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930Y1 -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930Y1
KR0139930Y1 KR2019940023888U KR19940023888U KR0139930Y1 KR 0139930 Y1 KR0139930 Y1 KR 0139930Y1 KR 2019940023888 U KR2019940023888 U KR 2019940023888U KR 19940023888 U KR19940023888 U KR 19940023888U KR 0139930 Y1 KR0139930 Y1 KR 01399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rotational speed
speed detection
rotation speed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3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499U (ko
Inventor
양현우
문원식
Original Assignee
정몽원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2019940023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930Y1/ko
Publication of KR9600114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4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9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9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12Parameters of driving or driven means
    • F04B2201/1201Rotational speed of the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압축기의 왕복이송부재 또는 그 외주면의 적어도 일측이 왕복 이송도는 회전체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압축기의 본체에 고정되며 비자성체로된 피검출체를 검출할 수 있는 회전속도 검출센서를 구비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는 압축기의 피검출체가 바자성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회전수의 검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 및 제3도는 종래 회전속도 검출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시한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속도 검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본체 15 : 피스톤
12, 12' : 실린더 17 : 밸브시트
100, 100', 200 : 검출센서
본 고안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압축기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공기화장치에 사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 내에서 기화된 열교환매체를 흡입하는 작용과, 흡입된 열교혼 매체를 압축하는 작용과, 압축된 열교환 매체를 펌핑하는 작용을 하여 연속적으로 냉매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구동방식에 따라 스와쉬 플레이트 타입, 스크롤 타입(scroll type), 로터리 타입(rotary rype) 및 바블 플레이트 타입(wobble plate type)등 여러 종류의 것이 있다.
제1도에는 이러한 압축기중 스와쉬 플레이트 타입 압축기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두개로 분리된 본체(11)(11')와, 상기 각 본체(11)(11')의 내부에는 실린더(12)(12')가 고정설치되고 이 실린더(12)(12') 사이에는 회전축(13)에 의해 지지되는 스와쉬플레이트(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실린더(12)(12')에는 그 중앙에 브리지(15a)가 형성되어 상기 스와쉬프레이트(14)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부(15b)가 형성된 피스톤(1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5b)에 설치된 스와쉬플레이트(14)와 피스톤(15)의 접촉부에는 접촉에 따른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슈(shoe; 16)가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12)(12')의 양측면과 본체(11)(11')의 내주면 사이에는 밸브 유니트(17)(17')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압축기(10)는 회전축(13)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13)에 고정설치된 스와쉬플레이트(14)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와쉬플레이트(14)에 지지된 복수개의 피스톤(15)이 실린더(12)(12')에 대해 왕복 이송되면서 열교한 매체를 압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압축기는 자동차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동안 압축기의 이상유무의 판단을 압축기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판단하고 있는데, 제2도에는 이러한 종래 압축기 회전수 검출장치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11)에 코일과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전자기 센서(21)가 사판(14)의 외주면과 대향되는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사판(14)의 외주면에는 상기 전자기 센서(21)에 검출이 가능한 자성체(22)를 고정설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압축기의 회전축(11)과 사판(1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자기 센서(21)에 대해 자성체(22)가 근접될때에 이를 감지하여 압축기의 회전수를 감지하게된다.
그리고 종래 압축기 회전수 검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에 코일과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전자기 센서(21')가 사판(14)의 외주면과 대향되는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피스톤(15)의 외주면에는 상기 전자기 센서(21')에 검출이 가능한 자성체(22')를 고정설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압축기의 회전축(13)과 사판(1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전자기 센서(21')에 대해 피스톤(15)에 설치된 자성체(22')가 왕복 이송될때에 이를 감지하여 압축기의 회전수를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기의 회전수 검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첫째 : 왕복이송되거나 회전되는 부품에 자성체로 된 피검출체를 장착하여야 한다.
둘째 : 자성체로 이루어진 피 검출체와 전자기 센서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 저하로 회전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셋째 : 피검출체의 장착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간단한 회전수검출에 따른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기의 회전수 검출장치를 제공합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압출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왕복이송부재 또는 그 외주면의 적어도 일측이 왕복 이송되는 회전체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압축기의 본체에 고정되며 비자성체로된 피검출체를 검출할 수 있는 회전속도 검출센서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축기는 제1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두개로 분리된 본체(11)(11')와, 상기 각 본체(11)(11')의 내부에는 실린더(12)(12')가 고정설치되고 이 실린더(12)(12') 사이에는 회전축(13)에 의해 지지되는 스와쉬플레이트(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실린더(12)(12')에는 그 중앙에 브리지(15a)가 형성되어 상기 스와쉬플레이트(14)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부(15b)가 형성된 피스톤(1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 장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11')에 상기 그 외주면의 적어도 일측이 왕복 이송되는 회전체인 스와쉬플레이트(14)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압축기의 본체에 고정되며 비자성체로된 피검출체를 검출할 수 있는 회전속도 검출센서(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회전속도 검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11)(11')에 상기 그 외주면의 적어도 일측이 왕복 이송되는 왕복이송부재인 피스톤(15)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압축개의 본체에 고정되며 비자성체로 된 피검출체를 검출할 수 있는 회전속도 검출센서(100')가 구비된다. 이때에 상기 회전속도 검출센서(100')와 대향되는 피스톤(150의 외주측에는 검출용 홈(15b)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에 지지된 회전축(13) 단부에 펄스 플레이트(210)가 설치되고 이 펄스 플레이트(210)와 대향되는 위치에 비자성체의 피검출부재를 검출할 수 있는 회전속도 검출센서(200)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펄스 플레이트(210)은 회전축(13)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부재로 제작하여 나사결합하는데, 나사 결합하는 경우 상기 펄스 플레이트(210)와 회전속도 검출센서(200)와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단부와 펄스 플레이트(210) 사이에 소정두께의 와셔(211)를 개재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는 압추기가 작동됨에 따라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축(13)에 대해 소정각도로 형성된 스와쉬플레이트(14)의 단부가 회전속도 감지센서에 대해 왕복 이송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속도 검출센서(100)의 출력신호의 출력변화를 야기하여 회전속도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회전속도 검출센서(100')가 스와쉬플레이트(14)에 의해 왕복이송되는 피스톤(15)의 브리지(15a)와 대향되는 부위에 설치된 경우 상기 회전속도 검출센서(100')와 대향되는 브리지(15a)에 인입홈(15d)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스톤(15)의 왕복이동시 상기 회전속도 검출센서(100')의 출력변화를 야기시키게 된다. 즉, 상기 회전속도 검출센서(100')는 바자성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속고 검출센서(100')의 출력이 변화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출력변화를 이용하여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에로서 압축기 회전축의 단부에 펄스 플레이트(210)가 설치된 경우 회전축(13)의 회전에 따라 펄스 프레이트(210)가 회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대향되게 설치된 회전속도 검출센서(200)의 출력신호가 변화되어 회전속도를 검출하게 되는데, 조립공차 등으로 인하여 펄스 플레이트(210)와 회전속도 검출장치(200)의 간격이 멀어 센서로부터의 출력이 떨어지는 경우 회전축의 단부와 펄스 플레이트(210) 사이에 와셔(211)를 개재시켜 이들의 간격을 적정치로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는 회전속도 검출센서는 바자성체인 피 검출체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비자성체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경우 자성체를 회전 또는 왕복운동하는 부재에 고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회전축이 바지성체인 신소재로 대체되는 경우에는 쉽게 적용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

  1. 압축기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회전축에 동축방향으로 편심되게 고정되며 바자성체로 이루어진 펄스 플레이트와, 이 펄스 플레이트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압축기의 본체에 고정되며 비자성체로 된 펄스 플레이트 검출할 수 있는 회전속도 검출센서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KR2019940023888U 1994-09-14 1994-09-14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KR01399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888U KR0139930Y1 (ko) 1994-09-14 1994-09-14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888U KR0139930Y1 (ko) 1994-09-14 1994-09-14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99U KR960011499U (ko) 1996-04-15
KR0139930Y1 true KR0139930Y1 (ko) 1999-05-15

Family

ID=1939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888U KR0139930Y1 (ko) 1994-09-14 1994-09-14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9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99U (ko)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1074B1 (en) Compressor
US4502853A (en) Rotational speed sensor for vane compressors
EP1939449A2 (en) Compressor
KR0139930Y1 (ko)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EP0199512B1 (en) Compressor with rotation detecting device
US6802243B2 (en) Wobble type fluid pump having swing support mechanism
JP6868703B2 (ja) 圧縮機
KR100216388B1 (ko) 가변위성기구를 갖는 경사판형 압축기
US6589019B2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2130409B1 (ko) 압축기
JPH0335891Y2 (ko)
JP4652225B2 (ja) コンプレッサ
JP2005510662A (ja) 往復ピストン機械の行程検出法
JP2005510662A5 (ko)
KR0121699Y1 (ko) 자동차용 압축기의 회전속도 검출장치
JPS625659Y2 (ko)
KR102198516B1 (ko) 압축기
JPH0424662B2 (ko)
JP2002115657A (ja)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シリンダ
KR20190001065A (ko) 사판식 압축기
KR200222470Y1 (ko) 압축기
JP2588562B2 (ja) 圧縮機
JPH0533741Y2 (ko)
KR0139916Y1 (ko) 압축기
KR200228835Y1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