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863B1 - 포커싱 서보 회로 - Google Patents

포커싱 서보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863B1
KR0141863B1 KR1019950013828A KR19950013828A KR0141863B1 KR 0141863 B1 KR0141863 B1 KR 0141863B1 KR 1019950013828 A KR1019950013828 A KR 1019950013828A KR 19950013828 A KR19950013828 A KR 19950013828A KR 0141863 B1 KR0141863 B1 KR 0141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electric conversion
current
output
focus error
conversion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552A (ko
Inventor
정명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13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863B1/ko
Publication of KR96004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3Methods and circuits for performing mathematical operations on individual detector segment outp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4Methods and circuits for servo offset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의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출되는 포커스 에러(Focus Error)를 보상하여 정확하게 포커싱하기 위한 포커싱 서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의 강도에 대응되는 전류를 발생하는 제 1, 2, 3, 4의 광전변환소자(A∼D)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4 광전소자가 상호 대각선으로 형성되고,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가 상호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4 광전 변환소자와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는 렌즈와 디스크상의 초점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류를 출력하게 구성된 제 1 광검출부(10), 제 1 광검출부(10)의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 1 전류 전압 변환부(11), 제 1 광검출부의 제 1 및 제 4 광전 변환 소자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 2 전류 전압 변환부(12), 제 1 및 제 2 전류 전압 변환부의 출력에 따라 제 1 포커스 에러를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 발생부(13)를 구비한 비점수차 방식을 이용한 포커싱 서보 회로에 있어서, 렌즈와 디스크상의 초점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4 광전 변환 소자의 출력 전류와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제 5 광전 변환 소자(P)및 렌즈와 디스크상의 초점에 대응하여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의 출력 전류와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제 6 광전 변환 소자(Q)를 구비한 제 2 광검출부(30)와, 제 5 광전 변환 소자(P)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 3 전류 전압 변환부(31)와, 제 6 광전 변환 소자(Q)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 4 전류 전압 변환부(32)와, 제 3 및 제 4 전류 전압 변환부(31)(32)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값에 대응하는 로직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33)와, 비교부(33)의 로직신호에 대응하는 제 2 포커스 에러를 출력하는 보상부(34)와, 보상부(34)의 제 2 포커스 에러와 포커스 에러 발생부(13)의 제 1 포커스 에러를 가산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부(3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므로써, 정확하게 포커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커싱 서보 회로
제 1 도는 일반적인 비점수차법을 이용한 포커싱 서보 회로도.
제 2 도는 일반적인 포커싱 서보 회로의 동작 파형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서보 회로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서보 회로의 동작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광검출부 11, 12, 31, 32 : 전류 전압 변환부
13 : 포커스 에러 발생부 33 : 비교부
34 : 보상부 35 : 가산부
A,B,C,D,P,Q : 광전 변환 소자
본 발명은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 이하 CD라 칭한다)의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출되는 포커스 에러(Focus Error)를 보상하여 정확하게 포커싱하기 위한 포커싱 서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커싱 서보는 디스크가 상하방향으로 면진동하고 있는 경우에 픽업 렌즈를 조절하므로써 디스크와 픽업 렌즈 사이의 상대 거리 변동을 ±1.0㎛ 이내로 하여 포커싱한다.
제 1 도는 일반적인 비 점수차법을 이용한 포커싱 서보 회로도로서, 제 1 광검출부(10), 제 1 전류 전압 변환부(11), 제 2 전류 전압 변환부(12), 포커스 에러 발생부(13)로 구성된다.
제 1 광검출부(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4개의 광전 변환 소자로 구성되어, 각각의 디스크에 반사된 광의 강도에 대응된, 전류를 발생한다.
이때, (A)는 제 1 광전 변환 소자이고, (B)는 제 2 광전 변환소자, (C)는 제 3 광전 변환 소자, (D)는 제 4 광전 변환 소자를 나타낸다.
제 1 광검출부(10)의 2조의 대각선상의 (제 2 광전 변환 소자 +제 3 광전 변환 소자)(B+C)는 각각 그 전류가 가산되어 제 1 전류 전압 변환부(11)에서 전압으로 변환되어 후술하는 포커스 에러 발생부(13)로 출력된다.
또한, 제 1 광검출부(10)의 2조의 대각선상의(제 1 광전 변환소자 + 제 4 광전 변환 소자)(A+D)도 각각 그 전류가 가산되어 제 2 전류 전압 변환부(12)에서 전압으로 변환되어 후술하는 포커스 에러 발생부(13)로 출력된다.
이때, 디스크가 대물렌즈에 너무 가까이 가면 반사광의 결상면은 멀어지게 되므로, (A+D)방향의 타원형이 되고, 포커스 에러 신호는 마이너스가 된다. 또한 디스크가 대물렌즈에 너무 멀리 떨어지게 되면 (B+C)의 타원형이 되어 포커스 에러 신호는 플러스가 되므로써, 포커스 에러 발생부(13)는 제1, 제2 전류 전압 변환부(11)(12)의 출력을 이용하여 양극성의 제 1 포커스 에러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커스 에러 신호 즉, 디스크 신호면과 대물 렌즈의 거리를 구하는 포커싱 서보 회로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도가 얻어진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영역에서는 정확한 포커싱을 하기 위하여 선형에 가까운 서보를 하고 있다. 그러나, (b)영역에서는 포커스 에러가 증가하는데 비하여 제어량은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선형적인 서보를 하지 못한다. 또한, (a)영역에서는 포커스 에러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서보를 전혀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커싱 서보 영역을 확대하므로써 포커싱 서보를 정확하게 하기 위한 포커싱 서보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의 강도에 대응되는 전류를 발생하는 제 1,2,3,4의 광전변환 소자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4 광전소자가 상호 대각선으로 형성되고,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가 상호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4 광전 변환소자와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는 렌즈와 디스크상의 초점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류를 출력하게 구성된 제 1 광검출부, 제 1 광검출부의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 1 전류 전압 변환부, 제 1광검출부의 제 1 및 제 4 광전 변환 소자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 2 전류 전압 변환부, 제 1 및 제 2 전류 전압 변환부의 출력에 따라 제 1 포커스 에러를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 발생부를 구비한 비점수차 방식을 이용한 포커싱 서보 회로에 있어서, 렌즈와 디스크상의 초점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4 광전 변환 소자의 출력 전류와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제 5 광전 변환 소자 및 렌즈와 디스크상의 초점에 대응하여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의 출력 전류와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 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제 6 광전 변환 소자를 구비한 제 2 광검출부와, 제 5 광전 변환 소자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 3 전류 전압 변환부와, 제 6 광전 변환 소자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 4 전류 전압 변환부와, 제 3 및 제 4 전류 전압 변환부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값에 대응하는 로직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비교부의 로직신호에 대응하는 제 2 포커스 에러를 출력하는 보상부와, 보상부의 제 2 포커스 에러와 포커스 에러 발생부의 제 1 포커스 에러를 가산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및 특징은 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싱 서보 회로도로서, 제 1 도의 구성에 제 2 광검출부(30), 제 3 전류 전압 변환부(31), 제 4 전류 전압 변환부(32), 비교부(33), 보상부(34) 및 가산부(35)가 더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 2 광검출부(30)는 제 1 광검출부(10)의 제 1 및 제 4 광전 변환 소자의 출력 전류와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제 5 광전 변환 소자(P)와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의 출력 전류와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제 6 광전 변환 소자(Q)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광검출부(30)에 연결된 제 3 전류 전압 변환부(31)는 상술한 제 5 광전 변환 소자(P)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켜 후술하는 비교부(33)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제 4 전류 전압 변환부(32)는 상술한 제 6 광전 변환 소자(Q)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켜 비교부(33)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비교부(33)는 재 3 전류 전압 변환부(31)와 제 4 전류 전압 변환부(32)에서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로직 신호를 증폭기능을 갖는 보상부(34)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 5 광전 변환 소자(P)는 상술한 바와같이 제 2 광검출부(30)내의 위치에 의하여 디스크와 대물렌즈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이 될때 반사광이 입사되며, 제 6 광전 변환 소자(Q)는 제 2 광검출부(30)내의 위치에 의하여 디스크와 대물렌즈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일 때에 반사광이 입사된다.
따라서, 디스크와 대물렌즈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이 될때에는 제 3 전류 전압 변압부(31)는 제 5 광전 변환 소자(P)에 입사된 광량에 비례하는 소정 전압을 출력한다. 그러나, 제 4 전류 전압 변환부(32)는 0 V의 전압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디스크와 대물렌즈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일 때에는 제 4 전류 전압 변환부(32)는 제 6 광전 변환 소자(Q)에 입사된 광량에 비례하는 소정 전압을 출력하나 제 3 전류 전압 변환부(31)는 0 V의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비교부(33)는 이들 제 3 및 제 4 전류 전압 변환부(31)(32)의 출력 전압차에 대응하는 로직신호를 출력하며, 보상부(34)는 상술한 비교부(33)의 로직 신호에 대응하도록 증폭 이득을 조절하여 제 2 포커스 에러를 가산부(35)에 인가한다. 가산부(35)는 보상부(34)에서 출력되는 제 2 포커스 에러와 제 1 도에 상술한 바와같이 포커스 에러 발생부(13)에 출력되는 제 1 포커스 에러르 가산하므로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파형도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에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a) 영역에서는 포커스 에러가 제로가 되므로 정확하게 포커스 서보를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보상부(34)에서 출력되는 제 2 포커스 에러와 포커스 에러 발생부(13)에서 출력되는 제 1 포커스 에러를 가산하게 되므로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보 영역 즉, 에러 검출 영역이 확대되므로써 정확하게 포커스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서보 회로는 서보 영역을 확대하여 포커스 에러를 비교 및 보상하여 출력하므로써 정확하게 포커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다음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수정 및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의 강도에 대응되는 전류를 발생하는 제 1,2,3,4의 광전변환소자(A∼D)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4 광전 소자가 상호 대각선으로 형성되고,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소자가 상호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4 광전 변환소자와 상기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는 렌즈와 상기 디스크상의 초점에 대응하는 각각의 전류를 출력하게 구성된 제 1 광검출부(10), 상기 제 1 광검출부(10)의 상기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 1 전류 전압 변환부(11), 상기 제 1 광검출부의 상기 제 1 및 제 4 광전 변환 소자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 2 전류 전압 변환부(12), 상기 제 1 및 제 2 전류 전압 변환부의 출력에 따라 제 1 포커스 에러를 발생하는 포커스 에러 발생부(13)를 구비한 비점수차 방식을 이용한 포커싱 서보 회로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디스크상의 초점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4 광전 변환 소자의 출력 전류와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제 5 광전 변환 소자(P)및 상기 렌즈와 상기 디스크상의 초점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의 출력 전류와 대응하는 전류를 출력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 제 6 광전 변환 소자(Q)를 구비한 제 2 광검출부(30)와, 상기 제 5 광전 변환 소자(P)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 3 전류 전압 변환부(31)와, 상기 제 6 광전 변환 소자(Q)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제 4 전류 전압 변환부(32)와, 상기 제 3 및 제 4 전류 전압 변환부(31)(32)의 출력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값에 대응하는 로직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33)와, 상기 비교부(33)의 상기 로직신호에 대응하는 제 2 포커스 에러를 출력하는 보상부(34)와, 상기 보상부(34)의 제 2 포커스 에러와 상기 포커스 에러 발생부(13)의 제 1 포커스 에러를 가산하여 포커스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가산부(35)를 포함하는 포커싱 서보 회로.
KR1019950013828A 1995-05-30 1995-05-30 포커싱 서보 회로 KR0141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828A KR0141863B1 (ko) 1995-05-30 1995-05-30 포커싱 서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828A KR0141863B1 (ko) 1995-05-30 1995-05-30 포커싱 서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552A KR960042552A (ko) 1996-12-21
KR0141863B1 true KR0141863B1 (ko) 1998-07-15

Family

ID=1941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828A KR0141863B1 (ko) 1995-05-30 1995-05-30 포커싱 서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8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552A (ko) 199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9801A (en) Focus servo control device for optical disks having servo offset error elimination
JPH01255142A (ja) 電子顕微鏡のオートフォーカス回路
KR0141863B1 (ko) 포커싱 서보 회로
US5132948A (en) Phase comparing apparatus and focus error detecting apparatus
JP2672703B2 (ja) フォーカスサーボ制御装置
JP2941289B2 (ja) データ再生装置
US5894462A (en) Magnetooptical disk focus and tracking servo for a magnetooptical disk servo device
US5046158A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with control circuit for optimizing the operating range of an A/D converter
JP4348525B2 (ja) フォトディテクタ回路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960013487B1 (ko) 데이타 재생장치
US5347502A (en) Focusing control system for use in an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0124153B1 (ko) 포커스제어신호발생장치
US5136568A (en) Tracking circuit for guiding a beam of light along data tracks of a recorded medium
JPH077512B2 (ja) フォーカスサーボ装置
JPH0229933A (ja) オフセット設定方法
KR100207629B1 (ko) 광디스크 시스템에 있어서 액츄에이터 보호회로
JPH0525063Y2 (ko)
JPH0782650B2 (ja) 駆動電圧発生回路
KR100189884B1 (ko) 광디스크시스템의 포커스 인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커스 서보장치
KR100531347B1 (ko) 광픽업용 자동 초점 검출 장치
JPH03154234A (ja) 焦点制御の引き込み装置
JPH0291827A (ja) 光学式ディスク再生装置のサーボ系オフセット調整回路
JPH0883432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124471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2192034A (ja) フォーカスエラー信号増幅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