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933B1 - 밀착형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밀착형 이미지 센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933B1
KR0144933B1 KR1019950000847A KR19950000847A KR0144933B1 KR 0144933 B1 KR0144933 B1 KR 0144933B1 KR 1019950000847 A KR1019950000847 A KR 1019950000847A KR 19950000847 A KR19950000847 A KR 19950000847A KR 0144933 B1 KR0144933 B1 KR 0144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rray
cell
image sensor
width lens
c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923A (ko
Inventor
김태수
조용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0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4933B1/ko
Publication of KR960029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9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0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hotodetectors, e.g. sha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85Means for compensating spatially uneven illumination, e.g. an aperture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셀폭 렌즈 어레이(Selfoc Lens Array:SLA)의 중심위치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 정보를 갖는 원고에 광을 조명할 수 있는 광원 기판과, 상기 원고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원고에 반사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셀폭 렌즈 어레이와,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하부에 위치하여, 원고의 농담에 따라 광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신호처리용 회로기판과, 싱가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셀폭 렌트 어레이의 높낮이를 조절할수 있는 조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셀폭 렌즈 어레이의 중심위치를 정확히 조할 수 있도록 조정자를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에 위치시켜, 원고에 반사된 화상을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포토 트렌지스터에 정확히 전달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착형 이미지 센서
제1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단면도이다.
제2a도는 내지 제2c도는 종래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서 사용되는 셀폭렌즈 어레이의 적정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제3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셀폭 렌즈 어레이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단면도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사용된 셀폭 렌즈 어레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사용된 셀폭 렌즈 어레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셀폭 렌즈 어레이(Sefloc Lens Array:SLA)의 중심위치를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센서란 임의의 화상을 감지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것으로, 그 응용 분야가 전자 복사기, 전자화일, 모사 전송기(facsimile), 이미지 프로세서 및 금융기기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부품이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단면도이다.
먼저,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구조를 설명한다.
일렬로 구성된 광원 기판(1)과 원고(4)의 표면이 닿게 되는 커버유리(3)와, 원고(4)에 반사된 광을 집속시키는 셀폭 렌즈 어레이(5)와,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5)를 통해 집속된 광을 전달받는 신호처리용 회로 기판(9)과, 상기 신호처리용 회로기판(9)과 외부의 시스템과 연결을 위한 커넥터(도시 안됨)와 하우징(11)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처리용 회로기판(9)상에는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포토트렌지스터(7)와 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실리콘 보호막(13)과 신호처리용 부품(15)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통상,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동작 원리는 광전변환에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광원기판(1)으로부터 광이 원고(4)에 반사되어 셀폭 렌즈 어레이(5)를 통해 상기 포토 트렌지스터(광전변환소자:7)에 도달한다. 상기 원고(4)의 농담에 따라 광출력 차이가 생기고 이에 따라 상기 포토트렌지스터(광전변환소자: 7)내에서 변환하는 광전류도 상기 원고(4)의 농담에 따라 대응된다. 그리고 광전변환된 신호는 신호치리용 부품(15)에 입력되어 OP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증폭된다. 이렇게 증폭된 신호는 S/N(신호와 잡음비)가 높은 출력신호로 변형되고 상기 변형된 출력신호는 최종적으로 상기 신호처리용 기판(9) 및 커넥터(도시 안됨)를 통해서 빠져나간다.
제2a도 내지 제2c도는 종래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서 사용되는 셀폭 렌즈 어레이의 적정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셀폭 렌즈 어레이(17)의 중심위치, 즉 셀폭 렌즈 어레이(17)의 중심과 원고(23) 및 포토 트렌지스터(21)의 거리(a)는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아야만 원고(23)의 상을 정립등 배상으로 포토 트렌지스터(21)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런데, 셀폭 렌즈 어레이의 중심위치가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폭 렌즈 어레이(17)의 중심에서 포토 트렌지스터쪽으로 △ℓ만큼 치우치거나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고쪽으로 △ℓ만큼 치우치게 될 때는 원고의 화상이 이미지 센서에 정확하게 전달이 되지 않으며, 화상에 왜곡이 생겨 렌즈의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는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MTF를 간단히 설명하면, MTF는 인간의 시각 공간 주파수 특성을 맞추기 위하여 도입된 광학 정보 전달함수이지만 스캔너나 이미지 입력시스템에서는 렌즈 및 이미지 센서의 각각에 대하여 화상 이미지의 기구물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셀폭 렌즈 어레이(17)의 중심위치는 원고의 화상이 이미지 센서에 정확하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기구물에서 MTF의 최적화를 위한 방법으로 셀폭 렌즈 어레이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과 한국 특허 출원번호 91-1641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출형으로 고정하는 형태가 있으나, 최적의 상태와 고품질의 이미지 센서를 만들기 위하여는 셀폭 렌즈 어레이를 조정하는 방법이 보다 우수하다.
제3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셀폭 렌즈 어레이의 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원고의 표면이 닿게 되는 커버유리(19)와, 원고에 반사된 광을 접속시키는 셀폭 렌즈 어레이(17)와, 이미지 센서가 내정된 포토 트렌지스터(21)와,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17)를 통해 접속된 광을 전달받는 신호처리용 회로 기판(27)과, 상기 신호처리용 회로기판(27)과 외부의 시스템과 연결을 위한 커넥터(도시 안됨)와 하우징(29)으로 구성된다. 특히, 종래의 말착형 이미지 센서에 사용된 셀폭 렌즈 어레이(17)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고가 놓여지는 커버유리(19)와 포토 트렌지스터(21)의 사이에 위치하며, 셀폭 렌즈 어레이를 조정하는 방법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밑면에 설치된 조정자(조정용 볼트:25)를 이용하여 셀폭 렌즈 어레이의 아래부분에서 높, 낮이를 조정하여 MTF를 최적화시킨다. 이때 셀폭 렌즈 어레이의 조정은 셀폭 렌즈 어레이의 아래쪽에 위치한 볼트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조정하여 MTF가 최적인 위치를 찾는다.
다음은, 고정되지 않은 셀폭 렌즈 어레이와 커버 유리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하우징에 각각 부착시킨 다음 신호처리용 회로기판의 홀을 접착데이프등으로 외부의 면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막는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는 셀폭 렌즈 어레이 및 커버유리의 조립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셀폭 렌즈 어레이를 조정하기 때문에 제품 특성 측정시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편차가 발생한다.
또한, 조정용 볼트 조정시 하우징과 조정자와의 마찰에서 발생되는 먼지들이 인접한 포토 트렌지스터 위에 떨어져 이미지 센서를 가리게 되어 원고로부터 조사되는 화상의 전달을 방해하여 이미지 센서의 동작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셀폭 렌즈 어레이의 중심위치를 정확히 조정하여 원고에 반사된 화상을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포토 트렌지스터에 정확히 전달 할 수 있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말착형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정보를 갖는 원고에 광을 조명할 수 있는 광원 기판;상기원고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원고에 반사되는 광을 접속시키는 셀폭 렌즈 어레이;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하부에 위치하여, 원고의 농담에 따라 광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신호처리용 회로기판; 및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자를 포함한다.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 하단부는 측면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거나 둥근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 상, 하단부도 모두 측면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각각 소정의 기울기를 갖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조정자의 끝부분의 상하단부도 소정의 기울기를 갖거나, 둥근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용 회로기판은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포토 트렌지스터, 상기 포토 트렌지스터를 보호하기 위한 실리콘 보호막 및 신호처리용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고정 및 높낮이를 안정되고 쉽게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에 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의하면, 셀폭 렌즈 어레이의 중심위치를 정확히 조할 수 있도록 조정자를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에 위치시켜, 원고에 반사된 화상을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포토 트레지스터에 정확히 전달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밀착형 이이지 센서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원고의 표면이 닿게 되는 커버유리(42)와, 원고에 반사된 광을 집속시키는 셀폭 렌즈 어레이(44)와,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포토 트렌지스터(50)와,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44)를 통해 집속된 광을 전달받는 신호처리용 회로 기판(46)과, 상기 신호처리용 회로기판(46)과 외부의 시스템과 연결을 위한 커넥터(도시 안됨)와 하우징(48)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는 셀폭 렌즈 어레이 조정용 볼트(조정자:52)를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으로 위치시켰다. 종래의 구조에서 이미지 신호처리용 회로 기판에 조정용 홀을 만들어 조정하였으나, 본 발명은 조립이 끝난 상태에서 마지막 작업인 MTF조정을 측정된 파형을 보면서 조정할 수 있게 측면에 조정용 볼트를 부착시켰다. 이렇게 되면, 본 발명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는 셀폭 렌즈 어레이이 측면을 가공하여 사용함으로써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을 가공하여 사용함으로써 셀폭 렌즈 어레이의 조정을 측면에서 할 수 있으며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특성을 측정할 수 있어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측정 편파를 줄 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사용된 다양한 형태의 셀폭 렌즈 어레이를 설명한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사용된 셀폭 렌즈 어레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 및 제6도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조정이 가능하게 셀폭 렌즈 어레이(54)의 하단부분을 소정의 각도, 예컨대, 약 30도 정도 또는 원형의 기울기를 갖게 전달하고, 조정자(조정용 볼트: 56)에도 동일한 기울기를 갖게 만든 상태를 나타낸다. 이렇게 되면, 조정용 볼트를 조이면 셀폭 렌즈 어레이의 중심위치가 원고쪽으로 올라가고 조정용 볼트를 풀게되면 셀폭 렌즈 어레이의 중심위치가 포토 트렌지스터쪽으로 내려오게 된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사용된 셀폭 렌즈 어레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7도 및 제8도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7도와 제8도는 셀폭렌즈 어레이(58) 끝부분의 상하단을 함께 30도 정도 또는 원형으로 상하단을 절단하고, 조정자(조정용 볼트: 60)에도 끝부분을 30도 정도 또는 원주형으로 만든다. 이렇게 하여, 셀폭 렌즈 어레이(58)를 높게 조정할 때는 상단에 위치한 조정용 볼트(60a, 60c)를 풀고 하단에 위치한 조정용 볼트(60b, 60d)를 조이고, 셀폭 렌즈 어레이의 높이를 낮출 때에는 반대로 하단에 위치한 조정용 볼트(60b,60d)를 풀고 상단에 위치한 조정용 볼트(60a, 60c)를 조임으로써 셀폭 렌즈 어레이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볼트는 동일한 피치를 갖고 있으므로 조정상태에 따른 셀폭 렌즈 어레이의 이동거리는 일정하게 한다. 사용되는 피치(0.5㎚)의 볼트를 적용할때 볼트를 360도 회전시킬때 볼트는 0.5㎚ 움직이게 되며 이때 셀폭 렌즈 어레이의 이동상태는 일정한 비율로 변화된다. 따라서, 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원고에 반사되어 셀폭 렌즈 어레이를 통하여 포토 트렌지스터의 이미지 센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셀폭 렌즈 어레이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함으로써 반사된 화상을 포토트렌지스터의 이미지 센서가 최적의 MTF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는 부품조립후 셀폭 렌즈 어레이 조정자를 측면에 위치시켜 제품의 특성, 즉 파형을 측정하면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MTF를 갖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예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가 가진 통상적인 지식의 범위내에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7)

  1. 이미지 정보를 갖는 원고에 광을 조명할 수 있는 광원 기판;상기원고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원고에 반사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셀폭 렌즈 어레이;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하부에 위치하여, 원고의 농담에 따라 광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신호처리용 회로기판; 및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정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 하단부는 측면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 하단부는 측면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둥근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 상하단부는 측면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각각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자의 끝부분은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끝부분의 상하단부가 둥근 형태 또는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용 회로기판은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포토 프렌지스터, 상기 포토 트렌지스터를 보호하기 위한 실리콘 보호막 및 신호처리용 부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착형 이미지 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고정 및 높낮이를 안정되고 쉽게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셀폭 렌즈 어레이의 측면에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KR1019950000847A 1995-01-19 1995-01-19 밀착형 이미지 센서 KR0144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847A KR0144933B1 (ko) 1995-01-19 1995-01-19 밀착형 이미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847A KR0144933B1 (ko) 1995-01-19 1995-01-19 밀착형 이미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923A KR960029923A (ko) 1996-08-17
KR0144933B1 true KR0144933B1 (ko) 1998-08-17

Family

ID=1940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847A KR0144933B1 (ko) 1995-01-19 1995-01-19 밀착형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49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923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9850A (en) Document reading apparatus, having a body unit for holding apparatus components
EP0838665A1 (en) Optical displacement detecting apparatus
JPH04309058A (ja) 密着型センサおよびイメージスキャナならびにファクシミリ
US5579114A (en) Image sensor and facsimile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H07117455B2 (ja) スペクトル分解・検出装置
KR0144933B1 (ko) 밀착형 이미지 센서
JPH06273602A (ja)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JPH0730716A (ja) 原稿読み取り装置
US6320178B1 (en) Opto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BR9608573A (pt) Dispositivo para a entrada e processamento de informa-Æo de imagem
JPS63273821A (ja) 光学装置
US20020051239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with partially shielded light-receiving elements
JP2953595B2 (ja) 密着イメージセンサ
JPH03104475A (ja) 読取装置
JP2754803B2 (ja)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204762A (en) Image reading device
JPH04249470A (ja)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KR940007342B1 (ko) 밀착형이메지센서의 엠티에프(mtf) 최적값 측정장치
JP2002354197A (ja)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JPH02268562A (ja) イメージセンサー
JPS6226971A (ja) 密着センサ
JPH05244342A (ja)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KR930010141B1 (ko) 밀착형 이메지 센서
JPS62290263A (ja) 密着型イメ−ジセンサ
JPS63273823A (ja) レ−ザ走査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