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019B1 - 양식변기의 변좌변기 뚜껑용의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양식변기의 변좌변기 뚜껑용의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019B1
KR0140019B1 KR1019950003323A KR19950003323A KR0140019B1 KR 0140019 B1 KR0140019 B1 KR 0140019B1 KR 1019950003323 A KR1019950003323 A KR 1019950003323A KR 19950003323 A KR19950003323 A KR 19950003323A KR 0140019 B1 KR0140019 B1 KR 014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d
drive shaft
toilet
transport screw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122A (ko
Inventor
요시히로 오오츠카
Original Assignee
가토 지아키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 지아키,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 지아키
Publication of KR950027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가급적 구조를 간단히하고, 또한 구조적으로 구성재료를 염가의 것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고장이 적고 내구성을 구비할 뿐더러 제작 코스트를 대폭적으로 내릴 수 있는 양식변기의 변좌변기 뚜껑용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한다.
구동모터와 변좌나 변기뚜껑 등을 개폐하기 위한 구동축과 이 구동축에 상기 구동모니터의 회전구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감속기구와 구동축쪽으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을 중도에서 끊는 클러치장치로 형성되며, 감속기구를 웜기어장치와 이 웜기어장치를 통하여 회전되는 한쌍의 마찰차와 이 한쌍의 마찰차의 한쪽을 부착한 운송나사봉과 이 운송나사봉의 나사부에 부착되고 이 운송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에 미끄럼 움직여지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한단부를 걸어맞춤시켜 다른 단부를 구동축에 고착시킨 아암부재를 포함시켜 구성하고, 클러치장치를 항상 운송나사봉을 정위치에 유지되도록하고 있으나, 축방향에의 압력을 받았을 때에 운송나사봉을 이동시켜서 마찰차 끼리의 접촉상태를 해제분리시키는 유지수단을 포함시켜 구성한다.

Description

양식변기의 변좌변기 뚜껑용의 자동개폐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개폐장치를 도시하며, 변좌나 변기뚜껑의 개방위치에 있어서의 장치의 내부기구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2도는 제1도에 대응한 것으로 변좌나 변기뚜껑의 완전 개방위치에 있어서의 장치의 내부기구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3도는 제1도에 대응한 것으로, 변좌나 변기뚜껑을 수동조작으로 여는 경우의 장치의 내부기구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4도는 제1도에 대응한 것으로, 변좌나 변기뚜껑을 개방위치로부터 닫는 경우의 장치의 내부기구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5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 주요부의 하나를 도시하는 일부 분해 사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감속기구 B : 클러치장치
2 : 구동모터 3 : 웜
7 : 웜휠 8 : 웜기어장치
9 : 회전축 11, 15 : 탄성수단
12, 16 : 마찰차 13 : 운송나사봉
14 : 유지수단 17 : 슬라이더
17b : 기아드홈 19 : 구동축
20 : 변좌 21 : 변기뚜껑
22 : 아암부재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양식변기에 있어서의 변좌나 변기뚜껑 등의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이 종류의 개폐장치로서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변좌나 변기뚜껑 등의 구동축에 인도하기 위한 여러장의 기어로 형성되는 감속기구와, 변좌나 변기뚜껑등을 수동으로 개폐할 경우에 감속기구에의 구동력의 전달을 끊기 위한 복잡한 구조의 클러치장치를 구비시킨 것이 공지의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이 종래공지의 자동개폐장치는 감속기구에 다수매의 기어를 사용하는 것이나, 복잡한 구조의 클러치장치를 필요로 하였으므로 제작 코스트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제작 코스트의 경감화는 이 분야에 있어서도 도모하지 않으면 안될 중요한 과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급적으로 구조를 간단히 하고, 또한 구조적으로 구성재료를 염가의 것으로 할 수 있도록하여 고장이 적고 내구성을 구비한 위에서 제작 코스트를 대폭적을 떨어뜨릴 수 있는 양식변기의 변좌변기 뚜껑용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모터와 변좌나 변기뚜껑 등을 개폐하기 위한 구동축과, 이 구동축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감속기구와, 구동축 쪽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을 중도에서 끊는 클러치장치로 형성되며, 감속기구를 웜기어장치와, 이 웜기어장치를 통하여 회전되는 한쌍의 마찰차와 이 한쌍의 마찰차의 한쪽을 부착한 운송나사봉과, 이 운송나사봉의 나사부에 부착되고 이 운송나사봉의 회전에 의하 축방향에 미끄럼 움직여지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한단부를 걸어맞춤시켜 다른 단부를 구동축에 고착시킨 아암부재를 포함시켜서 구성하고, 이 클러치장치를 항상 운송나사봉을 정위치에 유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축방향에의 압력을 받았을 경우에 운송나사봉을 이동시켜서 마찰차 끼리의 접촉상태를 해제분리시키는 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때에 본 발명은 한쪽의 마찰차를 부착한 회전축을 다른 한쪽의 마찰차를 부착한 운송 나사봉측에 요동가압시키거나 운송나사봉을 축방향에 이동시킴에 있어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선회하는 아암부재와 이 아암부재를 걸어맞춤시킨 슬라이더를 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수단은 운송나사봉으로 축방향에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양단부에 탄성수단을 작동시켜 정위치를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작용]
구동모터의 회전구동력은 웜기어장치를 통하여 마찰차에 전달되어 운송나사봉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 운송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가 축방향 상하에 미끄럼 운동하므로, 이 슬라이더에 한단부를 걸어맞춤시킨 아암부재가 선회하여 구동축을 회전시키고, 이 구동축에 부착된 변좌나 변기뚜껑이 변기 본체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개폐된다.
변좌나 변기뚜껑을 구동으로 개폐할 경우에는 구동축의 회전구동력은 동시에 선회하는 아암부재를 통하여 슬라이더가 전달되나, 이 슬라이더는 운송나사봉을 축방향 상하에 유지수단의 탄성수단에 의한 탄력에 저항하여 이동시키므로 마찰차 끼리의 접촉상태는 해제분리되고, 구동축측으로 부터의 구동력은 감속기구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 한쪽의 마찰차를 부착한 회전축이 다른 한쪽의 마찰차를 부착한 운송나사봉측에 요동가압되어 있으므로, 마찰차 끼리의 접촉상태가 압접상태로 된다.
[실시예]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예시하며, 1은 케이싱이며, 이 케이싱(1) 내부에 이하에 설명하는 감속기어(A)와 클러치장치(B)가 부착되어 있다.
먼저 감속기구(A)에서 2는 구동모터이고 3은 웜이다. 이 웜의 회전축(3a)에는 풀리(4)가 부착되고, 이 풀리(4)와 구동모터(2)의 회전축(2a)에 부착된 풀리(5)와의 사이에는 구동벨트(6)가 현가되어 있다. 웜(3)은 웜휠(7)과 맞물려 있고, 이 웜휠(7)과 웜(3)으로 웜기어장치(8)를 구성하고 있다.
9는 웜휠(7)을 부착한 회전축이며, 이 회전축(9)은 케이싱(1)에 부착된 브래킷(10)에 특히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 경사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이 경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요동가능하다. 그리고, 이 회전축(9)은 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의 탄성수단(11)에 의해 도면중(제1도 내지 제2도)우측방향에 요동가압되어 있다. 회전축(9)에는 마찰차(12)가 부착되어 있고, 이 마찰차(12)는 회전축(9)의 경사된 방향에 함께 약간 경사되어 있다.
다음에 클러치장치(8)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3은 나사부(13a)를 가진 운송나사봉이며, 이 운송나사봉(13)은 축방향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유지수단(14)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 유지수단(14)은 운송나사봉(13)을 축방향에 이동가능하게 축을 고착시킨 유지부재(1a, 1a)와, 운송나사봉(13)의 양단부에 부착한 캡부재(13b, 13b)에 한단부(15a, 15a)를 접촉시킨 스프링, 판스프링 등의 탄성수단(15, 15)으로 구성되어 있고, 운송나사봉(13)은 축방향 상하에는 이동가능하나, 탄성수단(15, 15)에 의해 항상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유지되어 있다.
이 운송나사봉(13)에는 다른 하나의 마찰차(16)가 부착되고, 이 마찰차(16) 쪽에 회전축(9)마다 가압되어 있는 마찰차(12)와 압접상태에 있다. 운송나사봉(13)의 나사부(13a)에는 슬라이더(17)가 나사부착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17)로부터 돌출설치된 계지편(17a)을 가이드봉(18)과 걸어맞춤시키고 있다.
19는 구동축이며, 이 구동축(19)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변좌(20)나 변기뚜껑(21)의 부착부(20a, 21a)가 고착된다. 22는 구동축(19)에 고착된 아암부재이며, 이 아암부재(22)의 자유단측은 슬라이더(17)의 양측부에 설치된 가이드홈(17b, 17b)과 걸어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2)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이 구동축(19)에 감속기구(A)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나 수동조작에 의해 변기뚜껑(21)이나 변좌(20)를 개폐할 경우에는 클러치장치(B)가 작동하여 변좌(20) 나 변기뚜껑(21)의 개폐조작과 동시에 회전하는 구동축(19)의 회전구동력은 감속기구(A)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것은 다음과 같이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대 변기뚜껑(21)의 수동에 의한 개폐조작을 행하면, 그것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19)과 함께 선회하는 아암부재(22)에 의해 슬라이더(17)가 운송나사봉(13)을 좌우 어느 한쪽 방향에 회전시키면서 이 운송나사봉(13)을 탄성수단(15, 16)의 탄력에 저항하여 축방향 상하의 어느 한쪽 방향에 이동시킨다. 그 결과, 마찰차(16)의 정위치가 처져서 다른한쪽의 마찰차(12)와의 압접상태가 제3도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 어느한쪽에 해제분리되므로, 마찰차(16)의 회전구동력은 마찰차(12)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슬라이더(17)에 설치된 도시않는 홈의 형상이나 피치를 변경함으로써, 구동모터(2)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한채로 구동축(19)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하나의 자동개폐장치로 변좌(20)와 변기뚜껑(21) 양자를 함께 개폐할 수 있도록 도시하고, 변기뚜껑(21)의 개폐조작만을 설명하였으나, 변좌(20)의 경우도 동일하다. 단, 그것은 하나의 자동개폐장치를 사용해서는 아니고,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이 자동개폐장치를 변기본체의 상부 좌우에 2개 사용하여 변좌(20)나 변기뚜껑(21)을 각각 동시 혹은 별도로 개폐시킨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었으므로, 감속기구, 클러치장치 공히 부품점수가 적어지며 간단한 구조로 되었으므로 제작 코스트를 대폭적으로 내릴 수 있을 뿐더러, 감속기구에 웜기어장치를 채용하였으므로 기어의 이빨끝의 부담감소로 기어를 염가인 합성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런 면에서도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구조가 심플하므로 고장이 적고, 내구성이 뛰어난 자동개폐장치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구동모터와 변좌나 변기뚜껑 등을 개폐하기 위한 구동축과 이 구동축에 상기 구동모니터의 회전구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감속기구와, 구동축 쪽으로부터 구동력의 전달을 중도에서 끊는 클러치장치로 형성되며, 감속기구를 웜기어장치와 이 웜기어장치를 통하여 회전되는 한쌍의 마찰차와 이 한쌍의 마찰차의 한쪽을 부착한 운송나사봉과, 이 운송나사봉의 나사부에 부착되고 이 운송나사봉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에 미끄럼 움직여지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한단부를 걸어맞춤시켜 다른 단부를 구동축에 고착시킨 아암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클러치장치는 통상 운송나사봉을 정위치에 유지시키고 있으나, 축방향에의 압력을 받았을 경우에 나사봉을 이동시켜서 마찰차 끼리의 접촉상태를 해제분리시키는 유지수단을 포함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변기의 변좌변기 뚜껑용의 자동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한쪽의 마찰차를 부착한 다른 한쪽의 마찰차를 부착한 운송나사봉측에 요동가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변기의 변좌변기 뚜껑용의 자동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운송나사봉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선회하는 아암부재와, 이 아암부재를 걸어맞춤시키고 있는 슬라이더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변기의 변좌변기 뚜껑용의 자동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유지수단은 운송나사봉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시키는 동시에 양단부에 탄성수단을 작용시켜 정위치를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변기의 변좌변기 뚜껑용의 자동개폐장치.
KR1019950003323A 1994-03-09 1995-02-21 양식변기의 변좌변기 뚜껑용의 자동개폐장치 KR0140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38123A JPH07246174A (ja) 1994-03-09 1994-03-09 洋式便器の便座便蓋用の自動開閉装置
JP94-38123 1994-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122A KR950027122A (ko) 1995-10-16
KR0140019B1 true KR0140019B1 (ko) 1999-02-18

Family

ID=1251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323A KR0140019B1 (ko) 1994-03-09 1995-02-21 양식변기의 변좌변기 뚜껑용의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246174A (ko)
KR (1) KR0140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8627B2 (ja) * 2002-08-26 2009-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便座及び便蓋の自動開閉装置
CN113069030B (zh) * 2020-09-25 2023-04-07 江西应用科技学院 一种可智能移动的坐便装置及辅助坐便方法
CN113057508B (zh) * 2020-09-25 2023-04-07 江西应用科技学院 一种坐便辅助装置及辅助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122A (ko) 1995-10-16
JPH07246174A (ja) 1995-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921B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 및 기록 소자 소제용 카세트
KR920019624A (ko) 입력 샤프트의 진동회전을 출력 샤프트의 단일방향 회전으로 전환 시키기 위한 장치
US5022184A (en) Manual window regulator
KR0140019B1 (ko) 양식변기의 변좌변기 뚜껑용의 자동개폐장치
JP2521278B2 (ja) 遮断弁等の開閉装置
US4529237A (en) Robotic gripper drive system
DE3012081A1 (de) Umkehrgetriebe
JPH06241344A (ja) アクチュエータ
JPS6256649A (ja) 制御用変速装置
CN209483005U (zh) 螺母丝杠式自动门开闭机构、汽车自动门和汽车
JPH0788913B2 (ja) バルブのスピンドル駆動機構
US4211431A (en) Actuator device for seat belt mechanism for motor vehicle
DE2924457A1 (de) Antrieb zum betaetigen von tueren
US4834162A (en) Vertical louver blind operating mechanism
KR100354983B1 (ko) 사에에스꼬임이나젯트꼬임을교대로부여하기위한방법및장치
UA7735A1 (uk) Привідний пристрій жолоба, який качається
DE2733771C2 (de) Einrichtung zum Verzögern der Bewegung eines Kassettenfachdeckels
KR0133683Y1 (ko) 테이프레코더의 릴 테이블 구동장치
JPH0771166A (ja) 車輌の可動部材の駆動装置
US11365019B2 (en) Strapping machine
JPH10129959A (ja) エレベータドア開閉装置
KR920008567Y1 (ko) 디에이티용 가이드 로울러 이동장치
KR0164230B1 (ko) 테이프 레코더
JPH01127785A (ja) 自動扉開閉装置
KR19980018988U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리미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