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753B1 - 맨홀 제작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맨홀 제작용 거푸집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753B1
KR0142753B1 KR1019950010131A KR19950010131A KR0142753B1 KR 0142753 B1 KR0142753 B1 KR 0142753B1 KR 1019950010131 A KR1019950010131 A KR 1019950010131A KR 19950010131 A KR19950010131 A KR 19950010131A KR 0142753 B1 KR0142753 B1 KR 0142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manhole
inner formwork
manufactur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019A (ko
Inventor
김동수
박윤제
연규석
이광표
Original Assignee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조백제
Priority to KR101995001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753B1/ko
Publication of KR96003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3Re-usable forms
    • E04G15/068Re-usable forms for channels open towards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3Re-usable forms
    • E04G15/065Re-usable forms with mechanical means to modify the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용 맨홀을 제작하기 위한 맨홀 제조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내측 거푸집의 측벽 내측에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결착시키고 조절밸브에 의해 실린더내로 공급되는 공기압 또는 유압을 조정하여 외측 거푸집의 사방 측벽과 내측 거푸집의 사방 측벽사이에 충진된 콘크리트의 경화수축에 따라 내측 거푸집이 함께 이동이 되도록 하므로써 콘크리트 경화수축에 따른 잔유응력이 콘크리트 내부에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 보다 양호한 품질의 맨홀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맨홀 제작용 거푸집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제작용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맨홀의 사시도
제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제작용 거푸집의 평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제2c도는 제2b도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제2d도는 제2b도의 A 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맨홀 상부블럭 2 : 맨홀 하부블럭
10 : 맨홀 13 : 외측 거푸집
14 : 내측 거푸집 16 : 힌지
24 : 실린더 30 : 거푸집
50 : 내측 거푸집 이동범위 조정장치
본 발명은 통신용 맨홀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측 거푸집이 맨홀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재료의 경화수축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맨홀을 형성하는 재료의 내부에 잔류응력을 제거하므로써 맨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맨홀 제조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 제조시 사용되는 재료로는 세멘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콘크리트등의 재료가 사용되어 지는데, 이러한 재료의 물리적 특성의 하나로 맨홀 형성시 거푸집내에서 경화됨에 따른 수축현상이다. 상기 경화 수축현상은 콘크리트가 경화되면서 재료자체의 체적이 수축하는 현상으로 경화시간 및 경화시의 주위온도에 따라 그 값의 차이를 보인다. 상기 콘크리트 재료실험을 통하여 나타난 바에 의하면, 폴리머 콘크리트의 경화 수축량은 그 배합 수지량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그 범위는 약 2/1000-6/1000정도에 이른다.
따라서 폴리머 콘크리터를 이용하여 맨홀과 같은 박스형 구조물을 만들고자 할 때에는 콘크리트의 경화시 발생하는 경화 수축량을 고려한 구조물 제작용 거푸집을 사용해야 한다. 즉,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내측 거푸집이 콘크리트 경화와 동시에 그 수축량만큼 수축할 수 있도록 가동식 거푸집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맨홀 제작용 거푸집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경화시 발생되는 경화 수축량을 고려하여 내측 거푸집이 수축되지 않는 고정식 거푸집으로 되어 있어 콘크리트 수축에 따른 내부응력이 맨홀을 형성하는 재료의 내부에 잔류하게 되어 맨홀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맨홀 제조시 내측 거푸집을 콘크리트 경화 수축에 따라 수축이 가능하도록 하여 맨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맨홀 제작용 거푸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 밑판과 힌지에 의해 최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 거푸집과, 상기 외측 거푸집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위치한 상판 및 사방 측면판으로 형성된 내측 거푸집을 포함하는 맨홀 제조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내측 거푸집의 사방 측면판 내측에 내측 거푸집 이동장치가 구비되어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맨홀 형성용 재료의 경화수축에 따라 내측 거푸집의 사방 측면판이 함께 이동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내측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된 실린더의 공기압 또는 유압 조절에 의해 내측 거푸집의 각 측면판들을 적적하게 가동할 수 있게 하므로써 맨홀 제조용 재료의 경화수축에 따른 재료자체의 잔류응력을 제거하여 양호한 품질의 맨홀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제작용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맨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에 의해 제조하고자 하는 통신용 맨홀(10)은 전체적으로 박스형태의 구조물을 형성되며, 상부블럭(1)과 하부블럭(2)의 2개의 블럭으로 구분되어 제조된 후, 상부블럭(1) 및 하부블럭(2)을 중간 접합부(3)에서 결합시켜 완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박스형 구조물의 맨홀(10)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도 맨홀의 상부블럭(1)과 하부블럭(2)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도록 2분할 되어있다. 따라서, 맨홀의 상부블럭(1)과 하부블럭(2)을 형성하기 위한 상부 거푸집과 하부 거푸집은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상부 거푸집상에 맨홀 뚜껑 설치를 위한 원형판이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점만이 다르다.
맨홀(10)의 상부는 도시된 바와같이, 맨홀뚜껑이 설치되기 위한 원형홈(5)이 형성되어 있고, 맨홀의 일 측면부에는 전선관 인입부를 부착되기위한 공간(4)이 마련되어 있다.
제2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제조용 거푸집의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제조용 거푸집(30)은 맨홀을 형성하기 위해 외측에 위치하여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외측 거푸집(13)과 상기 외측 거푸집(13)의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측 거푸집(13)과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한 내측 거푸집(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b도는 제2a도의 A-A' 에 따른 단면도이고, 제2c도는 제2b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제2a도 내지 제2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측 거푸집(13)과 내측 거푸집(14)사이에 형성된 공간(19)으로 맨홀을 형성하기 위한 세멘트 콘크리트 또는 폴리머 콘크리트 재료가 충진되고, 외측 거푸집(13)의 측면에 부착된 진동기(22)를 이용 진동을 가하여 충진된 재료가 균등한 분포가 되게 한 후에 재료를 경화시키고 양생하므로써 맨홀을 완성한다. 내측 거푸집(14)의 내측으로는 내측 거푸집(14)의 각 구성부재가 사방으로 일정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거푸집 이동장치(23,24,25,26)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거푸집 이동장치(23,24,25,26)는 외측 거푸집(13)과 내측 거푸집(14)사이에 충진되어 삽입되는 콘크리트 재료의 경화수축에 따라 내측 거푸집(14)을 가동식으로 할 수 있게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내측 거푸집(14)은 내측 거푸집(14)을 이루는 각 구성 부재의 모서리부가 서로 분할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고 있는 각 측면판들은 연결부재(23) 예컨데, 원형봉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재(23)의 사이에는 실린더(24)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24)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내측 거푸집(14)의 측면판들에 연결된 연결부재(23)를 양 측으로 팽창 또는 수축 시킬 수 있도록 공기압이나 유압을 이용해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상기 실린더(24)는 실린더(24)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 공급용 호스(26)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공기의 압력에 의해 실린더(24)에 양측에 연결된 연결부재(23)가 내측 거푸집(14)의 측면판들을 밀게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24)의 내부를 공기압이 걸리지 않고 대기압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 외측 거푸집(13)과 내측 거푸집(14)의 사이에 충진된 콘크리트 재료의 경화수축에 따라 내측 거푸집(14)의 각 측면판들은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게된다.
외측 거푸집(13)의 하부에는 거푸집의 하부 기판(20)에 외측 거푸집(13)을 고정시키기 위한 힌지(21)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측 거푸집(14)내측으로는 내측 거푸집(14)의 각 측면판 내측면에 연결부재(23)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연결부재(23)를 3 방향 즉,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실린더(24)에는 공기 또는 유압 공급용 호스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23)에 공급되는 공기압 또는 유압은 상기 각 연결호스(26)에 부착된 조절밸브(2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제2d도는 제2b도의 A부 상세도로서, 내측 거푸집의 이동범위 조정장치(5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측 거푸집(14)의 측면판들이 밀리는 정도를 일정범위내에서 조정하기 위해 내측 거푸집(14)의 모서리부에는 이동범위 조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즉, 내측 거푸집의 측면판(14a, 14b)이 좌,우 측방향으로 이동할 시, 일정한 범위내에서만 이동이 되게 하기 위해, 내측 거푸집의 측면판 (14a)이 우측으로 이동할 시는 이동범위 조정장치(50)의 연결부재(52)와 연결부재(53)에 의한 간섭으로 그 간격이 조정되며, 내측 거푸집의 측면판(14a)이 좌측으로 이동할 시는 이동범위 조정장치(50)의 연결부재(53)과 조정나사(51)에 의한 간섭으로 그 간격이 조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간의 상호 간섭거리는 각 연결부재에 설치된 조정나사(51)에 의해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내측 거푸집(14)의 이동범위 조정장치(50)는 내측 거푸집(14)의 각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서로 대향한 측면판들의 이동거리를 일정한 범위내에서만 이동가능하도록 조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제조용 거푸집을 사용하여 맨홀을 형성하는 공정단계를 제2a도 내지 제2c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맨홀(10)의 상부블럭(1) 또는 하부블럭(2)을 제작하기 위하여 외측 거푸집(13)과 내측 거푸집(14)을 조립한다. 조립시는, 우선 내측 거푸집(14)의 각 구성부재 즉, 상판 전체면과 내측 거푸집 측면판의 외측면(제2a도의18)에 박리제를 도포한 후, 내측 거푸집(14)의 측면판 주위로 와이어 매쉬를 설치하고 그 다음 외측 거푸집(13)의 내부 측면판 내측면벽에 박리제를 도포한다. 다음, 외측 거푸집(13)의 외측 하부에 설치된 힌지(16)를 이용하여 하부 밑판(20)과 연결되어 있는 외측 거푸집(13)의 4측측벽 모두를 닫아 볼트(17)로 조여 결합시킨다. 다음, 조절밸브(25)를 조정하여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로부터 내측 거푸집(14)의 측벽과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24)내부로 공기 공급호스(26)를 통해 공기를 주입한다. 이때, 상기 주입된 공기는 그 압력으로 실린더(24)에 연결된 연결부재(23)를 외부로 팽창시키므로써 내측 거푸집(14)의 측면판들이 외측 거푸집(13) 쪽을 향하여 움직이도록 한다. 내측 거푸집(14)의 측면판들을 공기압을 이용하여 팽창시킨 상태에서 맨홀 형성 재료인 콘크리트를 외측 거푸집(13)과 내측 거푸집(14)의 사이 공간에 삽입하여 충진시킨다. 다음, 외측 거푸집(13)의 외측에 설치된 진동기(22)를 이용, 진동을 가하여 내부 콘크리트가 균등한 분포를 이루도록 한다. 다음에는 충진된 콘크리트가 경화되고 또한, 경화에 따른 수축이 일어날 때까지 내측 거푸집(14)의 팽창상태를 일정시간 유지시켜 준다.
이때, 내측 거푸집(14) 측면판의 밀리는 정도는 내측 거푸집 이동범위 조정장치(50)에 의해 조정되며, 상기 이동범위 조정장치(50)는 내측 거푸집(14)의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조정나사(51)와, 이동시 수평 또는 수직이동이 되게하는 평행이동 장치(54,55)로 구성되며, 상기 평행이동 장치는 끼움쇠(54)와 상기 끼움쇠(54)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55)로 이뤄진다.
다음, 상기와 같은 경화수축이 일어나기까지 팽창단계를 일정시간 유지시킨 후, 콘크리트의 성형성이 유지되는 단계 즉, 콘크리트의 경화 및 수축이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내측 거푸집(14) 측면판을 팽창시켜 주고 있던 실린더(24) 내부의 압력을 조절밸브(25)로 조정하여 대기압 상태로 바꿔준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경화수축에 따라 내부 거푸집(14)측면판이 외측 거푸집(13) 쪽으로 따라 들어올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 수축에 따른 잔류응력이 콘크리트내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측 거푸집(14)의 측면판이 외측 거푸집(13) 쪽으로 밀려 들어간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시킨 후, 콘크리트의 경화 수축이 상당히 진전된 후에 조절밸브(25)를 조정하여 내측 거푸집(14)을 팽창시킬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주입하므로써 실린더(24)와 연결된 연결부재(23)를 수축시켜 내측 거푸집(14)을 해체한 후, 양생된 콘크리트를 외측 거푸집(13)으로부터 탈형시키면 완성된 맨홀(1 또는 2)을 얻게된다. 이때, 내측 거푸집(14)의 각 측면판의 접합부가 작동시 원만히 움직일 수 있고 탈형시 서로 맞물리지 않도록 상판 및 측판들이 서로 분할되어 일정한 유격이 형성되도록 한다. 맨홀의 상,하 접합부(3)는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턱을 만들어 그 두께를 크게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제조용 거푸집은 내측 거푸집의 측벽 내측에 공기압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된 연결부재를 결착시켜 외측 거푸집의 사방 측벽과 내측 거푸집의 사방 측벽사이에 충진된 콘크리트의 경화수축에 따라 적절하게 함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콘크리트 경화수축에 따른 잔유응력이 콘크리트 내부에 남아있지 않도록 하므로써 보다 양호한 품질의 맨홀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6)

  1. 하부 밑판과 힌지에 의해 최 외측에 고정되는 외측 거푸집과, 상기 외측 거푸집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 위치한 상판 및 사방 측면판으로 형성된 내측 거푸집을 포함하는 맨홀 제조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내측 거푸집의 사방 측면판 내측에 내측 거푸집 이동장치가 구비되어 외측 거푸집과 내측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 맨홀 형성용재료의 경화수축에 따라 내측 거푸집의 사방 측면판이 함께 이동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조용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거푸집 이동장치는 내측 거푸집의 사방 측면판의 내측에 설치되며 서로 대향한 측면판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부재를 팽창 또는 수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조용 거푸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연결 호스를 통해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조용 거푸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거푸집은 거푸집을 형성하는 구성부재인 상판 및 각 측면판의 접합부분이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조용 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거푸집의 측면판의 각 모서리부에 내측 거푸집의 이동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이동범위 조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조용 거푸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범위 조정장치는 내측 거푸집의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나사와, 이동시 수평 또는 수직이동이 되게하는 평행이동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제조용 거푸집.
KR1019950010131A 1995-04-27 1995-04-27 맨홀 제작용 거푸집 KR014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131A KR0142753B1 (ko) 1995-04-27 1995-04-27 맨홀 제작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131A KR0142753B1 (ko) 1995-04-27 1995-04-27 맨홀 제작용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019A KR960038019A (ko) 1996-11-19
KR0142753B1 true KR0142753B1 (ko) 1998-09-15

Family

ID=1941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131A KR0142753B1 (ko) 1995-04-27 1995-04-27 맨홀 제작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518B1 (ko) * 1997-12-29 2000-08-01 이계철 맨홀제조용거푸집
KR100736216B1 (ko) * 2001-09-28 2007-07-06 주식회사 케이티 수축형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019A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1621A (en) Injection molds intended for the production of composite bodies such as multicolored light covers or components made of several different materials
KR0142753B1 (ko) 맨홀 제작용 거푸집
KR20000064381A (ko) 몰드표면과축방향으로상호맞물리는치형을구비한동기식구동벨트를제조하는방법및장치
US4323218A (en) Inflatable core for use in forming a thermal break in a metal frame for a door or window
JP3650782B2 (ja) プレキャスト板製作用型枠
KR100263518B1 (ko) 맨홀제조용거푸집
JP3168008B2 (ja) 緘封フレームのコーナー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7425968B2 (ja) 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製建材の製造方法
JP254608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法
KR101005671B1 (ko) 금속재 프레임 훅크 돌출 부위 누설 방지 기능을 갖는 성형 몰드
KR101956696B1 (ko) 가변형 바닥몰드를 구비한 fslm 거더용 몰드
KR102554601B1 (ko) 가변형 콘크리트 몰드의 구조
JP2939856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2630747B1 (ko) 비정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제작을 위한 3d 프린팅에 의한 비정형 하이브리드 거푸집 제작 공법
US4952282A (en) Pattern plate for making moulds intended for the production by sand casting of window seals or similar articles having an undercut bead
KR10179684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제작용 다변형 몰드장치
CN219054755U (zh) 一种预制构件生产装置
CN214772802U (zh) 地下预制构件的成型模具
JPH0575562B2 (ko)
JPS5845855Y2 (ja) コンクリ−ト構造物の中空部成形用中子
JPH08229904A (ja) 中空孔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中空孔成形用中型
SK16995A3 (en) Method of vibration-pressing and apparatus for realization of this method
KR0128126Y1 (ko) 콘크리트 옹벽구조물 신축 조인트
JP3228014B2 (ja) 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角孔成形用中型
WO200612870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uld, method for arranging an edge around a panel and a mou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