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273B1 - 세탁기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건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273B1
KR0144273B1 KR1019940031537A KR19940031537A KR0144273B1 KR 0144273 B1 KR0144273 B1 KR 0144273B1 KR 1019940031537 A KR1019940031537 A KR 1019940031537A KR 19940031537 A KR19940031537 A KR 19940031537A KR 0144273 B1 KR0144273 B1 KR 0144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float
motor
duc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000A (ko
Inventor
조한기
노양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3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4273B1/ko
Publication of KR960018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 및 헹굼시 세탁수가 건조모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는 것으로써, 건조히터에서 발생된 열을 아웃트 터브내로 송풍하여 주도록 하는 건조닥트의 일단에 형성된 건조모터내로 응축닥트를 통하여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수단은 응축닥트애에 내장된 세탁수에 의하여 부상하는 플로트볼과, 상기 플로트볼이 부상함에 따라 건조모터쪽으로 응축수나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로트가스켓에 유입공을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세탁기의 건조장치
제1도는 종래 세탁기의 건조장치를 보인 측면도.
제2도는 종래 세탁기의 건조장치를 보인 사시도.
제3도의 (a)(b)는 종래 세탁기에서 발췌한 건조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세탁기의 건조 장치를 보인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A부를 절단한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 세탁기의 드럼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B부를 절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아웃트터브 112 : 건조닥트
113 : 건조히터 114 : 건조모터
115 : 응축닥트 119 : 플로트볼
120 : 플로트가스켓 121 : 유입공
122 : 플로트하우징 123 : 배수구
본 발명은 세탁기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 및 헹굼시 세탁수가 건조모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는 제 1 도와 같이 아웃트 터브(1)내에 열을 가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히터(2)와, 상기 건조히터(2)에 의하여 세탁물이 건조되면서 발생된 응축수(3)가 아웃트터브(1)내의 한쪽 벽면을 타고 내려와서 배출되는 배수구(4)가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의 탈수가 끝나고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건조히터(2)에서 고온의 열기가 발생하여 아웃트 터브(1)내를 유동함에 따라 발생된 수증기의 일부는 아웃트 터브(1)의 벽면을 타고 내리는 응축수(3)와 결합하여 배수구(4)로 배수되었다.
그러나, 아웃트 터브(1) 내부의 송풍량이 적어 응축수(3)와 접촉되는 아웃트 터브(1)내부의 건조공기량이 적기 때문에 건조히터(2)와 응축수(3)의 작용이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여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제2도와 같이 드럼 세탁기에 적용된 강제송풍식 건조장치는 아웃트 터브(11)의 상부에는 건조닥트(12)내에 형성된 건조히터(13)에서 발생된 열을 송풍시켜 상기 아웃트 터브(11)내로 유입시키는 건조모터(14)를 구성하고, 상기 아웃트 터브(11)의 옆면 사이에는 응축닥트(15)가 구성되며 상기 응축닥터(15)의 상부에는 응축수(16)가 공급되는 응축수구멍(17)과 아웃트 터브(11)의 벽면을 타고 내려와서 배수되는 배수구(18)가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의 탈수가 끝나고 건조 행정이 시작되면 건조히터(13)에서 고온의 열기가 발생하여 건조닥트(12)를 통하여 아웃트 터브(1)내로 유입된다. 상기 아웃트 터브(13)내로 유입된 고온의 열기는 아웃트 터브(1)내부를 순환하면서 세탁물을 건조시키고, 고온다습화된 공기는 아웃트 터브(1)의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건조모터(14)의 작동으로 응축닥트(15)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응축닥트(15)에 유입된 습기는 응축수구멍(17)을 통하여 흘러드는 응축수(16)와 결합하여 배수구(18)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되고 응축수에 의해 저온저습화된 공기는 건조모터(14)를 통과하여 건조히터(13)에서 다시 고온의 열을 받아 아웃트 터브(1) 내부로 유입되는 행정이 건조가 끝날때까지 반복한다.
그리고 제3도의 (a)는 펄세이터 상태이고 (b)느 펄세이터 상태에서 탈수가 완료되면 아웃트 터브(1)가 회전한 드럼상태이다.
이와 같이 드럼상태에서 건조가 시작되는데 제2도와 같은 방식으로 건조히터(13)에서 고온열기가 나와 아웃트 터브(11)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아웃트 터브(1)내부를 순환하고, 일부는 건조모터(14)의 작용으로 유입되고 건조히터(13)에서 다시 고온의 열을 받아 아웃트 터브(11) 내부로 유입되어 건조가 끝날 때까지 이러한 행정이 반복된다.
이상과 같이 제2도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건조행정이 진행죄면 건조모터(13)를 포함한 건조장치의 일부가 아웃트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아웃트 터브가 회전하는 복합세탁기의 건조장치로는 부적당하다.
그리고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펄세이터상태(a)와 드럼상태(b)로 아웃트 터브의 구동시 건조모터와 아웃트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관과 건조히터와 아웃트 터브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수축·팽창이 심하게 되고, 또한 연결관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되기 때문에 건조도와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아웃트 터브내의 세탁수가 응축수닥트를 통하여 건조모터로 유입되어 건조모터가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응축닥트내에 건조모터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건조히터에서 발생된 열을 아웃트 터브내로 송풍하여 주도록 하는 건조닥트의 일단에 형성된 건조모터내로 응축닥트를 통하여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조모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세탁기의 건조장치를 제4도 내지 제7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아웃트 터브(111)의 상부에는 건조닥트(112)내에 형성된 건조히터(113)에서 발생된 열을 송풍시켜 상기 아웃트 터브(111)내로 유입시키는 건조모터(114)를 구성하고, 상기 아웃트 터브(111)의 옆면 사이에는 응축닥트(115)가 구성되며 상기 응축닥터(115)의 상부에는 응축수(116)가 공급되는 응축수 구멍(117)과 아웃트 터브(111)의 벽면을 타고 내려와서 배수되는 배수구(118)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건조히터(113)에서 발생된 열을 아웃트 터브(111)내로 송풍하여 주도록 하는 건조닥트(112)의 일단에 형성된 건조모터(114)내로 응축닥트를 통하여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수단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유입방지수단은 응축닥트(115)내에 내장되어 세탁수에 의하여 부상하는 플로트볼(119)과, 상기 플로트볼(119)이 부상함에 따라 건조모터(114)쪽으로 응축수가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로트 가스켓(12)에 유입공(121)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볼(111)이 펄세이터 상태에서 드럼상태로 전환시 응축닥트(115)쪽으로 들어지 않고 내장될 수 있는 플로트하우징(122)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하우징(122)내에는 펄세이터 상태에서 드럼상태로 전환시 세탁수가 차는 것을 방지하도록 세탁수가 배수되는 배수구(123)를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세탁이나 헹굼 및 탈수 행정은 제4도와 같이 펄세이터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즉, 세탁이나 헹굼의 행정시는 세탁수의 수위가 건조모터(114)보다 높게 되므로 응축닥트(115)내에 내장된 플로트볼(119)이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플로트가스켓(120)의 유입공(121)을 막아주게 되므로 건조모터(114)에 세탁수의 유입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6도와 같이 드럼상태에서 세탁이나 헹굼이 이루어 지는 것으로서 이때, 응축닥트(115)내에 내장된 플로트볼(119)의 반경이 응축닥트(115)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플로트볼(119)은 플로트하우징(122)안으로 흘러들어 가게된다.
그리고, 플로트하우징(122)안에 세탁수가 유입되므로 이를 밖으로 유출하기 위하여 배수구(123)가 있다.
그리고, 건조행정은 제6도와 같이 아웃트 터브(111)가 수평으로 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때는 제7도와 같이 플로트가스켓(120)이 열려있으므로 건조히터(113)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건조닥트(112)를 통하여 아웃트 터브(111)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아웃트 터브(111)로 유입된 고온의 공기는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건조모터(114)의 작용으로 응축닥트(115)로 유입되고, 응축닥트(115)로 유입된 고온다습한 공기는 응축수구멍(117)로 유입된 응축수(116)와 만나 습기가 제거되며 제거된 습기는 응축닥트(115)를 타고 내려와 배수구(118)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습기가 제거되어 저온저습화된 공기는 건조모터(114)를 통하고, 건조히터(113)에서 다시 가열되어 건조닥트(112)를 통하여 아웃트 터브(111) 내부로 유입되는 건조행정은 건조가 끝날때까지 반복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건조장치 일체가 아웃트 터브에 직접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장치를 아웃트케이스에 부착시킬 때 보다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이 건조장치를 아웃트 터브의 바깥 벽면에 비활용 공간에 부착가능하기 때문에 세탁기 전체적인 크기를 콤팩트화하게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모터와 응축탁트사이에 세탁수 유입방지수단 구비함으로써 펄세이터상태에서 건조모터로 세탁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적인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4)

  1. 건조히터에서 발생된 열을 아웃트 터브내로 송풍하여 주도록 하는 건조닥트의 일단에 형성된 건조모터내로 응축닥트를 통하여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유입방지수단은 응축닥트내에 내장되어 세탁수에 의하여 부상하는 플로트볼과, 상기 플로트볼이 부상함에 따라 건조모터쪽으로 응축수가 세탁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로트 가스켓에 유입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플로트볼이 펄세이터 상태에서 드럼상태로 전환시 응축닥트 쪽으로 늘어가지 않고 내장될 수 있는 플로트 하우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플로트하우징 내에는 펄세이터상태에서 드럼상태로 전환시 세탁수가 배수되어 차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건조장치.
KR1019940031537A 1994-11-28 1994-11-28 세탁기의 건조장치 KR0144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537A KR0144273B1 (ko) 1994-11-28 1994-11-28 세탁기의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537A KR0144273B1 (ko) 1994-11-28 1994-11-28 세탁기의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000A KR960018000A (ko) 1996-06-17
KR0144273B1 true KR0144273B1 (ko) 1998-10-01

Family

ID=1939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537A KR0144273B1 (ko) 1994-11-28 1994-11-28 세탁기의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42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000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083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100716353B1 (ko) 의류 건조 장치
JP4531414B2 (ja) 洗濯乾燥機
KR100597742B1 (ko) 세탁기
JP2004135715A (ja) 洗濯乾燥機
JP2005304987A (ja) 衣類乾燥装置
KR20050099251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JPH11164996A (ja) ドラム式全自動洗濯乾燥機
JP2007289559A (ja) 洗濯乾燥機
JP4413639B2 (ja) 洗濯乾燥機
KR0144273B1 (ko) 세탁기의 건조장치
JPH11164980A (ja) ドラム式全自動洗濯乾燥機
KR100474328B1 (ko)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KR100697021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100382505B1 (ko) 건조세탁기용 제습장치
JPH11164982A (ja) ドラム式全自動洗濯乾燥機
KR0172929B1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장치
KR0184189B1 (ko) 건조겸용 세탁기의 응축장치
JPH11164979A (ja) ドラム式全自動洗濯乾燥機
KR100465192B1 (ko) 건조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JP4356390B2 (ja) 洗濯乾燥機
KR19980067224U (ko) 드럼세탁기의 물순환장치
KR0122442Y1 (ko) 건조세탁기
KR0127663Y1 (ko)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KR100413445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