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476Y1 - 플러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476Y1
KR0140476Y1 KR2019950046044U KR19950046044U KR0140476Y1 KR 0140476 Y1 KR0140476 Y1 KR 0140476Y1 KR 2019950046044 U KR2019950046044 U KR 2019950046044U KR 19950046044 U KR19950046044 U KR 19950046044U KR 0140476 Y1 KR0140476 Y1 KR 0140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screw
locking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6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376U (ko
Inventor
이갑상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50046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476Y1/ko
Publication of KR9700473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3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4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의 외부에 씌워져 콘세트와 연결접속시킬때 분리되지 않도록 나사결합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플러그가 강제로 당겨져 콘센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조는 상하로 분할된 구조로 결합되어 내부에는 플러그(50)의 외형을 갖는 중공부(68)를 이루고, 플러그(50)의 선부에 해당되는 상기 중공부(68)의 일측은 개구되고, 후측은 소정크기의 코드선구멍(74)이 형성된 상, 하부케이스(62a, 62b)와, 상기 상부케이스(62a)의 개구부에 상향돌출형성되면서 그 중앙부에 나사구멍(66)이 전후로 통공되어 나사(67b)가 결합되는 플랜지(64)와, 상기 상, 하부케이스(62a, 62b)의 양측접면부에는 분할된 상, 하부케이스(62a, 62b)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콘센트(40)가 설치된 본체의 설치패널(10)에는 상기 플러그 장금장치(60)의 나사구멍(66)에 대응하는 탭(16)이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러그 잠금장치
제1도는 콘센트가 다수개 형성된 통신기기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러그와 콘센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및 콘세트와 상기 플러그의 외부에 결합되는 플러그 잠금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4도는제3도를 반대방향에서 도시한 플러그 및 플러그 잠금 장치의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에 플러그 잠금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콘센트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잠금장치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설치패널 12 : 조립구멍
14, 16 : 탭 40 : 콘센트
42, 64 : 플랜지 44, 66 : 나사구멍
46 : 플러그 삽입홈 48 : 단자
50 : 플러그 52 : 코드선
54 : 홈형단자 56 : 오목부
60 : 플러그 잠금장치 62a, 62b : 상, 하부케이스
67a, 67b : 나사 68 : 중공부
69 : 돌출부 70 : 후크편
72 : 걸림홈 74 : 코드선구멍
본 고안은 플러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연결접속되는 플러그의 상하부에서 결합되어 콘센트와 연결접속시킬 때 본체와 나사고정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플러그가 강제로 당겨져 콘세트로 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 작동되는 모든 가전제품 및 전자 전기기기들은 외부로 부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플러그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단말기나 구조가 복잡한 통신기기에는 다수개의 전원공급 콘센트와, 이들 개개에 대응되는 플러그가 대응된다.
제1도는 콘세트가 다수개 형성된 통신기기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플러그와 콘센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상기 전자 전기기기 및 단말기에 장착되는 콘센트(40)는 양측에 나사구멍(44)이 형성된 플랜지(42)가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선단부에는 깊숙한 플러그 삽입홈(46)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46)의 내부에는 접속단자(48)가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콘센트(40)는 본체의설치패널(10)에 형성된 콘센트 조립구멍(12)에 삽입되고 그 양측에 탭(14)을 내어 상기 플랜지(42)의 나사구멍(440을 대응시킨 다음, 이에 나사(67a)를 체결하여 본체에 고정한다. 이와 대응되는 플러그(50)는 선단부에 상기 콘센트(40)의 단자(48)가 삽입되는 홈형단자(54)(제4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측으로는 코드선(52)이 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시는 상기 플러그(50)가 콘센트(40)의 플러그 삽입홈(46)에 삽입되면서, 그 내부에 돌출형성된 단자(48)가 홈형단자(54)에 압입되어 접속이 이루어 지며, 접속된 단자(48)와 홈형단자(54)의 접속력에 의해 플러그(50)가 콘센트(40)로 부터 빠지지 않고 접속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플러그(50)의 후측에 연결된 코드선(52)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지나다가 코드선(52)에 발이 걸리거나 코드선(52)을 차게 되어 플러그(50)가 콘센트(40)로 부터 뽑히게 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해 작업 중이던 단말기에 전원공급이 중단되게 되면 저장되었던 데이타들이 모두 제거되어 다시 처음서부터 다시 작업을 해야만 하는 폐단이 있게 되며, 특히 단시간 내에 엄청난 양의 정보를 처리하는 통신기기에 이러한 일들이 발생한다면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는 것은 누구나 다 예측하고 남음이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일들을 방지하기 위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하여 그대로 방치하거나, 접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플러그(50)를 본체에 부착시켜 고정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에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플러그의 외부에 플러그잠금장치를 결합하여 콘센트에 접속후 본체에 나사 결합시켜 사용자의 발에 코드선이 채이거나 걸리는 사고에 의해 접속된 플러그가 콘세트로 부터 뽑히지 않도록 하는 플러그 장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로 분할된 구조로 결합되어 내부에는 플러그의 외형을 갖는 중공부를 이루고, 플러그의 앞부분에 해당되는 상기 중공부의일측은 개구되고, 후측은 소정크기의 코드선구멍이 형성된 상,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개구부에 상향돌출 형성되면서 그 중앙부에 나사구멍이 전후로 통공되어 나사가 결합되는 플랜지와, 상기 상, 하부케이스의 양측접면부에는 분할된 상, 하부케이스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콘센트가 설치된 본체의 설치패널에는 상기 플러그 장금장치의 나사구멍에 대응되는 탭이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 하 일측케이스에 돌출형성된 후크편과, 타측 케이스에 상기 후크편에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및 콘센트와 상기 플러그의 외부에 결합되는 플러그 잠금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를 반대방향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잠금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단면하여 결합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플러그를 콘센트에 고정되도록 잠금시킨 측단면도이다.
도면 제3도를 참조하면, 도면 번호 40은 통신기기 및 단말기에 설치된 콘센트(40)로서, 양측에 나사구멍(44)이 형성된 플랜지(42)가 구비되고 본체와의 결합후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에는 플러그(50)가 접속되는 플러그 삽입홈(46)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외측방으로 돌출된 단자(4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40)가 설치되는 본체의 설치패널(10)에는 상기 플러그(50)의 후측부가 삽입되는 조립구멍(12)과, 상기 조립구멍(12)의 양측에 콘센트(40)의 양측플랜지(42)의 나사구멍(44)을 연통시켜 나사(67a)결합시키는 탭(14)이 구비된다.
따라서, 콘센트(40)는 후측부가 본체의 설치패널(10)에 형성된 조립구멍(12)에 삽입되고, 양측의 플랜지(42)는 설치패널(10)의 전면에 접면됨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42)의 나사구멍(44)과 본체의탭(14)을 일치시켜 이에 나사(67a)를 체결하여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패널(10)의 콘센트(40) 바로 상부에는 후술될 플러그 장금장치(60)의 플랜지(64)에 형성된 나사구멍(66)과 일치되는 탭(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번호 50은 콘센트(40)에 접속되는 플러그(50)로서, 전면에 콘센트(40)의 단자(48)와 접속되는 홈형단자(54)가 형성되어 있고, 후측으로는 코드선(52)이 연결되어 있으며, 플러그(50)의 후측부는 잘록한 오목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번호 60은 플러그 장금장치(60)로서, 상하로 2분할된 상,하부케이스(62a, 62b)가 한 조를 이루어 결합된다. 이러한 플러그 장금장치(60)는 내부가 플러그(50)의 외부형상으로 된 중공부(68)를 이루고, 상기 플러그(50)의 앞부분이 위치하는 방향의 중공부(68) 일측은 개구되며, 그 후측은 플러그(50)의 코드선(52)이 통과되는 코드선구멍(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62a)의 개구부에는 상향된 플랜지(6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플랜지(64)의 상부 중앙에는 전후방으로 통공된 나사구멍(66)과 상기 나사구멍(66)에 결합되는 나사(67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중공부(68)의 후측에는 플러그(50)의 후측부에 형성된 오목부(56)에 삽입되는 돌출부(69)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케이스(62a, 62b)가 분할된 양측부에는 결합수단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수단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62a)의 측면하부에 후크편(70)이 돌출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하부케이스(62b)의 측면상부에는 후크편(70)이 걸림되는 걸림홈(72)이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중공부(68)에 플러그(50)를 개재한 후 상,하부케이스(62a, 62b)를 닫게 되면 상기 상부케이스(62a)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후크편(70)이 상기 하부케이스(62b)의 양측상부에 형성된 걸림홈(72)에 걸려 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면 플러그(50)의 앞부분은 플러그 장금장치(60)의 개구부로 돌출되게 되고, 플러그 코드선(52)은 플러그 장금장치(60)의 후측에 형성된 코드선구멍(74)을 통해 연결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 장금장치(60)의 내부에서는 상기 플러그(50)의 후측부에 형성된 잘록한 오목부(56)에 상기 플러그 장금장치(60)의 돌출부(69)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러그(50)가 플러그 장금장치(60)의 개구부로 빠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플러그(50)에 플러그 장금장치(60)가 결합되면 상기 플러그 장금장치(60)의 개구부에 돌출된 플러그(50) 앞부분을 본체에 결합된 콘센트(40)의 플러그 삽입홈(46)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삽입홈(46)에 돌출형성된 단자(48)와 플러그(50)의 홈형단자(54)를 서로 접속시킨다. 접속이 완료되면 상기 플러그 장금장치(60)의 상부케이스(62a) 개구부에 상향돌출 형성된 플랜지(64)의 나사구멍(66)을 본체의 설치패널(10)에 형성된 탭(14)에 연통시킨 다음, 이에 나사(67b)를 체결하여 플러그(50)를 본체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정되면 사용자가 보행중 실수로 코드선(52)에 발이 걸리게 되거나 코드선(52)을 차게 되더라도 상기 플러그(50)는 플러그 장금장치(60)의 나사(67b)결합력에 의해 콘센트(40)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러그의 외부에 플러그 장금장치를 결합하여 콘센트와의 접속시 플러그와 본체와 나사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실수 또는 외력에 의해 플러그가 콘센트로 부터 절대로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함에 따라 갑작스런 중단에 의해 초래되는 데이타 유실사고 및 통신장애에 따른 막대한 손실 등과 같은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의 플러그에 쉽게 부착 및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시 어느 시스템이든 사용이 가능한 범용성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상하로 분할된 구조로 결합되어 내부에는 플러그(50)의 외형을 갖는 중공부(68)를 이루고, 플러그(50)의 선부에 해당되는 상기 중공부(68)의 일측은 개구되고, 후측은 소정크기의 코드선구멍(74)이 형성된 상, 하부케이스(62a, 62b)와, 상기 상부케이스(62a)의 개구부에 상향돌출형성되면서 그 중앙부에 나사구멍(66)이 전후로 통공되어 나사(67b)가 결합되는 플랜지(64)와, 상기 상,하부케이스(62a, 62b)의 양측접면부에는 분할된 상,하부케이스(62a, 62b)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콘센트(40)가 설치된 본체의 설치패널(10)에는 상기 플러그 장금장치(60)의 나사구멍(66)에 대응되는 탭(16)이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 하 일측케이스(62a)에 돌출형성된 후크편(70)과, 타측 케이스(62b)에 상기 후크편(70)에 대응되는 걸림홈(7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잠금장치.
KR2019950046044U 1995-12-22 1995-12-22 플러그 잠금장치 KR0140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044U KR0140476Y1 (ko) 1995-12-22 1995-12-22 플러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044U KR0140476Y1 (ko) 1995-12-22 1995-12-22 플러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376U KR970047376U (ko) 1997-07-31
KR0140476Y1 true KR0140476Y1 (ko) 1999-05-15

Family

ID=19437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6044U KR0140476Y1 (ko) 1995-12-22 1995-12-22 플러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4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376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884A (en) Fused electrical plug
US5482478A (en) Structure AC power plug
US5486122A (en) Bolt-tightened connector
EP0467271B1 (en)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CA2003124C (en) Connecting block for telephone
KR0140476Y1 (ko) 플러그 잠금장치
CN218940121U (zh) 接线胶壳组件
JP3084092B2 (ja) ハーネスコネクタ
JPH0582037B2 (ko)
JP2567130Y2 (ja) ブスバー固定構造
JP3097825B2 (ja) コネクタ装置
JP3105951B2 (ja) ハーネスプラグ
JP2967919B2 (ja) コンセント
ITMI980887A1 (it) Morsetto di connessione ad un cavo di alimentazione con due elementi isolanti
KR20000008788A (ko) 전선 접속구
JP3002266B2 (ja) ハーネスプラグ
KR200162008Y1 (ko) 전기터미널 고정가능 커넥터하우징
KR880003306Y1 (ko) 100v/220v 겸용 전원플러그
KR200153220Y1 (ko) 전원케이블 고정 구조
JPH0211813Y2 (ko)
KR200162368Y1 (ko) 전기전자기기의 본체와 컨트롤 도어의 커넥터 연결 구조체
KR0122537Y1 (ko) 콘넥터
KR960007967Y1 (ko) 전화기용 콘넥터 모듈러형 잭
JPS633102Y2 (ko)
KR200198504Y1 (ko) 소켓이 겸비된 전기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