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023B1 -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 - Google Patents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023B1
KR0141023B1 KR1019950003993A KR19950003993A KR0141023B1 KR 0141023 B1 KR0141023 B1 KR 0141023B1 KR 1019950003993 A KR1019950003993 A KR 1019950003993A KR 19950003993 A KR19950003993 A KR 19950003993A KR 0141023 B1 KR0141023 B1 KR 0141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rocessing machine
frame
limit switch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010A (ko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03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023B1/ko
Publication of KR96003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suction means
    • B66C1/0237Multiple lifting units; More than one suction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력(人力)이 아닌 기계적인 동력에 의해 가공할 판넬을 판넬가공기계에 자동으로 장입할 수 있는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판넬가공기계의 반입구 앞쪽 상측에 수평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레일을 타고 구르는 전동리프터로부터 아래쪽으로 인출된 와이어로프의 최하단에 후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판넬가공기계에 장입하려는 판넬의 표면에 흡착되는 여러개의 진공패드가 설치된 프레임이 상기 후크에 설치되어 있는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리프터(30)의 리프터케이스(31a)의 하부에 안내부재(40)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31)과 후크(32)의 사이에는 이 프레임(31)을 90°수평회전운동시키는 요동운동기구(50)를 설치하며, 상기 요동운동기구(50)의 저부에서 일측단을 기점으로 상하회전운동하는 경사각조절기구(7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요동운동기구(50)의 상측에는 상기 안내부재(40)와 미끄럼 결합되는 여러개의 가이드봉(60)을 입설하며, 이 가이드봉(60)의 결정된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위치 감지수단(80)을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Description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
제1도는 종래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작동순서도로서,
(a)는 판넬가공기계의 진공패드가 판넬을 흡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b)는 판넬가공기계가 (a)의 상태로부터 흡착한 판넬을 견인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c)는 판넬가공기계의 경사각조절기구가 (b)의 상태로부터 수평한 원위치로 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d)는 판넬가공기계의 요동운동기구가 (b)의 상태로부터 90°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e)는 판넬장입장치가 (d)의 상태로부터 판넬가공기계의 반입구측을 향해 수평이동한 상태를 보이는 것이며,
(f)는 판넬장입장치가 (e)의 상태로부터 판넬가공기계의 지그를 향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g)는 판넬장입장치의 진공패드가 (f)의 상태로부터 흡착한 판넬을 놓아 판넬이 지그위에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전동 리프터 30a:리프터케이스
31:프레임 32:후크
40:안내부재 50:요동운동기구
51:상측고정부재 52:하측회전운동부재
53, 72:에어실린더 53a, 72a:실린더로드
54:실린더몸체 54a, 54b:스토퍼
60:가이드봉 70:경사각조절기구
71:힌지 73:체인
80:승강위치감지수단 LSW1:제1 리미트스위치
LSW2:제2 리미트스위치 LSW3:제3 리미트스위치
LSW4:제4 리미트스위치 D1:제1 도그
D2:제2 도그 D3:제3 도그
본 발명은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판넬을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가공하는 대형 스포트용접기와 같은 판넬가공기계에 가공할 판넬을 가공전의 판넬이 적층되어 있는 랙으로부터 판넬을 척킹하여 판넬가공기계에 설치된 지그에 자동으로 옮겨오도록 한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재인 판넬을 가공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특히 대형판넬의 가공에는 프레스에 의한 굽힘 및 타공가공이 선행되고 후에 용접과 같이 프레스가공으로는 불가능한 가공을 하여 평판재의 취약점인 굽힘강도를 보완하는 동시에 주변부품들과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보통 평판재 끼리의 영구적인 결합에는 결합하려는 양쪽의 판재중 어느 한쪽의 판재에 여러개의 돌기를 미리 형성하여 이 돌기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를 맞댄 다음 양쪽 판재에 대전류를 일순간에 흘려 돌기가 형성된 부분에서 이루어진 양측의 점접촉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저항열을 이용하여 양측의 판재를 동시에 용융시킨 다음 가압하여 두 판재를 결합시키는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차체를 구성하는 판넬류는 비교적 대형물에 속하므로 상기와 같은 가공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 편이다. 한편, 인력에 의해 판넬을 옮기는 것은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을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작업자는 제어조작만 하고 작업은 기계적인 동력원을 구동원으로 하여 움직이는 자동화기계가 알아서 판넬을 옮길수 있는 자동화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가공기계(10)의 반입구(10a) 앞쪽 천정에 수평레일(1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수평레일(11)을 타고 구르는 전동리프터(12)가 이 수평레일(11)에 설치되어 이 전동리프터(12)로부터 아래쪽으로 인출된 와이어로프(13)의 최하단에 후크(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후크(14)에 걸려 있는 폐쇠고리(17)에 의해 위쪽에서 한데 모아져 있고, 상기 프레임(15)의 하부에는 여러개의 진공패드(1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치를 사용할때는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전동리프터(12)를 가공하기 전의 판넬(P1)이 있는 쪽으로 옮긴 다음 다시 수동조작에 의해 와이어로프(13)를 풀어서 상기 프레임(15)에 설치되어 있는 진공패드(18)가 판넬(P1)의 상면(Pla)에 밀착되도록 하강시키게 되면, 프레임(15)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스위치(LSW)가 상기 판넬(P1)에 접촉되면서 작동하여 각 진공패드(18)에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판넬(P1)이 흡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쇠사슬(16)에 매달린 프레임(15)이 쇠사슬(16)의 자유로움에 의해 옆으로 흔들리므로 여러명의 작업자가 손이나 공구를 이용하여 흡착하려는 판넬(P1) 위에 진공패드(18)가 정확히 위치되도록 프레임(15)을 잡아주는 작업을 반드시 하여야 하므로 생산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진공패드(18)에 흡착된 판넬(P1)을 판넬가공기계(10)로 옮기기 위해서는 전동리프터(12)의 와이어로프(13)을 감아 진공패드(18)에 척킹된 판넬(P1)을 상승시킨 다음 작업자의 수조작에 의해 제자리에서 판넬을 90°회전시켜 전동리프터(12)를 상기 판넬가공기계(10)쪽으로 옮기고 다시 하강시켜 정위치에 판넬(P1)이 위치되었을 때 진공패드(18)의 안쪽을 대기압으로 만들어 판넬(P1)이 진공패드(18)로부터 떨어져 분리되면서 동시에 판넬가공기계(10)의 지그(도시 않됨)에 올려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는 판넬장입동작의 일부분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반자동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판넬(P1)을 척킹한 프레임(15)이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심한 쇠사슬(16)에 매달려 있으므로 작업자가 옆에서 잡아주지 않게 되면 주위의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수평이동중에 흔들림이 심하여 상하진동을 수반하면서 진공패드(18)에 흡착되어 있는 판넬(P1)이 흡착력을 이기고 자유낙하되는 염려가 있으므로 저속으로 운전하면서 작업자가 판넬을 반드시 잡아주어야 되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동중인 판넬에 근접하여 작업을 하게 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항상 위험부담을 안고 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인력(人力)이 아닌 기계적인 동력에 의해 가공할 판넬을 판넬가공기계에 자동으로 장입할 수 있는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넬가공기계의 반입구 앞쪽 상측에 수평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레일을 타고 구르는 전동리프터로부터 아래쪽으로 인출된 와이어로프의 최하단에 후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판넬가공기계에 장입하려는 판넬의 표면에 흡착되는 여러개의 진공패드가 설치된 프레임이 상기 후크에 설치되어 있는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리프터의 리프터케이스의 하부에 안내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과 후크의 사이에는 이 프레임을 90°수평회전운동시키는 요동운동기구를 설치하며, 상기 요동운동기구의 저부에서 일측단을 기점으로 상하회전운동하는 경사각조절기구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요동운동기구의 상측에는 상기 안내부재와 미끄럼 결합되는 여러개의 가이드봉을 입설하며, 이 가이드봉의 결정된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위치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가공기계(90)의 전방측에 마련되어 있는 반입구(91)의 앞쪽 상측에 수평레일(9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수평레일(92)을 타고 전동리프터(30)가 구르도록 되어 있고, 이 전동리프터(30)로부터 아래쪽으로 인출된 와이어로프(93)의 최하단에 후크(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후크(32)에는 장입하려는 판넬(P2)의 표면에 흡착되는 여러개의 진공패드(95)가 설치된 프레임(31)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리프터(30)의 리프터케이스(30a)의 하부에 안내부재(40)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31)과 후크(32)의 사이에는 이 프레임(31)을 90°수평회전운동시키는 요동운동기구(50)를 설치하며, 상기 요동운동기구(50)의 저부에서 일측단을 기점으로 상하회전 운동하는 경사각조절기구(7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요동운동기구(50)의 상측에는 상기 안내부재(40)외 미끄럼 결합되는 환봉(丸棒)형태의 가이드봉(60)을 여러개 입설하며, 이 가이드봉(60)의 결정된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위치감지수단(80)을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요동운동기구(50)는 상기 가이드봉(60)의 하단과 후크(32)에 연결된 상측고정부재(51)와, 이 상측고정부재(51)의 하부에 수평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90°요동운동하는 하측회전운동부재(52)와, 상기 상측고정부재(51)와 하측회전운동부재(52)에 실린더로드(53a) 및 실린더몸체(53b)가 각각 피봇 결합되는 에어실린더(53) 및 상기 상측고정부재(51)와 하측회전운동부재(52)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측회전운동부재(52)의 90°회전운동각을 제한해주는 복수개의 스토퍼(54a)(54b)와, 상기 요동운동기구(50)의 결정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상측고정부재(51)와 하측회전운동부재(52)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리미트스위치(LSW1) 및 이 제1 리미트스위치(LSW1)에 탈접하는 제1 도그(D1)로 구성하였다.
상기 경사각조절기구(70)는 상기 요동운동기구(50)의 저부 일측단에 상기 프레임(31)의 일측단을 힌지(71)에 의해 상하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요동운동기구(50)상에는 실린더로드(72a)에 체인(73)의 일측단이 연결된 에어실린더(72)의 실린더몸체(72a)를 설치하고, 이 체인(73)의 타측단은 상기 프레임(31)의 타측단에 연결하며, 상기 체인(73)의 중간에 상기 요동운동기구(50)상에 설치된 제2 리미트스위치(LSW2)에 탈접하는 제2도그(D2)를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승강위치감지수단(80)은 상기 안내부재(40)상에 제3 리미트스위치(LSW3) 및 제4 리미트스위치(LSW4)를 서로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봉(60)의 중간에는 상기 제3 리미트스위치(LSW3) 및 제4 리미트스위치(LSW4)에 번갈아가며 탈접하는 제3 도그(D3)를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요동운동기구(50)의 상측고정부재(51)는 봉재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모양이 장방형의 모양이 되도록 서로를 용접하여 구성하였으며, 그 중앙에는 상기 후크(32)가 걸리는 고리(5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회전운동부재(52)는 상기 상측고정부재(51)와 마찬가지로 봉재를 이용하여 구성한 것이며, 상기 상측고정부재(51)와 하측회전운동부재(52)는 이들의 중앙에 축(56)과 베어링블록(57)에 의해 수평회전 운동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도그(D1) 및 제2 도그(D2), 제3 도그(D3)는 모두 그 도그몸체(58) 중앙에 슬라이딩구멍(58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조정완료후 고정을 위한 세트나사(59)가 설치되어 있고, 그 양측단에는 상기 제1 리미트스위치(LSW1) 및 제2 리미트스위치(LSW2), 제3 리미트스위치(LSW3), 제4 리미트스위치(LSW4)들이 가진 버튼부(B)에 접촉될 때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그 접촉면을 경사형태로 형성하였다.
상기 안내부재(40)는 상기 리프터케이스(30a)의 저부에 연결되는 두 개의 상측다리부(41)(42)와 이 상측다리부(41)(42)의 각 하단에 연결되는 장방형의 안내부본체(4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다리부(41)(42)의 상단에는 상기 리프터케이스(30a)에 연결되도록 플랜지(44)와 체결용볼트(4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본체(43)는 봉재를 이용하여 사각(四角) 모양으로 배열된 세로부재(43a)와, 이들 세로부재(43a)를 연결하는 여러개의 가로부재(43b)가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세로부재(43a)의 좌우양측부에는 X자 모양으로 교차된 형강재(43c)가 설치되어 있고, 하단의 전후방향측에는 상기 가이드봉(60)을 안내하는 4개의 가이드부쉬(61)가 각각 2개씩 세워진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공패드(95)는 이것에 의해 흡착되는 판넬(P2)의 형상이 굴곡짐에 따라 각 진공패드(95)가 동시에 판넬(P2)의 표면에 닿지 않아 모든 진공패드(95)가 상기 판넬(P2)에 흡착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패드(95)가 달리 안내관(95a)을 상기 프레임(31)에 상하운동이 자유롭도록 설치하고, 프레임(31)과 안내관(95a)의 사이에 하측방향으로 탄성을 줄수 있는 스프링(95b)을 각각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진공패드(95)는 이것에 의해 흡착되는 판넬(P2)의 표면형상에 따라 각 진공패드(95)간의 거리 및 높낮이를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0은 상기 판넬가공기계(90)의 반입구(91)에서 출입되는 지그를 나타낸 것이며, 101은 상기 지그(100)가 상기 반입구(91)에서 출입될 때, 이 지그(100)를 싣고 안내작용을 하면서 동시에 직선운동을 하는 컨베이어벨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3도의 (a)와 같이 판넬장입장치의 진공패드(95)가 판넬(P2)을 흡착한 상태에서 전동리프터(30)에 구동전류가 흐르게 되면, 와이어로프(93)는 전동리프터(30)에 권취되면서 동시에 후크(32)와 고리(55)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93)의 끝단에 연결된 요동운동기구(50)와 프레임(31) 및 이 프레임(31)의 진공패드(95)에 흡착된 판넬(P2)을 상측으로 끌어올리게 되어 첨부도면 제3도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안내부재(40)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부쉬(61)에서 가이드봉(60)이 미끄러지면서 상하직선안내작용을 하게 되고 가이드봉(60)에 설치되어 있는 제3 도그(D3)의 상단부가 제3 리미트스위치(LSW3)에 텃치되면서 제어장치(도시 않됨)에 판넬(P2)이 최상측에 위치되었다는 위치신호를 주게 되고 곧 제어장치(도시 않됨)는 전동리프터(30)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게 되어 판넬(P2)의 상승은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경사각조절기구(70)에 구비된 에어실린더(72)의 실린더로드(72a)를 실린더몸체(72b)로 후진시키게 되면, 실린더로드(72a)의 선단에 달린 체인(73)이 당겨지는 실린더로드(72a)에 의해 이끌려 동시에 당겨지면서 요동운동기구(50)상에 힌지(71)에 의해 연결된 프레임(31)을 끌어올리게 되며, 프레임(31)상의 진공패드(95)에 흡착되어 기울어진 상태로 있는 판넬(P2)도 함께 이끌려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평하게 세워지게 되며, 체인(73)의 중간에 설치된 제2 도그(D2)는 체인(73)을 따라 움직이다가 요동운동기구(50)의 하측회전운동부재(52)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리미트스위치(LSW2)에 접촉되면서 이 제2 리미트스위치(LSW2)가 온 또는 오프되어 제어장치(도시 않됨)에 판넬(P2)이 수평한 상태로 세워졌다는 신호를 보내주게 되며, 제어장치(도시 않됨)는 에어실린더(72)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여 에어실린더(72)의 움직임을 정지시키게 되어 판넬(P2)은 첨부도면 제3도의 (c)와 같이 수평한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요동운동기구(50)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실린더(53)의 실린더로드(53a)가 실린더몸체(53b)로부터 돌출되면서 하측회전운동부재(52)를 첨부도면 제3도의 (d)와 같이 90°각 운동시켜주게 된다. 이때 하측회전운동부재(52)에 연결되어 있는 프레임(31)과 판넬(P2)도 함께 90°각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측회전운동부재(52)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도그(D1)가 상기 하측회전운동부재(52)가 각 운동을 마침과 동시에 상기 상측고정부재(51)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리미트스위치(LSW1)에 텃치되어 제어장치(도시 않됨)에 판넬(P2)이 90°각 운동을 마쳤다는 위치정보를 입력시켜주게 되어 에어실린더(53)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동리프터(30)에 수평레일(92)을 타고 판넬가공기계(90)의 반입구(91)측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동전류를 흘려주게 되면, 전동리프터(30)의리프터케이스(30a)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안내부재(40) 및 요동운동기구(50), 프레임(31), 판넬(P2)을 모두를 이끌고 천정쪽의 수평레일(92)을 타고 판넬가공기계(90)의 반입구(91)측을 향해 직선운동하게 되어 첨부도면 제3도의 (e)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동리프터(30)에 와이어로프(93)를 풀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 구동전류가 흐르게 되면, 와이어로프(93)가 풀리면서 이 와이어로프(93)의 하단에 후크(32)와 고리(55)에 의해 연결된 요동운동기구(50)의 상측고정부재(51)를 아래쪽으로 하강시켜주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측고정부재(51)에 연결되어 있는 하측회전운동부재(52) 및 프레임(31), 판넬(P2)을 아래쪽으로 상기 판넬가공기계(90)의 반입구(91)측에 위치한 지그(100)의 상부를 향해 하강시켜주게 된다. 이때 상측고정부재(51)는 가이드봉(60)과 가이드부쉬(61)에 의해 상하방향의 직선안내를 받으면서 아래쪽으로 하강되다가 지그(100)의 상면에 근접되었을 때 가이드봉(60)에 설치된 제3 도그(D3)가 제4 리미트스위치(LSW4)에 텃치되면서 제4 리미트스위치(LSW4)가 온 또는 오프되어 제어장치(도시 않됨)에 판넬(P2)이 최하부에 위치되었다는 위치정보를 보내주게 되며, 극히 짧은 시간에 제어장치(도시 않됨)는 전동리프터(30)에 흐르던 구동전류를 차단하여 전동리프터(30)의 움직임을 멈추게 된다. 이때 첨부도면 제3도의 (f)와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진공패드(95)에 형성된 부압을 없애주게 되면, 진공패드(95)에 흡착되어 있던 판넬(P2)이 이 진공패드(95)로부터 이탈되면서 지그(100)의 상면으로 떨어지게 되어 판넬(P2)이 첨부도면 제3도의 (g)와 같이 지그(10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진공패드(95)에 형성되어 있는 부압을 없애는 방법은 진공패드(95)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벤추리관(도시 않됨)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게 되면, 진공패드(95)는 대기압과 거의 같은 상태로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장치(도시 않됨)로부터 전동리프터(30)에 구동신호를 보내주게 되어 이 전동리프터(30)가 상기 판넬(P2)이 적층되어 있는 쪽으로 이동되고 다시 전동리프터(30)에 의해 프레임(31)과 진공패드(95)가 하강되어 이 진공패드(95)가 상기 판넬(P2)의 표면에 밀착되면, 다시 각 진공패드(95)의 내부에는 부압이 형성되어 첨부도면 제3도의 (a)와 같이 판넬(P2)을 흡착하게 되는 것이며, 앞의 동작을 반복해서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판넬가공기계에 판넬을 공급하는 판넬장입작업을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할 수 있으므로 판넬장입작업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인적재해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기계적인 동력과 자동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무인운전하에서 판넬공급을 자동으로 할 수 있으므로 24시간 풀가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기존보다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판넬이송동작중에 가이드봉과 가이드부쉬에 의해 판넬의 흔들림이 방지되므로 진동에의한 판넬의 낙하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어 기존과 같이 예기치 않은 판넬의 낙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재해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모든 동작이 무인운전하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에게 편한함을 주게 되면서 동시에 적은 인원으로 여러대의 기계를 관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인원 및 기계관리인원을 크게 감축시킬 수 있어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어 판넬가공비에 드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므로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판넬가공기계의 반입구 앞쪽 상측에 수평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평레일을 타고 구르는 전동리프터로부터 아래쪽으로 인출된 와이어로프의 최하단에 후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판넬가공기계에 장입하려는 판넬의 표면에 흡착되는 여러개의 진공패드가 설치된 프레임이 상기 후크에 설치되어 있는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리프터(30)의 리프터케이스(30a)의 하부에 안내부재(40)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31)과 후크(32)의 사이에는 이 프레임(31)을 90°수평회전운동시키는 요동운동기구(50)를 설치하며, 상기 요동운동기구(50)의 저부에서 일측단을 기점으로 상하회전운동하는 경사각조절기구(7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요동운동기구(50)의 상측에는 상기 안내부재(40)와 미끄럼 결합되는 여러개의 가이드봉(60)을 입설하며, 이 가이드봉(60)의 결정된 위치를 감지하는 승강위치 감지수단(80)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운동기구(50)는 상기 가이드봉(60)의 하단과 후크(32)에 연결된 상측고정부재(51)와, 이 상측고정부재(51)의 하부에 수평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90°요동운동하는 하측회전운동부재(52)와, 상기 상측고정부재(51)와 하측회전운동부재(52)에 실린더로드(53a) 및 실린더몸체(53b)가 각각 피봇 결합되는 에어실린더(53) 및 상기 상측고정부재(51)와 하측회전운동부재(52)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측회전운동부재(52)의 90°회전운동각을 제한해주는 복수개의 스토퍼(54a)(54b)와, 상기 요동운동기구(50)의 결정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상측고정부재(51)와 하측회전운동부재(52)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리미트스위치(LSW1) 및 이 제1 리미트스위치(LSW1)에 탈접하는 제1 도그(D1)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조절기구(70)는 상기 요동운동기구(50)의 저부 일측단에 상기 프레임(31)의 일측단을 힌지(71)에 의해 상하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는 한편, 상기 요동운동기구(50)상에는 실린더로드(72a)에 체인(73)의 일측단이 연결된 에어실린더(72)의 실린더몸체(72b)를 설치하고, 이 체인(73)의 타측단은 상기 프레임(31)의 타측단에 연결하며, 상기 체인(73)의 중간에 상기 요동운동기구(50)상에 설치된 제2 리미트스위치(LSW2)에 탈접하는 제2도그(D2)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위치감지수단(80)은 상기 안내부재(40)상에 제3 리미트스위치(LSW3) 및 제4 리미트스위치(LSW4)를 서로 소정거리를 두고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봉(60)의 중간에는 상기 제3 리미트스위치(LSW3) 및 제4 리미트스위치(LSW4)에 번갈아가며 탈접하는 제3 도그(D3)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
KR1019950003993A 1995-02-28 1995-02-28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 KR0141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993A KR0141023B1 (ko) 1995-02-28 1995-02-28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993A KR0141023B1 (ko) 1995-02-28 1995-02-28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010A KR960031010A (ko) 1996-09-17
KR0141023B1 true KR0141023B1 (ko) 1998-07-15

Family

ID=1940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993A KR0141023B1 (ko) 1995-02-28 1995-02-28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0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010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023565A (zh) 自行走搬运装置、自行走小车及生产线
KR0141023B1 (ko) 판넬가공기계의 판넬장입장치
JP6803669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H1029143A (ja) バリ取装置
CN210649403U (zh) 一种汽车前悬架螺栓紧固设备
CN114789339B (zh) 一种电推剪调节手柄的组装设备
JP3969516B2 (ja) 配材装置
KR960007325B1 (ko) 용접유니트 및 용접장치
CN112222587B (zh) 置物篮自动点焊设备及其焊接方法
KR0131694B1 (ko) 판넬가공기계의판넬장입장치
CN210340233U (zh) 一种工件托运装置
JP3832892B2 (ja) スポット溶接装置
KR101053498B1 (ko) 쇽업소버의 너클브라켓 자동 공급 장치 및 방법
JPH03169481A (ja) 自動パネル組立装置
JPH07165384A (ja) アングル鋼材つかみ装置
CN220178514U (zh) 一种电焊实操培训工位架
CN212245970U (zh) 一种大型焊接吊具
CN109352635A (zh) 一种出油座生产用下料机械手
CN215711168U (zh) 自行走搬运装置、自行走小车及生产线
CN218464927U (zh) 吊挂夹具
JPH0314300Y2 (ko)
CN219155493U (zh) 一种网篮上料机构
CN211169526U (zh) 一种电池包的吊运工装
CN218447050U (zh) 一种工业机器人自动上下料实训装置
JPH0796397A (ja) 自動車のボディサイドの組立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