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177B1 - 유체송출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송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177B1
KR0145177B1 KR1019910701877A KR910701877A KR0145177B1 KR 0145177 B1 KR0145177 B1 KR 0145177B1 KR 1019910701877 A KR1019910701877 A KR 1019910701877A KR 910701877 A KR910701877 A KR 910701877A KR 0145177 B1 KR0145177 B1 KR 0145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hamber
base
outle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631A (ko
Inventor
에스. 크리에셀 마르셀
Original Assignee
에스. 크리에셀 마르셀
사이언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크리에셀 마르셀, 사이언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 크리에셀 마르셀
Publication of KR92070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 A61M5/1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flexible, e.g. independent bags pressurised by contraction of elastic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9Constructional features of carpules, syringes or blisters
    • A61M2205/192Avoiding coring, e.g. preventing formation of particles during puncture
    • A61M2205/197Avoiding coring, e.g. preventing formation of particles during puncture by the se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12Pressure inf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장시간 동안 정밀한 비율로 환자에게 약물을 투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매우 컴패기트하고 작은 라미네이트구조로 되어 있으며 유체출구(22)를 가지고 있는 유체체임버(25)를 이루는 평면의 베이스(14)와 함께 작동하는 탄성팽창부재(24)를 포함하고 있다. 유체출구를 통하여 유체의 흐름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얇은 유체투과성부재(26)가 유체체임버내에 배치되어 있다.
유체송출장치

Description

[발명의 배경]
이 발명은 유체송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래환자에게 일정한 비율로 오랜시간에 걸쳐 약물을 투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검토]
많은 약물들은 소화기를 지나는 그리고 소화기와 간내에서 촉매효소에 의해서 분해를 방해하는 것을 관리하기 위한 정맥투여관리를 요구한다.
고농축에서 보다 많은 약물투여효과를 얻기위해 약물송출 제어의 정확성을 요구한다. 약리작용이 일어나지 않는 동안, 송출장치는 이것의 간접적인 치료효과에 의해서 약물의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떤 새로운 약물들은 매우 좁은 범위의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들면 복용량이 너무적으면 효과가 없고 반면 너무 많으면 부작용의 결과를 일으키는 것들이다.
과거에는, 장시간동안 이루어지는 유체의 투여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위쪽에다 병을 걸어 약물을 중력에 의해 흘려 투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 졌다. 이러한 방법은 다루기가 힘들며 정밀하지도 않으며 환자를 위한 침대도 필요하다. 또한 간호원이나 의사에 의해서 이 장치를 규칙적으로 살표보아야만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액체가 상대적으로 얇은 벽을 가진 주머니로 부터, 팽창된 이 주머니안의 내부압력에 의해서 배출된다는것은 선행기술상 잘알려져 있다. 이러한 주머니 또는 공기주머니의 장치는 미국특허 제3,469,578호와 제4,318,400호에 설명되어 있다. 전술한 특허의 장치는 주머니로 부터 흐르는 유체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주머니의 외부에서 유체흐름제한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기술상의 주입장치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주머니의 매우 원시적인 형상으로 인해, 이 장치는 폭넓게 사용되지 못할 뿐만아니라, 사용과 제조에 있어서 어어려우며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이 선행기술상의 장치는 신뢰적이지 못하고 유체흐름률이 때때로 정밀하지 않다.
이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선행기술상의 많은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에 개발된 고탄성필름이나 이와 유사한 필름을 사용하여, 송출될 유체를 담고 있는 유체 체임버를 이루는 평면형 베이스에 상호 작용하도록 한것이다. 고탄성필름부재는 체임버내에 있는 유체를 베이스에 제공된 유체흐름관안으로 보내는 힘을 제어한다. 이 발명에 따른 장치의 한가지 형태는 평면의 흐름제어부제가 유체의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체임버 내에서 유체흐름관을 향하여 위치한다. 흐름제어부재는 매우 얇으며, 유체흐름관으로 흐르는 유체흐름률이 매우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매우 정밀한 투과성을 가지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장치가 외래환자에게 사용될 때는 유연한 물질로 제조되고 이것이 환자의 신체의 일부 또는 팔에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성 물질이 제공된다.
이 발명에 따른 장치는 건강을 위한 최소한의 전문적인 보조장치로서 향생제, 호르몬제, 스테로이드제, 혈액응고제등의 연속주입에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이 장치는 I-V화학 요법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환자에게 정확한 양의 약물을 매우 정밀한 비율로 송출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이 발명의 목적은 정밀하게 제어된 비율로 유체를 배출하기위해 컴팩트하고, 박막의 층구조를 가지며, 프로파일이 낮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틀히, 장시간동안 제어된 비율로 외래환자에게 약물을 정밀하게 주입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일반인이 사용하기 쉽고 매우높은 신뢰성을 가지면서,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장에서 제조시에 매우 다양한 약물을 충진할 수 있거나 사용하기 조금앞서 약물을 충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체가 고정된 비율로 송출될 수 도 있으며, 다양한 비율로 송출될 수 있고, 높이나 자세에 제한을 받지 않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조직에 접근한 주입점을 확인하기 위해 부드럽고 정응성이 좋은 장치를 제공합에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 장치를 부착하기 위해 얇은 접착성폼이 제공된 상기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동화된 기계에 의해서, 부피가 크고 저렴한 가격에 제조할 수 있는 박막구조의 유체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체가 평면형 베이스에 함께 작동되는 팽창부재에 의해서, 일체화된 주입바늘이나 투어(luer)타입의 컨넥터를 통해서 이 장치로 부터 배출됨과 아울러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팽창부재가 적어도 한방향으로 가스에 대한 투과성을 가짐으로서 약물안에 있는 가스가 유체체임버로부터 나올수 있어 환자에게 주입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 장치로부터 흐르는 유체의 비율이 라미네이트구조에 의해서 정밀하게 제어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유체 송출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내부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일부 절개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4-4를 따라 자른 확대가로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5-5를 따라 자른 가로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선6-6을 따라 자른 부분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선7-7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8도는 이 장치로 부터 바늘 덮게가 분리된 것을 도시하고 있는 제4도의 장치.
제9도는 제8도의 선9-9를 따라 자른 단면도.
제10도는 이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평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선12-12를 따라 자른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선13-13를 따라 자른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선14-14를 따라 자른 단면도.
제15도는 제12도의 선15-15를 따라 자른 부분단면도.
제16도느 이 장치로 부터 분리된 바늘덮게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제17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장치의 유체주입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부분확대 단면도.
제18도는 이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19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분 평면도.
제20도는 제20도의 선21-21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선21-21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22도는 본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3도는 재부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부분 분해평면도.
제24도는 이 장치에 따른 흐름제어 부재의 배열을 도시하고 있는 부분 확대 사시도.
제25도는 제23도의 선25-25를 따라 자른 단면도.
제26도는 제25도의 선26-26을 따라 자른 부분단면도.
제27도는 제25도의 선27-27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28도는 제25도의 선28-28을 따라 자른 단면도.
재29도는 이 발명의 장치로 부터 분리된 바늘덮게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25도와 유사한 부분단면도.
[발명의 설명]
제1도 내지 제9도는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부호(12)로 지시되어 설명된다.
제1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수의 얇은 판형조립으로 만들어지며 라미네이트 또는 층(layer)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제2도는 제1도를 상세히 도시하는 것으로서, 수평으로 뻗혀있는 한쌍의 도관(16,18)도관으로이루어진 흐름조절수로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도관(16,18)은 유체이송 매니폴드(manifold)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고탄성팽창부재(24)는 체임버(chamber)(25)를 형성하기위해 베이스(14)와 서로 작용한다. 팽창부재(24)는 압력하에서 유체를 체임버(25)안으로 안내하므로써 제4도에서 도시하는 방법으로 평면밖으로 팽창할 수 있다. 팽창부재(24)가 유압에 의해 팽창함에 따라 이것의 원래형상인 평면 상태로 되돌아 가려고 하는 내부압력이 부재내에 형성된다.
유체가 체임버(25)안으로 유입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발명의 장치를 이루는 중요한 양상은 체임버(25)의 내부에 배치된 흐름제어수단이다. 이것은 베이스부재(14)내에 형성된 출구(22)를 통해서 유체의 흐름비율을 제어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흐름제어수단은 박막의 투과성부재로 제공되어 지는데, 이 투과성의 흐름제어부재(26)는 제4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방법으로 베이스(14)의 전면에 걸쳐서 겹쳐있다. 흐름제어부재(26)는 체임버(25)로 부터 베이스(14)에 형성된 유체도관(16,18)으로 흐르는 유체의 비율을 정밀하게 제어한다. 이 유체흐름의 정밀한 제어는 크기에 따라 몇시간에서 24시간이상에 달하는 동안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동안 매우 정확한 비율로 유체를 제공하게 한다.
팽창부재결합수단이 흐름제어 부재(26)에 겹쳐있다. 이 수단은 주변부(28a)를 가지는 평면부재(28)의 형상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팽창부재(24)의 가장자리가 이것과 붙어 있고, 부재(28)는 한쌍의 돌기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돌기(30)는 수평으로 뻗혀있는 제1유체통로 또는 도관(32)이 제공되어 있다. 이 장치가 제9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방법으로 조립될때, 통로(32)는 유체도관(16,18)에 걸쳐서 겹쳐있고 돌기(30)는 체임버(25)내에서 얼리지(ullage)U를 이루기위해 유체 체임버(26)안으로 뻗혀있다. 이 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팽창부재(24)가 이것의 원래의 평면형상으로 되돌아 오고자 하면, 이것은 돌기의 윗표면쪽으로 향하여 결합하게 되고, 이렇게 함으로서 체임버(25)내에 담겨있는 유체가 흐름제어부재(26)를 걸쳐서 통로로 들어가는 힘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돌기(30)의 형상은, 팽창부재가 이것의 초기형상으로 되돌아 옴에 따라, 체임버(25)내에 있는 모든 유체가 흩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통로(16,18,32)는 흐름제어부재로 유체의 노출을 변화 시켜 흐름제어부재의 화동표면이 증가하거나 줄어들게하기 위해 그 형상을 바꿀수 있다.
상부구조를 이루는 프라스틱덮게(34)와 약물내에 가스가 함유되어 있을경우 이 가스를 배출하기위한 배출수단이 베이스(14), 팽창부재(24) 흐름제어부제(26) 그리고 부재(28)을 구성하는 조립장치에 겹쳐져있다.
평면형상의 패드(38)가 완충수단으로서 베이스(14)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패드의 상부와 하부 표면 양쪽에 접착제가 제공되어 있다. 패드(38)의 상부표면에 있는 접착제는 패드(38)가 베이스(14)의 하부표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제2도와 제4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필스트립(peel strip)이 이곳에 제공된 접착제에 의해서 패드(38)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있다. 이 장치가 사용될때, 패드(38)의 하부면에 있는 접착제가 환자에게 이 장치를 접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필스트립이 제거된다.
제4도와 제8도에 있어서, 바늘조립체(42)가 베이스(14)에 일치되어 제공되어 있다. 말단부(42a)부와 근접부(42b)를 포함하는 바늘조립체(42)는 수평으로 뻗힌 구멍(44)이 제공되어 있다. 구멍(44)은 베이스(14)에 형성된 통로(22)와 연결되어 있다. 환자에게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늘(46)은 통로(44)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수납되어 있다. 바늘(46)의 유체출구단부는 통로부(44)내에 수납되어 근접부(42b)를 통해 뻗힌다. 중간부(42a,42b)는 제8도에서 도시하는 방법으로 바늘(46)의 출구단을 노출시키기위해 (42a)와 (42b)를 분리할 수 있도록 부서지기쉬운 줄어든 직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근접부(42b)를 이루는 부분은 바늘(46)에 덮게를 씌워 보호하기 위해 보호집(48)으로 되어 있다. 바늘조립체(42)는 혈관의 상처를 방지하기 위해 바늘이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는것을 보조하기위한 웨브(web)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14)와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고, 웨빙(webbing)(49a)에 의해서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웨브수단은 부드럽고 유연한 나비조립체(49)로 제공되어 있다. 나비조립체(49)는 테이프의 부착을 위한 적절한 표면을 제공한다.
제2도 제3도 제4도 그리고 제6도에 있어서, 체임버(26)내에서 얼리지를 만들기위한 수단을 구성하는 팽창부재결합수단은 유체통로(52)를 가지는 가로뻗힘부(50)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통로의 개방단(52a)은 체임버(25)가 약물로 충진된후 통로를 닫기위해 체택된 크로저에 의해서 닫힌다. 통로(52)는 열 또는 기계적 봉합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폐쇄되기도 한다. 제4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로(52)는 출구(28)내에 형성된 한쌍의 통로(56)와 연결된다. 연속해서 통로(52)는 통로(58)를 거쳐서 체임버와 연결된다. 제2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로는 돌기(32)를 거쳐서 뻗히고 통로와 가로질러 뻗혀 위치하는 돌기의 단부내에 배치된다.
이 발명의 제1실시에의 장치는 제조시에 선택된 약물로 충진될 수 있도록 적용된다. 이것은 이것은 압력하에 있는 유체가 통로(52)안으로 들어가 통로(56,58)을 거쳐서 체임버(25)내로 들어가게 할 수 있도록 프러그(54)를 제거함으로써 이루어 질수 있다. 압력하의 유체가 통로(56)를 통해서 흐르면, 부재(24)가 팽창하여 제4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방법으로 덮게(34)에 결합하게 된다. 체임버(25)가 약물로 채워진후, 크로저프러그(54)는 체임버를 봉합하기위해 도관(52)의 개방단(52a)내의 위치에 고정 또는 부착된다.
바늘조립체(42)가 제4도에서 도시하는 방법으로 원상태를 유지하는한, 유체는 체임버내에 유지된다. 그러나 제8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늘조립체의 (42b)가 제거될 수 있도록 부서지기쉬운 단부(42c)가 비틀려지거나 파손되자마자, 팽창부재(24)는 바늘(46)을 통해서 유체를 배출하기 시작한다. 유체의 배출율은, 부재(28)의 유체흐름통로(32,16) 중간에 위치하고 베이스(14)안에 형성된 침투성부재(26)에 의해서 제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장치를 제조하기위해서 사용되는 물질의 상태는 신뢰성과 정밀성 그리고 장치의 제조성에 영향을 미친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검토하기 전에 이 장치의 제조를 위한 재료를 간단히 살표보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와 관련하여, 금속, 고무 또는 프라스틱을 포함한 매우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것들은 접촉하고 있는 유체와 호환성을 가지며 가능한한 비알러제익(non-allergenic)이 아니면 좋다. 상기 물질의 예로서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 라텍스러버, 부틸러버, 니트릴러버, 폴리이스프랜, 스틸렌 부타디엔 코폴리며, 실리콘, 폴리아미드와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오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와 폴리카보네이트가 있다.
다음으로 흐름제어수단 즉 부재(26)와 관련하여, 시간당 약 0.1에서 4.5미리리터의 매우 정밀한 비율로 송출하는것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송출되는 약물에 따라, 미세한 다공질이 채택된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나 셀룰로우스 아세테이트 부터레이트, 그리고 에틸 셀룰로우스와 같은 필름을 기초로한 비대칭물질이 있다. 이 피름들은 두께를 50마이크론에서 100마이크론 까지 다양화 할 수 있으며 다공질의 직경이 옹스트롬에서 50마이크롬 까지 다양한 다공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탕성팽창부재(24)의 재료에 있어서, 이것의 재료는 러버, 프라스틱, 그밖에 열가소성 고탄성물질이 있는데, 이것들은 라텍스러버, 폴리이소프렌(천연러버), 부틸러버, 니트릴러버, 단일중합체, 공중합체(랜덤, 대체, 즐럭, 그래프트, 크로스링크와 스타블러), 기계적 폴리브렌드, 망상중합체등을 포함한다.
실리콘 중합체와 같은 물질들이 이 적용에 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 물질들은 높은 침투성과 높은 부착성 그리고 높은 찢어짐강도 및 방사저항과 저온에서의 양호한 유연성을 가지는 박막의 필름부재를 이룰 수 있다. 그 밖에 실리콘 고탄성재는 폭넓은 온도(-80。에서 200℃)에 걸쳐서 그성질을 유지하며 600%정도 증가한 2,000lb..in2 정도의 장력을 가진다.
또한, 중합체와 중합체사이의 상호작용이 가장낮은 소수성 유기금속화합물의 중합체인 실리콘은 열안정성을 가진다. 실리콘 고무 멤브레인은 다른 중합 맴브레인보다 상당히 많은 가스투과성을 갖는다. 저장형태로 채워져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폴리우레탄-폴리실록산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디메틸릭실록산(P은)RHK 폴리우레탄(PU), 폴리우렌타의 10%∼20%의 무게를 담고 잇는 IPN의 다 물질도 있다.
구조덮게(34)의 재료와 관련하여, 이 발명의 어떤 실시예서는 몇가지 중합체 구룹중의 하나로 부터 생산된다. 이 요소의 프라스틱구조는 독특하게 다방향 기공의 개방셀의 복잡한 망상조직을 포함한다. 기공은 평균크기가 0.8마이크론에서 2,000마이크론 이며 여과 및 확산능력의 독특한 결합을 다공의 프라스틱에 제공한다. 또한 이 물질은 강하고 가벼우며 높은 화학적 저향성을 가지고 이 장치의 특별한 형태에 따라 매우 유연하다. 강도의 정도는 부드러운것에서 부터 탄성적인거 또는 단단한 것이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중합체를 적용할 있다: 폴리프로필렌(PP),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비닐리딘 프로우르라이드(PVDF),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폴리테트라프로우르에틸렌(PTFF). 이상의 물질을 포렉스 테크롤로지사에서 생산한다.
구조덮게(34,80)로 사용하기위한 또다른 물질로는, 이 덮게가 비투과성인 가스배리어(gas barrier)로 이용될 때는 Barex라는 이름으로 B-P케미칼 인터네셔날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물질이 있다. 역시 베이스(14)와 요소(28)의 재료로도 사용될 수 있는 이 물질은 이것의 높은 가스배리어와 화학적 저항성 그리고 압출성으로 인해 포장산업에서 널리 적용괴고 있는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변형한 깨끗한 고무이다. 이 물질을 사용하는 구조는 단일층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그리고 다른 변형된 스틸렌같은 물질과 함께 압출될 수 있다. 다른 물질들과의 조합은 열형성부의 바람직한 물리적 성질을 증가시키기위해 이용될 수 있다.
끝으로, 접착성패드(38)와 필스트립(40)은 민감하지않은 아크릴 감압접착제를 코팅한 80밀(1/32)의 이중으로된 폐쇄셀폴리에틸렌(PE)폼 과 90lb, 정도의 토출선(필스트립)을 코팅한 백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 지는것이 바람직하다. 폼은 두께는 1/16inch 와 1/8inch정도이며 뻗힘성이 있고 부드러무며, 탄성적이고, 낮은 알래르기성이며 지지해야 될곳에 사용하며 바람직하다. 이 물질은 3M, 베탐등의 회사에서 생산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제10내지 제17도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장치의 것과 매우 유사하며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 열봉합된 장치의 것과 매우 유사하며 동일부부니은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다. 열봉합된 충진구멍(filling port)을 가지는 제1도와 9도에 도시된 장치와 다르게, 이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장치는 피하주사기를 사용하여 충진하는 방법이 체택되었다. 이장치는 덮게(34)와 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덮게를 사용하거나 투과성이 없는 다른 타입의 덮게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이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0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이 장치의 베이스(14), 팽창부재(24) 그리고 흐름제어부재(26)는 제1실시예의 장치와 그 특징이 같다. 요소(60)을 결합하고 있는 팽창부재(24)는 구조에 있어서 약간 다르며 제17도에서 부호(62)로 지시되는 피하주사바늘을 사용하여 체임버(60)가 충짐될 수 있도록 하는 충진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요소(60)은 흐름제어수단(26)위에 겹쳐있고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수평으로 곧추선 한쌍의 돌기(64)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돌기(64)는 베이스(14)내에 제공된 유체통로(16,18)와 연결된 통로(66)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요소(60)는 가로로 뻗힌부(68)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곳을 통해 뻗혀있는 유체통로(70)를 가지고 있다(제10도,제11도,제17도). 이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에 있어서, 통로(70)의 개방단(70a)은 주사기를 수납하기 위한 격막수단에 의해서 폐쇄된다. 이 격막수단은 통로(70)의 개방단(70a)을 폐쇄하기 위해 채택된 격벽(72)으로 지시된다. 격벽(70a)은 스스로 봉합이 가능하며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물질로서 에티렌-SEBS과 같은 물질로 만들어 진다. 바람직하다면, 제1도 내지 제9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장치는 필드내에 충진될 수 있도록 제17도에 도시된 충진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게(80)는 가스를 포함한 유체를 투과하지 않는 깨끗한 프라스틱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덮게는 체임버(25)내에 있는 약물이 주위로 부터 봉합될때 사용된다. 제10도에서 도시되고 있는 덮게(80)에는 웨부(84)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고 수평으로 뻗힌 한쌍의 돌기(82)가 제공되어 있다. 웨브(84)는 이것에 제공된 배출수단을 덮고있는 상면의 비투과성 배리어필스트립(86)이 사용시에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1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바늘 조립체와 차폐된 바늘을 포함하고 있다. 바늘조립체는, 바늘의 (42b)부가 제16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제거된 수 있도록, 부서지기쉬운부(42c)와 웨브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바늘조립체(42)가 제12도에서 도시하는 방법으로 원상태를 유지하는한, 유체는 체임버(25)내에 유지된다. 그러나, 바늘조립체가 제16도와 같이 제거될 수 있도록 부서지기쉬운부(42c)를 비틀자마자, 팽창부재(24)는 바늘(46)을 통해 유체를 분사하기 시작한다. 유체의 분출비율은 부재(60)의 유체흐름통로(62)와 유체흐름통로(16,18) 중간에 배치되고, 베이스(14)내에 형성된 흐름제어수단(26)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18도내지 21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의 장치는 제1실시예의 장치와 매우 유사하며, 같은 부품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였다. 제1실시예의 장치와는 다르게, 이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장치는 바늘 조립체를 제공하지 않고 루어(luer)연결조립체(90)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0도에 있어서, 이 장치는, 팽창부재(24)를 구성하며 이것과 연결되어 있는 작동조립체와 베이스(14), 팽장부재 결합요소(28), 흐름제어수단(26), 덮게(34)를 구성하고 있다. 이 모든 구성들은 제1실시예의 장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고 동작방법도 같다. 이 장치는 역시 접착성패드(38)와 필스트립(40)을 베이스에 포함하고 있다.
우러연결조립체(90)는 베이스(14)와 분리되어 형성되고 말단부(90a)와 근접부(90b)를 포함하고 있다. 말단부(90a)에는 베이스(14)의 출구(22)와 연결되는 수평으로 뻗힌 구멍(94)이 공급된다. 말단부(90a)의 구멍(94)과 연결되어 있고 유체통로(96)를 가지는 기본구조로 되어 있는 루어연결조립체(90)는 근접부(90b)를 구성하고 있다. 통로(96)의 출구는 유체의 흐름활동을 위해서 제거될 수 있도록, 부서지기쉬운 크로저에 의해서 봉합된다. 말단부(90a)의 외측단(90c)은 줄어든 직경으로 되어 있고 루어컨넥터L의 쉬운 연결을 위해 바로 외부시스템E에 연결된다(제20도). 제18도와 제21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4)는 출구통로(22)와 연결되어 있는 유체도관(16,18,29)을 포함하고 있다. 팽창부재(24)는 출구통로(22)와 흐름제어부재(26)를 통하여 체임버(25)로부터 유체를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제22도내지 제29도는 이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부호(100)에 의해 지시되고 있다. 어떤 약물은 초기에 높은 비율의 송출이 요구되고 뒤이어 느리게 송출되도록 요구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1실시예의 장치와 유사하며 같은 부품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였다. 제1실시예와 다르게, 이 실시예의 장치는 주입비율을 고정적으로 제한하지 않고 흐름비율을 다양하게 제어할수 있도록 2중의 흐름제어부재와 요소를 연결하는 팽창부제의 형상을 새롭게 하였다.
제22도, 제23도 그리고 제24도에 있어서, 이 실시예의 장치는 다수의 판형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얇은 층을 구성하고 잇다. 이 장치는 유체출구통로(106)와 연결되어 있는 가로 리세스를 가지는 평판형상의 베이스(102)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평면탄성팽창부재(108)는 한쌍의 두드러진 체임버(110,111)를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102)와 함께 서로 작용한다(제27도). 경우에따라, 체임버(110)(111)는 각각의 크기와 형상 그리고 부피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부재(108)는 제25도에서 도시하는 방법으로 유체를 압력하에 체임버안으로 안내하여 평면으로부터 팽창될 수 있다. 유체를 체임버(110,111)안으로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제4실시예의 장치에있어서 중요한 양상은 출구(106)를 통하여 각각의 체임버로부터 유체의 흐름비율을 제어하기위해, 체임버(100,111)의 내부에 배치된 흐름제어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실시에에 있어서, 흐름제어수단이 제22도와 제24도에서 도시하는 방법으로 베이스(102)내에 형성된 리세스(104)안에 수납되어 있는 흐름률제어조립체(112)의 형성으로 제공된다. 흐름률제어조립체(112)는 체임버(110,111)로부터 유체출구(106)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률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한쌍의 투과성부재(114,116)를 포함한다. 통로(106)는 바늘조립체(42)의 유체통로와 연결되어 있다.
제24도에 있어서, 흐름률제어조립체(112)는 베이스(102)에 형성된 리세스안에 근접하게 수납될 수 있는 매니폴드부재(118)를 구성하고 있다. 부재(118)에는 이것의 중심에 근접한 유체출구(126)와 단부에 유체입구(122,124)를 가지는 내부유체도관(120)이 제공되어 있다. 출구(126)는 부재(118)가 리세스(104)내에 위치할때 베이스(102)내에 제공된 출구통로(106)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122,124)위에 겹쳐지는 투과성부재(114,116)는 체임버(110,111)로부터 출구로 들어오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유체입구(122,124)는 다양한 기하학으로 제조되어 얼리지(ullage)수단과 함께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팽창부재결합요소(130)는 조금 다른 구조로 되어 있고 체임버가 분리되어 충전될 수 있도록하는 충진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제22도와 제25도에 있어서, 요소(130)은 베이스(102)와 흐름제어조립체(112)위로 겹쳐지고 한쌍의 돌기(132,144)를 포함한다. 돌기(132,134)에는 유체통로(136,138)가 각각 제공된다. 통로(136)는 유체입구(122)와 연결되어 있고, 통로(138)은 조립체(112)의 입구(124)와 연결된다. 통로와 유체출구의 형상을 변화 시킴으로써, 흐름제어부재의 활동표면이 다르게 노출될 수 있다. 요소(130)는 개방단(142a,144a)으로부터 뻗힌 한쌍의 유체통로(142,144)를 가지는 가로로 뻗힌부(140)를 포함하고 있다. 제23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로(142)는 통로(150)를 거쳐서 요소(130)의 통로와 연결되어 있고 통로(144)는 통로(148)를 거쳐서 요소(130)의 통로(138)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통로(146,148)은 각각의 통로(150,152)를 거쳐서 각각의 체임버(110,111)와 연결된다. 통로(142,144)의 개방단(142a,144a)은 열봉합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서 폐쇄된다.
이 제4실시예의 장치는 제조시에 선택된 약물로 채워지도록 적용된다. 이것은 압력하에 있는 유체가 통로(142,144)를 거쳐서 통로(142,144)와 체임버(110,111)내로 들어감으로써 이루어진다. 압력하에 있는 유체가 두개의 체임버로 들어감에 따라, 제17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방법으로 부재(108)가 팽창하여 덮게(34)와 연결되게 된다. 체임버(110,111)가 선택된 약물로 채워진후, 통로(142,144)는 폐쇄된다. 부재(108)가 이것의 가장자리(108a)를 따라 부재(130)에 접착되며, 이것의 수평중심선을 따라 부재(130)에 봉합된다. 이러한 구조와 함께, 체임버(110,111)는 서로 독립적으로 유지된다.
제29도에서 도시되는 방법으로 바늘조립체에 있는 (42b)를 제거하기 위해 부서지기쉬운부(42c)를 비틀자마자, 탄성팽창부재(114)는 흐름제어부재(114,116)를 통해서 유체를 배출하기 시작한다. 물론 유체의 흐름률은 흐름제어부재(114,116)에 의해서 제어된다. 만약 이 부재중의 하나가 다른것보다 투과성이 크다면, 유체는 더큰 비율로 이 부재를 통해서 흐를 것이다. 따라서, 부재(114,116)의 투과성을 다양화 함으로써, 흐름관(120,106)을 통하여 합쳐진 출구로 보다큰 유체의 초기부피가 환자에게 주입될 수 있다. 그뒤 느리게 제어된 유체의 주입이 계속된다. 예를들어, 만약 부재(114)가 높은 투과성을 가진다면, 유체는 빠른비율로 체임버(110)로부터 힘을 받게될 것이다. 반면에, 만약 부재(116)가 낮은 투과성을 갖는다면, 유체는 늦은 비율로 체임버(11)로부터 힘을 받을 것이다. 이러한 배열로, 유체는 높은 비율로 체임버(110,111)로부터 초기에 동시에 주입될수 있고 이렇게 된후 체임버(111)로부터 보다느린 비율로 주입된다.
제22도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이, 라벨(36)을 가지는 덮게에 의해서 패쇄된다. 막약 베리어덮게와 베이스가 사용된다면, 덮게배출수단이 제공되어져야한다. 이장치가 환자에게 붙어 있을 수 있도록 접착패드(38)와 필스트립(40)이 베이스의 바닥에 붙여져있다.
이 발명은 독특한 상황을 만날경우 각각의 부품을 변형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즉 이 사상과 범위를 벋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베이스와, 유체출구를 가지는 체임버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작동하는 탄성물질로 제조된 팽창부재와, 상기 출구를 통해 유체의 흐름 비율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체임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에 겹쳐진 얇은 투과성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흐름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유체제어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흐름제어수단과 상기 팽창부재 중간에 배치된 팽창부재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유체제어 배출장치.
  3. 유체출구에서 경계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도관을 가지는 평면형 베이스와, 체임버를 이루기위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작동하고 팽창상태에 있으며, 압력하에서 상기 체임버에 유도된 유체에 의해서 팽창하며, 실질적으로 변형전의 상태로 되돌아 오려는 경향을 가지는 탄성물질로 만들어진 팽창부재와, 상기 유체도관으로 향하는 유체의 흐름률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에 근접한 상기 체임버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흐름제어수단과, 상기 체임버내에서 얼리지(ullage)를 만들기 위해 상기 팽창수단과 상기 유체흐름수단중간에 배치된수단과, 유체를 환자에게 주입하기위해 상기 유체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주입수단을 구성하는 유체제어배출장치.
  4. 일반적으로 평면의 형상이며 유체를 출구로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흐름관을 가지는 베이스와, 유체출구를 가지는 체임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작동하며 탄성물질로 제조된 탄성부재와, 상기베이스에 겹쳐진 얇은 투과성부재를 구성하며 출구를 통하는 유체의 흐름비율을 제어하기위해 상기 체임버의 내부로 배치된 흐름제어수단과, 상기유체흐름관에 연결된 유체흐름개구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가지며 상기 팽창부재를 결합하기위해 상기흐름베어수단과 상기 팽창성부재 중간에 배치된 팽창성부재결합수단과, 상기 체임버의 상기출구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유체출구통로와, 장치가 시스템의 외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상기 유체출구통로와 서로연결되어 있는 컨넥션수단과, 압력하에서 유체를 체임버내로 안내하기 위해서 유체 체임버에 연결되어 있는 충진수단을 구성하는 유체제어배출장치.
  5. 일반적으로 평면의 형상이며 유체를 출구로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흐름관을 가지는 베이스와, 유체출구를 가지는 체임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작동하며 탄성물질로 제조된 탄성부재와 상기베이스에 겹쳐져있는 평면상의 투과성부재인 박막의 필름을 구성하며 출구를 통하는 유체의 흐름비율을 제어하기위해 상기 체임버의 내부로 배치된 흐름베어수단과, 상기유체흐름관에 연결된 유체흐름개구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가지며 상기 팽창부재를 결합하기위해 상기흐름제어수단과 상기 팽창성부재 중간에 배치된 팽창성부재결합수단과, 상기 체임버의 상기출구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유체출구통로와, 장치가 시스템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상기 유체출구통로와 서로연결되어 있는 컨넥션수단과, 압력하에서 유체를 체임버내로 안내하기 위해서 유체 체임버에 연결되어 있는 충진수단을 구성하는 유체제어배출장치.
  6. 제1 제2유체도관이 제공되며, 상기 제1 제2유체도관에 연결되어 각각의 유체도관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비율이 제어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서로다른 투과성을 가지는 제1, 제2투과성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평면의 형상으로 유체를 출구로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체흐름관을 가지는 베이스와, 유체출구를 가지는 체임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와 함께 작동하며, 탄성물질로 제조된 탄성부재와, 상기베이스에 겹쳐진 얇은 투과성부재를 구성하며 출구를 통하는 유체의 흐름비율을 제어하기위해 상기 체임버의 내부로 배치된 흐름베어수단과, 상기유체흐름관에 연결된 유체흐름개구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가지며 상기 평창부재를 결합하기위해 상기흐름제어수단과 상기 팽창성부재 중간에 배치된 팽창성부재결합수단과, 상기 체임버의 상기출구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유체출구통로와, 장치가 시스템의 외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상기 유체출구통로와 서로연결되어 있는 컨넥션수단과, 압력하에서 유체를 체임버내로 안내하기 위해서 유체 체임버에 연결되어 있는 충진수단을 구성하는 유체제어배출장치.
  7. 유체출구에서 경계를 이루는 유체관을 가지는 얇은 베이스와, 체임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잇와 함께 작동하며 실질적으로 변형전의 형상으로 부재를 되돌아 오게하는 경향을 가지도록 압력을 부재의 내부에 형성하기 위해 압력하에서 상기 체임버안으로 안내된 액체에 의해서 평면으로부터 팽창가능한 팽창성필름부제와,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재의 크기와 대응하며 상기 베이스내에 있는 상기 유체도관으로 향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위해 상기 베이스에 근접한 상기 체임버내에 배치된 투과성부재, 상기 베이스내에 있는 유체도관과 연결되어 있는 유체흐름관이 제공된 돌기 구성하며 상기 팽창성 필름부재와 투과성부재 가운데서 상기 체임버내에 배치된 팽창성필름부재결합요소와, 상기 유체출구와 연결된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공의 바늘을 구성하는 유체제어배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필름부재가 가스를 투과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제어배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팽창성필름부재결합요소에 상기 체임버안으로 유체를 안내하기위한 충진수단이 제공됨을 특징으로하는 유체제어배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수단이 상기 베이스내에 상기 유체도관과 연결되어 있는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는 팽창성필름부재결합수단내에 형성된 유체통로와 피하주사기의 바늘을 통해서 수납하기위해 상기 유체통로의 제2단부내에 설치된 격벽수단을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유체제어배출장치.
KR1019910701877A 1989-06-16 1990-06-14 유체송출장치 KR0145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7.304 1989-06-16
US367304 1989-06-16
US07/367,304 US5019047A (en) 1989-06-16 1989-06-16 Fluid delivery apparatus
PCT/US1990/003431 WO1990015638A1 (en) 1989-06-16 1990-06-14 Fluid deliver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631A KR920702631A (ko) 1992-10-06
KR0145177B1 true KR0145177B1 (ko) 1998-07-01

Family

ID=2344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877A KR0145177B1 (ko) 1989-06-16 1990-06-14 유체송출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019047A (ko)
EP (1) EP0480963B1 (ko)
JP (1) JP2695528B2 (ko)
KR (1) KR0145177B1 (ko)
CN (1) CN1026066C (ko)
BR (1) BR9007434A (ko)
CA (1) CA2058944C (ko)
DE (1) DE69030578T2 (ko)
RU (1) RU2062623C1 (ko)
WO (1) WO1990015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5820A (en) * 1989-06-16 1993-04-27 Science, Incorporated Fluid delivery apparatus
US5336188A (en) * 1989-06-16 1994-08-09 Science Incorporated Fluid delivery apparatus having a stored energy source
US5328464A (en) * 1990-04-24 1994-07-12 Science Incorporated Closed drug delivery system
US5267957A (en) * 1990-04-24 1993-12-07 Science Incorporated Closed drug delivery system
US5122116A (en) * 1990-04-24 1992-06-16 Science Incorporated Closed drug delivery system
US5298025A (en) * 1991-07-08 1994-03-29 Baxter International Inc. Sequential flow rate infusion rate
US5167631A (en) * 1991-09-17 1992-12-01 Imed Corporation Portable infusion device
US5368570A (en) * 1991-11-12 1994-11-29 Imed Corporation Apparatus for infusing medical solutions
AU703507B2 (en) * 1992-04-17 1999-03-25 Science Incorporated Improved fluid delivery apparatus
US5385545A (en) * 1992-06-24 1995-01-31 Science Incorporated Mixing and delivery system
US5236418A (en) * 1992-12-07 1993-08-17 Science Incorporated Fluid mixing and delivery apparatus
WO1995009987A1 (en) * 1993-10-04 1995-04-13 Research International, Inc. Micromachined fluid flow regulators
US5743879A (en) * 1994-12-02 1998-04-28 Science Incorporated Medicament dispenser
US5730730A (en) * 1995-09-29 1998-03-24 Darling, Jr.; Phillip H. Liquid flow rate control device
US6213986B1 (en) 1995-09-29 2001-04-10 Appro Healthcare, Inc. Liquid flow rate control device
US5957891A (en) * 1995-10-11 1999-09-28 Science Incorporated Fluid delivery device with fill adapter
US6171298B1 (en) 1996-05-03 2001-01-09 Situs Corporation Intravesical infuser
WO1998038953A1 (en) 1997-03-03 1998-09-11 Medical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ure infusion and temperature control of infused liquids
US6467953B1 (en) 1999-03-30 2002-10-22 Medical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emperature of intravenously delivered fluids and other medical items
US6082185A (en) * 1997-07-25 2000-07-04 Research International, Inc. Disposable fluidic circuit cards
US5957895A (en) * 1998-02-20 1999-09-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ow-profile automatic injection device with self-emptying reservoir
US6183461B1 (en) 1998-03-11 2001-02-06 Situs Corporation Method for delivering a medication
US6669669B2 (en) * 2001-10-12 2003-12-30 Insulet Corporation Laminated patient infusion device
US7238171B2 (en) 2001-03-12 2007-07-03 Medical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essurized infusion and temperature of infused liquids
US8226605B2 (en) 2001-12-17 2012-07-24 Medical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solutions within intravenous lines to desired temperatures during infusion
US6979316B1 (en) 2002-05-23 2005-12-27 Seedlings Life Science Ventur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 auto-injection of medication
US7527608B2 (en) * 2002-08-12 2009-05-05 Lma North America, Inc. Medication infusion and aspiration system and method
US7637891B2 (en) * 2002-09-12 2009-12-29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Method and device for painless injection of medication
IL157981A (en) 2003-09-17 2014-01-30 Elcam Medic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 Ltd Auto injector
EP1708767A4 (en) * 2003-12-16 2008-10-22 Ultimate Medical Pty Ltd DEVICE FOR DISPENSING FLUID
US20050177136A1 (en) * 2003-12-19 2005-08-11 Miller Landon C. Externally disposed pump for use with an internally mounted and compliant catheter
US7670314B2 (en) * 2004-02-17 2010-03-02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Injection device for administering a vaccine
US7611504B1 (en) * 2004-03-09 2009-11-03 Patented Medical Solu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jection of medication into an intravenous fluid line while maintaining sterility of infused fluids
IL160891A0 (en) 2004-03-16 2004-08-31 Auto-mix needle
US20070156090A1 (en) * 2004-05-26 2007-07-05 Kriesel Marshall S Fluid delivery apparatus
EP1868491B1 (de) * 2005-03-24 2011-05-18 Roche Diagnostics GmbH Analytisches hilfsmittel mit lanzette und testelement
US7740611B2 (en) 2005-10-27 2010-06-22 Patented Medical Solu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indicate prior use of a medical item
US8226293B2 (en) 2007-02-22 2012-07-24 Medical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and control of temperature for infused liquids
US10092691B2 (en) * 2009-09-02 2018-10-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Flexible and conformal patch pump
IL308846A (en) 2011-10-14 2024-01-01 Amgen Inc Syringe and assembly method
US9211381B2 (en) 2012-01-20 2015-12-15 Medical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medical liquids
US9656029B2 (en) 2013-02-15 2017-05-23 Medical Solutions, Inc. Plural medical item warming system and method for warming a plurality of medical items to desired temperatures
CN113559363B (zh) 2013-03-22 2023-10-31 美国安进公司 注射器及装配方法
CN111803762B (zh) * 2013-06-18 2022-09-16 因内博注射剂公司 注射装置
KR101476042B1 (ko) 2013-07-09 2014-12-23 김용무 약물주입용 레귤레이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약물주입장치
EP3033133B1 (en) * 2013-08-16 2020-04-15 Np Medical Inc. Catheter stabilization device
WO2015061386A1 (en) 2013-10-24 2015-04-30 Amgen Inc. Injector and method of assembly
AU2015402759B2 (en) 2015-07-21 2020-09-03 Avent, Inc. Shaped elastomeric infusion pump
WO2023147491A2 (en) * 2022-01-28 2023-08-03 Aktivax, Inc. Packaging system for storage of a perishable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3414A (en) * 1962-02-02 1964-10-20 Abbott Lab Apparatus for the induced infusion of liquid from a flexible liquid container
US3151616A (en) * 1962-07-25 1964-10-06 Paul M Selfon Automatic transfusion apparatus
US3469578A (en) * 1965-10-12 1969-09-30 Howard R Bierman Infusion device for ambulatory patients with flow control means
US3468308A (en) * 1966-01-17 1969-09-23 Howard R Bierman Pressure infusion device for ambulatory patients with pressure control means
US3780732A (en) * 1968-08-19 1973-12-25 S Leibinsoh Non-gravitational infusion set
US3565292A (en) * 1969-03-03 1971-02-23 Walter J Jinotti Blood-profusing apparatus
US3677444A (en) * 1970-03-06 1972-07-18 Estin Hans H Micropump
ZA726230B (en) * 1971-09-28 1973-05-30 Bestnu Eng Ltd Intravenous fluids administration apparatus
US3993069A (en) * 1973-03-26 1976-11-23 Alza Corporation Liquid delivery device bladder
US4201207A (en) * 1973-03-26 1980-05-06 Alza Corporation Bladder for liquid dispenser
ES478123A1 (es) * 1979-02-27 1979-05-16 Prats Riera Alberto Sistema para la dosificacion controlada y pasiva de fluidos de preferente uso clinico.
US4386929A (en) * 1980-01-18 1983-06-07 Alza Corporation Elastomeric bladder assembly
US4432468A (en) * 1981-02-06 1984-02-21 Siff Elliott J Intravenous delivery system
US4430078A (en) * 1981-04-24 1984-02-07 Sprague Leland L Blood infusion pump
DE3138320A1 (de) * 1981-09-25 1983-04-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Zur implantation in einen lebenden koerper vorgesehenes infusionsgeraet
US4460368A (en) * 1981-10-29 1984-07-17 Almedco, Inc. Trans-dermal medication system
US4419096A (en) * 1982-02-22 1983-12-06 Alza Corporation Elastomeric bladder assembly
US4507116A (en) * 1982-04-22 1985-03-26 Saul Leibinsohn Apparatus for the induced infusion of a liquid from a flexible liquid bag
US4539004A (en) * 1982-09-22 1985-09-03 Alza Corporation Self-driven pump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on
US4551136A (en) * 1983-04-11 1985-11-05 Medex, Inc. Pressure infusor
US4645486A (en) * 1984-06-11 1987-02-24 International Health Services Device for drawing and processing blood and for administering liquid via parenteral injection
US4838862A (en) * 1986-08-04 1989-06-13 Pharmetrix Corp. Portable controlled release osmotic infusion device
EP0259536A3 (en) * 1986-09-11 1989-01-25 BAXTER INTERNATIONAL INC. (a Delaware corporation) Biological implant with textured surface
US4769008A (en) * 1986-11-26 1988-09-06 Infusion Systems Corporation Pressurized fluid dispenser
JPH0687895B2 (ja) * 1987-06-18 1994-11-09 株式会社ニッショ− バル−ンインフユ−ザ−
US4838887A (en) * 1987-12-15 1989-06-13 Shiley Infusaid Inc. Programmable valve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58944C (en) 2000-08-15
US5019047A (en) 1991-05-28
EP0480963A4 (en) 1992-06-24
CN1026066C (zh) 1994-10-05
CA2058944A1 (en) 1990-12-17
EP0480963B1 (en) 1997-04-23
WO1990015638A1 (en) 1990-12-27
EP0480963A1 (en) 1992-04-22
RU2062623C1 (ru) 1996-06-27
DE69030578T2 (de) 1997-12-11
CN1048331A (zh) 1991-01-09
DE69030578D1 (de) 1997-05-28
JP2695528B2 (ja) 1997-12-24
KR920702631A (ko) 1992-10-06
JPH04506021A (ja) 1992-10-22
BR9007434A (pt) 199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177B1 (ko) 유체송출장치
US5921962A (en) Fluid delivery device with flow indicator and rate control
US5578005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ple fluid infusion
US5419771A (en) Fluid delivery apparatus and support assembly
US5169389A (en) Fluid delivery apparatus
US5205820A (en) Fluid delivery apparatus
AU634481B2 (en) Portable infusion device assembly
US4451255A (en) Dual flow rate intravenous administration set with single pump chamber
US5656032A (en) Fluid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334180A (en) Sterile formed, filled and sealed flexible container
CN100435862C (zh) 层压的患者输液装置
US6428518B1 (en) Medication delivery container
US5372578A (en) Liquid delivery apparatus
KR100871204B1 (ko) 의료용 약액 용기 및 약제-함입 의료용 약액 용기
JP4975404B2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11500275A (ja) 医療用流体容器のための投薬ポート
JP2009178584A (ja) 薬液注入ポー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薬液容器
JP2006043061A (ja) 医療用複室容器
CN1964689A (zh) 具有液态涂敷密封的贮液器
JP4299553B2 (ja) 医療用容器
JP3422367B2 (ja) 医療用具の流体逆止弁
JP5456587B2 (ja) 医療用複室容器、薬剤入り医療用複室容器、該医療用複室容器の製造方法
JP2007267877A (ja) 医療用容器
KR20240080569A (ko) 약물 관장용 키트
JP4708248B2 (ja) 医療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