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508B1 - 영상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508B1
KR0144508B1 KR1019950021355A KR19950021355A KR0144508B1 KR 0144508 B1 KR0144508 B1 KR 0144508B1 KR 1019950021355 A KR1019950021355 A KR 1019950021355A KR 19950021355 A KR19950021355 A KR 19950021355A KR 0144508 B1 KR0144508 B1 KR 0144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signal
subcarrier
video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271A (ko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21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4508B1/ko
Publication of KR970009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경화면으로 사용하기 위해 외부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때 외부 영상신호의 방식(NTSC 방식 또는 PAL 방식)을 검출하여 자막(가사) 디스플레이시 최적의 수퍼임포즈가 되도록 한 영상 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동기신호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수평/수직 동기신호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방식을 검출하는 영상 신호 방식 검출수단과, 영상 신호 방식 검출수단에서 검출되는 영상신호의 방식에 대응되도록 화소 클럭 및 자막 데이타의 타이밍을 제어하고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비디오 프로세서와, 영상 신호 방식 검출수단에서 검출되는 방식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서브 캐리어를 분리하는 서브 캐리어 분리수단과, 서브 캐리어 분리수단에서 얻어진 서브 캐리어와 동기신호 분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복합 동기신호에 따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에서 얻어지는 아날로그 자막 신호를 엔코딩하여 내부 복합 영상 신호로 만드는 엔코딩 수단과, 비디오 프로세서에서 얻어지는 영상 선택신호에 따라 엔코딩 수단에서 얻어지는 내부 복합 영상 신호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 복합 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영상 신호 선택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영상반주기의 수퍼임포즈(Superimpose)장치
제1도는 종래 영상 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서브 캐리어 분리부 상세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블록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영상신호 방식 검출부 상세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의 NTSC/PAL 경계치 검출기 상세 구성도.
제6도는 제4도의 각부 출력 파형도.
제7도는 제3도의 서브 캐리어 분리부 상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영상신호 방식 검출부 105:서브 캐리어 분리부
106:엔코더 107:영상신호 선택부
본 발명은 영상 반주기에서 수퍼임포즈(Superimpose)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경화면으로 외부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때 외부 영상신호의 방식(NTSC방식 또는 PAL 방식)을 검출하여 자막(가사) 디스플레이시 최적의 수퍼임포즈가 되도록 한 영상 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수퍼임포즈는 TV 방송에 있어서 제작상의 기법의 일종으로, 2개의 화상을 겹쳐서 새로운 하나의 화상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일예로서, 화면에 문자를 겹치거나 유령 효과를 상상해서 나타낼 경우에 쓰인다.
이러한 수퍼임포즈 기능을 하는 종래 영상 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퍼임포즈 장치는 외부 영상신호 입력단자(1)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신호로부터 수평/수직 동기신호와 복합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신호 분리부(2)와, 상기 동기신호 분리부(2)에서 얻어지는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화소클럭(Pixel Clock) 및 자막 데이터(Font Data)의 출력을 제어하고 영상신호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프로세서(3)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3)에서 출력되는 화소 클럭에 따라 디지털 자막 데이터를 아날로그 자막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4)와, 상기 입력되는 외부 영상신호로부터 서브 캐리어를 분리하는 서브 캐리어 분리기(5)와, 입력되는 복합 동기신호와 서브 캐리어에 따라 아날로그 자막 신호를 엔코딩하여 복합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엔코더(6)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3)에서 얻어지는 영상신호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엔코더(6)에서 출력되는 내부 복합영상신호 또는 외부영상신호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외부 영상신호를 선택하여 영상신호 출력단자(8)로 출력하는 영상신호 선택부(7)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영상 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경화면으로 동영상을 사용하기 위해서 외부 영상신호 입력단자(1)로 입력된 외부 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 분리부(2)는 수평/수직 동기신호와 복합 동기신호를 분리하게 되고, 그 분리한 수평/수직 동기신호는 비디오 프로세서(3)에 입력시키고, 복합 동기신호는 엔코더(6)에 입력시킨다.
비디오 프로세서(3)는 외부 영상신호와 내부에서 만든 내부 복합 영상신호의 선택신호를 발생시켜 영상신호 선택부(7)에 인가함과 동시에 입력되는 수평/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화소 클럭(Pixel Clock)과 자막(가사) 데이터를 발생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4)에 입력시키게 된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4)는 입력되는 화소 클럭(Pixel Clock)에 따라 디지털 자막 데이터 즉, R, G, B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R, G, B 신호로 변환시켜 엔코더(6)에 입력시키게 된다.
이때, 엔코더(6)에는 동기신호 분리부(2)에서 분리되어 출력되는 복합 동기신호와 서브 캐리어 분리기(5)에서 얻어지는 서브 캐리어가 입력된다.
여기서 서브 캐리어를 분리하는 서브 캐리어 분리기(5)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 필터(5a)로 입력되는 외부 복한 영상 신호를 대역 필터링을 하여 휘도 성분은 제거하고 색성분만을 추출하여 서브 캐리어 분리기(5b)에 인가하게 되고, 서브 캐리어 분리기(5b)는 입력되는 색신호로부터 서브 캐리어만을 추출하여 위상 비교기(5c)에 인가하게 된다.
즉, 대역 필터(5a)로 입력되는 복합 영상 신호를 필터링하게 되면 서브 캐리어와 같은 주파수 성분만이 출력되어 서브 캐리어 분리기(5b)에 입력되고, 서브 캐리어 분리기(5b)는 칼라 버스트 구간내에 실려있는 서브 캐리어만을 분리하여 위상 비교기(5c)에 입력하게 된다.
위상 비교기(5C)는 입력되는 서브 캐리어의 위상과 피이드백 되는 전압 제어 발진기(5e)에서 출력되는 서브 캐리어와의 위상을 비교하고 그 차값을 전압 제어 발진기(5e)에 제어 전압으로 인가하게 된다.
전압 제어 발진기(5e)는 수정발진기(5d)에서 얻어지는 발진신호(서브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위상 비교기(5C)에서 얻어지는 위상차값으로 조정하여 서브 캐리어 분리기(5b)에서 출력되는 서브 캐리어와 동일한 위상이 되도록 발진 신호(서브 캐리어 주파수를 갖는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고, 그 제어한 발진 신호를 엔코더(6)에 입력시키게 된다.
엔코더(6)는 이와같이 입력되는 복합 동기신호와 서브 캐리어에 의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4)에서 얻어지는 아날로그 R, G, B 신호를 처리하여 자막이 포함된 내부 복합 영상 신호를 만들어 영상신호 선택부(7)에 입력시키게 된다.
영상신호 선택부(7)에는 상기 외부 영상신호 입력단자(1)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 신호도 입력되어지며, 이에 따라 영상신호 선택부(7)는 비디오 프로세서(3)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 선택신호에 따라 엔코더(6)에서 얻어지는 내부 복합 영상신호 또는 외부 영상신호 입력단자(1)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복합 영상 신호를 선택해서 영상신호 출력단자(8)를 통해 출력시키게 된다.
이러한 영상 반주기는 영상신호 규격이 NTSC 이든지 PAL이든지 모두 적용되며, 다만 서브 캐리어 주파수가 NTSC는 약 3.58MHZ이고 PAL은 약 4.43MHZ이므로 대역 필터(5a)의 주파수 통과 대역을 외부 영상 신호에 맞게 고정 설치해야 하고, 마찬가지로 발진 주파수도 외부 영상 신호에 맞게 고정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퍼임포즈 장치는 외부 복합 영상 신호의 규격이 NTSC 또는 PAL 중 하나의 규격에 세팅되어 있으므로 입력되는 외부 영상 신호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퍼임포즈 장치가 PAL 방식에 맞게 설계된 경우에는 PAL 동기신호에 맞게 비디오 프로세서가 화소 클럭과 R, G, B 신호의 자막 데이터를 출력시키므로 NTSC 방식의 복합 영상 신호가 외부 영상 신호로 입력될 경우에는 자막의 크기 및 자막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형되어 정상적인 수퍼임포즈 기능이 불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수퍼임포즈 장치가 NTS방식에 맞게 설계된 경우에도 CNTSC동기신호에 맞게 비디오 프로세서가 화소 클럭과 R, G, B 신호의 자막 데이타를 출력시키므로 PAL 방식의 복합 영상신호가 외부 영상신호로 입력될 경우에는 자막의 크기 및 자막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형되어 정상적인 수퍼임포즈 기능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서브 캐리어 분리기도 하나의 방식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입력되는 복합 영상신호와 매칭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서브 캐리어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엔코더에서 엔코딩된 신호는 색정보를 잃게되어 수퍼임포즈된 최종 비디오 신호는 자막의 색이 배경화면에 의해 항상 변화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경화면으로 외부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때 외부 영상신호의 방시 (NTSC방식 또는 PAL방식)을 검출하여 자막(가사) 디스플레이시 최적의 수퍼임포즈가 되도록 한 영상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동기신호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수평/수직 동기신호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방식을 검출하는 영상 신호 방식 검출수단과, 상기 영상 신호 방식 검출수단에서 검출되는 방식에 따라 화소 클럭 및 자막 데이타의 타이밍을 제어하고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비디오 프로세서와, 상기 영상 신호 방식 검출수단에서 검출되는 방식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서브 캐리어를 분리하는 서브 캐리어 분리수단과, 상기 서브 캐리어 분리수단에서 얻어진 서브 캐리어와 입력되는 복합 동기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자막 신호를 엔코딩하여 내부 복합 영상 신호로 만드는 엔코더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에서 얻어지는 영상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엔코더에서 얻어지는 내부 복합 영상 신호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 복합 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신호 선택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제3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블럭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퍼임포즈 장치는 외부 영상 신호 입력단자(10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수평/수직 동기신호와 복합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동기신호 분리부(101)와, 상기 동기신호 분리부(101)에서 분리된 수평/수직 동기신호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방식을 검출하는 영상 신호 방식 검출부(102)와, 상기 영상 신호 방식 검출부(102)에서 검출되는 방식에 대응되게 상기 동기신호 분리부(101)에서 얻어지는 수평/수직 동기신호로 화소 클럭 및 자막 데이타의 타이밍을 제어하고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비디오 프로세서(103)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103)에서 얻어지는 디지탈 화소 클럭 및 자막 데이타를 아날로그 자막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4)와, 상기 영상 신호 방식 검출부(102)에서 검출되는 방식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서브 캐리어를 분리하는 서브 캐리어 분리부(105)와, 상기 서브 캐리어 분리부(105)에서 얻어진 서브 캐리어와 상기 동기신호 분리부(101)에서 분리된 복합 동기신호에 따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4)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자막신호를 엔코딩하여 내부 복합 영상 신호로 만드는 엔코더(106)와,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103)에서 얻어지는 영상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엔코더(106)에서 얻어지는 내부 복합 영상 신호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 복합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비디오 신호 출력단자(108)로 출력하는 영상 신호 선택부(107)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수퍼임포즈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경화면으로 외부 영상을 사용하기 위해서 외부 영상 신호 입력단자(100)로 입력된 외부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동기신호 분리부(101)는 수평/수직 동기신호와 복합 동기 신호를 분리하게 되고, 그 분리한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영상 신호 방식 검출부(102)와 비디오 프로세서(103)에 각각 입력시키고, 복합 동기신호는 엔코더(106)에 입력시킨다.
영상 신호 방식 검출부(102)는 입력되는 수평/수직 동기신호로부터 영상 신호의 방식을 검출하게 된다.
즉, 영상 신호 방식 검출부(102)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쇼트 펄스 발생기(102a)는 수직 동기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되어 원쇼트 펄스를 제6도의 (c)와 같이 발생시켜 카운터(102b)에 입력시키게 된다.
카운터(102b)는 제6도의 (b)와 같이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를 클럭으로 입력받고, 상기 원 쇼트 펄스 발생기(102a)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카운터 인에이블 및 클리어 신호로 입력 받아 카운팅을 행하게 된다.
즉, 카운터(102b)는 9비트 카운터로 카운터 인에이블 및 클리어 신호인 원 쇼트 펄스의 하이(high)구간에서만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를 카운팅하여 9비트 이진 출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원 쇼트 펄스가 로우(low)인 구간에서는 클리어되어 9비트 이진 출력이 모두 제로(0)상태가 된다.
이렇게 카운터(102b)에서 출력되는 9비트 이진 출력은 NTSC/PAL 경계치 검출기(102c)에 입력되며, NTSC/PAL 경계치 검출기(102c)는 9비트 이진 출력이 NTSC/PAL 경계치가 될때 한 수평 주기만큼의 하이 구간을 갖는 펄스, 즉 제6도의 (d)와 같은 경계치 검출 펄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NTSC/PAL 경계치 검출기(102)의 실시예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는 NTSC방식의 한 필드당 수평주기 갯수(262.5개) 보다 1.5개 적은 261(100000101)로 정했다.
상기와 같이 NTSC/PAL 경계치를 정한 이유는 NTSC방식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대해 NTSC/PAL 경계치 검출기(102c)에서 출력되는 제6도의 (d)와 같은 경계치 검출 펄스가 제6도의 (a)와 같은 수직 동기신호의 로우구간(A구간)안에 들어가도록 하기 위함이며, PAL방식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대해서는 경계치 검출 펄스가 수직 동기신호의 로우구간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B구간).
이렇게 얻어지는 경계치 검출 펄스는 D플립플롭(102d)에 클럭으로 입력되고, D플립플롭(102d)은 수직 동기신호를 D단자로 입력받아 클럭에 동기시켜 제6도의 (e)와 같은 펄스를 최종 경계치 검출 신호로 출력시켜 비디오 프로세서(103) 및 서브 캐리어 분리부(105)에 각각 입력시키게 된다.
즉, D플립플롭(102d)에서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NTSC/PAL 판별신호는 NTSC방식의 동기 신호에 대해서는 제6도의 (a)의 A구간에서와 같이 D플립플롭(102d)의 클럭신호의 상승시점에서 D단자로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가 로우신호이므로 로우신호가 출력되고, PAL 방식의 동기신호에 대해서는 제6도의 (a)의 B구간에서와 같이 D플립플롭(102d)에 입력되는 클럭 신호의 상승시점에서 D단자로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가 하이신호이므로 하이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비디오 프로세서(103)는 영상 신호 방식 검출부(102)에서 얻어지는 영상 신호의 방식에 맞게 동기신호 분리부(101)에서 얻어지는 수평/수직 동기신호로 화소 클럭의 주파수와 자막 데이타의 출력 타이밍을 조절하고, 그 조절한 화소 클럭과 자막 데이타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4)에 입력시키게 되고, 동시에 내부 복합 영상 신호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외부 복합 영상 신호의 선택신호를 영상 신호 선택부(107)에 입력시키게 된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4)는 입력되는 화소 클럭(Pixel Clock)에 따라 디지탈 자막 데이타, 즉, R, G, B 디지탈 데이타를 아날로그 R, G, B 신호로 변환시켜 엔코더(106)에 입력시키게 된다.
이때, 엔코더(106)에는 동기신호 분리부(101)에서 분리되어 출력되는 복합 동기신호와 서브 캐리어 분리부(105)에서 얻어지는 서브 캐리어가 입력된다.
여기서 서브 캐리어를 분리하는 서브 캐리어 분리부(105)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대역필터(105a)(105b)는 입력되는 외부 복합 영상 신호를 각기 다른 대역으로 필터링을 하여 휘도 성분은 제거하고 NTSC색성분 또는 PAL색성분을 추출하여 제1 스위칭부(105c)에 각각 입력시키게 된다.
제1 스위칭부(105c)는 이와 같이 입려되는 두개의 색성분을 영상 신호 방식 검출부(102)에서 얻어지는 영상 신호의 방식 (NTSC방시 또는 PAL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의 색성분을 스위칭하여 서브 캐리어 분리기(105d)에 인가하게 된다.
서브 캐리어 분리기(105d)는 종래와 같이 입력되는 색신호에 실려있는 서브 캐리어만을 추출하여 위상 비교기(105e)에 인가하게 된다.
위상 비교기(105e)는 입력되는 서브 캐리어의 위상과 피이드백 되는 전압 제어 발진기(105f)에서 출력되는 서브 캐리어와의 위상을 비교하고 그 차값을 전압 제어 발진기(105f)에 제어전압으로 인가하게 된다.
전압 제어 발진기(105f)는 입력되는 위상차값에 따라 발진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서브 캐리어 신호와 동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서브 캐리어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여기서 전압 제어 발진기(105f)에 입력되는 발진 신호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복합 영상 신호의 방식과 매칭이 되는 발진 주파수를 갖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수정 발진기(105h)에서는 NTSC 방식에 해당하는 3.58MHZ의 주파수를 갖는 서브 캐리어 주파수를 발생시켜 제2 스위칭부(105g)에 입력시키게 되고, 제2 수정 발진기(105I)에서는 PAL 방식에 해당하는 4.43MHZ의 주파수를 갖는 서브 캐리어 주파수를 발생시켜 제2 스위칭부(105g)에 입력시키게 되며, 제2 스위칭부(105g)는 상기 영상 신호 방식 검출부(102)에서 얻어지는 영상 신호의 방식과 매칭되는 발진 신호를 스위칭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105f)에 입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발생되는 서브 캐리어 주파수는 엔코더(106)에 입력되고, 엔코더(106)는 종래와 같이 입력되는 복합 동기신호와 서브 캐리어에 의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4)에서 얻어지는 아날로그 R, G, B 신호를 처리하여 자막이 포함된 내부 복합 영상 신호를 만들어 영상 신호 선택부(107)에 입력시키게 된다.
영상신호 선택부(107)에는 상기 외부 영상신호 입력단자(10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영상 신호도 입력되어지며, 이에 따라 영상신호 선택부(107)는 비디오 프로세서(103)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 선택신호에 따라 엔코더(106)에서 얻어지는 내부 복합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영상신호 입력단자(100)로 입력되는 외부 복합 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비디오 신호로 영상신호 출력단자(108)를 통해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복합 영상 신호의 방식을 검출하고 그에 맞는 화소 클럭과 자막 데이타의 출력 타이밍의 조절이 가능하고 동시에 외부 복합 영상 신호의 방식과 매칭되는 서브 캐리어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어 외부 복합 영상 신호의 방식과 무관하게 모든 영상 신호에 대해 최적의 수퍼임포즈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동기신호 분리수단에서 분리된 수평/수직 동기신호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영상 신호의 방식을 검출하는 영상 신호 방식 검출수단과, 상기 영상 신호 방식 검출수단에서 검출되는 영상신호의 방식에 대응되도록 화소 클럭 및 자막 데이타의 타이밍을 제어하고 영상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비디오 프로세서와, 상기 영상 신호 방식 검출수단에서 검출되는 방식에 따라 외부에서 입력되는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서브 캐리어를 분리하는 서브 캐리어 분리수단과, 상기 서브 캐리어 분리수단에서 얻어진 서브 캐리어와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에서 출력되는 복합 동기신호에에 따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에서 얻어지는 아날로그 자막 신호를 엔코딩하여 내부 복합 영상신호로 만드는 엔코딩수단과,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에서 얻어지는 영상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엔코더에서 얻어지는 내부 복합 영상 신호 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 복합 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영상 신호 선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 방식 검출수단은 입력되는 수직 동기신호의 상승 에지에 동기되어 원쇼트 펄스를 발생시키는 원 쇼트 펄스 발생기(102a)와, 상기 원 쇼트 펄스 발생기(102a)에서 출력되는 펄스를 카운터 인에이블 및 클리어 신호로 하여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를 카운팅하고 9비트 이진 출력을 하는 카운터(102b)와, 상기 카운터(102b)에서 출력되는 9비트 이진 출력으로 NTSC/PAL 경계치를 검출하는 NTSC/PAL 경계치 검출기(102c)와, 상기 NTSC/PAL 경계치 검출기(102)에서 출력되는 경계치 검출 펄스를 클럭으로하여 수직 동기신호를 데이타로 래치시켜 그 결과값을 NTSC/PAL 방식 검출 신호로 출력시키는 D플립플롭(102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캐리어 분리수단은 입력되는 외부 복합 영상 신호를 각기 다른 대역으로 필터링을 하여 휘도 성분은 제거하고 NTSC색성분 또는 PAL색성분을 추출하여 제1 및 제2 대역 필터(105a)(105b)와, 상기 제1 및 제2 대역 필ㅌ(105a)(105b)에서 각가 출력되는 신호중 영상 신호의 방식에 매칭되는 색성분만을 스위칭하여 출력시켜주는 제1 스위칭부(105c)와, 상기 제1 스위칭부(105c)에서 출력되는 색성분에서 서브 캐리어만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서브 캐리어 분리기(105d)와, 상기 서브 캐리어 분리기(105d)에서 얻어지는 서브 캐리어와 피이드백 되는 전압 제어 발진기(105f)에서 출력되는 서브 캐리어와의 위상을 비교하고 그 차값을 전압 제어 발진기(105f)에 제어전압으로 인가하는 위상 비교기(105e)와, NTSC 방식에 해당하는 약 3.58MHZ의 주파수를 갖는 서브 캐리어를 발생시키는 제1 수정발진기(105h)와, PAL에 해당하는 약 4.43MHZ의 주파수를 갖는 서브 캐리어를 발생시키는 제2수정발진기(105i)와, 상기 제1 및 제2 수정발진기(105h)(105i)에서 각각 얻어지는 발진 신호중 영상 신호 방식에 매칭되는 발진 신호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제2 스위칭부(105g)와, 상기 제2 스위칭부(105g)에서 출력되는 발진 신호를 입력되는 제어전압으로 조절하여 서브 캐리어 분리기에서 얻어지는 서브 캐리어와 동일한 위상을 갖는 서브 캐리어 신호로 출력시키는 전압제어 발진기(105f)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
KR1019950021355A 1995-07-20 1995-07-20 영상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KR0144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355A KR0144508B1 (ko) 1995-07-20 1995-07-20 영상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355A KR0144508B1 (ko) 1995-07-20 1995-07-20 영상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271A KR970009271A (ko) 1997-02-24
KR0144508B1 true KR0144508B1 (ko) 1998-07-15

Family

ID=1942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355A KR0144508B1 (ko) 1995-07-20 1995-07-20 영상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45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271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16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digitally generated graphics over an analog video signal
US6441860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H0644830B2 (ja) ビデオ信号処理システム
US5146336A (en) Sync control for video overlay
KR0137197B1 (ko)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질 열화방지회로
JPH07105963B2 (ja) 非標準信号検出器
US5172216A (en) Signal waveform display device
KR100717236B1 (ko) 영상 신호 처리 회로
KR100257544B1 (ko) 티브이 시스템의 더블/멀티 윈도우 처리 장치
KR0144508B1 (ko) 영상반주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EP0464879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and the method thereof
KR920007606B1 (ko)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7355653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JPH09135461A (ja) クロック発生回路
KR0182066B1 (ko) 디지탈 방식의 영상신호 변환장치
KR200274172Y1 (ko) 디지털 그래픽 기능을 이용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출력장치
KR960007647B1 (ko) Secam방식 영상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문자발생장치
KR100250874B1 (ko) 색 및 휘도 신호 분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회로
US5168349A (en) Synchronization of color carriers of different color tv standards having the same line frequency
JP4644348B2 (ja) 表示装置
KR910013933A (ko) 디지탈 텔레비젼 수상기의 메인클럭 발생방법 및 회로
JP3304896B2 (ja) Pal方式カラーフレーム検出回路
KR0158410B1 (ko) 동기신호 분리시스템
KR0141129B1 (ko) 색신호 분리장치
JP2604424B2 (ja) 同期分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