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507B1 - 합성수지제 내압마개체의 형성방법 및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내압마개체의 형성방법 및 냉각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507B1
KR0145507B1 KR1019940700909A KR19940700909A KR0145507B1 KR 0145507 B1 KR0145507 B1 KR 0145507B1 KR 1019940700909 A KR1019940700909 A KR 1019940700909A KR 19940700909 A KR19940700909 A KR 19940700909A KR 0145507 B1 KR0145507 B1 KR 014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
stopper
plug
jig
seco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오 이이즈카
마모루 오시다
마코토 다카다
Original Assignee
요시노 야타로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노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노 야타로,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노고교쇼 filed Critical 요시노 야타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2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18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several blow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72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in several 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6Cooling by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blown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58Cooling us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824Cooling the article outside the mould

Abstract

블로우 타임을 이들까지의 4 ∼ 5초로부터 3초이내로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크레징이나 바닥터짐이 발생하지 않는 내압마개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빅풋형상 페타로이드형 바닥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마개체(1)의 형성시에 상기 마개체(1)를 3초이내의 블로우 타임으로 블로우 성형하고, 이형후, 바로 마개체 바닥부(3)을 이 바닥부(3)의 중앙부(6)의 온도가 70도 이하로 될때까지 강제 냉각하고, 더욱, 블로우 금형에 의한 바닥부(3)의 냉각부족을 보상하여, 바닥부 중앙부(6)의 부정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바닥부 중앙부(6)의 높이(H)를 충분한 값으로서, 내압강도 및 기계적 강도에 우수한 바닥부(3)을 성형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합성수지제 내압마개체의 형성방법 및 냉각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합성수지,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수지 (이하 간단히 PET라 기재)제 내압 마개체의 형성방법 및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최근 1.5 리터등의 2 측연신 블로우형성된 대형의 PET제 내압 마개체에 있어서, 종래의 환형 바닥체와, 그 바닥부에 끼워 부착된 베이스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대신하여 자립 기능을 가지는 마개체만으로 구성되는 소위 빅풋 (big foot)형상의 페다로이드형 바닥부를 가지는 마개체가 사용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
이 자립기능을 가지는 마개체와 종래의 환형 바닥부가 다르며, 자립가능하고, 내압에 견디어 낼 수 있도록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으나, 베이스컵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베이스컵과, 이 조립시킨 것과 비교하여 생산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사용후에 있어서의 폐기물 문제에도 공헌한다고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 종류의 내압체에서 예를들면 1.5 리터 마개체의 바닥부의 훈육부 분포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닥부 (3) 하면의 직경이 약 40 Ø 범위내의 중앙부 (6)와, 훈육부 분포곡선 (a)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닥부 (3)의 다리 (4) 및 곡부(5)의 훈육부에 비하여 그 훈육부가 크고 구체적으로는 2 ㎜이상의 훈육부에 설정되어 있다. 이 바닥부 (3)의 중앙부(6)의 커다란 훈육부는 불필요한 훈육부이고, 이들 이상 얇게 설정하면 기계적의 강도부족으로 되어 내용액 충진후의 고온 고압에 의하여 터짐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이와같이 이 종류의 마개체 (1)의 바닥부 (3)의 중앙부 (6)는 비교적 커다란 훈육부를 필요로 하는 것이지만, 훈육부 마개체 (1)의 축연신 블로우 형성시에 마개체 (1)의 두께가 얇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블로우 금형에 의한 소정온도 (일반적으로는 성형 수지재료의 유리전위점 온도)까지의 냉각온도가 늦고, 이 때문에 블로우 타임이 짧으면 냉각부족으로 되어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이형(형분리)후에 중앙부 (6)가 바깥으로 만곡돌출형상으로 변형하기 쉽게 된다.
그러므로 이 바닥부 중앙부 (6)의 변형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는 블로우 금형에 의하여 중앙부 (8)를 소정온도 까지 냉각하도록 블로우 타임을 4.0 초 이상 설정하고 있었다.
제5도의 온도 특성곡선 (b)은 블로우 타임과 바닥부 중앙부 (6)의 온도와의 개시를 나타내는 것으로 블로우 금형으로부터 이형후 7 초 경과 후에 측정한 측정결과이다. 이 온도 특성곡선 (b)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바닥부 중앙부과(6)에 냉각부족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은 온도(유리 전위점 Tg) 이하로 하기 때문에 4.0초 이상의 블로우 타임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형 후에 있어서의 바닥부(3)의 다리(4) 하단으로 부터 중앙부(6)하면 중심까지의 높이(H)(제8도 참조)의 블로우 타임별의 변화 특성도를 제6도에 나타낸다.
이 제6도에 있어서 특성곡선(c1)은 블로우 타임이 1초의 특성을, 특성곡선(c2)은 블로우 타임이 2초의 특성을 특성곡선, (c3)은 블로우 타임 3초의 특성을, 특성곡선(c4)은 블로우 타임 4초의 특성을, 특성곡선(c5)은 블로우 타임 5초의 특성을,그리고 특성곡선(c6)은 블로우 타임 7초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높이 (H)는 이들까지의 경험상 4.0mm 이상으로 유지하면 변형에 의한 크레징(분열)이나 터짐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것으로 부터도 블로우 타임은 4초 이상을 필요로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로 부터의 4초 이상의 블로우 타임에서는 마개체의 높은 생산성의 향상이라는 요망을 충분하게 만족할 수가 없고, 마개체의 생산성에 강한 불만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불만을 해소하는 수단으로서는,블로우 합금의 냉각능력을 높이던가 블로우 금형자체의 훈육부를 얇게 제작하고, 냉각력이 금형의 성형면에 강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등의 수단이 생각되고 있으나, 마개체 바닥부의 중앙부에 대하여 냉각효과가 충분하게는 얻을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설비비가 대폭으로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창안된 것으로 마개체의 블로우 타임을 대폭으로 단축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더욱 마개체의 생산성 향상과 바닥부가 안전한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수단은,
빅풋형상 페타로이드형 바닥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2측 연신 블로우 성형마개체를 성형할 때에 취해지는 수단인 것,
마개체를 2초 정도의 블로우 타임으로 블로우 성형하는 것,
이형후 4초 이내에 상기 마개체의 바닥부를 그 바닥부 중앙부의 온도가 5.5∼7.0초로 약 70도 이하로 되도록 강제 급냉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수단은,
빅풋형상 페타로이드형 바닥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마개체의 성형할 때에 취해지는 수단인 것.
마개체를 1.5∼3.0초 정도의 블로우 타임으로 블로우 성형하는 것.
이형후 15초 내에 상기 마개체의 바닥부를 이형에 의하여, 바닥부에 발생하는 중앙부의 팽창 변형 변위를 최대로 대략 블로우 성형시에 위치까지 늘려 돌리는 교정형 치구에 마개체를 가압한 상태로 억누르면서 상기 중앙부의 온도가 약 70도 이내로 될때까지 강제 냉각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수단은, 빅풋형상 페타로이드형 바닥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마개체 (1)의 성형할 때에 취해지는 수단인 것.
마개체를 1.5∼3.0초 정도의 블로우 타임으로 블로우 형성한 것, 이형후 15초이내에 상기 바닥부를 그 바닥부 중앙부의 높이를 블로우 형성시의 높이보다도 크게 하는 재성형형 치구에 상기 마개체 내를 가압한 상태를 억누르면서 상기 중앙부의 온도가 약 70도 이하로 될때까지 강제 냉각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방법수단을 실시하는 본 발명의 구조수단은, 이형 직후의 빅풋 형성 페타로이드형 바닥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마개체의 상기 마개의 바닥부를 강제적으로 냉각하는 장치인 것, 마개체의 블로우 금형장치의 바닥부 금형의 금형면의 대략 하반부분과 비교하여, 중앙 부분을 도출 높이를 최대로 대략 동등하게 한 것만으로 나머지부를 동등하게한 금형면을 가지며, 그 금형면의 중앙부분에 냉각공기의 돌출부를 개방되게 설치한 교정형 치구를 가지는 것, 그 교정형 치구와의 사이에서 상기 마개체를 끼워 유지함으로써, 상기 교정형 치구의 금형면에 상기 바닥부의 하면을 억누르는 압압 치구를 가지는 것, 상기 마개체 내에 침입하여 상기 바닥부의 상면으로 냉각공기를 불어 넣음과 동시에, 상기 마개체 내를 가압하는 냉각노즐을 가지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구조수단은, 이형직후의 빅풋 형상 페타로이드형 바닥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마개체의 상기 바닥부를 강제적으로 냉각하는 장치인 것, 마개체의 블로우 금형장치의 바닥부 금형의 금형면의 대략 하반부분과 비교하여, 형편 중앙부의 돌출 높이를 크게 한것만으로, 나머지부를 동등하게 한 금형면을 가지며, 그 금형면의 중앙부분에 냉각공기의 분출구를 개방되게 설치한 재성형형 치구를 가지는 것, 그 재성형형 치구와의 사이에서 마개체를 끼워누름으로써, 재성형형 치구의 금형면에 상기 바닥부의 하면을 억누르는 압압치구를 가지는 것, 마개체내에 침입하여, 바닥부의 상면에 냉각공기를 불어 넣음과 동시에, 상기 마개체내를 가압하는 냉각노즐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을 이하 설명한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형후에 있어서의 마개체의 바닥부 중앙부의 낮고 높은 변형특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블로우 타임이 2 초정도이어도 이형후 4 초이내이면 마개체의 바닥부 중앙부의 낮고 높음은, 또 4㎜ 이상의 값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2 초이상의 매우 짧은 블로우 타임에서 블로우를 형성한 마개체를 이형후 4 초이내에 마개체의 바닥부를 강제 급냉하여 냉각경화시킴으로써 바닥부 중앙부의 낮고 높은 변형은, 높이가 4㎜인 상태로 정지한다.
이 마개체의 바닥부의 강제급냉은 바닥부 중앙부의 온도가 5.5∼7.0 초로 70도이하로 되는 정도로 설정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형후 25∼30 초로 표면에 나오는 바닥부 중앙부 내부의 고온 (실측에 의하면 80도 정도) 에 의한 바닥부 앙부의 열에 의한 변형재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바닥부의 냉각경화를 완전한 것으로 한다.
또, 마개체의 블로우타임이 1.5∼3.0 초정도이면 이형후 15초이전에 바닥의 높이는 4 ㎜ 이하로 되고, 이형후 15 초의 시점에 있어서도 높이의 감소변형이 약간되면서 계속하고 있다.
이것은 이형후 15 초의 시점이면 외부로 부터의 성형력에 의하여 바닥부 중앙부를 강제적으로 변형시킬 수가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많은 실험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성형력에 의하여 이형후의 마개체의 바닥부 중앙부를 소망하는 바와같이 변형 시킬 수가 있는 것은 분위기에 의한 냉각의 영향에 의하여 이형후 15 초가 한계인 것을 알았다.
그리하여, 이형후 중앙부를 팽창 변형시키고 있는 마개체의 바닥부를 또 팽창 변형 계속중인 15 초이내 교정형 치구로 누름으로써 바닥부 중앙부는 눌려진 것에 대한 교정형 치구로부터 반발력에 의하여 최대로 대략 블로우 성형시의 위치까지 되돌려 늘려, 즉 최대로 대략 블로우 성형시의 형상으로 교정된다.
이와 같이 이형에 의한 팽창 변형한 바닥 중앙부는 교정형 치구에 의하여 최대 블로우 성형시의 위치까지 늘려 되돌린 상태, 즉 최대로 블로우 형성시의 형상으로 강제 냉각되므로 최대로 블로우 성형시의 형상으로 냉각 경화하는 것이 된다.
또, 마개체 바닥부의 교정형치구에 대한 누름은 마개체 내를 가압한 상태에서 달성됨으로써 마개체의 다른부분 즉 다른부나 곡부에 이 누름에 의한 부정한 찌그러진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가 있다. 또, 마개체 바닥부에 대한 강제냉각 정도는 바닥부 중앙부의 온도를 할 수 있는 만큼 짧은 시간에서 약 70도 이하로 하면 좋고, 이 냉각시간이 일정값 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높이를 크게 함으로써, 마개체 바닥부의 내압 강도를 높게하는 것이지만, 블로우 금형에서 이 높이를 크게하면, 다리부 앞끝단까지의 연신배율이 높게 되고, 마개체의 부형성(賦形性)이 저하하는 외, 보이드가 나오거나 하는 불합리가 발생된다.
그리하여 블로우 금형에 의한 마개체의 블로우 성형을 마개체 바닥부의 높이를 약간 적게 설정함으로써 블로우 금형에 의한 마개체 바닥부의 부형성을 향상시킨 상태에서 달성하고, 이형후 바닥부 중앙부를 교정형 치구 대신에 재성형형 치구에 의하여 높이가 블로우 성형시보다도 약간 커다란 위치로 될때까지 강제 변형시키고, 이 상태에서 바닥부를 강제 냉각하여 냉각 경화시킨다.
이 경우, 매우 복잡한 형태의 바닥부를 양호한 부형성으로 블로우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충분한 높이를 얻을 수가 있으므로 내압강도가 높고, 터짐이 어려운 바닥부를 형성할 수가 있다.
냉각장치에 의한 마개체 바닥부의 냉각처리는 블로우 금형으로부터 이형된 마개체를 바로 이 마개체의 바닥부를 금형면에 끼워넣어 교정형 치구에 조합함과 동시에, 마개체의 입구부에 누름치구를 미리 설정한 일정 압압력으로 누르고, 이 누름에 의하여 교정형 치구에 의한 바닥부 중앙부를 최대로 블로우 성형시의 높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교정 변형한다.
이 압압치구에 의한 억누름을 계속하여 냉각노즐로 부터 냉각공기를 분출시키어 마개체의 바닥부 상면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마개체 내를 가압하고, 동시에 교정형 치구의 금형면 중앙부분으로 열개 설치된 분출구로부터 냉각공기를 분출시키고, 마개체의 바닥부 하면을 냉각하여 바닥부 중앙부를 냉각경화 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바닥부 중앙부의 형상은 대략 블로우 성형시와 같은 것이 된다.
또 교정형 치구 대신에 재성형형 치구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형후의 마개체를 동일한 조작으로 재성형형 치구와 압압치구에 부착하고, 압압치구에 의하여 누르는 것에 의하여 바닥부 중앙부를 재성형형 치구의 금형면 중앙부에 의하여 블로우성형시의 높이보다도 커다란 높이로 재성형하고, 이 재성형의 형상대로 냉각경화한다. 이것에 의하여 바닥부 중앙부의 형상은 블로우성형시의 형상보다도 높이가 큰 것으로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장치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한 요부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장치에 사용되는 재성형형 치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재성형치구에 의하여 성형되는 마개체 바닥부의 종단면도,
제4도는 마개체 바닥부의 훈육부 분포를 나타내는 실측선도,
제5도는 마개체의 블로우 타임에 대한 바닥부 중앙부의 온도특성을 나타내는 특성선도,
제6도는 마개체의 블로우 타임별의 이형후의 경과시간에 대한 높이변화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선도,
제7도는 바닥부 중앙부에 대한 재성형의 성형율에 대한 바닥터짐 발생율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선도,
제8도는 냉각부족에 의한 이형후에 있어서의 마개체 바닥부에 발생하는 변형을 나타내는 마개체 바닥부의 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 (8)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요부정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베이스블록 (14)에 샤프트 (15)를 세워 설치하고, 이 샤프트 (15)에 마개체 (1)의 개구부 (7)를 유지하는 홀더 (23)와, 마개체 (1)의 몸통부(2)를 유지하는 핸들러 (24)를 부착하고, 또 베이스 블록 (14)에 핸들러 (24)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냉각블록 (18)을 부착한다.
냉각블록 (18)상에는 블로우 금형장치의 바닥부 금형의 금형면의 대략 하반부분과 비교하여 중앙부분의 돌출 높이를 최대로 대략 동등하게 한 것만으로 나머지부를 동등하게 한 금형면 (10)을 가지는 교정형 치구 (9)가 부착되어 있고, 이 교정형 치구 (9)는 냉각블록 (18)에 형성된 수냉통로 (22)를 통하는 냉각수 (W)에 의하여 그 전체가 냉각되고, 또 냉각블록 (18)의 공냉통로 (21)를 형성하는 통로 블록편 (19)이 교정형치구 (9)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고, 그 냉각공기 (A) 도피용의 홈 (20)을 각인 설치한 상단면을 교정형 치구 (9)의 금형면 (10)중앙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공냉통로 (21)의 선단을 냉각공기 (A)분출구로서 위치시키고 있다.
샤프트 (15)의 상부에는 치구를 통하여 냉각노즐 (17)의 승강 변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 냉각노즐 (17)의 도중에 마개체 (1)의 개구부 (7)상단면에 맞닿아 접속하는 압압치구 (16)가 고정되어 있고, 이 압압치구 (16)에는 압압치구 (16)가 마개체 (1)의 입구부 (7)에 기밀하게 압압된 상태로 마개체 (1)내의 공기를 도피하기 위한 일정한 통기면적을 가지는 도피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노즐 (17)은 도시생략한 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하강변위하여 일정하게 세워진 자세로 부착된 마개체 (1)내에 입구부 (7)로 부터 칩입하나, 압압치구 (18)는 이 냉각노즐 (17)의 하단이 마개체 (1)의 바닥부 (3)의 중앙부 (6)사이 가까운 위치에서 입구부 (7)의 상단면에 맞닿은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또, 냉각블로우 (18)는 마개체 (1)조립을 원활하게 달성시키기 위하여 교정형 치구 (9)의 금형면 (10)의 높이보다도 약간 큰 거리 분리만 상하 변위 가능하고, 또, 홀더 (23) 및 핸들러 (24)에 의한 마개체 (1)의 유지는 단순하게 마개체 (1)의 경사가 없도록 유지하는 것만으로 유지한 마개체 (1)의 상하변위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이형후 7 초의 마개체 (1)를 조립하고, 25㎏/f의 힘으로 압압치구 (16)을 입구부 (7)에 누름과 동시에 냉각노즐 (17) 및 공냉통로 (21)로 부터 6.5㎏/㎠의 냉각공기(A)를 분출시키고, 마개체 (1)내를 6㎏/㎠ 로 유지한 채 압압치구 (16)의 통로면적이 거의 1.5 Ø㎜의 2 개소의 도피통로로부터 냉각공기 (A)를 뽑아내면서 5.5 초 사이, 바닥부 (3)의 중앙부 (6)의 강제냉각을 행하였다.
상기 실험은 블로우노즐 1.5 초, 2.0 초, 2.5 초, 그리고 3.0 초의 마개체 (1)에 대하여 행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강제냉각을 한 마개체 (1)의 경우는, 높이 (H)가 모두 4.2 ㎜와 공통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강제급냉을 실시하고 있지 아니한 마개체 (1)의 경우는 높이 (H)가 블로우 타임 1.5 초에서 2.0 ㎜, 블로우 타임 2.0 초에서 2.3 ㎜ , 블로우 타임 2.5초에서 2.7㎜, 블로우 타임 3.0초에서 3.2 ㎜로 언제나 4㎜ 이하 이였다.
또, 바닥 변형 한계로 생각되는 블로우 타임 2.5 초에서 블로우 성형한 마개체 (1)에 의하여 바닥터짐 테스트를 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한 강제냉각을 실시한 마개체 (1)는 20개중, 바닥터짐이 생긴 것은 0 개 이었던것에 대하여 강제냉각을 실시하지 아니한 마개체 (1)는 20 개중 18 개 터짐이 발생하였다.
제2도는 재성형형 치구 (11)의 1 실시예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재성형형 치구(11)의 금형면 (12)는 그 금형면 중앙부 (13)가 제2도 중 점선으로 나타낸 블로우 금형장치의 바닥부 금형의 금형면 중앙부보다도 돌출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리하여 이 재성형형 치구 (11)에서 재성형된 마개체 (1)의 바닥부 (3)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중앙부 (6)가 블로우 성형된 시점에 있어서의 점선으로 나타낸 형상보다도 안쪽에 돌출한 형상으로 되고, 바닥부 (3)를 구성하는 다리부 (4)의 중앙부분의 안쪽으로 만곡 곡을 반경이 적게되고, 반대로 곡부 (5)의 중앙부분의 만곡 곡율반경에 크게되고 있다.
이 바닥부 (3)의 중앙부 (6)의 재성형은 무제한으로 그 재성형 양을 크게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일단 한계가 있다.
높이 3.9 ㎜의 바닥금형을 가지는 블로우 금형장치에 의하여 블로우 타임 2 초에서 마개체 (1)를 블로우 성형하고, 이형후 약 5 초에서 재성형치구 (11)를 부착한 제1도의 냉각장치 (8)에 의하여 마개체 (1)의 바닥부 (3)를 재성형함과 동시에 냉각하였다.
재성형된 마개체 (1)바닥부 (3)는, 높이 5㎜의 재성형 치구 (11)를 사용한 경우에는 재성형량 1.1 ㎜, 높이 4.43㎜, 성형을 114% 이고, 또 높이 6㎜의 재성형형 치구 (11)를 사용한 경우에는 재성형량 2.1 ㎜, 높이 5.49 ㎜, 성형을 141%이고, 그리고 높이 7㎜의 재성형형 치구 (11)를 사용한 경우에는 재성형량 3.1 ㎜, 높이 5.86 ㎜, 성형을 150% 이었다. 또 성형율은 (재성형 바닥부 3의 높이/블로우 금형장치의 바닥 금형의 높이) × 100 이었다.
이 바닥부 (3)를 재성형한 마개체 (1)의 터짐실험을 한 결과, 높이 5㎜의 재성형형 치구 (11)를 사용한 경우는 15 개중 1 개로 터짐이 발생하고, 높이 6㎜의 재성형형 치구 (11)를 사용한 경우는 15 개중 9개로 터짐이 발생하고, 그리고 높이 7㎜의 재성형형 치구 (11)를 사용한 경우는 15 개중 12 개로 터짐이 발생하였다.
제7도는 상기한 실험결과와 종래예의 데이터를 합쳐진 성형율에 대한 바닥 터짐율의 특성을 나타내므로, 곡선 (dl)는 본 발명의 특성을 곡선 (d2)은 종래예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예의 바닥터짐율의 허용범위가 30%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형율은 거의 130% 까지 허용되는 것이 되지만, 현재의 2축 연신 블로우 성형기술에 있어서의 부형성의 좋게 하는 것으로 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성형율을 120% 이하로 제한하여 충분하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에 효과를 나타낸다.
2축연신 블로우 성형된 마개체의 바닥부를 이형후 바로 강제 냉각하므로 블로우 금형에 의한 마개체 바닥부에 대한 냉각부족을 이형후 바로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게되고, 이것에 의하여 마개체의 블로우 타임의 단축을 무리 없이 달성할 수 있고, 더욱 마개체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블로우 성형된 마개체의 바닥부를 이형후 강제냉각하는 것 만으로 고가인 블로우 합금장치를 새롭게 제작할 필요가 없고, 더욱 약간인 설비비의 투입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교정형 치구 및 재성형형 치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높이를 가지는 마개체 바닥부를 확실하게 성형할 수가 있고, 더욱 내압강도 및 비터짐 강도가 높은 기계 강도적의 안정한 바닥부를 가지는 마개체를 얻을 수가 있다.
냉각장치는 이형직후의 마개체를 끼워 지지하는 교정형 치구 또는 재성형형 치구와 압압치구와의 조합과, 냉각 노즐로 구성되므로 그 전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취급조작도 간단하고, 더욱 냉각장치의 신설 실시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가 있다.

Claims (5)

  1. 빅풋(big foot)형상 페타로이드형 바닥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2축연신 블로우 성형마개체(1)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마개체(1)를 2초정도의 블로우 타임으로 블로우 성형하고, 이형후 4초내에 상기 마개체(1)의 바닥부(3)를 그 바닥부(3)의 중앙부(6)의 온도가 5.5 ∼ 7.0초동안 70도 이하로 되도록 강제급냉하는 합성수지제 내압마개체의 성형방법.
  2. 빅풋형상 페타로이드형 바닥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마개체(1)를 성형하는 경우, 상기 마개체(1)를 1.5∼3.0초의 블로우 타임으로 블로우 성형하고, 이형후 15초내에 상기 마개체(1)의 바닥부(3)를 이형에 의하여, 상기 바닥부(3)에 발생하는 중앙부(6)의 팽창변형변위를 블로우 성형시의 위치이하로 눌러 돌리는 교정형 치구(9)에 상기 마개체(1)내를 가압한 상태로 억누르면서 상기 중앙부(6)의 온도가 70도 이하로 될때까지 강제냉각하는 합성수지제 내압마개체의 성형방법.
  3. 빅풋형상 페타로이드형 바닥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마개체(1)를 성형하는 경우, 상기 마개체(1)를 1.5∼3.0초의 블로우 타임으로 블로우 형성하고, 이형후 15초내에 상기 마개체(1)의 바닥부(3)를 그 바닥부(3)의 중앙부 (6)의 높이(H)가 블로우 형성시의 높이보다 크게 되도록 하는 재성형형 치구(11)에 상기 마개체(1)내를 가압한 상태를 억누르면서 상기 중앙부(6)의 온도가 70도이하로 될때까지 강제냉각하는 합성수지제 내압마개체의 성형방법.
  4. 이형 직후의 빅풋 형성 페타로이드형 바닥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마개체(1)의 바닥부(3)를 강제적으로 냉각하는 장치로서, 상기 마개체(1)의 블로우 금형장치의 바닥부 금형면의 하반부분과 비교하여, 중앙부분의 돌출높이가 최소한 상기 하반부분과 같으며, 나머지부분이 상기 하반부분과 동등한 금형면(10)을 가지며, 그 금형면(10)의 중앙부분에 냉각공기(A)의 분출구를 개방하게 설치한 교정형 치구(9)과, 그 교정형 치구(9)와의 사이에서 상기 마개체(1)를 끼워유지함으로서 상기 교정형 치구(9)의 금형면(10)에 상기 바닥부(3)의 하면을 억누르는 압압 치구(16)과, 상기 마개체(1)내에 침입하여 상기 바닥부(3)의 상면으로 냉각공기(A)를 불어 넣음과 동시에 상기 마개체(1)내를 가압하는 냉각노즐(17)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제 내압마개체의 냉각장치.
  5. 이형 직후의 빅풋 형상 페타로이드형 바닥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마개체(1)의 상기 바닥부(3)를 강제적으로 냉각하는 장치로서, 상기 마개체(1)의 블로우 금형장치의 바닥부 금형면의 하반부분과 비교하여, 성형면중앙부(13)의 돌출높이를 높게 하고, 나머지부분을 동등하게 한 금형면(12)을 가지며, 그 금형면(12)의 중앙부분에 냉각공기(A)의 분출구를 개방되게 설치한 재성형형 치구(11)와 그 재성형형 치구(11)와의 사이에서 상기 마개체(1)를 끼워 유지함으로서 상기 재성형형 치구(11)의 금형면(12)에 상기 바닥부(3)의 하면을 억누르는 압압치구(16)와 상기 마개체(1)내에 침입하여, 상기 바닥부(3)의 상면에 냉각공기(A)를 불어 넣음과 동시에 상기 마개체(1)내를 가압하는 냉각노즐(17)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제 내압 마개체의 냉각장치.
KR1019940700909A 1992-07-20 1993-07-20 합성수지제 내압마개체의 형성방법 및 냉각장치 KR0145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453392A JP3200617B2 (ja) 1992-07-20 1992-07-20 合成樹脂製耐圧壜体の成形方法および冷却装置
JP92-214533 1992-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5507B1 true KR0145507B1 (ko) 1998-07-15

Family

ID=1665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909A KR0145507B1 (ko) 1992-07-20 1993-07-20 합성수지제 내압마개체의 형성방법 및 냉각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5585125A (ko)
EP (1) EP0606496B1 (ko)
JP (1) JP3200617B2 (ko)
KR (1) KR0145507B1 (ko)
AU (2) AU667389B2 (ko)
CA (1) CA2119457C (ko)
DE (1) DE69321334T2 (ko)
WO (1) WO19940023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86B1 (ko) * 2009-03-04 2012-03-15 주식회사 엠스코이엔지 고온충진용 페트병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2370B2 (ja) * 1994-12-29 2004-04-26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耐熱容器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金型
DE19909644A1 (de) * 1999-03-05 2000-09-07 Krupp Corpoplast Mas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lasformung von Behältern
DE19925756A1 (de) * 1999-06-05 2000-12-07 Krupp Corpoplast Maschb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lasformung von Behältern
AU2077901A (en) * 1999-12-21 2001-07-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raze-resistant polymeric article
KR20020054044A (ko) * 2000-12-27 2002-07-06 이영일 2축 연신 블로우 성형 병 제조 방법
FR2828829A1 (fr) * 2001-06-25 2003-02-28 Sidel Sa Procede pour refroidir un corps creux a l'issue de sa fabrication par moulage a chaud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US8060167B2 (en) 2002-07-19 2011-11-15 Panasonic Corporation Portable wireless machine
DE102004023419A1 (de) * 2004-05-12 2005-12-08 Kron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kühlen von frisch geblasenen Kunststoffflaschen
US7132076B2 (en) * 2004-07-02 2006-11-07 Uniloy Milacr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 molding
JP4986105B2 (ja) * 2005-09-21 2012-07-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リエステル樹脂製の耐熱圧性プラスチックボトル
US20070267447A1 (en) * 2006-05-16 2007-11-22 Timothy James Kennedy Flammable propellants in plastic aerosols
US7448517B2 (en) * 2006-05-31 2008-11-11 The Clorox Company Compressed gas propellants in plastic aerosols
US7721920B2 (en) * 2006-05-31 2010-05-25 The Clorox Company Ergonomic cap for plastic aerosol container
DE202007008120U1 (de) * 2007-06-06 2007-08-16 Krones Ag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Kühlen von Kunststoffhohlkörpern
DE102007028471A1 (de) * 2007-06-18 2008-12-24 Krones Ag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Gefäßen in einem Gefäßdesinfektionssystem
JP5024168B2 (ja) * 2008-03-25 2012-09-12 東洋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
DE102008048812A1 (de) * 2008-09-24 2010-04-01 Kh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mbinierten Herstellung und Abfüllung von Behältern aus Kunststoff
DE102008059624A1 (de) * 2008-11-28 2010-06-02 Kron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unststoffbehältnissen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s Kunststoffbehältnis
DE102009007424A1 (de) * 2009-02-04 2010-08-05 Krones A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und Weiterbearbeitung von Kunststoffhohlkörpern
DE102012108329A1 (de) * 2012-09-07 2014-05-28 Kron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etränkebehältnissen
DE102013109907A1 (de) * 2013-09-10 2015-03-12 Krones Ag Vorrichtung zur Bodennachkühlung
WO2016100484A1 (en) * 2014-12-19 2016-06-23 The Coca-Cola Company Gas-assisted base blow off methods for blow molding applications
CN105014935B (zh) * 2015-07-31 2017-09-22 佛山市百进一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塑料瓶瓶底水冷却装置
US10774413B2 (en) * 2015-11-11 2020-09-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ow pressure induction carburization
DE102016202908A1 (de) * 2016-02-25 2017-08-31 Krones Ag Verfahren zur Bodenausformung heißabgefüllter Behälter
KR102163809B1 (ko) * 2018-09-05 2020-10-08 주식회사 텍스원 사출성형 금형의 표면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사출 성형 금형
DE102020207833A1 (de) * 2020-06-24 2021-12-30 Krones Aktiengesellschaft Etikettiervorrichtung mit behälterbodennachkühlu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47087A (ko) * 1963-04-24
US4035455A (en) * 1972-05-08 1977-07-12 Heindenreich & Harbeck Method for blow molding a hollow plastic article having a concave base
DE2300234A1 (de) * 1973-01-04 1974-07-18 Elbatainer Kunststoff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hohlkoerper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4411610A (en) * 1979-02-26 1983-10-25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Shrinkage reduction of blow molded oriented pet bottle
US4267144A (en) * 1979-07-03 1981-05-12 The Continental Group, Inc. Process of reducing blowing cycle for blow molded containers
JPS5753326A (en) * 1980-09-17 1982-03-30 Dainippon Printing Co Ltd Manufacture of biaxially stretching blow molded vessel of saturated polyester
US4522779A (en) * 1983-11-28 1985-06-11 Owens-Illinois, Inc. Method for produc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rticles
US4883631A (en) * 1986-09-22 1989-11-28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Heat set method for oval containers
US4853171A (en) * 1986-10-27 1989-08-01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Method of making partially crystalline biazially oriented heat set containers
US4882119A (en) * 1987-06-22 1989-11-21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Method for making partially crystalline biaxially oriented heat set hollow plastic containers
JP2632960B2 (ja) * 1988-09-12 1997-07-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二軸延伸ブロー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US5035931A (en) * 1988-09-12 1991-07-30 Dai Nippon Insatsu K.K. Multi-layer parison, multi-layer bottle an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rison and bottle
JP2592670B2 (ja) * 1988-11-08 1997-03-19 三菱樹脂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ボトルの製造法
JPH039831A (ja) * 1989-06-06 1991-01-1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ブロー成形容器の製造法
US5281387A (en) * 1992-07-07 1994-01-25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rming a container having a low crystallinity
US5419866A (en) * 1992-11-06 1995-05-30 Pepsico Inc. Process for heat treating thermoplastic contain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86B1 (ko) * 2009-03-04 2012-03-15 주식회사 엠스코이엔지 고온충진용 페트병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21334D1 (de) 1998-11-05
EP0606496A4 (en) 1994-08-17
CA2119457C (en) 1998-06-30
CA2119457A1 (en) 1994-02-03
AU667389B2 (en) 1996-03-21
EP0606496A1 (en) 1994-07-20
US5585125A (en) 1996-12-17
DE69321334T2 (de) 1999-04-22
AU4080396A (en) 1996-03-21
JPH0631798A (ja) 1994-02-08
WO1994002304A1 (en) 1994-02-03
EP0606496B1 (en) 1998-09-30
AU674821B2 (en) 1997-01-09
AU4584493A (en) 1994-02-14
JP3200617B2 (ja) 2001-08-20
US5851478A (en) 1998-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507B1 (ko) 합성수지제 내압마개체의 형성방법 및 냉각장치
KR960007290B1 (ko) 내열성 용기의 성형방법
KR100189402B1 (ko) 대형 용기의 연신취입성형방법
US4267144A (en) Process of reducing blowing cycle for blow molded containers
JP4336425B2 (ja) ブロー成形方法
EP0074246A1 (en) Blow-moulded bottle-shaped container of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iece to be blow-moulded into the same bottleshaped container
US10654212B2 (en) Liquid blow molding apparatus and liquid blow molding method
US4013437A (en) Method for forming glass bottles
US9849501B2 (en) Multiple blow molded metallic container sidewalls
JP6420828B2 (ja) マルチブロー成形された金属コンテナ
US6253597B1 (en) Body-necking a wall-ironed can
CN105690719A (zh) 生产塑料容器的装置和方法以及用所述方法生产的塑料容器
JPH11188779A (ja) 射出延伸ブロー成形方法
JPH09123260A (ja) プラスチック容器およびその成形用底型
JP7039089B1 (ja) 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射出延伸ブロー成形機
JPH0624756B2 (ja) 延伸吹込成形におけるパリソン延伸方法
JPH08300078A (ja) 金属テーパーチューブ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4251026B2 (ja) 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KR20030020562A (ko) 사출성형용 금형
KR100363208B1 (ko) 액압 벌지 성형용 금형
JPH0664027A (ja) インサート吹込成形方法及び吹込成形方法
JPH08118368A (ja) 樹脂成形型
US200300301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sion blow molding of shapes with an even wall thickness and varying radii
AT504952A1 (de) Verfahren und form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preform aus kunststoff
JPH0692112B2 (ja) 延伸成形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