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721B1 -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 - Google Patents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721B1
KR0141721B1 KR1019950036644A KR19950036644A KR0141721B1 KR 0141721 B1 KR0141721 B1 KR 0141721B1 KR 1019950036644 A KR1019950036644 A KR 1019950036644A KR 19950036644 A KR19950036644 A KR 19950036644A KR 0141721 B1 KR0141721 B1 KR 014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dust
suction
generated
moving 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155A (ko
Inventor
노승대
Original Assignee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1019950036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721B1/ko
Publication of KR97002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강재가 내장된 벨트가 각종 드럼과의 마모에서 발생되는 분진, 장력장치의 이완에 따라 발생되는 분진 그리고 승객의 탑승에 따라 발생되는 분진 등이 부품에 유입되어 고장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고, 발생되는 각종 분진에 의해 청결상태 유지 및 보수에 어려움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본 발명은 벨트와 접촉되는 롤러부재의 외주면에 분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벨트형 무빙워크를 작동시에 발생되는 벨트의 마모 및 기타부분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기계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 관리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
제 1도는 일반적인 벨트형 무빙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부분사시도.
제 2도는 벨트형 무빙워크의 베이스롤러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벨트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부분단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롤러부재16'a ; 흡입유로
16'b ; 흡입공17 ; 캡
17a ; 관통공18 ; 탄성부재
19 ; 볼20 ; 진공펌프부재
24 ; 집진부
본 발명은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형 무빙워크를 작동시에 발생되는 벨트의 마모 및 기타부분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벨트무빙워크는,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와, 상기 구동력에 의해 승객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이송상태를 조절하는 조절부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부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와, 상기 모터(1)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2)와, 감속기(2)의 일측에 결합되어 감속된 동력을 이송부로 전달하는 커플링(3)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송부는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동력부의 동력이 전달되는 원동형의 구동그럼(4) 및 피동드럼(5)과, 상기 구동드럼(4)과 피동드럼(5)사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벨트(6)와, 상기 벨트(6)의 양측에 설치되어 벨트(6)와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며 벨트(6)위에 탑승한 사람의 안전을 도모하는 핸드레일(7)과, 상기 핸드레일(7)을 구동시키는 핸드레일 풀리(8)와, 상기 벨트(6)를 지지하는 롤러(9)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벨트(6)는 강재가 내장된 고무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는 피동드럼(5)에 연결되어 벨트(6)의 적정한 장력을 조절하여 회전상태를 조정하는 장력로우프(10), 로우프가이드(11) 및 장력조정기(12) 등으로 구성되어 벨트(6)의 운행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벨트(6)의 양단측부로 벨트(6)로 사람이 탑승하는 것을 보조하는 탑승판(13)이 설치되며, 상기 동력부 및 구동드럼(4)측부을 감싸는 상부기계실(14)와 조절부 및 피동 드럼(5)측부를 감싸는 하부기계실(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동력부의 감속기(2)에 의해 감속된 동력이 이송부의 구동드럼(4)에 전달되면 구동드럼(4)의 회전에 의해 피동드럼(5)의 회전 및 벨트(6)의 움직임과 더불어 핸드레일(7)도 함께 움직이게 되며, 승객은 상기 탑승판(13)을 통해 벨트(6)위를 오르게 되며 벨트(6)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승객은 핸드레일(7)을 잡아 몸의 중심을 이루게 된다.
상기 동력부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드럼(4)이 벨트(6)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은 벨트(6)와 드럼(4,5)의 접촉에 의한 순수마찰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고, 이 마찰에 의해 전달동력의 효율을 좌, 우하게 되는데, 이 마찰정도를 높이기 위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드럼(4) 및 피동드럼(5)의 측부에 벨트(6)의 하부를 밀어 접촉각을 크게 하는 베이스롤러(16)를 각각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강재가 내장된 벨트(6)가 각종 드럼(4,5,)과의 마모에서 발생되는 분진, 장력조정에 따라 발생되는 분진 그리고 승객의 탑승에 따라 발생되는 분진 등이 부품에 유입되어 고장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고, 발생되는 각종 분진에 의해 청결상태 유지 및 보수에 어려움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형 무빙워크를 작동시에 발생되는 벨트의 마모 및 기타부분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집흡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흡입유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흡입유로와 연결되어 발생된 분진 유입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된 롤러부재와, 상기 흡입공의 하부에 형성되어 흡입유로의 진공된 흡입상태를 유지시키는 유로부재와, 상기 흡입유로에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유발시키는 진공펌프부재와, 흡입된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유로개폐부재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이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부재의 지지력으로 흡입공을 밀폐하는 볼을 구비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드럼(4)과 벨트(6)의 접촉각을 크게 하기 위하여 벨트(6)를 지지하는 롤러부재(16')의 내부로 흡입유로(16'a)를 형성하고, 벨트(6)와 접촉되는 롤러부재(16')의 외주면에 내부의 흡입유로(16'a)와 연결되어 벨트(6)와 주위에 발생된 분진의 유입을 안내하는 흡입공(16'b)을 다수개 형성한다.
그리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17a)이 형성된 캡(17)의 내부에 탄성부재(18)를 삽입하고, 이어 탄성부재(18)의 상측으로 볼(19)을 삽입하여 이루어진 유로개폐부재를 상기 흡입공(16'b)의 하부, 즉 롤러부재(16')외주면의 내측에 볼(19)이 흡입공(16'b)을 탄성부재(18)에 의해 압착하여 밀폐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볼(19)의 크기는 흡입공(16'b)의 직경보다 크게 하여 흡입공(16'b)을 밀폐하고 볼(19)의 일부가 흡입공(16'b)의 외부로 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흡입유로(16'a)에 흡입력에 의한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진공펌프부재(20)를 롤러부재(16')의 흡입유로(16'a)에 연결호수(21)를 통해 연결하며, 연결부위는 씰(22)과 클램프(23)로 하는 연결매체로 연결하여 밀폐 및 롤로부재(16')의 회전상태를 원활하게 할 수 있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진공펌프부재(2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공(16'b)을 통해 흡입유로(16'a)로 유입되는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부(24)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벨트형 무빙워크 분진흡수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는 진공펌프부재(20)의 작동으로 인한 흡입력에 의해 롤러부재(16')의 내부 흡입유로(16'a)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구동드럼(4)과 벨트(6)의 접촉각을 크게 하기 위하여 벨트(6)에 접촉지지되어 벨트(6)의 움직임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6)와 접촉되는 롤러부재(16') 외주면의 볼(19)이 눌려 흡입공(16'b)이 열리게 되면서 벨트(6)에 있는 분진이 흡입공(16'b)과 캡(17)의 관통공(17a)을 통해 흡입유로(16'a)로 흡입되고, 흡입된 분진은 집진부(24)로 유입되어 집진되면서 벨트(6)에 발생된 분진을 흡수제거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벨트(6)와 접촉되는 롤러부재(16')의 외주면에 분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벨트(6)형 무빙워크를 작동시에 발생되는 벨트(6)의 마모 및 기타부분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기계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 관리할 수 있고,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흡입유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흡입유로와 연결되어 발생된 분진 유입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된 롤러부재와, 상기 흡입공의 하부에 형성되어 흡입유로의 진공된 흡입상태를 유지시키는 유로개폐부재와, 상기 흡입유로에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력을 유발시키는 진공펌프부재와, 흡입된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개폐부재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의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캡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부재의 지지력으로 흡입공을 밀폐하는 볼을 구비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
KR1019950036644A 1995-10-23 1995-10-23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 KR0141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644A KR0141721B1 (ko) 1995-10-23 1995-10-23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644A KR0141721B1 (ko) 1995-10-23 1995-10-23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155A KR970020155A (ko) 1997-05-28
KR0141721B1 true KR0141721B1 (ko) 1998-06-01

Family

ID=1943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644A KR0141721B1 (ko) 1995-10-23 1995-10-23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016A (ko) *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티웨딩 예식장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016A (ko) * 2021-04-12 2022-10-19 주식회사 티웨딩 예식장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155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9383A (en) Device capable of adhering to a wall surface by suction and treating it
US4688289A (en) Device capable of adhering to a wall surface by suction and treating it
JPH0314779Y2 (ko)
US6119845A (en) Passenger conveyer
KR0141721B1 (ko) 벨트형 무빙워크의 분진흡수장치
KR100692968B1 (ko) 자동세차기의 이송 컨베이어 장치
CN205915177U (zh) 石材用抛光机
JP4244241B2 (ja) パチンコ玉揚送装置
JPH0679933B2 (ja) コンベアベルトのクリ−ニング装置
CN113511391B (zh) 一种口罩制造自动化包装装置及其包装方法
JP4215486B2 (ja) ロープ付着雨水除去装置
KR19990004684A (ko) 벨트콘베어의 브러시크리너
KR900010438Y1 (ko) 섬유기계용 분진제거기
CN219645488U (zh) 一种脱鞋套机
JP2016038050A (ja) 潤滑油除去回収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
JP2001139271A (ja) マンコンベアの手すりベルト駆動装置
JP3847852B2 (ja) 乗客コンベア
CN220217750U (zh) 一种防静电地板加工用表面打磨装置
CN214495325U (zh) 一种电梯导轨清理保养装置
CN214351708U (zh) 一种轮胎胎面打磨用除尘装置
JPH09173617A (ja) パチンコ球の球磨揚送機
JPH08381Y2 (ja) 紡機の清掃装置
JPH05277317A (ja) ミスト回収装置
KR200161915Y1 (ko)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곡부구조
JPH0826650A (ja) 乗客コンベアのオイルパン清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