두 신호로 나누어진다.
두신호 중 한쪽 신호는 모듈 1(100)의 REF0컨넥터(connector)와 RF케이블을 통하여 모듈2(200)의 REF1컨넥터(connector)에 연결되고 그후 모듈2(200)의 결합기(216)로 인가된다. 상기 모듈2(200)의 결합(216)에 인가된 신호는 증폭기(218)에서 증폭된 후 H용 PLDRO(12)로 인가된다. 두 신호중 다른 한쪽 신호는 레벨검출기(110)에 인가된다. 이때 나누어진 두신호 중 다른 모듈 즉 모듈2(200)의 결합기(216)에 인가되는 신호와 모듈1(100)의 레벨검출기(110)에 인가되는 전력분배 비율은 3:2이다.
이때 모듈1(100)의 제1분배기(106)를 통하여 제1모듈(100)의 결합기(116)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과 모듈1(100)의 제1분배기(106) 및 제2분배기(108)를 통하여 제2모듈(200)의 결합기(216)로 인가되는 신호의 전력은 상기 제1, 제2분배기(106, 108)의 상기 언급한 전력비율과 같이 언밸런스로 분배됨으로 인해 결국은 같은 값이 된다. 따라서 V용 및 H용 PLDRO(2)에 인가되는 기준신호 RF는 동일한 값이 된다.
한편, 모듈1(100)의 제2분배기(108)에서 분재된 다른 한쪽신호는 모듈1(100)의 레벨검출기(110)에 인가된다. 레벨검출기(110)는 인가된 신호를 쇼트키 다이오드(D2)에 의하여 일정한 DC전압으로 변환하여 DC증폭기(112)에 출력한다. DC증폭기(112)는 2단의 OP-앰프(U3A, U3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OP-앰프(U3A, U3B)에서 2번 증폭된 DC전압은 비교기(114)에 인가되어 비교기(114)의 기준전압 Vref1과 비교된다. 상기 비교기 (114)의 출력은 모듈1(100)의 기준오실레이터(104)의 기준신호가 상기 기준전압 Vref1 이상일 때에는 논리 “L”가 되고, 상기 기준전압 Vref2 미만일때에는 논리 “H”가 된다. 모듈2(200)의 바이어스 스위치(202)는 상기 논리 “H”일 때 턴온되고, 논리 “L”일때 턴오프된다. 즉, 모듈2(200)의 바이어스 스위치(202)는 모듈1(100)의 기준오실레이터(104)가 동작할 때에는 오프되고, 동작하지 않을 때(고장이 났을 때)에는 온된다. 따라서 모듈2(200)의 바이어스 스위치(202)가 스위칭 온되면 모듈2(200)의 기준 오실레이터(204)가 동작된다. 그러므로 모듈1(100)의 기준오실레이터(104)가 고장이 나면 모듈2(200)의 기준오실레이터(204)가 동작되게 자동으로 절체된다.
따라서 제2도 및 제3도에서 레벨검출기(110, 210), DC증폭기(112, 212) 및 비교기(114, 214)는 반대편 모듈의 바이어스 스위치(202, 102)를 온/오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수단이 된다.
제3도를 참조하면 바이어스 스위치(102) 내에는 우선순위 결정회로(103)가 포함되어 있다. 우선순위 결정회로(103)는 R1, C18, SW1로 구성되어 있다. 만약 사용자가 모듈1(100)의 스위치 SW1을 온하고 모듈2(200)의 스위치 SW1을 오프하고 초기 전원 Vcc를 모듈1(100)과 모듈2(200)에 동시에 공급하였을 경우, 모듈2(200)가 모듈1(100)에 우선하여 동작하게 된다. 즉, 모듈1(100)의 우선순위 결정회로(103)의 R1, C18의 시상수에 의하여 전원 Vcc의 제1모듈(100)내 바이어스 스위치(102)의 트랜지스터 Q2를 턴-온시키는데에는 시간지연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 전원 Vcc가 동시에 인가되는 모듈2(200)에는 시간 지연이 없으므로 제2모듈(200)의 기준오실레이터(204)가 우선적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우선순위 결정회로(103)는 초기 전원 인가시 어느쪽 모듈의 기준오실레이터를 우선적으로,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것인지를 결정하여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편파 및 수평편파 중 한쪽의 기준오실레이터의 출력신호를 처리하여 수직편파용, 수평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를 동시에 동기시키고, 공작중인 기준오실레이터가 고장날 경우에는 반대쪽 오실레이터로 자동 절체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공통채널용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의 수직편하용 및 수평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의 국부발진기주파수를 동기시키는 회로에 있어서, 제1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하는 제1 바이어스스위칭수단과, 제2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하는 제2바이어스스위칭수단과, 상기 제1전원공급에 의해 상기 국부발진주파수 동기를 위한 제1기준신호를 발생하는 제1기준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제2전원공급에 의해 상기 국부발진주파수 동기를 위한 제2기준신호를 발생하는 제2기준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제1기준신호의 전력을 제1, 제2분배하여 출력하는 제1분배수단과, 상기 제2기준신호의 전력을 제1, 제2분배하여 출력하는 제2분배수단과, 상기 제1분배된 제1기준신호와 제2분배된 제2기준신호의 전력을 결합하여 상기 수직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로 출력하는 제1결합수단과, 상기 제1분배된 제2기준신호와 제2분배된 제1기준신호의 전력을 결합하여 상기 수직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로 출력하는 제2결합수단과, 상기 제1분배수단에서 제2분배된 제1기준신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제2전원이 차단되게 상기 제2바이어스스위칭수단을 스위칭시키는 제1스위칭제어수단과, 상기 제2분배수단에서 제2분배된 제2기준신호의 발생에 응답하여 상기 제1전원이 차단되게 상기 제1바이어스스위칭수단을 스위칭시키는 제2스위칭제어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바이어스 스위칭수단은 초기전원이 인가시 한쪽이 먼저 작동하기 위해 지연소자와 스위치로 구성된 우선순위 결정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제어수단은, 상기 제1분배수단에서 제2분배된 제1기준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제1기준신호의 레벨을 미리 정해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2바이어스스위칭수단을 온오프 제어하는 비교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상기 레벨이 상기 기준전압보자 낮을 시 상기 제2 바이어스스위칭수단을 온 제어하고, 상기 레벨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높을시 상기 제2 바이어스스위칭수단을 오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검출수단과 상기 비교수단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기준신호의 레벨을 소정 증폭하는 증폭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국부 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제어수단은, 상기 제1분재수단에 제2분배된 제2기준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제2기준신호의 레벨을 미리 정해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1바이어스스위칭수단을 온오프 제어하는 비교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상기 레벨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을시 상기 제1 바이어스스위칭수단을 온 제어하고, 상기 레벨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높을시 상기 제1 바이어스스위칭수단을 오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검출수단과 상기 비교수단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기준신호의 레벨을 소정 증폭하는 증폭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국부 발진주파수 동기회로.
  9. 공통채널용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의 수직편파용 및 수평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의 국부발전기주파수를 동기시키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국부발진주파수를 동기시키기 위한 기준신호를 발생하는 기준신호발생수단과, 상기 기준신호의 전력을 동일하게 제1, 제2 분배하여 상기 제1분배된 기준신호를 상기 수직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로 인가하고 상기 제2분배된 기준신호를 상기 수직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로 인가하는 분배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10. 공통채널용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에서 수직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의 국부발진기주파수를 동기제어하는 제1 발진주파수동기 제어수단과, 수평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의 국부발진기주파수를 동기제어하는 제2 발진주파수 동기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진주파수 동기제어수단이; 제1전원의 공급을 상기 제2 발진주파수 동기제어수단의 소정 스위칭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칭하는 제1 바이어스스위칭수단과, 상기 제1전원공급에 의해 상기 국부발진주파수 동기를 위한 제1기준신호를 발생하는 제1기준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제1기준신호의 전력을 제1, 제2 분배하여 출력하는 제1분배수단과, 상기 제1분배된 제1기준신호와 상기 제2 발진주파수 동기제어수단에서 제공하는 제2분배된 제2기준신호의 전력을 결합하여 상기 수직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로 출력하는 제1결합수단과, 상기 제1분배수단에서 제2분배된 제1기준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레벨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2 발진주파수동기제어수단에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위칭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발진주파수 동기제어수단이; 제2전원의 공급을 상기 제1 발진주파수 동기제어수단의 상기 스위칭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스위칭하는 제2 바이어스스위칭수단과, 상기 제2전원공급에 의해 상기 국부발진주파수 동기를 위한 제2기준신호를 발생하는 제2기준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제2기준신호의 전력을 제1, 제2 분배하여 출력하는 제2분배수단과, 상기 제1분배된 제2기준신호와 상기 제1 발진주파수 동기제어수단에서 제공하는 제2분배된 제1기준신호의 전력을 결합하여 상기 수직편파용 위상고정유전체 공진발진기로 출력하는 제2결합수단과, 상기 제2분배수단에서 제2분배된 제2기준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레벨을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1 발진주파수 동기제어수단에 상기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위칭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제2 스위칭제어수단은 상기 레벨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을시 상기 제1, 제2 바이어스스위칭수단이 온되게 제어하고, 상기 레벨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높을시 상기 제1, 제2 바이어스스위칭수단을 오프되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동기회로.
KR1019950026430A 1995-08-24 1995-08-24 공통채널용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KR014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430A KR0145883B1 (ko) 1995-08-24 1995-08-24 공통채널용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RU96110690A RU2121220C1 (ru) 1995-08-24 1996-05-29 Схема дл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частоты параметрона ди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езонатора (варианты)
CN96107918A CN1083174C (zh) 1995-08-24 1996-05-30 在同波道应用的数字微波系统中用于同步发射机本地振荡器频率的电路
US08/688,371 US5818305A (en) 1995-08-24 1996-07-30 Automatic substitution of a reference oscillator for synchronizing two transmitter co-channel local oscilla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430A KR0145883B1 (ko) 1995-08-24 1995-08-24 공통채널용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07A KR970013807A (ko) 1997-03-29
KR0145883B1 true KR0145883B1 (ko) 1998-08-17

Family

ID=1942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430A KR0145883B1 (ko) 1995-08-24 1995-08-24 공통채널용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18305A (ko)
KR (1) KR0145883B1 (ko)
CN (1) CN1083174C (ko)
RU (1) RU2121220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476B1 (ko) * 1997-03-20 1999-07-01 윤종용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시스템에서 송신용 국부발진주파수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회로
US7139530B2 (en) * 2001-12-07 2006-11-21 Kyocera Wireles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reference oscillator
US6714089B2 (en) * 2002-05-29 2004-03-30 Xytrans, Inc. High frequency signal source and method of generating same using dielectric resonator oscillator (DRO) circuit
US7502587B2 (en) * 2004-05-28 2009-03-10 Echostar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band translation
US8132214B2 (en) 2008-04-03 2012-03-06 Echostar Technologies L.L.C. Low noise block converter feedhorn
CN106301362B (zh) * 2016-08-01 2019-04-23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多源信号发生装置及微波炉
CN106444961B (zh) * 2016-09-12 2019-03-12 深圳市鼎阳科技有限公司 一种双通道信号发生器输出波形同步方法
FR3086132B1 (fr) * 2018-09-19 2020-10-0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synthese de frequence a rang de multiplication elev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4492A (en) * 1979-04-02 1981-03-03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Redundant clock system utilizing nonsynchronous oscillators
US4419629A (en) * 1980-06-25 1983-12-06 Sperry Corporation Automatic synchronous switch for a plurality of asynchronous oscill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18305A (en) 1998-10-06
CN1083174C (zh) 2002-04-17
CN1148755A (zh) 1997-04-30
RU2121220C1 (ru) 1998-10-27
KR970013807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1397A (en) Solid state amplifier for microwave transmitter
US5491839A (en) System for short range transmission of a plurality of signals simultaneously over the air using high frequency carriers
KR0145883B1 (ko) 공통채널용 디지탈 마이크로파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부 국부발진기주파수 동기회로
US5740521A (en) Method and circuit for creating frequencies for a radio telephone
US7057430B2 (en) Clock shaping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ing the same
KR100206476B1 (ko) 디지털 마이크로웨이브 시스템에서 송신용 국부발진주파수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회로
GB2279519A (en) Transmitter/receiver
US4032858A (e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system
JP3007054B2 (ja) 線形電力増幅器を使用するシステムにおける各チャネル別の出力電力測定及び高周波出力安定化回路
JPH0983396A (ja) 受信機
US3754188A (en) Redundant fm transmitting system
US7215210B2 (en) Clock signal outputting method, clock shaper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clock shaper
KR100396648B1 (ko) 전송클럭 절체회로
US2023022484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732541B2 (ja) 信号発振装置
KR0117477Y1 (ko) 무선호출기
JPH09116425A (ja) クロック供給回路
KR100254514B1 (ko) 위상동기루프의 차지펌프 회로
JP2003298417A (ja) 送受信用2系統pll回路
KR200259437Y1 (ko) Catv 컨버터의 모뎀
KR100496385B1 (ko)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이용한 이중화 위상보상클럭발생장치
KR970002956B1 (ko) 다채널 송수신용 모뎀
KR19980037327A (ko) 이중화된 타이밍 동기시스템의 타이밍 공급회로
KR890002595B1 (ko) 방송신호 동조신호
US6329862B1 (en) Reference frequency signal switching circuit capable of adjusting level of external reference frequency signal and outputting resultant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