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516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516B1
KR102198516B1 KR1020170037480A KR20170037480A KR102198516B1 KR 102198516 B1 KR102198516 B1 KR 102198516B1 KR 1020170037480 A KR1020170037480 A KR 1020170037480A KR 20170037480 A KR20170037480 A KR 20170037480A KR 102198516 B1 KR102198516 B1 KR 10219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rotation shaft
rotation
clutch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126A (ko
Inventor
백찬호
곽정명
민상동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516B1/ko
Priority to JP2019543355A priority patent/JP6868703B2/ja
Priority to US16/481,922 priority patent/US11143174B2/en
Priority to PCT/KR2018/003292 priority patent/WO2018174558A1/ko
Publication of KR2018010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04B25/04Multi-stage pump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3/00Motor parameters
    • F04B2203/02Motor parameters of rotating electric motors
    • F04B2203/0209Rotatio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는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압축기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전원이 인가되면 자화되어 상기 구동원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시키고, 전원이 차단되면 소자(消磁)되어 상기 구동원과 상기 회전축을 분리시키는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의 자화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자속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측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영구자석을 포함하지 않고도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측정수단의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 홈이 케이싱의 외부와 연통되되 케이싱의 내부와는 차단되게 형성됨으로써 그 회전측정수단으로 인한 냉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원으로부터 압축기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C)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냉방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압축기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전달방식에 따라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등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이러한 압축기는 통상적으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일본 특허공보 제2715544호를 참조하면, 종래의 압축기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11, 13),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는 구동원(예를 들어, 엔진)으로부터 상기 압축기구(11, 13)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 및 상기 구동원과 상기 회전축(4)을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시키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는,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풀리(미도시), 상기 회전축(4)과 체결되고 상기 풀리와 선택적으로 접촉 및 이격되는 디스크 허브 조립체(미도시), 전원 인가 시 자화되어 상기 풀리와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를 접촉시키는 필드 코일 조립체(9) 및 상기 필드 코일 조립체(9)에 전원이 차단되어 그 필드 코일 조립체가 소자(消磁)되면 상기 풀리와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를 이격시키는 이격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의 회전 속도와 상기 풀리의 회전 속도가 상이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와 상기 풀리가 접촉될 경우,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와 상기 풀리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거나,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와 상기 풀리 사이 접촉에 따른 충격력에 의해 상기 구동원과 상기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 상기 구동원 및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종래의 압축기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영구자석(17) 및 상기 영구자석(17)의 자속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18)를 포함하는 회전측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축(4)의 회전 속도를 측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회전측정수단이 영구자석(17)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회전체의 관성(inertia)이 증가되고, 회전체의 밸런스(balance)가 불안정해져, 소음 및 진동이 악화되고, 회전체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영구자석이 회전될 때 그 영구자석이 타 부품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압축기의 크기가 증가되어야 하고, 영구자석 추가 및 압축기의 크기 증가에 따라 압축기의 중량 및 원가가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측정수단의 센서(18)가 케이싱을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센서 설치를 위한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냉매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특허공보 제271554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영구자석을 포함하지 않고도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측정수단으로 인한 냉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는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압축기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전원이 인가되면 자화되어 상기 구동원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시키고, 전원이 차단되면 소자(消磁)되어 상기 구동원과 상기 회전축을 분리시키는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의 자화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자속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측정수단;을 포함하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압축기구는, 상기 회전축에 경사지게 체결되고, 그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 상기 케이싱의 보어에 수용되고, 상기 사판에 결합되어, 그 사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어의 내부에서 왕복운동되는 피스톤; 및 압축 용량을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에 대한 상기 사판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조절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기구는 상기 회전축에 체결되어 상기 클러치의 자화 시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고 여자(勵磁)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측정수단은 상기 로터의 자속을 측정하는 홀 센서(hall effect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로터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는 상기 클러치와 상기 로터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선의 범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는 상기 클러치와 상기 로터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홀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 장착 홈은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 홈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와는 연통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와는 차단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는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압축기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전원이 인가되면 자화되어 상기 구동원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시키고, 전원이 차단되면 소자(消磁)되어 상기 구동원과 상기 회전축을 분리시키는 클러치; 및 상기 클러치의 자화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자속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측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영구자석을 포함하지 않고도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체의 관성 증가 및 밸런스 불안정화를 방지하여, 소음 및 진동 악화를 방지하고, 회전체를 지지하는 베어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영구자석에 따른 압축기의 크기, 중량 및 원가가 악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측정수단의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 홈이 케이싱의 외부와 연통되되 케이싱의 내부와는 차단되게 형성됨으로써, 그 회전측정수단으로 인한 냉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압축기에서 코일에 전원 인가 시 자화 부위 및 자력선을 도시한 도표,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압축기에서 코일에 전원 인가 시 자화 부위 및 자력선을 도시한 도표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케이싱(1),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2), 상기 케이싱(1)의 외부에 구비되는 구동원(예를 들어, 엔진)(미도시)으로부터 상기 압축기구(2)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3) 및 상기 구동원(미도시)과 상기 회전축(3)을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시키는 클러치(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구(2)는 사판과 피스톤을 포함하는 사판 방식, 선회 스크롤과 비선회 스크롤을 포함하는 스크롤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사판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시예에 따른 압축기구(2)는, 보어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21), 상기 회전축(3)에 체결되어 그 회전축(3)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피스톤(21)을 왕복 운동시키는 사판(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은, 일단부가 상기 압축기구(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케이싱(1)을 관통하여 그 케이싱(1)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클러치(4)의 후술할 디스크 허브 조립체(42)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4)는, 상기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풀리(41), 상기 회전축(3)과 체결되고 상기 풀리(41)와 선택적으로 접촉 및 이격되는 디스크 허브 조립체(42), 전원 인가 시 자화되어 상기 풀리(41)와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를 접촉시키는 필드 코일 조립체(43) 및 상기 필드 코일 조립체(43)에 전원이 차단되어 그 필드 코일 조립체(43)가 소자(消磁)되면 상기 풀리(41)와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를 이격시키는 이격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리(41)는, 상기 풀리(41)는 대략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풀리(41)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그 풀리(41)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미도시)가 설치되는 구동벨트 체결면(412)이 형성되며, 상기 풀리(41)의 내주면과 상기 케이싱(1)의 외측면 사이에는 상기 풀리(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44)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리(41)의 일 측면에는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의 후술할 디스크(424)와 접촉 가능한 마찰면(414)이 형성되고, 상기 풀리(41)의 타 측면에는 상기 필드 코일 조립체(43)가 삽입 장착되는 필드 코일 조립체 수용홈(4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는, 상기 회전축(3)에 체결되는 허브(422) 및 상기 허브(422)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풀리(41)에 선택적으로 접촉 및 이격되는 디스크(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드 코일 조립체(43)는, 코일 하우징(432) 및 상기 코일 하우징(432)에 수용되고 전원 인가 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4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수단(미도시)은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가 상기 풀리(4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에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풀리(41)는 상기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434)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434)의 자기유도에 의한 흡인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가 상기 풀리(41)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풀리(41)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와 상기 풀리(41)가 결속됨으로써, 상기 구동원(미도시)의 동력이 상기 풀리(41) 및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를 통해 상기 회전축(3)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은 전달받은 동력으로 상기 압축기구(2)를 작동시켜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코일(434)에 전원 인가가 중단되면, 상기 코일(434)의 자기유도에 의한 흡인력이 더는 발생되지 않고, 상기 이격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가 상기 풀리(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풀리(41)와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원(미도시)으로부터 상기 회전축(3)으로의 동력 전달이 중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구(2)는 작동이 중단되고, 냉매 압축이 중단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의 회전 속도와 상기 풀리(41)의 회전 속도가 상이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와 상기 풀리(41)가 접촉될 경우,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와 상기 풀리(41) 사이에 슬립이 발생되어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거나, 상기 디스크 허브 조립체(42)와 상기 풀리(41) 사이 접촉에 따른 충격력에 의해 상기 구동벨트(미도시), 상기 구동원(미도시) 및 상기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상기 회전축(3)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측정수단(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측정수단(5)은 영구자석을 포함하지 않고도 상기 회전축(3)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구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4)가 자화될 때 상기 회전축(3) 및 상기 회전축(3)과 같이 회전되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후술할 로터(232)) 역시 자화됨(도면의 빨간색 영역)이 파악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측정수단(5)은, 자화되는 상기 회전축(3)에 의한 자속 변화 또는 상기 회전축(3)과 함께 회전되는 구성요소에 의한 자속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hall effect sensor)(5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측정수단(5)은 영구자석을 포함하지 않고, 그 영구자석에 의한 자속 변화를 측정하지 않는다.
이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영구자석으로 인한 회전체의 관성 증가, 회전체의 밸런스 악화, 소음 진동 악화, 회전체를 지지하는 베어링 손상, 냉매 누설, 압축기의 크기 증가, 압축기의 중량 증가 및 압축기의 원가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 센서(52)는 상기 회전축(3)에 의한 자속 변화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것보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회전축(3)과 함께 회전되는 구성요소에 의한 자속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 센서(52)는 측정 대상에 인접할수록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 센서(52)는 상기 회전축(3)에 의한 자속 변화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경우 상기 회전축(3)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클러치(4)와 상기 회전축(3) 사이 형성되는 자력선 범위 내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회전축(3)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아, 상기 홀 센서(52)가 상기 케이싱(1)의 내부공간 중심부 측에 고정되어야 상기 회전축(3)에 인접할 수 있으나 상기 케이싱(1)의 내부공간 중심부에 상기 홀 센서(52)를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상기 클러치(4)와 상기 회전축(3) 사이 형성되는 자력선 범위가 협소하여, 상기 홀 센서(52)가 그 홀 센서(52)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상기 홀 센서(52)는, 상기 회전축(3)과 함께 회전되는 구성요소에 의한 자속 변화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경우, 그 홀 센서(52)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사판 방식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회전축(3)에 대한 상기 사판(22)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압축 용량을 조절하는 경사조절기구(23)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기구(23)는 상기 회전축(3)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3)과 함께 회전되는 로터(232)를 포함하는데, 상기 클러치(4)의 자화 시 상기 로터(232)도 자화되고 홀 센서(52)는 자화된 로터(232)의 자속 변화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로터(232)는 원형이 아니고 중심을 경계로 2등분 했을 때, 제1 영역(빗금친 영역)과 제2 영역(민무늬 영역)은 다른 반지름을 갖는바, 2등분 경계면은 돌출되어 있다. 로터(232)가 회전할 경우, 이 돌출된 영역에 의해 자속 변화가 발생하며, 이를 홀 센서(52)가 검출 및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홀 센서(52)는 상기 로터(232)에 의한 자속 변화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경우 상기 로터(232)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클러치(4)와 상기 로터(232)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선 범위 내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상기 로터(23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서, 상기 홀 센서(52)가 상기 케이싱(1)에 고정되어도 상기 로터(232)에 인접할 수 있고, 상기 클러치(4)와 상기 로터(232) 사이 형성되는 자력선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어, 상기 홀 센서(52)가 그 홀 센서(52)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기가 훨씬 용이할 수 있다. 특히, 홀 센서(52)는 도 2와 같은 자화 영역(빨간색 영역)이 중첩되는 영역에 설치되면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바, 로터(232)의 상면 하우징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로터(232) 보다 클러치(4)에 인접하게 배치할 경우 홀 센서(52)는 로터(232)가 아닌 클러치(4)의 자화 상태를 측정할 것이며, 이는 정확한 압축기의 회전 상태를 검출했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홀 센서(52)가 클러치(4)와 로터(232) 사이에 배치될 때에도 홀센서(52)는 로터(232)와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홀 센서(52)는 상기 케이싱(1)에 형성되는 센서 장착 홈(12)에 장착되는데, 상기 센서 장착 홈(12)은 상기 케이싱(1)의 외면으로부터 음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장착 홈(12)은 상기 케이싱(1)의 외부와는 연통되고 상기 케이싱(1)의 내부와는 차단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센서 장착 홈(12)에 의한 냉매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장착 홈(12)이 상기 케이싱(1)을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됨에 따라 그 센서 장착 홈(12)을 통해 상기 케이싱(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센서 장착 홈(12)에 의한 냉매 누설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그 센서 장착 홈(12)이 상기 케이싱(1)을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되나, 예를 들어 저압식 압축기와 같이 그 센서 장착 홈(12)에 의한 냉매 누설이 우려되지 않는 경우 또는 실링부재 등을 통한 냉매 누설 방지가 용이한 경우에는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장착 홈(12)이 상기 케이싱(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홀 센서(52)가 상기 로터(232)에 더욱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어 그 홀 센서(52)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홀 센서(52)의 정확도를 극대화하도록 상기 홀 센서(52)가 상기 클러치(4)와 상기 로터(232) 사이에 개재되나, 상기 클러치(4)와 상기 로터(232) 사이 공간이 협소함에 따라 상기 홀 센서(52)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 센서(52)가 상기 로터(232)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홀 센서(52)의 정확도가 다소 낮아지나, 상기 홀 센서(52)의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1: 케이싱 2: 압축기구
3: 회전축 4: 클러치
5: 회전측정수단 12: 센서 장착 홈
21: 피스톤 22: 사판
23: 경사조절기구 41: 풀리
42: 디스크 허브 조립체 43: 필드 코일 조립체
52: 홀 센서 232: 로터

Claims (7)

  1. 케이싱(1);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구비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2);
    상기 케이싱(1)의 외부에 구비되는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압축기구(2)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3);
    전원이 인가되면 자화되어 상기 구동원과 상기 회전축(3)을 연결시키고, 전원이 차단되면 소자(消磁)되어 상기 구동원과 상기 회전축(3)을 분리시키는 클러치(4); 및
    상기 클러치(4)의 자화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3)의 회전에 따른 자속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회전축(3)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측정수단(5);을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4)는 전원 인가 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434)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구(2)는,
    상기 회전축(3)에 경사지게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3)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22);
    상기 케이싱(1)의 보어에 수용되고, 상기 사판(22)에 결합되어, 상기 사판(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어의 내부에서 왕복운동되는 피스톤(21); 및
    압축 용량을 가변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3)에 대한 상기 사판(22)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조절기구(23);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조절기구(23)는 상기 회전축(3)에 체결되어 상기 클러치(4)의 자화 시 상기 회전축(3)과 함께 회전되고 여자(勵磁)되는 로터(232)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232)는 중심을 경계로 2등분 했을 때 다른 반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측정수단(5)은 상기 로터(232)의 자속을 측정하는 홀 센서(52)(hall effect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1)에는 상기 홀 센서(52)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 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 장착 홈(12)은 상기 케이싱(1)의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센서 장착 홈(12)은 상기 케이싱(1)의 외부와는 연통되고, 상기 케이싱(1)의 내부와는 차단되게 형성되고,
    상기 센서 장착 홈(12)은 상기 홀 센서(52)의 측정부위가 상기 코일(434)과 상기 로터(232)가 서로 마주보는 영역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압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52)는 상기 로터(232)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52)는 상기 클러치(4)와 상기 로터(232)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선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52)는 상기 클러치(4)와 상기 로터(232)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클러치(4)보다 상기 로터(232)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삭제
  7. 삭제
KR1020170037480A 2017-03-24 2017-03-24 압축기 KR102198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480A KR102198516B1 (ko) 2017-03-24 2017-03-24 압축기
JP2019543355A JP6868703B2 (ja) 2017-03-24 2018-03-21 圧縮機
US16/481,922 US11143174B2 (en) 2017-03-24 2018-03-21 Compressor
PCT/KR2018/003292 WO2018174558A1 (ko) 2017-03-24 2018-03-21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480A KR102198516B1 (ko) 2017-03-24 2017-03-24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126A KR20180108126A (ko) 2018-10-04
KR102198516B1 true KR102198516B1 (ko) 2021-01-05

Family

ID=6386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480A KR102198516B1 (ko) 2017-03-24 2017-03-24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5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3325A (ja) * 2003-09-10 2005-03-31 Toyota Industries Corp 回転速度検出機構を備えた容量可変型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5544B2 (ja) 1989-05-10 1998-02-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揺動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の容量検出装置
KR101453100B1 (ko) * 2008-08-20 2014-10-2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EP2372153B1 (en) * 2010-03-17 2020-07-29 Valeo Compressor Europe, s.r.o. Speed s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3325A (ja) * 2003-09-10 2005-03-31 Toyota Industries Corp 回転速度検出機構を備えた容量可変型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126A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6979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buffer member arranged between end of shaft and recess of eccentric bush
US7785079B2 (en) Compressor and method of using compressor
US20070017771A1 (en) Rotating machine having electro-magnetic clutch
JP4803027B2 (ja) コンプレッサ
US11143174B2 (en) Compressor
KR102590950B1 (ko)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KR102130409B1 (ko) 압축기
KR102198516B1 (ko) 압축기
CN105473862A (zh) 涡旋型流体设备
KR102460908B1 (ko) 전자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KR102170130B1 (ko)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KR102436354B1 (ko)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JP2002242829A (ja) 容量可変圧縮機
JPH0424662B2 (ko)
KR102625094B1 (ko) 압축기
JP4652225B2 (ja) コンプレッサ
KR20200085458A (ko) 압축기 및 압축기의 구동 제어방법
KR20180101175A (ko) 압축기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KR20210105534A (ko) 압축기 토크 측정장치
KR20240050689A (ko) 압축기 및 이에 포함되는 풀리 제조 방법
JP2013204446A (ja) 圧縮機
US11761442B2 (en) Scroll compressor
JP2008115955A (ja) プーリ支持軸受および電磁クラッチのプーリ支持構造
JP2008095718A (ja) プーリ支持軸受および電磁クラッチのプーリ支持構造
KR20230146894A (ko)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