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579Y1 - 배선덕트 - Google Patents

배선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579Y1
KR200198579Y1 KR2020000011627U KR20000011627U KR200198579Y1 KR 200198579 Y1 KR200198579 Y1 KR 200198579Y1 KR 2020000011627 U KR2020000011627 U KR 2020000011627U KR 20000011627 U KR20000011627 U KR 20000011627U KR 200198579 Y1 KR200198579 Y1 KR 200198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ide wall
duct body
duct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진우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진우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진우씨스템
Priority to KR2020000011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덕트 본체에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에 외력을 가하더라도 커버가 배선덕트 본체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 배선덕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선 등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양측벽(11)과 이들 측벽(11)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격판(13)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11)의 상하측 끝단부에는 내측으로 만곡된 원형돌기들(11a)과 요홈(11b)이 다수개 형성된 덕트본체(10)와, 상기 덕트본체(10)의 측벽(11)에 형성된 원형돌기(11a) 및 요홈(11b)과 계합되는 원형돌기(21a) 및 요홈(21b)이 형성된 2개의 커버(20)를 구비한 배선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10)의 측벽(11)내측에는 커버(2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턱(11c)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격판(13)에는 상기 측벽(11)과 평행한 격벽(15)을 형성시켜 전선수장공간(17)(18)과 전선접속공간(19)을 형성시켜서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덕트{Distributing duct}
본 고안은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 선과 같은 배선과 배선기구의 증설 시에 사용되는 배선덕트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선덕트 본체에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에 외력을 가하더라도 커버가 배선덕트 본체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 배선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에서 부서별로 칸막이(Partition)를 할 경우 컴퓨터, 프린터, 전화기나 복사기와 같은 사무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나, 컴퓨터의 데이터 케이블 등을 배선하거나, 천장으로부터 전선을 분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이들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미적 감각을 살리기 위해 전선 보호덕트를 사용하고 있는바, 이러한 전선 보호덕트는 통상적으로 본체 저면에 양면 테이프를 장착시켜 바닥 또는 벽면에 고정하고 내부에 전선을 넣어 전선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선 보호덕트는 다수 가닥의 전선이나, 컴퓨터 케이블 또는 전화선을 내부에 넣을 수 있으나, 전기 콘센트, 전화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한 전화 콘센트 또는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하거나 라디오방송을 청취하기 위한 TV/FM 콘센트 등을 내부에 설치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전선 보호덕트는 그의 크기(폭 및 깊이)가 작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각종 콘센트를 설치할 수 없고, 단지 이들 콘센트를 제외한 전선이나 케이블만을 보호하게 되므로 이들 콘센트들은 외부로 노출되어 고정되지 않게 되어 배선 후에는 반듯이 이들 콘센트들이 어지럽게 위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40822호에는 전선 배선용 덕트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고안은 커버가 배선덕트 본체에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커버가 본체 안으로 들어 가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사람이 배선덕트 커버의 일측면을 눌렀을 경우 커버가 덕트본체에 기울어지게 삽입될 수도 있고, 배선덕트 커버의 중앙부위를 눌렀을 경우 커버가 덕트본체 내에 완전히 들어가서 덕트본체의 양측벽이 벌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선덕트 본체에 결합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커버에 외력을 가하더라도 커버가 배선덕트 본체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 배선덕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덕트의 조립사시도,
도2는 전선수장공간 내에 전선이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덕트본체 11 : 측벽
11a : 돌기 11b : 요홈
11c : 밀림방지턱 13 : 연결격판
15 : 격벽 17,18 : 전선수장공간
19 : 전선접속공간 20 : 커버
21a : 돌기 21b : 요홈
30 : 배선기구 40: 전선
50 : 나사못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선 등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양측벽과 이들 측벽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격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의 상하측 끝단부에는 내측으로 만곡된 원형돌기들과 요홈이 다수개 형성된 덕트본체와, 상기 덕트본체의 측벽에 형성된 원형돌기 및 요홈과 계합되는 원형돌기 및 요홈이 형성된 2개의 커버를 구비한 배선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의 측벽내측에는 커버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격판에는 상기 측벽과 평행한 격벽을 형성시켜 전선수장공간과 전선접속공간을 형성시켜서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선덕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덕트의 조립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고안은 덕트본체(10)와 2개의 커버(20)로 구성되어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선 등이 내부에 수장되도록 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10)에는 양측벽(11)과 이들 측벽(11)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격판(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11)의 상하측 끝단부에는 내측으로 만곡된 원형돌기들(11a)과 요홈(11b)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20)에는 원형돌기(21a) 및 요홈(21b)가 형성되어 덕트본체(10)의 측벽(11)에 형성된 원형돌기(11a) 및 요홈(11b)과 계합되도록 하였다.
또한 덕트본체(10)의 측벽(11)내측에는 커버(2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턱(1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격판(13)에는 상기 측벽(11)과 평행한 격벽(15)을 형성시켜 전선(40)(도2참조)을 수용하는 전선수장공간(17)(18)과 전선접속공간(19)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선덕트의 조립상태를 보면, 우선 배선기구를 연결하기 위해서 커버(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배선기구(30)의 형상에 적합하게 미리 구멍(22)이 뚫리고 소정의 길이로 사전에 절단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커버(20)에는 배선기구(30)를 내측에 위치시킨 다음 나사못(50)을 사용하여 외측에서 고정한다. 여기에서 배선기구(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콘센트나 컴퓨터등의 케이블단자 또는 전화선단자일 수도 있고 그 외에 사무실등에서 사용하는 사무용 기기에 필요한 접속단자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선기구(30)가 커버(20)에 고정된 후 배선기구의 종류에 따라 덮개가 있는 경우에는 배선기구덮개를 결합하고 나서, 커버(20)의 내측에서 배선기구(30)에 필요한 전선이나 케이블(40)을 연결한 뒤 커버(20)를 덕트본체(10)에 눌러서 결합 고정한다. 이 경우 덕트본체(10)의 돌기(11a)는 커버(20)의 요홈(21b)에 결합되고, 덕트본체(10)의 요홈(11b)에는 커버(20)의 돌기(21a)가 결합된다.
이렇게 커버(20)가 덕트본체(10)에 결합될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10)의 측벽(11) 내측에 형성시킨 밀림방지턱(11c)이 커버(20)의 돌기(21a) 하단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커버(20)를 누르더라도 커버(20)가 배선 덕트본체(10) 안으로 들어가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밀림방지턱을 덕트본체의 측벽 내측에 형성시킴으로써 커버에 외력을 가하더라도 커버가 배선덕트 본체 안으로 들어가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고안에 고정되는 배선기구(30)는 커버(20)의 내측에 고정되는 대신에 연결격판(13)의 상측단턱, 즉 측벽(11)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부위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전선, 컴퓨터의 프린터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화선 또는 스피커선 등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양측벽(11)과 이들 측벽(11)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격판(13)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11)의 상하측 끝단부에는 내측으로 만곡된 원형돌기들(11a)과 요홈(11b)이 다수개 형성된 덕트본체(10)와, 상기 덕트본체(10)의 측벽(11)에 형성된 원형돌기(11a) 및 요홈(11b)과 계합되는 원형돌기(21a) 및 요홈(21b)이 형성된 2개의 커버(20)를 구비한 배선덕트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10)의 측벽(11)내측에는 커버(2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턱(11c)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격판(13)에는 상기 측벽(11)과 평행한 격벽(15)을 형성시켜 전선수장공간(17)(18)과 전선접속공간(19)을 형성시켜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덕트.
KR2020000011627U 2000-04-24 2000-04-24 배선덕트 KR200198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627U KR200198579Y1 (ko) 2000-04-24 2000-04-24 배선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627U KR200198579Y1 (ko) 2000-04-24 2000-04-24 배선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579Y1 true KR200198579Y1 (ko) 2000-10-02

Family

ID=1965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627U KR200198579Y1 (ko) 2000-04-24 2000-04-24 배선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5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5289A3 (en) * 2011-03-14 2012-11-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backed communications media cabling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5289A3 (en) * 2011-03-14 2012-11-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backed communications media cabling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2288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block
US6464516B2 (en) Wiring interconnection system
GB2243255A (en) Plug arrangement
KR200198579Y1 (ko) 배선덕트
US6710244B1 (en) Base board system for installing wiring and method therefor
JPH02123908A (ja) 配線アセンブリ
US4502744A (en) Switching cable assembly
KR200182211Y1 (ko) 배선덕트
JP4564637B2 (ja) 埋め込み形分電盤と縦型分電盤ユニット
JPH0822870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端末防水構造
JP2009026502A (ja) マルチメディア配線装置
JPWO2006082882A1 (ja) 電源コンセント用カバープレートとそれを用いた電源コンセントに接続するアダプタ及び電源プラグ
KR200217916Y1 (ko) 다면형 배선덕트
JP2007273115A (ja) 配線接続装置
KR100337281B1 (ko) 배선덕트
KR200171332Y1 (ko) 배선덕트
KR200236626Y1 (ko) 다목적배선덕트
KR200215747Y1 (ko) 전선보호용 몰딩부재
KR200311227Y1 (ko) 배선 덕트용 연결구
KR200207493Y1 (ko)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KR200171330Y1 (ko) 배선덕트용 커버
KR200236523Y1 (ko) 배선덕트용 코너연결장치
JP3122361U (ja) 配線装置
KR200171331Y1 (ko) 배선덕트용 배선기구고정구
KR200207492Y1 (ko) 배선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