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243B1 - 하수지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 - Google Patents

하수지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243B1
KR0142243B1 KR1019950009811A KR19950009811A KR0142243B1 KR 0142243 B1 KR0142243 B1 KR 0142243B1 KR 1019950009811 A KR1019950009811 A KR 1019950009811A KR 19950009811 A KR19950009811 A KR 19950009811A KR 0142243 B1 KR0142243 B1 KR 0142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pipe
self
camera head
propelled vehic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003A (ko
Inventor
고영균
Original Assignee
고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균 filed Critical 고영균
Priority to KR101995000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243B1/ko
Publication of KR960038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12Installations enabling inspection personnel to drive along sewer ca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지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에 관한 것으로, 이는 프레임(1) 내부에 바퀴(11a)를 구동하는 정역 모터(11)가 내장되고, 전방에는 라이트(12)가 설치되며, 후방에는 자주차를 인출하기 위한 견인 와이어(13)가 결속되는 자주차(10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 상부에,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케이블(4)이 내장 몰딩되는 플렉시블 튜브(3)와, 이 플렉시블 튜브(3)선단에 설치되는 카메라 헤드(2)와, 상기 카메라 헤드(2)를 진퇴시키는 이송수단(6)과, 상기 이송수단(6)에 의해 이송되는 카메라 헤드(2)를 프레임(1) 전방에서 방향을 변위시켜 하수지관으로 안내 유입시키는 지관 안내수단(7)이 구비되어 자주차(100)상에 설치된 이송수단(6)과 지관 안내수단(7)에 카메라 헤드(2)를 하수지관내로 안내 유입시켜 하수지관을 조사할 수 있으며, 자주차(100)가 장애물에 걸려서 더 이상의 진입이 곤란할 경우에도 상기 장애물 너머의 하수관 내부상태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지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설명도로서 바퀴를 분리시킨 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용 설명도로서,
(a)는 직관 또는 상측 하수지관조사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제 정면도.
(b)는 좌측 또는 우측 하수지관조사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카메라 헤드
3 : 플렉시블 튜브 4 : 전선 케이블
5 : 지지대 6 : 이송수단
7 : 지관 안내수단 61 : 이송롤
62 :지지 브라켓트 63,65 : 베벨기어
64 : 스텝모터 71 : 버켓
72 : 스텝모터 73 : 모터축
74 : 브라켓트 100 : 자주차
본 발명은 하수지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관이 상측 또는 좌,우측으로 분지되는 하수지관을 조사하기 위해 자주차의 프레임상에 설치된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카메라 헤드를 자주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지관 안내수단에 의해 상측 또는 좌,우측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지관으로 안내 유입되도록 하여 하수본관의 조사에 겸하여 하수지관 조사작업을 수행토록 하는 한편, 하수관 내부에 적체된 퇴적물이나 돌출물등의 장애물에 자주차가 걸려져 더 이상의 진입이 곤란한 경우 상기 자주차 상부의 카메라 헤드만이 장애물을 피해 일정깊이까지 도달되게 하여 조사작업을 원할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수관 내부조사용 자주차는 작업인의 출입에 의한 작업이 곤란한 비교적 소구경의 하수관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관 내부의 부식, 파손, 폐쇄, 배수등의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카메라 헤드가 자주차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전선케이블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후 이동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조사되는 하수관의 내부상태를 모니터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진행되는 조사과정에서 자주차의 상부에 카메라 헤드는 하수본관으로부터 상측 또는 좌,우측으로 분지되는 하수지관의 조사를 위해 상기 자주차가 하수지관에 이를 시, 하수지관으로 안내 유입되도록 해야만 하수본관뿐만 아니라 상기 하수지관도 조사할 수 있으며, 또한 하수관 내부에 적체된 퇴적물이나 돌출물 등의 장애물에 걸려져 자주차가 더 이상의 진입이 곤란할 경우, 상기 자주차는 정지된 상태에서 카메라 헤드만을 장애물 너머로 일정 깊이만큼 삽입시켜 장애물 안쪽의 내부 상태까지도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주차는 카메라 헤드가 브라켓트에 의해 자주차의 상부에 직접 고정되어 있어 하수본관의 조사도중 자주차가 하수지관에 이르면 상기 하수지관은 조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하수관 내부에 적체된 퇴적물이나 돌출물 등의 장애물에 자주차가 걸려지면 조사작업을 중단하고 외부로 인출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하수관은 다수의 지관이 본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관은 본관내측으로 돌출된 채로 연결되어 있는 등 매우 부실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특히 지관은 그 직경이 본관에 비해 비교적 작은 소구경으로 되어 있어 관 내부가 퇴적물등에 의해 일부분이 폐쇄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자주차가 직접 집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상기 자주차상에 설치된 카메라 헤드만이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지 못함에 따라 하수지관의 조사 작업이 한계에 이른 실정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하수지관이 본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관 내부에 적체된 퇴적물이나 돌출물 등의 장애물에 의해 자주차가 걸려질 경우, 자주차는 더 이상의 진입이 곤란하여 조사 작업을 중단하고 하수관 외측으로 자주차를 인출해야 하므로 조사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제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대한 해소책의 일환으로 자주차의 바퀴외면을 반구형으로 하여 상기 하수본관 내측으로 돌출된 지관등의 장애물을 극복하고 계속적으로 주행 가능하도록 한 것이 있으며, 또 다른 예로써 지관조사를 위해 자주차의 프레임상에 설치된 카메라 헤드를 회동가능하게 하여 자주차가 하수지관에 이를시 상기 카메라 헤드를 지관측으로 회동시켜 조사되도록 한 방식이 있으나, 전자의 경우 어느 정도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상기 자주차의 바퀴가 장애물을 극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면 조사작업은 이 지점에서 중단되게 되며, 후자의 경우 하수지관의 입구 일부는 조사할 수 있으나 상기 지관의 내부 깊숙한 지점까지 조사하기엔 한계가 있어 별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주차의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이송수단에 의해 카메라 헤드가 전후로 진퇴가능하게 하고, 상기 자주차의 프레임 전방에 지관 안내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 헤드가 지관으로 안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하수지관을 조사하도록 한 하수지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 내부에 바퀴를 구동하는 정역 모터가 내장되고, 전방에는 라이트가 설치되며 후방에는 견인 와이어가 결속되는 자주차가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부에,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케이블이 내장 몰딩되는 플렉시블튜브와, 이 플렉시블 튜브선단에 설치되는 카메라 헤드와, 상기 카메라 헤드를 진퇴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카메라 헤드를 프레임 전방에서 방향을 변위시켜 하수지관으로 안내 유입시키는 지관 안내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하수지관 조사장치가 구비된 자주차(100)를 나타낸 것으로, 프레임(1) 내부에 바퀴(11a)를 구동하는 정역 모터(11)가 내장되고, 전방에는 라이트(12)가 설치되며, 후방에는 자주차를 인출하도록 견인 와이어(13)가 결속되는 자주차(10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 상부에는 카메라 헤드(2)가 플렉시블 튜브(3)선단에 설치되어 있고, 이 플렉시블 튜브(3)내로는 상기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케이블(4)이 삽입,몰딩처리되어 있으며, 이 전선 케이블(4)은 프레임(1) 후미의 지지고리(41)에 걸어지게 되며, 상기 플렉시블 튜브(3)는 지지대(5)에 지지 안내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헤드(2)를 전후로 진퇴시키기 위해 이송수단(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송수단(6)은 플렉시블 튜브(3)가 압입 이송되도록 한 쌍의 이송롤(61)이 지지 브라켓트(62)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률(61)은 롤사이에 플렉시블 튜브(3)가 압입 이송되도록 중앙부가 오목한 요부로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이송률(61)중 하측의 이송률(61)축상에는 베벨기어(63)를 설치하여 스텝 모터(64)의 축상에 설치되는 또 다른 베벨기어(65)와 치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의 상부 전방에는 상기 이송수단(6)에 의해 이송되는 카메라 헤드(2)를 하수지관으로 안내 유입시키기 위한 지관 안내수단(7)이 구비되는데, 이는 반원형의 만곡부를 가지며 상측으로 입설되는 버켓(71)의하단이 스텝 모터(72)의 축(73)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버켓(71)이 일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축(73)은 브라켓트(74)에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카메라 헤드(2)가 상측의 하수지관으로 안내 유입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하수본관의 조사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본관의 상측 또는 좌,우측으로 분지연결된 하수지관에 이를 시, 자주차(100)의 프레임(1)상에 설치된 카메라 헤드(2)를 진퇴시키는 이송수단(6)에 의해 이송된 상기 카메라 헤드(2)를 지관 안내수단(71)의 버켓(71)을 회동시켜 지관내로 유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지관 조사장치에 의한 카메라 헤드(2)의 이송 상태 및 지관 유입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로서, (a)는 본관 또는 상측 지관 조사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자주차(100)가 하수관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하며 조사 작업을 진행할 시, 하수관 내부에 적체된 퇴적물이나 돌출물 등의 장애물에 자주차(100)가 걸려져 더 이상의 진입이 곤란할 경우 지관 안내수단(7)의 스텝 모터(72)를 구동하여 이 스텝 모터(72)의 모터축(73)상에 설치된 버켓(71)의 위치를 하측을 향하도록 조정한 상태에서 이송수단(6)의 스텝모터(64)를 구동하여 베벨기어(65),(63)를 회전시키면 상기 베벨기어(63)의 축상에 설치된 한 쌍의 이송롤(61)이 회전되어 이 이송롤(61)사이에 위치된 카메라 헤드(2)를 갖는 플렉시블 튜브(3)가 전진되어 상기 장애물을 통과하여 내부 깊숙이 진입되므로 장애물 내측의 하수관 내부상태를 조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수본관의 조사도중 자주차(100)가 본관의 상측 또는 좌,우측으로 분지연결된 하수지관에 이르면 이를 조사하기 위해 제3도 (a)(가상선 도시부분)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주차(100)의 프레임(1) 상부 전방에 설치된 지관 안내수단(7)의 스텝 모터(72)를 구동하여 이 스텝 모터(72)의 모터축(73)상에 설치된 버켓(71)의 위치를 지관이 연결된 방향 즉, 상측이나 또는 좌,우측으로 각도를 조정한 후 이송수단(6)의 스텝모터(64)를 구동하여 카메라 헤드(2)를 이송시키면 상기 카메라 헤드(2)는 전방으로 이송되다가 버켓(71)에 이르러 이 버켓(71)의 변위된 위치를 따라 계속적으로 일정 깊이까지 진입되므로 이 상태에서 지관 조사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주차(100)상에 설치된 이송수단(6)과 지관 안내수단(7)에 카메라 헤드(2)를 하수지관내로 안내 유입시켜 하수지관을 조사할 수 있으며, 자주차(100)가 장애물에 걸려져 더 이상의 진입이 곤란할 경우에도 상기 장애물 너머의 하수관 내부상태를 조사할 수 있어 조사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프레임(1) 내부에 바퀴(11a)를 구동하는 정역 모터(11)가 내장되고, 전방에는 라이트(12)가 설치되며 후방에는 자주차를 인출하기 위한 견인 와이어(13)가 결속되는 자주차(100)가 있어서, 상기 프레임(1) 상부에, 카메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케이블(4)이 내장 몰딩되는 플렉시블 튜브(3)와: 이 플렉시블 튜브(3)선단에 설치되는 카메라 헤드(2)와: 상기 카메라 헤드(2)를 진퇴시키는 이송수단(6)과: 상기 이송수단(6)에 의해 이송되는 카메라 헤드(2)를 프레임(1) 전방에서 방향을 변위시켜 하수지관으로 안내 유입시키는 지관 안내수단(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지관 조사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6)은 플렉시블 튜브(3)가 압입 이송되도록 지지 브라켓트(62)에 설치되는 상하 한쌍의 이송롤(61)과, 상기 이송률(61)중 하측의 이송롤(61)축상에 설치되는 베벨기어와, 이 베벨기어(63)와 치합되도록 스텝 모터(64)의 축상에 설치되는 또 다른 베벨기어(65)를 접속시켜 상기 스텝 모터(64)를 구동함에 따라 플렉시블 튜브(3)선단의 카메라 헤드(2)가 이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지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 안내수단(7)은 카메라 헤드(2)가 내면을 따라 안내 이동되도록 반원형의 만곡부를 가지며 상측으로 입설되는 버켓(71)과, 상기 버켓(71)의 하단이 스텝 모터(72)의 축(73)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스텝 모터(72)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버켓(71)이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직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
KR1019950009811A 1995-04-25 1995-04-25 하수지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 KR0142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811A KR0142243B1 (ko) 1995-04-25 1995-04-25 하수지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811A KR0142243B1 (ko) 1995-04-25 1995-04-25 하수지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003A KR960038003A (ko) 1996-11-19
KR0142243B1 true KR0142243B1 (ko) 1999-02-18

Family

ID=1941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811A KR0142243B1 (ko) 1995-04-25 1995-04-25 하수지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2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159B1 (ko) * 2002-12-11 2004-10-26 주식회사 한국지중정보 하수관로의 내부 촬영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159B1 (ko) * 2002-12-11 2004-10-26 주식회사 한국지중정보 하수관로의 내부 촬영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003A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1977A (en) Process and device for inspecting and/or servicing and repairing subsidiary canals branching off from a main drain
US5129455A (en) Multi-lance tube cleaning system having flexible portions
US5992247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lateral sewer pipes
KR101963417B1 (ko) 상ㆍ하수관 관로내부 초음파조사장치
KR0142243B1 (ko) 하수지관 조사 장치가 구비된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
CN115365240B (zh) 一种喷淋打磨一体式管道清理机器人
US4103974A (en) Cable carriage and spill-plate housing assembly for a mining machine
CN111318841B (zh) 一种伸入式焊接装置
KR100894665B1 (ko) 차량 슬라이드 도어의 동력 슬라이드 장치
KR102290731B1 (ko) 관로조사 및 세척을 위한 자주차
KR0128865Y1 (ko)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의 바퀴구조
KR0142244B1 (ko)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의 라이트 위치 조정장치
KR100193796B1 (ko) 장애물 극복 주행이 가능한 조사용 자주차
KR100221013B1 (ko) 하수관내의 돌출 플라스틱관 절단장치
KR20230111048A (ko) 푸시 방식을 이용한 관로 탐색장치
KR200143311Y1 (ko) 하수관 검사카메라의 캐터빌라 주행장치
CN111408815B (zh) 一种包括第一支撑机构的管内焊接装置
JPH02232131A (ja) 管内張材切削装置
KR200157181Y1 (ko) 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의 소형 카메라 각도 조정장치
KR960010089Y1 (ko) 하수관 내부 조사를 위한 카메라 운반 자주차용 바퀴
KR102190561B1 (ko) 로봇 홀더를 구비한 부단수 진단 로봇 투입 회수 장치
JPH03297568A (ja) 先端弯曲溶接トーチ
KR200201339Y1 (ko) 관로 조사용 자주차의 바퀴
KR960010045Y1 (ko) 하수관 내부 조사용 자주차의 카메라 헤드 방향 전환장치
JP2580185Y2 (ja) 管の地中埋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