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047B1 - 성형수축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성형수축 방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047B1
KR0141047B1 KR1019940027531A KR19940027531A KR0141047B1 KR 0141047 B1 KR0141047 B1 KR 0141047B1 KR 1019940027531 A KR1019940027531 A KR 1019940027531A KR 19940027531 A KR19940027531 A KR 19940027531A KR 0141047 B1 KR0141047 B1 KR 0141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molding
mold
hole
shr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625A (ko
Inventor
김태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4002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047B1/ko
Priority to CN95108775A priority patent/CN1121863A/zh
Publication of KR960013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03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 B29C45/174Applying a pressurised flui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jected material inside the mould cavity, e.g. for preventing shrinkag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25Preventing defects on the moulded article, e.g. weld lines, shrinkag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03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 B29C45/1734Nozzl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29C45/345Moulds having venting means using a porous mould wall or a part thereof, e.g. made of sintere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출성형시 응고가 진행중인 수지 내부로 주입된 공끼가 상단한 규모의 공동을 형성하여 성형부를 받쳐 줌에 따라 ㅅ어형수축을 방지하는 성형수축 방지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사의 경사밀핀에 의한 어더컷처리를 통한 성형수축 방지장치가 지닌 금형 구조상의 복잡성 및 조기마모 등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바,
통상의 슬리브(25)와 보스핀(24)이 삽설된 통공(22a)에 인접한 별도의 통공(22b)을 형성하여 공기주입을 위한 일련의 구성품을 삽설하는 한편 하단에 닛플(32)을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체널성형부(22c)를 향해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 단순구조의 성형수축 방지장치를 구성하여 닛플(32)을 통해 수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일정압력의 공동을 형성함에 따라 성형수축을 방지함으로써, 사출성형에 있어서의 성형수축 방지와 관련한 금형 제작상의 공수절감 및 원가절감은 물론 사용상의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성형수축 방지장치
제1도는 종래의 성형수축 방지장치 일부를 발췌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성형수축 방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상형판 22:하형판
23:공동 26:통기핀
27:작동핀 29:통기핀몸체
본 발명은 사출성형에 있어서의 성형수축 방지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충진완료 단계의 수지(樹脂)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응고가 진행중인 성형품 내부에 일정 압력의 공동(空洞)을 형성시킴에 따라 보스부의 성형수축을 방지하는 성형수축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 사출성형은 통상 상하로 구성된 1조의 금형 사이에 일정형상으로 형성된 공간에 용융상태의 수지를 사출하여 응고시킨 다음 상기의 금형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일정 성형품을 완성하는 작업이다. 한편, 상기의 성형품에는 상대부품과의 조립 등을 위한 보스(Boss)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수지가 응고 완료되어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 상기 보스부가 지닌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보스핀(Boss pin)의 선단부 주위에 순간적으로 진공이 형성되면서 반대쪽 성형부의 표면이 대기압의 작용에 의해 보스부를 향해 빨려 들어가 결국 제품의 표면에 수축부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형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스부가 연결되는 부분을 경사밀핀 등의 특수기구에 의한 어더컷(Under-cut) 형상으로 함으로써, 다소의 유동성을 지닌 수지가 보스부를 향해 빨려 들어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배제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편, 경사밀핀에 의한 언더컷처리를 통한 일반적 수축방지법은 전체적 금형구조가 복잡하여 제작공수가 과다하게 투입됨은 물론 고압의 사출압력으로 인한 경사밀핀의 조기마모등 근본적 문제점이 많은 실정이다.
또한, 보스부의 성형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가스도입로를 설치한 금형장치가 일본국 특개평6-254865호로 공지되어 있으나, 이 장치는 가스(또는 공기)통로를 적기에 폐쇄하는 구조가 없어서 가스(공기)공동내에 적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어렵고 따라서 성형수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내구성이 증대된 구조의 금형을 사용하는 성형수축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통상의 슬리브와 보스핀이 삽설된 통공의 상단부를 포함하는 채널(Channel)성형부를 하형판의 상단면에 가공하고 상기의 통공에 인접한 별도의 통공을 행성하여 그 내부에 공기주입을 위한 일련의 구성품을 삽설하는 한편하단에 닛플을 연결하여 외부로 부터 상기의 채널성형부를 향해 공기를 주입하여 수지 내부에 일정압력의 공동을 형성시킴에 따라 성형수축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성형수축 방지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성형수축 방지장치의 일부를 발췌한 단면도로서, 경사밀핀(15)에 의해 보스부(12)의 수축을 방지하는 원리를 나타낸다. 사출성형품(10)은 통상 그 외형을 구성하는 성형부(11)와 상대부품 조립용의 보스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성형부(11)로부터 보스부(12)가 분기하는 부분에 경사밀핀(15)을 설치하여 그 선단부를 보스부(12) 내부로 삽입함에 따라 해당 부위에 언더컷(A)이 형성된 구조이다.
작동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수지의 응고가 완료되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형판(14)이 성형부(12)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밀판(도시 안됨)이 상승하고 이때, 밀판에 결합된 슬리브(18)가 보스부(12)를 밀어올리게 되어 완성된 성형품(10)이 금형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슬리브(18)와 습동구조로 구성된 보스핀(17)은 하고정판(도시 안됨)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18)의 상승으로 인해 보스부(12)가 밀려 올라가는 과정에서 보스핀(17)의 선단과 보스부(12) 사이에는 공간이 혀엉되고 이는 잠시동안 진공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상형ㅍㄴ(14)이 분리된 성형부(11)에는 대기압이 작용하므로 상기 진공상태의 공간 상방에 위치하는 일부 치약지점(B)은 보스부(12)쪽으로 수축하는 경향을 띠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사밀핀(15)이 대기압의 영향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문제의 취약지점(B)이 수축되지 않고 전체 성형부(11)가 양호한 평면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경사밀핀(15)의 삽입에 의해 보스부(12)에 언더컷(A)이 형성됨으로 인한 구조적 취약성을 보강하기 위해 보스부(12) 주위에 리브(13)를 부설함은 물론이다.
경사밀핀(15)을 이용한 상기의 수축방지법은 전체적 금형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고 고압의 사출압력으로 인한 경사밀핀의 조기마모등 근본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은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성형수축 방지장치의 구성도로서, 공기주입에 의해 보스부(20b)의 수축을 방지하는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성형부(20a)의 일정부 위에 보스부(20b)를 포함하는 채널부(20c)가 구비된 형상의 성형품(20)이 되도록 하형판(22)의 상단면에 채널성형부(22c)를 가공한다. 보스부(20b)의 취출을 위한 통상의 슬리브(25)와 보스핀(24)이 삽설된 통공(22a)에 인접한 별도의 통공(22b)을 형성하여 그 상단부로부터 통기핀(26), 통기핀몸체(29) 및 받침판(30)의 순서로 삽설한 구조이다. 최상단에 배치되고 선단부가 채널성형부(22c) 내부로 깊이 돌출한 통기핀(26)의 원형 중공부에는 작동핀(27) 및 스프링(28)이 삽설되고 그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통기핀몸체(29)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작동핀(27)의 상단은 볼록한 반구형으로서 통기핀(26)의 상단면 위로 돌출하는 한편 하단부에는 반대로 반구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작동핀(27)의 하부와 통기핀(26)의 내부에 각각 단(段)을 형성하고 양단 상이에 스프링(28)을 삽설함에 따라 통기핀(26)의 하단부가 통기핀몸체(29)의 중공부에 형성된 공기통로를 봉쇄한 구조로 된다. 또한, 상기의 받침판(30)과 통기핀몸체(29)의 접촉부에는 오링(O-ring) 등의 기밀유지부재(31)를 삽설한다. 상기 통기핀몸체(29)와 통기핀(26)간의 결합부에도 씨일(Seal)을 감아 공기의 누설을 방지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받침판(30)의 중공부에 닛플(32)의 선단부를 결합하여 닛플(32)의 중공바와 상기의 공기통로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의 통공(22b) 하단부에 2개소의 나사산을 형성하여 통기핀몸체(29)를 비롯한 관련 구성품을 해당위치에 확실히 고정시키고자 하는 것으로서, 기타의 체결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동시에, 상기 작동핀(27)의 상,하단의 형상 역시 이상적 공기확상 및 작동상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일반형상에 해당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그 형상 자체를 한정 하지는 않는다.
이로써, 사출작업에 의해 상형판(21)과 하형판(22)간의 공간에 수지가 충진완료되는 시점에 공기공급관(도시 안됨) 및 닛플(32)을 통해 외부공기를 주입하면 통기 핀몸체(29)를 거쳐 작동핀(27)의 하단부를 밀어올린 공기가 작동핀(27)의 상단부와 통기핀(24) 내벽간의 미세한 틈을 통해 상기 채널성형부(22c)를 충진한 수지 내부로 확산되어 상당한 규모의 공동(23)을 형성한다. 한편, 수지 내부로 확산된 공기는 수지를 냉각시켜 응고를 촉진함은 물론, 수지 내부에 형성된 공기압은 문제의 취약지점(B) 포함한 성형부(20a)전체를 받쳐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수지가 응고되어 완성품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 앞서의 원링 의해 보스핀(24) 선단 주위에 순간적으로 진공이 형성되더라도, 수지 내부에 형성된 공기압으로 인해 보스부(20b)의 상방에 위치한 취약지점(B)은 보스부(20b)를 향해 수축되지 않고 양호한 평면을 유지한다. 전체적 구조를 살펴보녀, 별도의 채널성형부(22c)를 구비한 하형판(22)을 관통한는 통공(22b) 내부에 일련의 구성품을 삽설하여 성형수축 방지 장치를 완성함으로써 그 구조가 상당히 단순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통상의 슬리브와 보스핀이 삽설된 통공의 상단부를 포함하는 채널성형부를 하형판의 상단면에 가공하고 상기의 통공에 인접한 별도의 통공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공기주입을 위한 일련의 구성품을 삽설하고 하단부에 닛플을 장착한 구조의 성형수축 방지장치를 구성한 다음 외부로부터 상기의 채널성형부를 향해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수지내부에 형성된 일정압력의 공동에 의해 보스부를 포함한 성형품의 수축을 방지함으로써, 사출성형에 있어서의 성형수축 방지와 관련한 금형 제작상의 공수절감 및 원가절감은 물론 사용상의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성형수축 방지방법을 이용한 사출성형 작업은 공장내에 설치된 통상의 압축공기 배관으로부터의 공기압력으로도 충분한 충진도가
확보되기 때문에 별도의 고압가스를 사용한 통상의 가스(Gas)사출에 비해 설비의 편의성 및 작업안정성이 향사되는 장점도 잇다. 아울러, 일반적 성형수축 문제 부위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

  1. 상형판(21)과, 성형품(20)의 보스부(20b)에 상응하는 통공(22a)의 상단부를 포함하여 통공(22b)와 채널성형부(22c)가 상단면에 형성된 하형판(22)과, 상기 통공(22b)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닛플(32)을 구비한 받침판(30)을 포함하는 통상의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공(22b)에 위로부터 차례로 삽설되고 내부에 형성된 각각의 중공부가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로 상호 연결된 통기핀(26)과, 상기 통기핀(26)의 중공부에 삽설되어 통공(22b)을 개폐하도록 스프링(28)의 탄발력에 의해 상단이 통기핀(26)의 상단면 위로 돌출하여 통기핀(26)의 중공부를 개폐하는 작동핀(27)과 상기 스프링(28)의 탄발력이 작용하는 상기 작동핀(27)의 하단에 의해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은 상기 닛플(32)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중공부 공기통로를 구비한 통기핀몸체(29)를 더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수축 방지장치.
KR1019940027531A 1994-10-26 1994-10-26 성형수축 방지장치 KR0141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531A KR0141047B1 (ko) 1994-10-26 1994-10-26 성형수축 방지장치
CN95108775A CN1121863A (zh) 1994-10-26 1995-08-23 在注模法加工中防止空隙形成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531A KR0141047B1 (ko) 1994-10-26 1994-10-26 성형수축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625A KR960013625A (ko) 1996-05-22
KR0141047B1 true KR0141047B1 (ko) 1998-07-01

Family

ID=1939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531A KR0141047B1 (ko) 1994-10-26 1994-10-26 성형수축 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41047B1 (ko)
CN (1) CN11218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1775A (zh) * 2020-04-07 2020-06-26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电视底座及其制造方法、电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625A (ko) 1996-05-22
CN1121863A (zh) 1996-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168096B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r piezas moldeadas por inyeccion y molde para fabricar piezas moldeadas por inyeccion
KR970025909A (ko) 사출성형동시착화장치
MY13822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injector outer cylinder
ES2113618T3 (es) Componente con pieza insertada moldeada.
EP1391285A4 (en) Resin forming method an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DK0864411T3 (da) Form til fremstilling af skive-lignende genstande
KR0141047B1 (ko) 성형수축 방지장치
US5636976A (en) Tip seal for scroll type com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0033636A (ja) 熱硬化性材料の射出成形用金型
JPH10264222A (ja) 射出成形シリンダ用バルブ構造
JPS6485718A (en) Manufacture of molded product made of thermoplastic elastomer resin
JPS6478812A (en) Molding device for bellows type molded form
JPS6469020A (en) Method of sealing light-emitting diode with resin
CA2193298C (en) Removal of injection-molded tie from mold by utilizing bulges at opposite ends of abutment wall of tie
JP3611977B2 (ja) 中空体製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JPS6026973Y2 (ja) 射出成型用金型
JPS63141712A (ja) プラスチツクの射出成形方法
JPS60228117A (ja) 型内真空射出成形用金型
KR100503775B1 (ko) 스위치용푸쉬로드성형방법
JPS6343061Y2 (ko)
KR19990033888U (ko) 사출금형에 있어서 바아(bar)를 이용한 언더컷홀(undercut hole)성형장치
KR930002752Y1 (ko) 사출 성형기용 슬라이드 노즐
JPH028738Y2 (ko)
JPH10129691A (ja) 射出立体加飾チューブ
JPH047114A (ja) 射出成形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