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220Y1 - 전원케이블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전원케이블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220Y1
KR200153220Y1 KR2019960063304U KR19960063304U KR200153220Y1 KR 200153220 Y1 KR200153220 Y1 KR 200153220Y1 KR 2019960063304 U KR2019960063304 U KR 2019960063304U KR 19960063304 U KR19960063304 U KR 19960063304U KR 200153220 Y1 KR200153220 Y1 KR 200153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partition wall
protective box
fixing struct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133U (ko
Inventor
이부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63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22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0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1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 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전원 케이블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제품의 사용에 따른 장력을 강화하여 전원 케이블의 단선됨을 방지하고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작 및 조립의 용이성을 향상되게 한 것으로, 바닥판과 연접된 후면패널(10)의 하부에, 양측벽 상부에 걸림공(22) 형성된 보호박스(20)를 형성하고 보호박스(20) 바닥에 ⊃형 격벽(26)과 ∪형 격벽(28) 및 ⊂형 격벽(30)을 돌출 형성하고 커버(32)의 양측단에 걸림턱(34)을 형성시켜서 된 고안이다.

Description

전원 케이블 고정구조
본 고안은 전원 케이블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전원 케이블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제품의 사용에 따른 장력을 강화하여 전원 케이블의 단선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원 케이블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케이블은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제품의 커넥터에 연결설치되어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 기판과 교류로 연결되며, 일측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가 설치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에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종래에는 첨부도면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전원 케이블(K)을 전자제품의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전자제품의 후면패널(1)의 적소에 전원 케이블(K)이 통과될 수 있는 통공(1a)을 형성하고, 상기 후면패널(1)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통공(1a)과 근접되는 위치에 소정간격으로 체결공(1b)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공(1b)에 전원 케이블(K)의 일부분 외연부를 감싸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에 소정직경의 결합공(2a)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부에 반원형의 가압부(2b)를 갖는 브라켓트(2)에 상기 전원 케이블(K)을 위치시켜 상기 결합공(2a)을 통해 스크류(3)로 체결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되는 전원 케이블(K)은 브라켓트(2)의 가압부(2b)가 전원 케이블(K)의 일부분만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전원 케이블(K)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한 브라켓트(2)의 가압부(2b)로부터 전원 케이블(K)에 장력이 커져 단선되거나 브라켓트(2)로부터 전원 케이블(K)의 피복이 탈피되어 긍극적으로는 화재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도 2에 도시된 것은, 상기 후면패널(A)의 내측 적소에 소정높이를 갖고 일측에 상기 전원 케이블(K)이 통과되기 위한 인출공(B)이 형성된 리브(C)와, 상기 리브(C)의 내측중심에 소정높이 및 직경을 갖는 보스(D)와, 상기 보스(D)의 상측에 체결부재(E)와 결합되어 전원케이블(K)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F)로 이루어져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을 보스(D)에 걸쳐지게 권회시켜 전원케이블(K)에 작용하는 일시적인 장력을 분산시키므로서 전원케이블(K)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제품의 사용에 따른 장력을 강화하여 전원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으나 전원케이블(K)을 권회시키는 보스(D)와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F)를 체결부재(E)인 볼트로 고정시켜야 하는등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조립등이 불편한 등의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순간적인 장력에 의해 전원케이블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케이블을 안정되게 고정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조립을 간편하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은 걸림공이 형성된 보호박스를 후면패널에 설치하고 보호박스 바닥에 ⊃형 격벽과 ∪형 격벽 및 ⊂형 격벽을 돌설하고 커버의 걸림턱이 보호박스의 걸림공에 끼워지게 하므로서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전원 케이블의 고정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또다른 종래의 전원케이블 고정상태 분해 사시도.
도 3는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후면패널 12 : 통공
20 : 보호박스 22 : 걸림공
24 : 인출공 26 : ⊃형 격벽
28 : ∪형 격벽 30 : ⊂형 격벽
32 : 커버 34 : 걸림턱
통공(12)이 천공된 후면패널(10) 위치에 보호박스(20)를 형성하여 양 측벽 상부에 걸림공(22)을 천공하고, 보호박스(20) 내부 바닥의 평면상에 ⊃형 격벽(26)과 ∪형 격벽(28) 및 ⊂형 격벽(30)을 돌출형성하고 커버(32)의 양측단에 걸림턱(34)을 형성하여 보호박스(20)의 걸림공(22)에 끼워지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도시된 커넥터와 연결된 전원케이블(K)을 후면패널(10)의 통공(12) 위치에 설치된 보호박스(20)의 인출공(24)을 통하여 보호박스(20)내에 인입시킨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형 격벽(26)의 외측면과 접하고 ∪형 격벽(28)의 외측면을 접하며 ⊂형 격벽(30)의 외측면을 접하며 굴곡 권회되도록 전원케이블(K)을 각 격벽사이로 통과시키게 되면 전원케이블(K)은 ⊃형 격벽(26)과 ∪형 격벽(28) 및 ⊂형 격벽(30) 사이에 권회통과하면서 고정이 되게 된다.
이렇게 각 격벽 사이를 통과하면서 전원케이블이 고정되면 보호박스(20)의 상부에서 커버(32)를 덮어 커버(32)의 양측단에 돌출된 걸림턱(34)이 보호박스(20) 양측벽에 천공된 걸림공(22)에 끼워지게 결합시키게 되면 커버(32)는 보호박스(20)를 덮어주면서 커버(32) 저면이 ⊃형 격벽(26)과 ∪형 격벽(28) 및 ⊂형 격벽(30)의 상단과 밀착되어 전원 케이블(K)이 각 격벽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 격벽사이에 권회되면서 끼워진 상태에서 커버(32)가 이탈을 방지하는 상태에서 전원케이블(K)에 일시적으로 장력이 작용을 하더라도 각 격벽이 전원케이블(K)을 고정지지 하므로서 전원케이블(K)을 단선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후면패널에 설치된 보호박스바닥에 ⊃형 격벽(26)과 ∪형 격벽(28) 및 ⊂형 격벽(30)을 돌출형성하여 전원케이블을 각 격벽 사이에 끼워지며 권회되게 지지하므로서 안전하게 전원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케이블의 고정구조가 간단하여 고정부품등이 필요없어 제작 및 조립을 간편하게 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2)

  1. 전자제품의 후면패널(10)에 형성된 통공(12)에 인출되는 전원 케이블(K)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후면패널(10)의 내측 적소에 소정높이를 갖고 일측에 상기 전원 케이블(K)이 통과되기 위한 인출공(24)이 형성된 보호박스(20)의 바닥에 ⊃형 격벽(26)과 ∪형 격벽(28) 및 ⊂형 격벽(30)을 돌출형성하고 보호박스(20)의 양측벽에 걸림공(22)을 천공하여 커버(32)의 양측단 걸림턱(34)이 삽입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케이블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 격벽(26)과 ∪형 격벽(28) 및 ⊂형 격벽(30)의 높이와 보호박스(20)의 높이를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케이블 고정구조.
KR2019960063304U 1996-12-30 1996-12-30 전원케이블 고정 구조 KR200153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304U KR200153220Y1 (ko) 1996-12-30 1996-12-30 전원케이블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304U KR200153220Y1 (ko) 1996-12-30 1996-12-30 전원케이블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133U KR19980050133U (ko) 1998-10-07
KR200153220Y1 true KR200153220Y1 (ko) 1999-08-02

Family

ID=1948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304U KR200153220Y1 (ko) 1996-12-30 1996-12-30 전원케이블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2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80Y1 (ko) * 2008-11-10 2013-11-11 코웨이 주식회사 스토퍼 고정부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80Y1 (ko) * 2008-11-10 2013-11-11 코웨이 주식회사 스토퍼 고정부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133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3220Y1 (ko) 전원케이블 고정 구조
JPH09327111A (ja) 電装用ボックスの防水構造
JP5432611B2 (ja) 電気接続箱
CN209963377U (zh) 一种压线板及具有压线板的电器
JP3482927B2 (ja) 電気接続箱
KR200198502Y1 (ko) 전기접속구의 전선연결구조
KR100287535B1 (ko) 전선 접속구
JP4974601B2 (ja) 火災警報器
CN219917267U (zh) 一种集成式电瓶箱及矿车
KR200178774Y1 (ko) 가전제품의 전원선 고정구조
KR19990001958U (ko) 전선보호용 몰딩부재
KR200272422Y1 (ko) 유니버설 케이블 덕트
KR200162707Y1 (ko) 모니터용 외장스피커 장착구조
KR970004912Y1 (ko) 전력선 고정장치
KR100944013B1 (ko) 박스
KR0140476Y1 (ko) 플러그 잠금장치
JP4541302B2 (ja) プロテクタ
KR19980049041U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고정클립의 구조
KR200426813Y1 (ko) 밴드 케이블
KR200266738Y1 (ko) 통신장비용 전원 버스바 단자 절연 커버
KR0152752B1 (ko) 링크용 커넥터
JPH1070377A (ja) 電気コードの保持構造
KR200180010Y1 (ko) 스피커 단자 고정용 컨넥터
KR200198579Y1 (ko) 배선덕트
KR200343976Y1 (ko) 전선결합용 접속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