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619B1 - 차량용 잭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잭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619B1
KR0140619B1 KR1019950049944A KR19950049944A KR0140619B1 KR 0140619 B1 KR0140619 B1 KR 0140619B1 KR 1019950049944 A KR1019950049944 A KR 1019950049944A KR 19950049944 A KR19950049944 A KR 19950049944A KR 0140619 B1 KR0140619 B1 KR 0140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jack
vehicle
motor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230A (ko
Inventor
전민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4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619B1/ko
Publication of KR970042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actuated through worm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comprising toggle lev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잭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우터(8) 회전으로 동작되는 워엄휘일(9)을 워엄(5)에 수직방향으로 연결 설치하여 상기모우터(8)의 On-Off조작만으로 워엄휘일(9)을 정역회전 시키면서 이와 연결된 워엄(5)을 동작시킴에 따라, 잭포인트(6)의 승강동작이 전기적인 힘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타이어 교체시 차량을 간단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잭장치(a jack device of an automobile)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잭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 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잭장치의 구동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제 4도는 종래 잭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지플레이트 2:제1프레임
3:제2프레임 4:연결부
5:워엄 6:잭포인트
7,10:잭 8:모우터
9:워엄휘일 11:플러그
12:변속기어 13:파킹 브레이크
14:액셀레이터 15:점화장치
본 발명은 타이어 교체할 때 차체를 들어올리는 데 사용하는 잭에 관한 것으로 , 특히 외부의 전원없이 자체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승강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를 교체할 때 잭을 사용하여 자체를 들어올린 다음 타이어 교체작업을 하게 되는 데, 종래의 잭을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지지플레이트(1)에 한쪽 선단들이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한지 결합된 제1프레임(2)과 제2프레임(3)이 상호 대향되도록 연결설치되고, 이들 제1프레임(2)과 제2프레임(3)의 힌지부에는 일측에 연결부(4)를 갖춘 워엄(5)이 제2프레임(2,3)을 승강시키도록 연결설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2)의 한쪽 선단에는 잭포인트(6)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잭포인트(6) 부분을 차체의 하부에 받쳐놓고 연결부(4)에 휠너트렌치(도시안됨)을 끼워넣은 다음, 렌치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워엄(5)이 회전하여 이 워엄(5)에 연결된 제1프레임(2)과 제2프레임(3)을 힌지부를 중심으로 링크식으로 오무려 들거나 펼쳐지게 하면서 상기 잭포인트(6)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 상기 종래의 잭(7)은 휠너트렌티를 회전시키면서 잭포인트(6)를 승상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 조작이 불편할 뿐 아니라, 운전자가 노약자나 여성인 경우에는 조작하기 힌들고, 렌치를 수회 회전시켜야만 차체를 들어올리 수 있으므로 겨울철이나 여름철에는 사용하기가 더욱 불편하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잭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잭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모우터로 구동되는 워엄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모우터를 자차의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정·역회전 시켜 워엄기어를 구동시킴으로써 이 워엄기어가 잭포인트를 승강시키도록 하여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잭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잭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워엄의 회전에 의해 잭포인트가 승강되도록 제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이 힌지연결된 차량용 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중 어느 한쪽 프레임에 차량 배터리전원으로 구동되는 모우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된 워엄휠이 워엄과 맞물려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모우터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이 워엄휠이 워엄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이 워엄에 각각 한쪽 선단이 나사결합식으로 끼워져 지지된 제 1프레임과 제 2프레임을 서로 오므리는 방향이나 전개시키는 방향으로 링크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 상단에 구비된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잭장치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잭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쪽 선단이 잭포인트(6)와 지지플레이트(1)에 각각 힌지결합된 제1프레임(2)과 제2프레임(3)이 상호 대향되면서 워엄(5)의 회전에 따라 각 힌지점을 중심으로 링크식으로 운동되도록 실치되고, 이 워엄(5)에는 차량의 배터리전원(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우터(8)를 매개로 구동되는 워엄휘휠(9)이 상호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우터(8)는 제1프레임(2)이나 제2프레임(3)중 어는 한 쪽 프레임에 고정설치되고, 이 모우터(8)의 회전축에는 상기 워엄휠(9)이 상기 워엄(5)과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모우터(8)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워엄휠(9)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이 워엄휠(9)에 이빨이 서로 맞물린 워엄(5)을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워엄(5)이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워엄(5)에 나사결합식으로 맞물린 제1프레임(2)과 제2프레임(3)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이나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주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2)과 제2프레임(3)은 상단 한곳에서 지지플레이트(1)와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프레임(2)과 제2프레임(3)의 오무림 또는 벌어짐 작동을 함에 따라 그 상단에 결합된 지지플레이트(1)의 높이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우터(8)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모우터(8)이고, 이 모우터(8)는 정회전 스위치(S1)또는 역회전 스위치(S2)를 통하여 차량의 시가라이터잭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잭장치는 차량이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공회전하되 주차브레이크로 차량이 잠금상태로 되어 있을 때(이 경우는 배터리가 충전상태로 유지되면서 배터리를 통하여 본 발명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차량은 정지된 안전상태로 놓여진 경우이다.)에만 작동하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다 .
즉 변속기어(12)는 중립상태이고, 파킹 브레이크(13)는 잠금상태로 된 상태로 엔진이 공회전하는 상태에서만 작동하도록 하여야 잭작동시 차량이 움직이면서 안전사고를 일으키거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배터리가 방전되는 상태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제3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데, 액셀레이터(14)와 점화장치(15)및 플러그(11)가 직렬로 전원에 연결되고 이들 요소들은 상기 변속기어(12),파킹 브레이크(13)와 AND회로로 연결되어 이들 요소들이 모두 ON상태에서만 조작스위치(S1,S2)가 모우터(8)를 작동시키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잭은 시러라이터잭에 본 발명의 플러그(11)를 연결하여 모우터 조작스위치인 정회전 스위치(S1)나 역회전 스위치(S2)를 ON시키면 모우터(8)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여 잭포인트(6)를 상승 또는 하강시킹으로써 차량을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정회전 스위치(S1)를 ON시키면 모우터(8)가 정회전 하여 워엄휘일(9)을 정회전시키고 이 워엄휘일(9)이 정회전함에 따라 제1프레임(2)과 제2프레임(3)이 동시에 워엄휘일(9)을 따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오무러드는 운동을 하면서 그 상단의 잭포인트(6)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역회전 스위치(S2)를 ON시키면 상기 모우터(8)가 역회전 하면서 워엄휘일(9)을 역회전시키고 이 워엄휘일(9)이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2)과 제2프레임(3)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그 상단의 잭포인트(6)를 하강시키게 되고 그 위에 얹혀진 차량이 하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잭 장히는 배터리 전원으로 모우터를 구동시켜 차량을 지지한 잭포인트를 승강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잭을 승강시키는 수고를 덜어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제1프레임(2)과 제2프레임(3)이 상하 양쪽 선단에서 서로 힌지연결되고 이 제1프레임(2)및 제2프레임(3)의 중앙 힌지부를 1개의 워엄휘일(9)이 동시에 관통하면서 상기 중앙 힌지부와 나사결합되어 이워엄휘일(9)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킴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2)와 제2프레임(3)이 상기 워엄휘일(9)상에서 서로 벌어지는 방향 또는 오무러드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워엄휠은 모우터(8)로 연결되고 이 모우터(8)는 차량의 시가라이터잭에 플러그(11)로 접속되어 차량의 배터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된 차량용 잭장치에 있어서, 상기모우터(8)는 액셀레이터(14),점화장치(15)및 플러그(11)와 상호직렬로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액셀레이터(14)점화장치(15)및 플러그(11)는 변속기어(12)의 중립상태, 파킹 브레이크의 당겨짐상태와 AND회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이 모두 ON상태에서만 조작스위치(S1,S2)를 통하여 차량의 배터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잭장치
KR1019950049944A 1995-12-14 1995-12-14 차량용 잭장치 KR0140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944A KR0140619B1 (ko) 1995-12-14 1995-12-14 차량용 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944A KR0140619B1 (ko) 1995-12-14 1995-12-14 차량용 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230A KR970042230A (ko) 1997-07-24
KR0140619B1 true KR0140619B1 (ko) 1998-07-15

Family

ID=1944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944A KR0140619B1 (ko) 1995-12-14 1995-12-14 차량용 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6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230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2230A (en) Electrically powered automobile jack and nut remover
US3888464A (en) Independent jacking system for vehicles and the like
US5865499A (en) Camper crank
US20230159005A1 (en) Supporting trailers
KR880000562B1 (ko) 차량용 자동방향 전환장치
KR0140619B1 (ko) 차량용 잭장치
SE9303300D0 (sv) Lyftanordning för fordon
US8881329B2 (en) Easy to change automobile tires
JP2000198685A (ja) 自動車用のジャッキ装置
CN106517026A (zh) 车辆自顶升装置
CN215621676U (zh) 一种电动保洁车用警示装置
JP3244971U (ja) 自動車用屋外脱出装置及び自動車
CN209888757U (zh) 一种汽车电动侧踏板
CN216496123U (zh) 一种便于储纳的残疾人机动轮椅车
KR970005631Y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리프팅 장치
KR200292955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CN1219637A (zh) 手摇、电动两用机动车车窗玻璃升降器
CN2317295Y (zh) 两用机动车车窗玻璃升降器
KR20000018314U (ko) 자동차의 주차 보조장치
KR19980067501U (ko) 오토바이용 스탠드 승강장치
KR0129555Y1 (ko) 자동차용 보조조향장치
KR200277459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GB2333503A (en) Power assisted jacking system
KR0130877Y1 (ko) 보조 구동 장치를 갖는 자전거
KR200339191Y1 (ko) 자동차용 잭의 전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