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185B1 -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 - Google Patents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185B1
KR0145185B1 KR1019890007887A KR890007887A KR0145185B1 KR 0145185 B1 KR0145185 B1 KR 0145185B1 KR 1019890007887 A KR1019890007887 A KR 1019890007887A KR 890007887 A KR890007887 A KR 890007887A KR 0145185 B1 KR0145185 B1 KR 0145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horizontal
unloader
sprocket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495A (ko
Inventor
마사오 아마나까
Original Assignee
고오다 시게루
스미도모쥬기가이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3094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6518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0945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0613A/ja
Priority claimed from JP89203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096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9202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09599B2/ja
Application filed by 고오다 시게루, 스미도모쥬기가이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고오다 시게루
Publication of KR91000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측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요부의 측면도로서 버키트가 측방굴삭 상태에 있는 것을 표시한 도면
제 3도는 동일하게 제 1도의 요부의 측면도로서 버키트가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상태에 있는 것을 표시한 도면
제 4도, 제 5도 및 제 6도는 측방굴삭 방식과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방식과의 사이의 바꿈동작을 설명하는 작동 상태도
제 7도는 제 2도의 Ⅶ-Ⅶ 선을 절단하여 본 정면도
제 8도는 제 7도와 마찬가지의 정면도로서 로울러가 수평레일에 대하여 측방굴삭상태에 걸리기 직전의 상태를 표시한 도면
제 9도 및 제 10도는 제 7도와 마찬가지의 정면도로, 각각 로울러가 수평레일의 내측에 배치된 변형예 및 1개의 로울러가 대향하는 한쌍의 V 자 형상홈의 사이에 협지된 변형예를 표시한 도면
제 11도, 제 12도 및 제 13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 수평레일의 전단부 안내 열림부에 폐색부품을 부착한 상태를 확대해서 표시한 부분 측면도로서, 각각 폐색 부품의 형태가 다른 3개의 예를 표시한 도면
제 14도 내지 제 17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측방굴삭방식과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방식과의 사이의 바꿈동작을 설명하는 작동상태도
제 18도 및 제 19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의 측방굴삭방식과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방식과의 사이의 바꿈동작을 설명하는 작동상태도
제 20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의 요부를 표시한 정면도
제 21도는 제 4실시예의 변형예를 표시한 정면도
본 발명은, 버키트엘리베이터(bucket elevator) 식 연속 쉽언로우더(ship unload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두에서 석탄, 광석, 곡물 등의 낱개로된 물품을 고능률로 양륙하는 크레인을 언로우더라고 칭하고 있으나, 이 언로우더는 선창내의 낱개로된 물품을 쥐고 반출하는 글러브 버키트(glove bucket)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반출능률을 향상하기 위해, 글러브 버키트 대신에 버키트 엘리베이터가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선박저부의 낱개로된 물품의 하역, 결국 바닥을 퍼내는 작업을 할 때, 상하로 움직이는 선저와 버키트 엘리베이터의 밑에서 위로 움켜올리는 측이 충돌하고, 선저나 버키트를 파손할 염려가 있으며, 바닥을 퍼내는 작업에 있어서, 남겨두는 부분이 생기므로, 예를들면 불도저를 선창내에 도입해서 낱개로된 물품을 모아서 버키트 엘리베이터로 반출하는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요청이 오래전부터 있었고, 각종의 제안이 되어 있었다.
예를들면, 실개소 62-108339 호 공보에는, 굴삭부에 있어서, 버키트체인을 수평으로 뻗은 상태로 버키트 엘리베이터 전체를 버키트 측면측(본 발명의 실시예로 표시한 제 1도에서는,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 이하 같음)으로 주행시키면서, 선창내의 낱개로된 물품을 굴삭하는 통상의 측방굴삭방식과, 선저상의 낱개로된 물품을 굴삭하는 바닥을 퍼내는 굴삭에 있어서, 버키트 체인을 커티너리 상태(느슨해진 상태)로 해서 선저의 상하움직임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선저의 낱개로된 물품의 청소를 가능케 해서 굴삭하는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방식을, 적의 분간하여 쓰는 일이 가능하게한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에 있어서 요동암의 전방스프로켓을 부착하여, 요동암의 요동에 의해, 버키트체인을, 수평형상으로 뻗거나 또 커티너리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하고, 더욱이, 버키트 체인을 아래쪽으로 끼울수 있는 가이드 프레임을 설치하고, 가이드 프레임에 버키트 체인을 끼우고, 이 가이드 프레임에 의해 버키트에 걸리는 측면의 힘을 받도록 구성한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안에서는, 통상의 측방굴삭방식으로 작업을 행할 경우, 가이드프레임은 단지 버키트에 걸리는 측면의 힘을 받는 것 뿐이므로, 버키트체인의 긴장력을 크게 하지 않으면 버키트에 의한 굴삭면이 평탄하게 않된다.
따라서, 특히 굴삭폭을 크게하는 대형 언로우더에서는 하역이 안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버키트체인에는, 낱개로된 물품을 움켜올리는 다수의 버키트를 견인하기 위한 장력에 대한 강성에 가해, 굴삭부를 수평으로 뻗기위한 강성을 주지않으면 않되고, 나아가서는 버키트 체인은 중량이 많아지고, 특히, 한쪽을 쥐는 형상의 부움(boom) 을 구성한 쉽언로우더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에 더하여, 커티너리 형상으로 해서 바닥을 퍼내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요동암의 선단에 부착된 전방스프로켓의 위치근방의 버키트에서 굴삭을 개시하므로, 충분한 늘어짐(버키트 체인의 자중에 의한 늘어지는 양)을 얻을 수 없고, 선저의 상하움직임에 의한 충격의 염려는 남는다.
본발명의 목적은 측방굴삭방식으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버키트 체인의 긴장력을 크게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비교적 강성이 작은 경량의 버키트 체인을 사용할 수 있는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티너리 상태에 있어서, 충분한 늘어짐을 얻을 수 있고, 선저의 상하움직임에 좋게 대응할 수 있는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시 다른 목적은 측방굴삭방식으로 부터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방식에의 바꿈, 또는 그 반대의 바꿈을 극히 용이하게 할 수가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한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발명에 의하면, 수평굴삭부암과, 상기 굴삭부 프레임의 각각 전단부 및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된 하방의 전방 스프로켓 및 하방의 후방 스프로켓과, 상기 후방 스프로켓의 상방에 회전가능케 장치된 적어도 1개의 상방 스프로켓과, 측면에서 보아서 L자 형상을 한 구역의 둘레를 돌 수 있도록 상기 전방스프로켓, 후방스프로켓, 상방스프로켓에 감아걸은 무단 버키트체인과, 상기 버키트체인에 간격을 두고 부착한 일련의 버키트와, 상기 굴삭부 프레임을 상기 상방스프로켓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이게하는 수단을 가진 버키트 엘리베이터 연속 쉽언로우더에 있어서, 상기 버키트의 상기 버키트체인에의 부착부부근에 설치된 로울러와, 상기 전방 스프로켓과 후방 스프로켓의 사이를 직선적으로 주행하는 상기 버키트체인의 경로에 따라서 상기 굴삭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각 버키트의 로울러가 걸리도록 구성된 수평레일이 있고, 이리하여 상기 굴삭부 프레임이 하방으로 움직여서 상기체인이 상기 전방스프로켓과 후방 스프로켓의 사이에서 긴장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상기 로울러가 상기 수평레일과 걸린상태로 주행하고, 상기 굴삭프레임이 상방으로 움직였을 때에는 상기 로울러가 상기 수평레일에서 풀려서 상기 버키트 체인이 커티너리 상태로 되도록 되어있는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 구성, 효과는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한층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구성을 작용과 함께, 첨부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선창내의 낱개로된 물품을 양륙함에 가장 적합한 한쪽을 쥐는 형상의 부움선단에 장착한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이고, 또 이 쉽언로우더는 선저측에서 전후방향(제 1도중, 좌우방향, 이하같음)으로 배치된 스프로켓의 축간격, 결국 굴삭폭이 6.5m 에 미치는 대형의 것이다.
이리하여, 제 1도, 제 2도 및 제 7도에 있어서, 1은 버키트, 2는 주판알모양의 로울러이고, 버키트(1)의 상면양측에 설치된 한쌍의 브래키트(3)(3)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4는 전후방향의 수평형상으로 된 레일이고, 이 레일(4)은 전후 양스프로켓의 축간격과 대략 같은 길이, 적어도 일정한 길이에 이르지 못하고, 또한 수평굴삭암(10)의 양측에, 로울러(2)의 수평 전동이행궤적에 맞추어서 각각 설치되어 있다. 5는 버키트체인이고, 1개의 체인링크에 브래키트(3)를 사이에두고 버키트(1)를 부동적으로 고착하고 있다. 6A 는 전방스프로켓이고, 수평굴삭부프레임(10)의 전단(제 1도중, 좌단)에서 지지되어 있다.
6B는 후방스프로켓이고, 수평굴삭프레임(10)의 후단에서 지지되어 있다. 제 1도와 같이 후방스프로켓(6B)의 상방에는 스프로켓(6C)이 정치되고, 이들 스프로켓(6A)(6B)(6C) 은, 측면에서 보아서 L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7은 유압실린더이고, 유압실리더(7)에 의해 쉽언로우더의 평행링크 부움(20)의 선단밑에 설치된 종프레임(7A)에 슬라이드부(9)가 안내되어서, 수평굴삭부 프레임(10)을 상하로 움직이도록 되어있다. 8은 선저(제 3도 참조), 11은 낱개로된 물품, 21은 가이드로울러를 표시한다.
여기에 있어서, 레일(4)에는 로울러(2)의 상, 하 경사면(2A)(2B)을 합치·맞추어 끼우는 경사면(4A)(4B)이 있는 단면 V자 형상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V 자 형상의 안내홈의 하방에도 로울러(2)의 상경사면(2A)을 전동시키는 안내면(4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면(4C)은, 제 10도와 같이 로울러(2)의 상측의 수평형상단면이 닿는 수평형상의 안내면(4C' )이라도 된다. 더욱이, 레일(4)의 전후양단부(제 1도중 좌우양단부)에는, 테이퍼(4A)(4B)가 서로 멀어지도록 안내 열려진부분(4D)이 형성되어 있다(제 3도 참조).
본 실시예는, 이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즉, 통상의 측방굴삭으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 1도 또는 제 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후방향에 수평형상으로 된 레일(4)에 로울러(2)가 안내되면서 버키트(1)는 회전하고, 또한 제 1도중 지면에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굴삭한다. 이때 버키트(1)에 작용하는 옆으로 향한(제 7도중, 좌우방향) 힘은 레일(4)로 받고, 더욱이 버키트(1)에 작용하는 상하방향의 힘도 레일(4)로 받아서 멈추게 한다. 따라서, 버키트(1)는 레일(4)에 매달려서 굴삭하지만, 이러한 상태로 버키트체인(5)은 단지 비커트(1)를 견인하는 것만의 강성의 것으로 된다. 그 결과, 버키트(1)에 의한 굴삭면은 평탄하게 유지되므로, 하역이 안정되고, 효율좋게 양륙작업이 된다.
이러서, 선창내의 낱개로된 물품(11)이 줄고,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으로 바꾸려면, 다음과 같이한다. 즉, 버키트 체인(5)의 회전을 멈추고, 유압실린더(7)의 오그라듦에 의해서 수평굴삭부 프레임(10)을 들어올린다. 그결과 스프로켓(6C)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므로, 스프로켓(6B)과 스프로켓(6C)과의 높이가 오그라들고, 버키트체인(5)은 제 4도와 같이 전방스프로켓(6A)의 상방 및 하방으로 늘어나는 것을 만든다. 그러므로, 제 5도와 같이, 버키트체인(5)을 회전시키면, 후속의 로울러(2)는 레일(4)의 V자형상 안내홈(4A)(4B)에 끼워지지 않고 이행하고, 결국에는 버키트체인(5)은, 제 3도와 같이, 커티너리 상태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커티너리 상태로 선저(8)에 버키트(1)를 접촉시키면서, 버키트체인(5)을 회전시키면, 바닥을 퍼내는 굴삭이 되고, 청소가 된다. 이때, 선저(8)의 상하움직임은, 버키트체인(5)의 늘어짐에 의해 흡수되어서 버키트(1) 및 선저(8)를 파손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제 3도에 표시한 커티너리 상태에서 통상의 측방굴삭방식에의 복귀는, 재차 버키트체인(5)의 회전을 멈추고, 유압실린더(7)의 뻗어남에 의해 수평굴삭부 프레임(10)을 내리는 결과 버키트체인(5)이 긴장하므로, 그러므로, 제 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레일(4)의 안내면(4C)과, 로울러(2)의 상면경사부(2A)를 접촉시킨다. 이어서, 버키트체인(5)을 회전시키면, 제 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로울러(2)는 전방 스프로켓(6A)측에서 레일(4)의 전단부의 안내열려진부분(4D)에서 순번으로, 밑에서 위로 퍼올려, 통상의 측방굴삭방식으로 복귀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본발명의 로울러는 필히 주판알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요컨데 로울러와 레일은 버키트의이행을 안내할 수 있고, 그 상하 방향의 힘을 받고, 또한, 버키트에 작용하는 옆방향의힘을 받도록한 형상이면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일(4)을 수평굴삭부프레임(10)의 외측면에 형성하고 있으나, 제 9, 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평 굴삭부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안내홈을 대향시켜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 10도의 예에 있어서, 로울러지름을 양 안내홈의 간격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고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발명에 의하면, 측방굴삭작업시, 버키트는 레일에 안내되면서 주행하므로, 굴삭하는 버키트에 작용하는 상하 및 횡방향의 힘이 레일에 걸리고, 버키트체인은 단지 견인하는 힘만으로 되므로, 종래기술과 같은 강성을 줄 필요가 없고, 따라서 중량이 커지지 않는다.
또, 통상의 측방굴삭방식에서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방식, 또는 그 반대의 방식으로 바꾸려면, 레일(즉, 수평굴삭부 프레임)을 위로, 또는 밑으로 움직이게 한 후, 버키트체인을 회전시키면, 레일에서 로울러가 순반으로 풀리거나, 벗어나므로, 그 교체는 극히 용이하게 되고,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않고, 나아가서는 간소한 장치로 할 수가 있다. 더하여, 커티너리 상태의 느슨해지는 것도 충분히 취할 수 있고, 선저의 상하움직임도 양호가게 대응할 수가 있다.
또한, 본발명은 레일(4)의 선단부의 안내열려진부분(4D)을 개폐자재로 하기 위한 폐색용 부품(22)을 설치해도 된다.
이 폐색용 부품(22)의 제 1의 예는, 제 11도와 같이, 수평 굴삭부 프레임(10)에 볼트(13)로 부착하고, 통상의 측방굴삭의 작업시에는 풀어놓도록 하고 있다.
또, 이 폐색용 부품(22)은, 제 2의 예로서, 제 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수평굴삭부 프레임(10)의 전단부에 핀(14)으로 슬라이드자재케 부착하고, 통상의 측방굴삭의 작업시에는, 제 12도중 화살표와 같이 회동시켜서 a의 위치로 하고,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시에는, 동도면중 b의 위치로 하고, 또한 로울러(2)가 폐색용부품(22)에 닿으면, 동도면중 c의 위치로 되고, 로울러(2)를 하방으로 안내한다. 또, 폐색용 부품(22)의 제 3의 예로서, 제 13도와 같이, 실린더(15)에 의해 그 연결부 피보트(17)를 중심으로 회동시킨다. 이 경우는, 운전대에서 작업자의 제어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이와같은 폐색용부품(22)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즉, 바닥을 퍼내는 작업을 할 때에는 유압실린더(7)의 오그라듬에 의해서 수평굴삭부 프레임(10)을 들어올려 제 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방 스프로켓(6A)의 상방 및 하방에 느슨해지는 것을 만든 후, 제 11도의 경우는 폐색용부품(22)을 볼트(13)로 수평굴삭부프레임(10)에 부착해서 안내열려지는부분(4D)을 폐색하고, 제12도의 경우는 폐색용부품(22)을 b와 같이 안내열려지는부분(4D)의 앞에 늘어뜨리고, 제 13도의 경우는 실린더(15)의 조작에 의해 폐색용 부품(22)으로 안내열려지는 부분(4D)을 폐색한다.
이리하여 버키트체인(5)을 회전시키면 후 속의 로울러(2)는 레일(4)의 V자 형상안내홈에 끼지 않도록 이행하고 제 3도와 같은 커티너리 상태가 형성된다.
특히 이와같이 폐색용부품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중, 예상이상의 선저의 들어올림이 있는 경우나, 늘어진양을 얻는편이 너무적은 경우에도 로울러를 레일로 밀어올리거나, 혹은 로울러와 레일의 전단부가 충돌하거나 하는 일은 없다.
특히 로울러와 레일의전단부가 걸리고, 너무 과대한 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마찬가지로 걸림에서 풀릴때의 과대한 충격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 14도 내지 제 17도를 참조해서 본발명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4도나 제 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레일(4)의 전단의 안내열려지는 부분(4D)을 전단 스프로켓(6A)의 중심 O에 L만큼 가급적 가깝게 함과 동시에, 후단의 안내열려지는 부분(4D' )을 후단의 스프로켓(6B)의 중심 O' 에서 L' 만큼 가급적 떼어놓고 있다.
이 L' 는 버키트체인(5)의 1피치정도나, 또 이 L 은 버키트체인(5)의 1/2피치정도가 바람직한 양인 것이 모델실험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이와같이 레일(4)의 전단의 안내열려지는 부분(4D)과 전단의 스프로켓(6A)의 중심 O 와는 L 만큼 가급적으로 접근하고 있으므로, 측방굴삭작업중, 선저(8)의 들어올림에 의해서, 유압실린더(7)가 오그라들어도, 로울러(2)가 레일(4)에서 풀리는 일은 없다.
이어서, 선창내의 낱개로 된 물품(11)이 줄고,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으로 바꾸려면 다음과 같이한다.
즉, 버키트체인(5)의 회전을 멈추고, 유압실린더(7)의 오그라듦에 의해서 수평 굴삭부프레임(10)을 들어올린다. 그 결과 스프로켓(6C)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므로, 스프로켓(6B)과 스프로켓(6C)과의 높이가 줄어들고, 버키트체인(5)은 제 3도와 같이 전방스프로켓(6A)의 상방 및 하방에 느슨해지는 것을 만든다. 그러므로 제 14도와 같이 버키트체인(5)을 역전시키면, 제 15도와 같이 후 속의 로울러는 레일(4)레서 풀려나가고, 결국에는 버키트체인(5)은, 제 3도와 같은 커티너리 상태가 형성된다.
여기서, 레일(4)의 후단의 안내열려진부분(4D')과 후단의 스프로켓(6B)의 중심 O' 와는 가급적 L' 만큼 떨어져 있으므로, 실린더(7)의 오그라드는 양을 적게 해도 로울러(2)는 레일(4)에서 확실히 풀리고, 커티너리 상태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이 L' 가 작으면, 로울러(2)를 레일(4)에서 용이하게 풀려면, 실린더(7)의 오그라드는 양을 양을 크게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이 오그라드는 양이 크게되면, 제 14도 도시의, 수평굴삭부 프레임(10)의 상면과 버키트체인(5)과의 간격 h 가 없어지고, 이들이 상호 간섭하는 것으로 된다.
이어서, 이 커티너리 상태로 선저(8)에 버키트(1)를 접촉시키면서, 버키트체인(5)을 정회전시키면, 바닥을 퍼내는 굴삭이 되고, 청소가 된다. 이때, 선저(8)의 상하움직임은, 버키트체인(5)의 늘어남에 의해 흡수되어서 버키트(1) 및 선저(8)를 파손하는 일은 없다.
다음에, 제 3도에 표시한 커티너리 상태에서 제 2도에 표시한 통상의 측방굴삭방식에의 복귀는, 재차 버키트체인(5)의 회전을 멈추고, 유압 실린더(7)의 늘어남에 의해 수평굴삭부 프레임(10)을 내린다.
그 결과, 버키트체인(5)이 긴장한다. 이어서, 레일(4)의 안내면(4C)과, 로울러(2)의 상면경사부(2A)를 접촉시킨다. 그후, 버키트체인(5)을 정회전시키면, 제 1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로울러는 전방스프로켓(6A)측에서 레일(4)의 전단부의 안내열려진부분(4D)에서 순번으로, 위로 올라가(제 17도 참조), 통상의 측방굴삭방식으로 복귀하는 것으로 된다.
본실시예는 레일의 전단부와 전방스프로켓의 중심을 가급적 가깝게 하고, 또한 레일의 후단부와 후방스프로켓의 중심을 가급적 떨어지도록 하였으므로, 그 만큼 통상의 측방굴삭방식에서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방식으로 바꾸는 것, 또는 그 반대의 바꿈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통상의 측방굴삭 작업시에 있어서, 레일의 전단부와 전방 스프로켓의 중심이 가급적 가까우므로, 로울러가 레일에 풀리는 일이 없다.
또한, 수평굴삭프레임의 위로 움직이는 것을 적게해서 커티너리 상태로 바꿀수 있으므로, 버키트체인과 수평굴삭부 프레임의 상부측이 간섭안한다.
다음에 제 18 도 및 제 19도를 참조해서 본발명의 제 3실시예를 설명한다.
본실시예는, 레일(4)의 전단의 안내열려지는 부분(4D)을 전단의 스프로켓(6A)의 중심O에서 L만큼 가급적 떨어지게 함과 동시에, 후단의 안내열려지는부분(4D')을 후단의 스프로켓(6B)의 중심 O' 에 L' 만큼 가급적 가깝게 하고 있다. 결국, 레일(4)의 전단부와 전방스프로켓(6A)의 중심 O와의 거리를, 레일(4)의 후단부와 후방스프로켓(6B)의 중심 O' 의 거리보다 크게 하고 있다. 이 L 은 버키트체인(5)의 1피치 정도나, 또, 이 L' 는 버키트체인(5)의 1/2피치정도가 바람직한 양인 것이 모델실험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본실시예는 이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즉, 통상의 측방굴삭으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제 1도 또는 제 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후방향으로 수평형상으로 된 레일(4)에 로울러(2)가 안내되면서 버키트(1)는 회전하고, 또한 제 1도 지면에 직교해서 이동하면서 굴삭한다.
이어서, 선창내의 날개로된 물품(11)이 줄고,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으로 바꾸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즉, 버키트체인(5)의 회전을 멈추고, 유압실린더(7)의 오그라듦에 의해서 수평굴삭부프레임(10)을 들어올린다. 그 결과 스프로켓(6C)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므로, 스프로켓(6B)과 스프로켓(6C)의 높이가 오므라들고, 버키트체인(5)은, 제 3도와 같이 전방 스프로켓(6A)의 상방 및 하방으로 느슨해지는 것을 만든다.
여기서, 레일(4)의 전단의 안내열리는 부분(4D)과 전단의 스프로켓(6A)의 중심 O와는 L만큼 가급적 떨어져 있으므로, 유압실린더(7)의 오그라드듦이 작아도 커티너리 상태가 확실히 형성되고, 이 작은 오그라듦에 의해, 수평굴삭부프레임(10)의 상면과 버키트체인(5)의 거리h(제18도 참조)는 그만큼 줄지 않고, 서로 간섭하는 일은 없다.
그러므로, 제 18 도와 같이, 버키트체인(5)을 정회전하고, 로울러를 순번으로 레일(4)에서 풀려가고, 커티너리 상태를 형성한다.
다음에, 제 3도에 표시한 커티너리 상태에서 제 2도의 통상의 측방굴삭방식으로서 복귀는, 재차 버키트체인(5)의 회전을 멈추고, 유압실린더(7)의 늘어남에 의해 수평굴삭부프레임(10)을 내린다. 그 결과 버키트체인(5)이 긴장하므로, 그러므로, 레일(4)의 안내면(4C)과, 로울러(2)의 상면 경사부(2A)를 접촉시킨다. 이어서, 버키트체인(5)을 역전시키면, 제 1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레일(4)의 후단부의 안내열려진부분(4D')과 후방스프로켓(6B)의 중심 O' 를 L' 만큼 가급적 가깝게 하였으므로, 로울러(2)는 후방스프로켓(6B)측에서 레일(4)의 후단부의 안내열려진부분(4D')에서 순번으로, 원활히 올라가, 통상의 측방굴삭방식으로 복귀하는 것으로 된다.
본실시예는, 레일의 전단부와 전방스프로켓의 중심을 가급적 떼어놓고, 또한 레일의 후단부와 후방스프로켓의 중심을 가급적 가깝게 하도록 하였으므로, 그만큼 통상의 측방굴삭방식으로부터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방식으로 바꾸고, 또는 그 반대의 바꿈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레일의 전단부와 전방스프로켓의 중심을 가급적 떼어놓았으므로, 커티너리 상태 형성시, 수평굴삭부프레임의 적은 상부 움직임과, 로울러와 레일의 착탈이 되지 않으므로 수평굴삭부프레임의 상면과 버키트체인과의 간격을 크게 줄 수 있어 서로 간섭안한다. 이에 더하여, 커티너리 상태로, 버키트가 들어올라가, 로울러와 레일이 간섭하거나, 로울러가 위로 올라가지 않는다.
또, 레일의 후단부와 후방스프로켓의 중심을 가급적 가깝게 하였으므로, 버키트체인의 작은 장력으로 로울러가 레일에 끼우고, 로울러 및 레일을 손상안한다.
다음에, 제 1도, 제 2도, 제 3도 및 제 20도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평레일(4)은 전후 양 스프로켓(6A)(6B)의 축간격보다 짧게 구성되고, 또, 그 전후단에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열려진부분(4D)(4D')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제 2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평레일(4)이 안내부품(27)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것이다.이 안내부품(27)은 상기한 수평굴삭프레임(10)의 외주에 고착되어 있다. 또, 수평레일(4)의 상면 외단에는 작은 랙(23)이 착설되고, 이 랙(23)은 피니온(12)과 맞물림 되어 있다. 이 피니온(12)은 정역전용모터(24)에 의해 구동된다. 이 정역전용모터(24)는 수평굴삭프레임(10)의 횡리브(10a) 상에 설치되어, 그 동력은 베어링(25)으로 지지된 회전축(26)을 사이에 두고 피니온(12)에 전달된다.
다음에, 본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통상 측방굴삭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제 1도 또는 제 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수평레일(4)레 로울러(2)가 안내되면서 버키트(1)는 수평방향으로 이행하고, 선창내의 날개로된 물품(11)을 굴삭해서 퍼올리고, 후방스프로켓(6B)이 있는 곳에서 수직방향으로 이행해서 벨트컨베이어로 운반해 나온다. 그리고, 이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 전체는 제 2도중 지면에 직교해서 이동하므로, 후 속의 버키트(1)는 차례로 낱개로된 물품(11)을 퍼올린다.
이어서, 선창내의 낱개로된 물품이 줄고,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으로 바꾸려면 버키트체인(5)의 회전을 멈추고, 유압실린더(7)의 오그라듦에 의해서 수평굴삭프레임(10)을 들어올린다. 그 결과 후방스프로켓(6B)과 도시하지 않은 그 상방에 배치된 상방스프로켓과의 거리가 줄어들고, 그 분만큼 버키트체인(5)에 느슨함이 생겨, 제 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전방스프로켓(6A)의 상측 및 하측이 느슨해진다. 그러므로, 버키트체인(5)을 정회전하면, 로울러(2)가 순차레일(4)에 끼지 않고 풀려가고 커티너리 상태를 만든다.
그러므로, 이 커티너리 상태로 선저(8)에 버키트(1)를 접촉시키면서 버키트체인(5)을 정회전시키면 바닥을 퍼내는 것이 된다. 그 결과, 선저(8)의 상하움직임은 버키트체인 (5)의 늘어남에 흡수되어서 버키트(1) 및 선저(8)는 파손안된다.
다음에, 커티너리 상태에서 통상측방굴삭작업으로의 복귀는, 재차 버키트체인(5)의 회전을 멈추고, 상기한 유압실린더(7)의 늘어남에 의해 수평굴사프레임(10)을 내리고, 버키트체인(5)을 긴장한다. 이어서, 버키트체인(5)을 역전시키면, 로울러(2)가 수평레일(4)의 후단 열려진 에서 순차튀어올라, 수평레일에 끼워진다. 여기서 전술의 각 작업에서 수평레일(4)을 작업에 적합한 위치에 준비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한 통상 측방굴삭작업의 경우에는, 수평레일(4)은 전방 스프로켓(6A)에 가급적 가깝게하고, 예를들면 수평레일(4)의 전단열려진부분(4D)을 전방스프로켓(6A)의 중심에 일치시킨다. 이 때문에 정역전용머터(24)를 기동시켜, 회전축(15)→피니온(12)→랙(23)에 의해 수평레일(4)을 안내부품 (27) 내에서 전방에 슬라이드시킨다. 그 결과 굴삭적작업시에 버키트체인(5)에 느슨함이 생겨도 각 로울러(2)는 풀르는 일 없이 펴올릴수가 있다.
또,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의 경우에는, 수평레일(4)을 후방스프로켓(6B)에 가급적 가깝게 하고, 수평레일(4)의 전단열려진부분(4D)을 전방시프로켓(6A)에서 가급적 떼어놓고 작업을 한다.
그 결과, 각 로울러(2)는 수평레일(4)에 올라가는 일이 없다.
또, 통상측방굴삭작업에서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으로 이행할 때에는, 수평레일(4)을 후방스프로켓(6B)에 가급적 가깝게 하고, 버키트체인(5)을 정회전시킨다. 그 결과, 각 로울러(2)는 수평레일(4)에 올라가지 않고, 수평프레임(10)의 들어올리는양을 적게해도 커티너리 상태가 용이하게된다. 또한,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에서 통상측방굴살작업으로 이행할때도, 수평레일(4)을 후방스프로켓(6B)에 가급적 가깝게 하고 버키트체인(5)을 역전시키면 된다.
다시또, 통상측방굴삭작업에서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으로 옮길때는 다음과 같이 해도된다.
즉, 수평레일(4)의 후단 열려진 부분(4D')을 후방스프로켓(6B)의 중심에서 가급적 떼어놓고, 버키트체인(5)을 역전시키면 된다.
또, 커티너리 상태에서 통상측방 굴삭작업으로 복귀시키려면, 수평레일(4)의 전단열려진부분(4D)을 전방스프로켓(6A)의 중심에 가급적 가깝게하고, 버키트체인(5)을 정회전시키면 된다.
또, 수평레일(4)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려면, 제 21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유압실린더(16)에 의해서 링크(18)를 거쳐서 슬라이드시켜도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버키트의 상단에 설치된 로울러가 끼워지는 수평레일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전후 양 스프로켓에 대하여 근접·떨어지게 한 것으로, 통상굴삭작업과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이 될 수 있는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의 작업을 지장없이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통상 측방굴삭작업의 경우, 로울러가 수평레일의 전단열려진부분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 로울러가 레일에서 풀리는 것도 방지된다. 한편,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의 경우, 로울러가 수평레일의 전단 열려진 부분에 충돌하지 않고, 수평레일에 올라가서 바닥을 퍼내는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측방굴삭 작업에서 커티너리 바닥을 퍼내는 작업으로 바꾸거나, 그 반대의 복귀에 있어서도, 지장없이 행할 수가 있다.

Claims (19)

  1. 수평굴삭부 프레임(10)과, 상기 굴삭부프레임(10)의 각각 전단부 및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된 하방의 전방스프로켓(6A) 및 하방의 후방스프로켓(6B)과, 상기 후방스프로켓(6B)의 상방에 회전가능하게 장치된 적어도 1개의 상방스프로켓(6C)과, 측면에서 보아서 L자 형상을 한 구역의 둘레를 돌도록 상기 전방스프로켓(6A), 후방스프로켓(6B), 상방 스프로켓(6C)에 감아걸은 무단 버키트체인(5)과, 상기 버키트체인(5)에 간격을 두고 부착한 일련의 버키트(1)와, 상기 굴삭부프레임(10)을 상기 상방스프로켓(6C)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수단이 있는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에 있어서, 상기 각 버키트(1)의 상기 버키트체인(5)에의 부착부 부근에 설치된 로울러(2)와, 상기 전방 스프로켓(6A)과 후방스프로켓(6B)의 사이를 직선적으로 주행하는 상기 버키트체인(5)의 경로에 따라서 상기 굴삭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각 버키트(1)의 로울러(2)가 걸리도록 구성된 수평레일(4)이 있고, 이리하여 상기 굴삭부프레임(10)이 하방으로 움직여서 상기 체인(5)이 상기 전방스프로켓(6A)과 후방스프로켓(6B)의 사이에서 긴장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상기 로울러(2)가 상기 수평레일(4)과 걸린 상태로 주행하고, 상기 굴삭부 프레임(10)이 상방으로 움직였을 때에는 상기 로울러(2)가 상기 수평레일(4)에서 풀려서 상기 버키트체인(5)이 커티너리 상태로 되도록 되어있는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2)는 주판알의 형상으로 되고, 상기 수평레일(4)은 상기 주판알 형상에 상보형의 V자 형상 단면의 홈이 있는 제 1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일(4)은 하면에 상기 주판알의 상면에 합치한 경사면(4A)(4B)이 있는 제 2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4.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버키트(1)는 양측에 각 1개의 로울러(2)가 살치되고, 상기 수평굴삭부 프레임(10)은 상기 각측의 로울러(2)의 내측에 1본씩 2본의 상기 수평레일(4)을 비치하고 있는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5. 상기 각 버키트 (1)는 양측에 각 1개의 로울러(2)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 굴삭부프레임(10)은 상기 각측의 로울러(2)의 외측에 1본씩 2본의 상기 수평레일(4)을 비치하고 있는 제 1항, 제 2항 또는제 3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6. 상기 각 버키트(1)는 중앙에 1개의 로울러(2)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굴삭프레임(10)은 상기 로울러(2)를 협지하는 2본의 수평레일(4)이 있는 제 1항 및 제 2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7. 상기 수평레일(4)은 상기 로울러(2)를 끼우는 홈(4A)(4B)이 있고, 상기 홈(4A)(4B)은 길이방향 전단부 및 후단부에서 각각 전방입구단부 및 후방 출구 단부를 향해서 확개되어 있는 제 1항 기재의 연속쉽언로우더.
  8. 상기 홈(4A)(4B)의 전방 입구단부를 막는 폐색용 부품(22)을 설치한 제 7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9. 상기 폐색용 부품(22)은 상기 수평굴삭부 프레임(10)에 착탈 자재케 부착된 제 8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10. 상기 폐색용 부품(22)은 상기 입구단부의 전방에 메어달도록 상기 수평굴삭부 프레임(10)의 전단부에 요동자재케 착설된 판인 제 8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11. 상기 폐색용 부품(22)은 상기 수평굴삭부 프레임(10)의 전단부에 착설되고, 실린더(16)의 조작에 의해 상기 홈(4A)(4B)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 8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12. 상기 버키트체인(5)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킬수 있는 제 1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13. 수평레일(4)의 전단은 상기 전방 스프로켓(6A)의 중심위치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으로 떨어져있고, 상기 수평레일(4)은 상기 후방 스프로켓(6B)과의 중심위치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으로 떨어져 있으며, 전자의 거리는 후자의 거리보다 작은 제 12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14. 전자의 거리는 버키트체인(5)의 약 1/2 피치이고, 후자의 거리는 버키트체인(5)의 약 1피치인 제 13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15. 상기 수평레일(4)의 전단은 상기 전방 스프로켓(6A)의 중심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후방으로 떨어져 있고, 상기 수평레일(4)의 후단은 상기 후방스프로켓(6B)의 중심위치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으로 떨어져있고, 전자의 거리는 후자의 거리보다 큰 제 12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16. 전자의 거리는 버키트체인(5)의 약 1 피치이고, 후자의 거리는 버키트체인(5)의 약1/2 피치인 제 15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17. 상기 수평레일(4)을 전방 스프로켓(6A) 및 후방 스프로켓(6B)의 축간거리보다 짧게하고, 상기 수평굴삭부 프레임(1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치한 제 12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18. 상기 수평프레임(10)에 부착한 길이방향으로 뻗는 랙(23)과, 정역전용모터(24)에 의해서 구동되어 상기 랙(23)에 맞물리는 피니온(12)이 있는 제 17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19. 상기 수평프레임(10)을 유압실린더(7)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제 17항 기재의 연속 쉽언로우더.
KR1019890007887A 1987-12-09 1989-06-08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 KR0145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09457A JP2651829B2 (ja) 1987-12-09 1987-12-09 バケットエレベータ式連続アンローダ
JP62309458A JPH01150613A (ja) 1987-12-09 1987-12-09 バケットエレベータ式連続アンローダ
JP62-309457 1987-12-09
JP62-309458 1987-12-09
JP8920388A JP2709600B2 (ja) 1988-04-13 1988-04-13 バケットエレベータ式連続アンローダ
JP63-89202 1988-04-13
JP8920288A JP2709599B2 (ja) 1988-04-13 1988-04-13 バケットエレベータ式連続アンローダ
JP63-89203 1988-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95A KR910000495A (ko) 1991-01-29
KR0145185B1 true KR0145185B1 (ko) 1998-08-01

Family

ID=2746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887A KR0145185B1 (ko) 1987-12-09 1989-06-08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1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95A (ko) 199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6660A (zh) 一种粮食输送机
CA2211825C (en) Guide rail for a crawler track
EP0401406B1 (en) Bucket elevator type continuous ship unloader
KR0145185B1 (ko) 버키트 엘리베이터식 연속 쉽언로우더
US3756375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KR101167130B1 (ko) 연속식 하역장치
JPH0743064Y2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式連続アンローダ
JP2709599B2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式連続アンローダ
US3432024A (en) Bulk material handling apparatus with rotary digging device
US2060867A (en) Combination excavator, loader, and conveyer
JPH01150613A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式連続アンローダ
US3805420A (en) Elevating conveyor mechanism
US2704613A (en) biedess
KR101167127B1 (ko) 연속식 하역장치
JP2709600B2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式連続アンローダ
JPH01150612A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式連続アンローダ
US2786591A (en) Bucket cleaning attachment
US3054199A (en) Excavating machine
JPH01280130A (ja) ドラグラインバケツトの支持装置
CN217458491U (zh) 一种港口用的机械式抓斗
JPS63267607A (ja) バケツトエレベ−タ式連続アンロ−ダ
CN208699825U (zh) 升降刮板机
JPH0348096B2 (ko)
KR101184934B1 (ko) 집광장치
US1763810A (en) Excava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