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929B1 - 츄잉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츄잉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929B1
KR0142929B1 KR1019950005758A KR19950005758A KR0142929B1 KR 0142929 B1 KR0142929 B1 KR 0142929B1 KR 1019950005758 A KR1019950005758 A KR 1019950005758A KR 19950005758 A KR19950005758 A KR 19950005758A KR 0142929 B1 KR0142929 B1 KR 0142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itamin
chewing gum
present
bad br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273A (ko
Inventor
박치걸
이의선
장영열
권익부
Original Assignee
김규식
롯데제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식, 롯데제과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규식
Priority to KR101995000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929B1/ko
Publication of KR96003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929B1/ko

Links

Landscapes

  • Confection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츄잉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츄잉껌 제조시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켜 주는 구루메, 비타민 C, 인삼엑기스, 비타민 B1,비타민 B2, 꿀, 바이오자임(Biozyme)과 구취제거 효과가 있는 녹차 후라보노이드 및 엽록소를 포함시킴으로써 숙취를 완화시키면서 구취제거 효과가 있는 새로운 차원의 츄잉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츄잉 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츄잉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츄잉껌 제조시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켜 주는 구루메, 비타민 C, 인삼엑기스, 비타민 B1,비타민 B2,꿀, 바이오자임(Biozyme)과 구취제거 효과가 있는 녹차 후라보노이드 및 엽록소를 포함시킴으로써 숙취를 완화시키면서 구취제거 효과가 있는 새로운 차원의 츄잉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대인관계에서나 직장에서나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방편으로 많은 사람들이 술을 마시고 있다. 또한, 접대 측면에서 자의든 타의든 술을 마시게 되며 음주 다음날은 머리가 아프고, 눈이 충혈되고, 술냄새가 나며, 속이 아프고 메스꺼운 증상등이 나타나는데 이것이 숙취이다. 이와같은 숙취가 남는다는 것은 체내에 아직 덜 산화된 알콜이 남아 있다는 것으로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켜 주는 식품을 섭취하여 주독과 숙취를 해소해야 한다. 여기서 알코올 분해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면, 알코올의 섭취시 위장에서는 위안쪽을 덮는 점막에서 알코올을 흡수하여 모세혈관, 문맥을 거쳐 최종적으로 간으로 흡수된다. 위장에서는 알코올 총량의 20%를 흡수한다. 소장에서는 소장점막을 통해 흡수되고, 혈관, 문맥을 통해 간으로 이동되며 총 80%가 흡수된다. 간장은 거대한 화학공장으로위장,십이지장,소장을 통해 흡수된 알코올이 간장으로 들어와 흡수 처리된다. 알코올의 분해는 ADH(Alcoholdehydrogenase), MEO(Microsomal ethanol oxidative), 카탈라아제(Catalase)를 통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되고 다시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되어 최종 이산화탄소와 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과 같은 일련의 대사과정에서 알코올 대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ADH,MEO,ALDH, 미토콘드리아의 생성을 촉진시켜 줄 수 있는 물질들을 이용하여야 한다. 지금까지 일반적인 숙취해소는 콩나물국, 북어국 및 김치국물 등의 음식물을 섭취하는 방법이었는데, 이 방법들은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방법에 비하여 보다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숙취를 완화시키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알콜대사를 촉진시켜 주는 구루메, 비타민 C, 인삼엑기스 등을 첨가한 츄잉껌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키는 물질을 포함하여 숙취를 완화시킬 수 있는 츄잉껌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츄잉껌 조성에 있어서, 껌베이스 20~25 중량%, 구루메 0.05~0.5중량%, 비타민 C 0.1~0.5 중량%, 벌꿀 0.1~0.5 중량%, 바이오자임 0.01~0.5 중량%, 인삼엑기스 0.02~0.2 중량%, 비타민 B1 0.001~0.05 중량%, 비타민 B2 0.001~0.05 중량%, 동엽록소나트륨 및 녹차엑기스 혼합물 0.01~0.05중량%, 설탕 52~57 중량%, 포도당 8~12 중량%, 물엿 8~12중량%,연화제0.1~0.3중량%, 구연산 및 사과산 0.5~1.5중량%,, 후르츠 향료 0.5~1.5 중량% 및 유화제 0.1~1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알코올 대사를 촉진하여 숙취를 완화시킬 수 있는 츄잉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중 구루메는 미배아(쌀,대두) 발효 엑기스를 농축한 것으로 알코올 성분을 완화하여 간 기능을 활성화하고 알코올 분자를 포접하여 혈중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장내 균총(FLORA)을 활성화시키고 장내 이상발효를 억제한다. 그리고, SOD(Superoxide dismutase) 작용으로 불포화 이중결합이 많아 항산화 작용을 함으로써 체내에서 과잉 생산된 활성산소를 소거시켜 체내 항상성(Homeostasis)을 증가시켜 주는 역할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C는 강력한 환원제로서 분자교정 및 콜라젠(Collagen)형성, 그리고 항바이러스 작용 등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벌꿀은 예로부터 음주후에 마셔오던 것으로서 원기를 회복시켜 주고, 피로회복, 숙취예방에 효과가 탁월하다. 바이오자임(Biozyme)은 각종 식물,맥아 등을 장기간 저온 발효로 숙성시켜 얻은 효소의 일종으로 인체 생리활성 물질이며, 알코올 분해효소의 생성을 촉진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엑기스는 자양, 강장 및 항암작용을 갖는 것으로 익히 알려져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70 Bx인 것으로 0.02~0.2중량% 첨가한다. 비타민 B1,B2 는 조효소 역할을 하며 카르복실라아제의 성분이고 비타민 B2는 산화, 환원효소인 FMN(Flavine mononucleotide), FAD(Flavine adenine dinucleotide) 의 구성성분으로서 공히 0.001~0.05 중량% 첨가한다. 상기와 같은 7종의 물질들은 알코올의 대사를 촉진하여 숙취완화 작용을 하는데, 상기 사용범위를 벗어나면 기대하는 효과가 미미하거나 비경제적이다. 그리고 음주에 따른 구취를 고려하여 구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동엽록소나트륨과 녹차엑기스를 혼합하여 0.01~0.05중량% 첨가한다. 이때 동엽록소나트륨과 녹차엑기스의 혼합비는 1:1.5~1: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외에 껌의 제조를 위해 껌베이스, 감미료로 설탕,포도당 및 물엿, 연화제, 향기부여를 위해 후르츠 향료, 구연산 및 사과산 그리고 기타 원료로서 유화제, 솔비톨 등을 사용한다.
이와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츄잉껌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후르츠 향료를 제외한 상기의 원료들을 60~70 ℃로 예비 가열한 믹서에 넣고 믹서 내부온도를 55 ℃이하로 유지시키면서 후르츠 향료를 첨가한 다음 30분동안 혼합하고 추출시켜 압연한 후 24~48시간 숙성시킨다. 여기서 믹서를 예비 가열하는 것은 원료의 혼합성을 좋게하고 믹서의 부하를 적게하기 위한 것이고, 예비 가열 후 향료를 첨가하는 것은 향의 지속성을 연장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나서, 압연수성시킨 것을 재단하여 포장함으로써 본 발명의 숙취를 완화 시킬수 있는 츄잉껌을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껌베이스 200g, 설탕 500g, 포도당 100g, 물엿 80g, 연화제 3g, 구루메 1g, 인삼엑기스 0.5g, 비타민 C 2g, 비타민 B1 0.04g, 비타민 B2 0.04g, 벌꿀 3g, 바이오자임 0.5g, 동엽록소나트륨 및 녹차엑기스 혼합물 0.36g, 구연산 및 사과산 12g, 유화제 2g은 50~60 ℃ 로 예비가열한 믹서에 넣어 혼합한 후, 믹서 내부온도를 55 ℃로 유지하면서 후르츠 향료 9g을 첨가한 다음 30분동안 혼합하고 추출하여 압연하였다. 그리고 나서 24~48시간 숙성시킨 후 재단하고 포장하여 본 발명의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껌베이스 200g, 설탕 500g, 포도당 100g, 물엿 80g, 연화제 3g, 후르츠 향료 9g, 구연산 및 사과산 12g, 유화제 4g을 예비가열한 믹서에 각 원료를 넣고 혼합한 후 믹서내부 온도를 55 ℃로 유지시키면서 약 30분동안 혼합하고 추출하여 압연한 후 24~48시간 숙성시키고 재단하여 포장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츄잉껌의 두통,메스꺼움, 현기증, 입냄새 등의 숙취완화 및 구취제거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여기서 관능평가의 방법은 20대 남자 10명, 30대남자 10명을 선정하여 피실험자로 하고 평가실시하루전 2홉들이 소주1병을 각각 마신 후, 실시당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츄잉껌 각각을 2개씩(약6g)을 5분이상 씹는다. 공정한 실험을 위하여 피실험자중 연령별 인원의 절반은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츄잉껌을 먼저 씹은 후 숙취완화 정도를 평가하고, 다른 절반의 인원은 실시예1에 의해 제조된 츄잉껌을 먼저 씹은 다음 두시간 경과 후 이전의 실험과 반대로 하여 숙취완화 정도의 입냄새 제거 정도를 평가하였다.
A: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입냄새 등의 숙취완화에 효과가 탁월하다.
B: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입냄새 등의 숙취완화에 어느정도 우수하다.
C: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입냄새 등의 숙취완화에 효과가 약간있다.
D: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입냄새 등의 숙취완화에 효과가 별로없다
E: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입냄새 등의 숙취완화에 효과가 거의 없다.
상기표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츄잉껌에 비교예에 비하여 효과가 뛰어나다거나 효과가 있다고 평가한 인원이 4배정도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츄잉껌은 숙취를 완화시키고 아울러 구취를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껌이라고 할수 있겠다.

Claims (2)

  1. 껌베이스 20~25중량%, 구루메 0.05~0.5중량%, 비타민 C 0.1~0.5중량%, 벌꿀 0.1~0.5중량%, 바이오자임 0.01~0.5중량%, 인삼엑기스 0.02~0.2중량%, 비타민 B1 0.001~0.05중량%, 비타민 B2 0.001~0.05중량%,동엽록소나트륨 및 녹차엑기스 혼합물 0.01~0.05 중량%, 설탕 52~57중량%, 포도당 8 ~ 12 중량%,물엿 8 ~ 12 중량%, 연화제 0.1~0.3 중량%,구연산 및 사과산 0.5~1.5중량%, 후르츠 향료 0.5~1.5 중량% 및 유화제 0.1~1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껌 조성물.
  2. 껌베이스 20~25중량%, 구루메 0.05~0.5중량%, 비타민 C 0.1~0.5중량%, 벌꿀 0.1~0.5중량%, 바이오자임 0.01~0.5중량%, 인삼엑기스 (70°Bx) 0.02~0.2중량%, 비타민 B1 0.001~0.5중량%, 비타민 B2 0.001~0.05중량%,동엽록소나트륨 및 녹차엑기스 혼합물 0.01~0.05 중량%, 설탕 52~57중량%, 포도당 8~12중량%, 물엿 8~12중량%, 연화제 0.1~0.3 중량%, 구연산 및 사과산 0.5~1.5 중량% 및 유화제 0.1~1 중량%를 60~70 ℃로 예비가열한 믹서에 넣고 혼합한 후, 믹서 내부온도를 55 ℃ 이하로 유지시키면서 후르츠 향료 0.5~1.5 중량 %를 첨가한 다음 30분동안 혼합하고 추출시켜 압연한 후 24~48시간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껌의 제조방법.
KR1019950005758A 1995-03-20 1995-03-20 츄잉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0142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5758A KR0142929B1 (ko) 1995-03-20 1995-03-20 츄잉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5758A KR0142929B1 (ko) 1995-03-20 1995-03-20 츄잉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273A KR960033273A (ko) 1996-10-22
KR0142929B1 true KR0142929B1 (ko) 1998-07-01

Family

ID=6654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758A KR0142929B1 (ko) 1995-03-20 1995-03-20 츄잉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9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434A (ko) * 2002-07-06 2002-08-13 임병윤 녹차 또는 발효녹차의 잎이 함유된 츄잉껌
CN106035967A (zh) * 2016-05-27 2016-10-26 徐州猎奇商贸有限公司 一种护肝养胃的解酒口香糖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503B1 (ko) * 1998-09-30 2001-10-26 김수열 비타민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434A (ko) * 2002-07-06 2002-08-13 임병윤 녹차 또는 발효녹차의 잎이 함유된 츄잉껌
CN106035967A (zh) * 2016-05-27 2016-10-26 徐州猎奇商贸有限公司 一种护肝养胃的解酒口香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273A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59128A1 (en) Alcohol metabolism enhancer and alcoholic beverage
KR102229323B1 (ko) 숙취해소용 청정자연차의 제조방법
KR20120054826A (ko) 흑 막걸리 제조방법
KR101690413B1 (ko) 아로니아 열매를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
US20240164421A1 (en) Naturally fermented composition of pollen using glacial snow wat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0142929B1 (ko) 츄잉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90084588A (ko) 천연 과채류 즙을 이용한 천연탄산차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767802B1 (ko) 감식초를 함유하는 건강 기능성 음료
KR20030002893A (ko) 매실 추출물을 이용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2307634B1 (ko) 유황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곶감의 제조방법
KR20220062243A (ko) 색도와 향미가 개선된 오미자 막걸리
KR101706848B1 (ko) 비타민 c를 이용한 베리 발효물의 제조방법
WO2017119574A1 (ko) 탱자 추출액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080374A (zh) 一种山楂红枣发酵酒及其酿造方法
KR101133898B1 (ko) 발효곶감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540498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KR20080092045A (ko)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KR102370235B1 (ko) 숙취해소용 순수자연차의 제조방법
KR20150053649A (ko) 오미자를 이용한 생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JPS625589B2 (ko)
KR100520985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KR100969858B1 (ko) 더덕을 첨가 발효시킨 기능성 더덕 약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05764B1 (ko)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 및 갈화 추출액을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20190091237A (ko) 숙취해소용 혼합발효 추출액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