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552B1 - 조립식 천정틀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천정틀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552B1
KR0141552B1 KR1019940025799A KR19940025799A KR0141552B1 KR 0141552 B1 KR0141552 B1 KR 0141552B1 KR 1019940025799 A KR1019940025799 A KR 1019940025799A KR 19940025799 A KR19940025799 A KR 19940025799A KR 0141552 B1 KR0141552 B1 KR 0141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horizontal
horizontal cross
horizontal referenc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560A (ko
Inventor
여태환
Original Assignee
여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태환 filed Critical 여태환
Priority to KR101994002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552B1/ko
Publication of KR960014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ber, both members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ber, both members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 E04B9/125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ber, both members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both members being continuous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조립식 천정틀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천정틀의 각 부재들(1)(2)(3)은 그 재질이 합성수지재, 특히 폴리에틸레(PE)으로 되고, 그 형상은 상호 조립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천정틀의구조는 수평 기준부재(1)가 마주보는 양 벽체(18) 상단 부에 고정되고, 수평크로스부재(2)가 상기 양 수평 기준부재(1)사이를 가로질러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캐리어부재(3)가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와 교차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캐리어부재(3)는 적절한 여러 지점에서 높이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지지브라켓(4)에 의해 건물의 천정 기초구조물(20)에 매달려 지지되는 조립식 구조로 됨으로써,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등 구조적 기능이 우수하면서도 시공이 간편하고, 또한 해체되는 경우에는 그 부재들의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식 천정틀이 제공되며, 또한 이 천정틀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천정시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천정틀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정틀로 시공된 천정를 천정 마감재를 일부 떼어낸 상태에서 도시한 저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정틀의 구성부재들을 각각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수평 기준부재.
(b)는 수평 크로스부재.
(c)는 캐리어부재.
(d)는지지 브라켓.
(e)는 핀 및 클립에 대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정틀로 시공된 천정의 수직 단면상을 일부 도시한 상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 기준부재 2 : 수평 크로스부재
2 : 캐리어부재 4 :지지 브라켓
5 : 핀 6 : 클립
7 : 천정마감재 8 : ㄷ자형 홈
9a,9b,9c : 핀구멍 10 : 돌기
11 : L자형 홈 12 : 캐리어부재 지지부
13 : 고착부 14 : 못구멍
15 : 판재 16 : 나사부
17 : 나사구멍 18 : 벽체
19 : 너트 20 : 천정 기초구조물
본 발명은 천정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조립식 천정틀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부재들로 구성된 조립식 구조로 되어 구조적 기능성이 우수하면서도 시공이 간편하고, 또한 해체시키는 경우에는 그 부재들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조립식 천정틀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정은 상부의 구조믈을 감추고 실내의 미관을 높임과 더불어 불이나 열의 차단, 광, 음의 반사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천정 기초 구조물에 천장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천정틀을 시공하고 여기에 장식적인 천정마감재를 부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천정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천정틀의 일반적인 구조는, 천정마감재가 부착되는 마감재 부착부분과 이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마감재 부착부분은 다수개의 가로 수평부재 및 세로 수평부재가 서로 수평이 맞게 교차 연결 되어 짜여진 프레임 구조로 되어있고, 상기지지 부분은 건축물의 천정 기초 구조물 또는 벽의 상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마감재 부착부분을 매달아서 지지해주는 것으로 통상 다수개의 수직부재로 되어 있다.
종래에는 상기 각 부재들이 통상 그 재질은 목재 혹은 강재이고, 그 형상은 특별히 가공된 점이 없는 단순한 각기목이나 철제 앵글과 같은 형상으로 된 것으로, 시공중에 필요에 따라 주어진 원재료를 적절히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이었는데, 이들 부재들을 결합하여 상기와 같은 천정틀 구조를 시공하는 것은 고도의 숙련공에 의해서만 가능한 어려운 작업이었다.
즉, 천정 자체가 원래 작업을 위로 향해 하여야 하는 것이고, 또한 자체하중을 별도의 수단에 의해 지지해 주도록 된 구조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애초부터 벽이나 바닥에 비해 시공이 어려운 데다가, 원재료를 하나하나 재단하여 소정의 크기로 각 부재들을 만들고, 이 부재들을 일일이 손으로 잡아가면서 오로지 목재의 경우에는 못에 의해 철재의 경우에는 피이스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하여 상기와 같은 천정틀 구조로 조립하여야 했으며, 천정마감재가 부착되는 마감재 지지수단의 아래쪽 면은 수평이 잘 맞아야 하므로 이를 위해 상기의 가로 수평부재와 세로 수평부재를 결합할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만약 작업을 잘못하여 수평이 잘 맞지 않을 경우는 뜯어서 수평이 맞도록 다시 재조립해야 했던 것이다. 또한 각 부재들을 결합하기 위해 못질을 하는 경우 자칫 잘못하면 나무가 쪼개지고 이로인해 다시 되풀이 작업하여야 하거나 일정한 하중을 견딜 수 없는 약한 구조가 되기도 하며, 용접 또는 피이스로 결합하는 경우는 특수한 장비가 있어야 하는 등 시공상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단 시공이 되고나면 그것을 해체하기는 상당히 어렵고, 해체하더라도 각 부재들의 파손이 없이 해체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므로, 해체하여 분리된 부재들은 거의 재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자재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천정틀의 구조 및 시공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된 것으로서, 천정틀을 구성하는 각 부재들로 종래의 부재들 대신에 재질은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으면서 서로 끼워서 조립될 수 있는 형상으로 미리 만들어진 부재들을 사용하여 천정틀 구조가 조립식 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구조적 기능이 우수하면서도 시공이 간편하고, 또한 해체되는 경우에는 그 부재들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조립식 천정틀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정틀은, 그 한쪽면에 ㄷ자형 홈이 파진 4각 각재로 된 수평 기준부재가 마주보는 양 벽체 상단부에 상기 ㄷ자형 홈의 개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되고, 그 양단면에 상기 ㄷ자형 홈에 끼워질 수 있게 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한쪽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L자형 홈이 다수개 파져 있는 4각 각재의 수평 크로스부재가 상기 양 수평 기준부재 사이를 가로질러 그 돌기가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ㄷ자형홈에 끼워져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4각 각재의 캐리어부재가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와 교차되면서 상기 L자형 홈에 끼워져 설치되어서, 상기 수평 기준부제및 수평 크로스 부재의 아래면에 천정마감재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의 각 부재들은 부재 제조상의 성형성, 재료의 비용면, 천정틀 자재에 요구되는 내구성 및 경량성 들을 고려할 때, 그 재질이 합성수지재, 특히 폴리에틸레(PE)으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만으로 된 천정틀은 자체 하증에 의해 처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캐리어부재는 적절한 여러 지점에서 건물의 천정 기초구조물에 지지 브라켓에 의해 매달려 지지되게 할 수 있고, 이 지지브라켓은 상기 캐리어부재를 받쳐서 지지해 주도록 된 캐리어부재 지지부와 천정 기초구조물에 고착되는 고착부로 이루어지되 양자는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천정틀 구조에서 상기 수평 기준부재와 수평 크로스부재의 연결부위는 핀에 의해 고정되게 하고,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와 캐리어부재의 연결부위는 클립에 의해 고정되게 하면, 튼튼한 구조가 되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틀은, 상기와 같은 조립식 구조로 되어 있어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철거될 경우에는 분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합성수지재의 재질 특성상 갈라짐이 없이 튼튼하게 연결되어 있어 그 구조적 기능도 우수하다.
상기와 같은 조립식 천정틀을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은, 건물내부의 마주보는 양 벽체의 상단부에 그 한쪽면에 ㄷ자형 홈이 파진 4각 각재로 된 수평 기준부재를 상기 ㄷ자형 홈의 개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부착하는 단계; 상기 수평 기준부재에, 그 양단면에는 상기 ㄷ 자형 홈에 끼워질 수 있게 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한쪽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L자형 홈이 다수개 파져 있는 4각 각재의 수평 크로스부재를 상기 양 수평 기준부재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돌기가 상기 수평 기준부재의 ㄷ자형홈에 끼워지게 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4각 각재의 캐리어부재를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들과 교차되게 상기 L자형 홈에 끼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부재를 적절한 여러지점에서 건물의 천정 기초구조물에 지지브라켓에 의해 매달아 지지되게 하는 단계; 상기 수평 기준부재 및 수평 크로스부재의 아래면에 천정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정틀로 시공된 천정를 천정 마감재를 일부 떼어낸 상태에서 도시한 저면도로서, 2개의 수평 기준부재(1)에 다수개의 수평 크로스부재(2)들이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결합, 설치되고, 다시 이 수평 크로스부재와 교차되게 다수개의 캐리어 부재(3)가 나란히 결합, 설치되어 있는 한편, 이 캐리어부재(3)가 천정 기초구조물에 지지 브라켓(4)에 의해 지지되고, 각 부재들의 연결부위는 핀(5)이나 클립(6)으로 보강되어 있는 구조의 천정틀에 천정마감재(7)가 일부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은 개략적인 구조는 그 전체적인 형상이 종래의 천정틀과 유사하지만, 각 부재들의 형상 및 재질, 각 부재들의 결합부위에서의 결합 구조 등의 면에서 종래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본 발명의 특징점인 바.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각 부재들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제2도를 참조하여 각 부재들의 형상을 설명하기로 하는데,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정틀의 구성부재들을 각각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a)는 수평 기준부재, (b)는 수평 크로스부재, (c)는 캐리어부재, (d)는 지지 브라켓(e)는 핀 및 클립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평 기준부재(1)는 제2도(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4각단면의 각재 한쪽면에 ㄷ자형 홈(8)이 파져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3)와 결합되는 부위에 핀(5)을 끼우기 위한 핀 구멍(9a)이 미리 뚫어져 있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는 제2도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4각 각재의 양 끝면에는 돌기(10)가 형성되어 있고, 4각 각재의 한 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L자형 홈(11)이 다수개 파져 있는 한편, 4각 각재의 내부는 4각 중공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돌기(10)에는 역시 핀(5)을 끼워 상기 수평기준부재(1)와 고정시키기 위한 핀구멍(9b)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에서 상기 돌기(10)는 수평 기준부재(1)의 ㄷ자형(8)에 끼워져서 결합되게 하는 부분이고, 상기 L자형 홈(11)은 상기 캐리어부재(3)가 끼워져서 결합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의 내부는 중공상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내부응력을 모서리 부분으로 분산시켜 뒤틀림 또는 휨에 대한 강력이 높아지게 되고, 자재가 경량화되어 작업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자체하증에 의해 떨어질 염려가 줄어들며, 타정작업에 의해 못 등이 박혀지면 내부의 중공부분에서 벌어지는 효과가 생겨 접착상태가 양호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 캐리어부재(3)는 제3도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으로 된 4각 각재로서, 그 단면 크기는 상기 L자형 홈(11)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내부를 중공으로 한 이유는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의 경우과 같다.
상기의 수평 기준부재(1), 수평 크로스부재(2) 및 캐리어부재(3)는, 부재 제조상의 성형성, 재료의 비용면, 천정틀 자재에 요구되는 내구성 및 경량성 등을 고려할 때, 그 재질을 합성수지재, 특히 폴리에틸레(PE)으로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상기의 지지 브라켓(4)은 상기 캐리어부재를 받쳐서 지지해 주도록 된 캐리어부재 지지부(12)와 천정 기초구조물에 고착되는 고착부(13)가 나사식으로 상호 연결되어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고착부(13)는 못구멍(14)에 콘크리트못 등을 박아 건물의 천정 기초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판재(15)와 캐리어부재 지지부(12)를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나사부(16)가 형성된 막대가 일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캐리어부재 지지부(12)는, 상기 나사부(16)가 삽입되는 나사구명(17)과 캐리어부재(3)가 이탈되지 않게 핀(5)을 끼울 수 있는 핀 구멍(9c)이 형성되어 있는 ㄷ자형 판재로 되어 있다.
제2도 (e)에는 각 부재들의 결합부위에 사용되는 핀(5)과 클립(6)이 예시되어 있는데, 상기 핀(5)은 상기 각 부재들의 핀구멍(9a)(9b)(9c)에 끼워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클립(5)은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의 L자형홈(11)에 상기 캐리어부재(3)를 끼워 넣은 후 이 L자형홈(11)에 끼워서 캐리어부재(3)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부수적으로 수평 크로스 부재(2)의 휨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2도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부재들이 적절히 결합되어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천정틀이 조립되는데, 각 부재들의 결합구조는 제3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제3도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정틀에서 상기 수평 기준부재(1)는 콘 크리트못 등에 의해 벽체(18) 상단부에 ㄷ자형 홈(8)의 개방부가 벽 안쪽으로 향하게 견고히 부착되어 있고, 상기 ㄷ자형 홈(8)에는 수평 크로스부재(2)의 돌기(10)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다시 핀 구멍(9a)(9b)에 핀(5)을 박아서 결합이 보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의 L자형 홈(11)은 그 개방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L자형 홈(11)에 캐리어부재(3)가 홈 깊숙히 직각으로 끼워져 있고, 이 L자형 홈(11)의 빈공간에는 클립(6)이 끼워져 캐리어부재(3)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평 크로스부재(2)의 휨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를 보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캐리어부재(3)는 지지 브라켓(4)의 ㄷ자형으로 형성된 캐리어부재 지지부(12)에 얹혀져 있고, 이 캐리어부재 지지부(12)는, 고착부(13)의 나사부(16)가 캐리어부재 지지부(12)의 나사구멍(17)에 삽입되어 너트(19)에 의해 조여짐으로써, 건물의 천정 기초구조물(20)에 콘크리트못 등에 의해 견고히 고착되어 있는 고착부(13)와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평 크로스부재(2) 및 캐리어부재(3)의 처짐이 방지됨과 동시에 천정틀 전체가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만약, 천정틀, 특히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아래면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는 상기 너트(19)를 풀어 조정함으로써 수평을 쉽게 맞추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부재(3)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캐리어부재 지지부(12)의 개방부에는 핀(5)이 끼워져 있다. 상기 지지부라켓(4)의 설치위치는 천정틀이 쳐지는 상태를 고려하여 적당한 위치로 선택하면 되는데, 상기 캐리어부재(3)가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와 교차되는 지점의 양쪽마다 설치하면 가장 견고한 구조가 되지만 굳이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평평하게 수평이 잘 맞추어진 수평 크로스부재(2) 및 수평 기준부재(1)의 아래면에 천정마감재(7)가 통상의 방법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립식 천정틀을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 순서로 이루어지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각 부재들의 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각 부재의 기능 및 작용도 상기한 바와 같으므로 이를 생략하여 공정순서만을 간단히 설명한다.
즉, 천정기공의 공정순서는, 건물내부의 마주보는 양 벽체(18) 상단부에 수평 기준부재(1)를 상기 ㄷ자형 홈(8)의 개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부착하는 단계; 상기 수평 기준부재(1)에 수평 크로스부재(2)를 상기 양 수평 기준부재(1)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돌기(10)가 상기 수평 기준부재(1)의 ㄷ자형 홈(8)에 끼워지게 결합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부재(3)를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들과 교차되게 상기 L자형 홈(11)에 끼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부재(3)를 적절한 여러 지점에서 건물의 천정 기초구조물(20)에 지지 브라켓(4)에 의해 매달아 지지되게 하는 단계;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 및 수평 기준부재(1)의 아래면에 천정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정틀은, 전체적인 구조가 조립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위로 향해 하는 못질이나 특수장비가 필요한 용접 및 드릴작업이 거의 필요가 없게 되어 숙련공이 필요없이 단순기능공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가 있고, 또한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가 단축되므로 시공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천정틀이 해체되는 경우 각 부재들의 파손이 없이 용이하게 조립상태를 해체할 수 있으므로 각 부재들을 재사용할 수가 있어 자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경오염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각 부재들의 결합시 못질이 거의 없고, 또 재질 특성상 쪼개짐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전체적으로 천정틀을 튼튼한 구조가 될 수 있으며, 또한 각 부재들은 비중이 낮은 재료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어, 작업하기가 쉽고 자체 하중을 지지해 주는 것도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더우기, 종래에는 천정마감재가 부착되는 면의 수평을 맞추기도 어려웠고, 만약 이 수평이 잘 맞지 않으면 뜯어서 다시 작업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천정틀에서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의해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천정마감재가 부착되는 면의 수평조절이 극히 용이하고 조립 후 다시 뜯어야하는 불편함이 없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정틀을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에 의해, 상기와 같은 조립식 천정틀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조립하고, 여기에 천정마감재를 부착함으로써 천정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효과들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천정틀에 있어서의 실제 작업효율을 종래의 천정틀에 있어서와 비교해 본 결과, 종래의 목재틀이 1이고, 종래의 강재틀이 0.8임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1.8로 측정되어 작업성이 훨씬 우수함이 증명되었고, 또한, 재료비도 종래의 어떠한 시공보다도 상당히 훨씬 싸게 계산되었다.

Claims (5)

  1. 그 한쪽면에 ㄷ자형 홈(8)이 파진 4각 각재로 된 수평 기준부재(1)가 마주보는 양 벽체(18) 상단부에 상기 ㄷ자형 홈(8)의 개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되고; 그 양단면에 상기 ㄷ자형 홈(8)에 끼워질 수 있게 된 돌기(10)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한쪽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L자형 홈(11)이 다수개 파져 있는 4각 각재의 수평 크로스부재(2)가 상기 양 수평 기준부재(1)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돌기(10)가 상기 수평 기준부재(1)의 ㄷ자형 홈(8)에 끼워져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4각 각재의 캐리어부재(3)가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와 교차되면서 상기 L자형 홈(11)에 끼워져 설치되어서, 상기 수평 기준부재(1) 및 수평 크로스부재(2)의 아래면에 천정마감재(7)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천정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조립식 천정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수평 기준부재(1), 수평 크로스부재(2) 및 캐리어부재(3)는 그 재질이 합성수지재, 특히 폴리에틸레(PE)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조립식 천정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부재(3)는 적절한 여러 지점에서 지지브라켓(4)에 의해 건물의 천정 기초구조물(20)에 매달려 지지되고, 이 지지 브라켓(4)은 상기 캐리어부재(3)를 받쳐서 지지해 주도록 된 캐리어부재 지지부(12)와 천정 기초구조물(20)에 고착되는 고착부(13)로 이루어지되 양자는 나사식으로 연결되어 높이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조립식 천정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기준부재(1)와 수평 크로스부재(2)의 연결부위는 핀(5)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와 캐리어부재(3)의 연결부위는 클립(6)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조립식 천정틀.
  5. 건물내부의 마주보는 양 벽체(18) 상단부에 그 한쪽면에 ㄷ자형 홈(8)이 파진 4각 각재로 된 수평 기준부재(1)를 상기 ㄷ자형 홈(8)의 개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고정부착하는 단계; 상기 수평 기준부재(1)에, 그 양단면에는 상기 ㄷ자형 홈(8)에 끼워질 수 있게 된 돌기(10)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한쪽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L자형 홈(11)이 다수개 파져 있는 4각 각재의 수평 크로스부재(2)를 상기 양수평 기준부재(1)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돌기(10)가 상기 수평 기준부재(1)의 ㄷ자형홈(8)에 끼워지게 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4각 각재의 캐리어부재(3)를 상기 수평 크로스부재(2)들과 교차되게 상기 L자형 홈(11)에 끼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부재(3)를 적절한 여러 지점에서 건물의 천정 기초구조물(20)에 지지 브라켓(4)에 의해 매달아 지지되게 하는 단계; 상기 수평 기준부재(1) 및 수평 크로스부재(2)의 아래면에 천정마감재(7)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천정틀을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
KR1019940025799A 1994-10-08 1994-10-08 조립식 천정틀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 KR0141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799A KR0141552B1 (ko) 1994-10-08 1994-10-08 조립식 천정틀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799A KR0141552B1 (ko) 1994-10-08 1994-10-08 조립식 천정틀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560A KR960014560A (ko) 1996-05-22
KR0141552B1 true KR0141552B1 (ko) 1999-02-18

Family

ID=1939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799A KR0141552B1 (ko) 1994-10-08 1994-10-08 조립식 천정틀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5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560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8803A (en) Method and means for reinforcing a steel stud wall
US6266938B1 (en) Steel floor structure
CN111622416B (zh) 一种绿色建筑的装配式天花吊顶结构
KR100794286B1 (ko) 조립식 파티션
KR102250859B1 (ko) 내진용 건축 내외장 패널
KR0141552B1 (ko) 조립식 천정틀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
JP5442365B2 (ja) 補強梁接合金物
KR102299997B1 (ko) 엠바와 엠바브라켓의 결합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034433A (ko) 조립식 트러스
KR20170003353U (ko) 멀티데크의 접합부재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JP7476127B2 (ja) 梁支持構造及び梁支持方法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KR200326217Y1 (ko) 조립식 구조물
KR200194392Y1 (ko) 건축용 프레임 패널의 보조 프레임 지지 장치
KR100940106B1 (ko) 데크 설치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설치방법
KR200225503Y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JP3054035U (ja) 吊足場
JP2951900B2 (ja) 床支持構造
KR200339870Y1 (ko) 천정거푸집 고정구
KR200306769Y1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조
JPH0932125A (ja) 木造建築用連結金具
JPH0696916B2 (ja) 増築用間仕切耐力壁パネルの施工方法
KR950008063Y1 (ko) 건축용 패널
KR20020030837A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